“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시번(時蕃)@1616 - 유시번(柳時蕃)@1616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유찬(柳燦)의 아들로, 1657년(효종 8)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봉상시 주부(奉常寺主簿)ㆍ창원 부사(昌原府使)를 지냄.
1616~16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번(時蕃)@1569 - 유시번(柳時蕃)@1569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손처눌(孫處訥)의 제자로, 1755년(영조 31) 청호서원(靑湖書院)에 배향됨.
1569~161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시보(施普) - 김택룡(金澤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조목(趙穆)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이황(李滉)의 문하생들과 교유함.
1547~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시보(時珤) - 이시보(李時珤)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이예장(李禮長)의 아들.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방관을 두루 거치고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 등을 지냄.
1433~149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시보(時甫)@유진정 - 유진정(柳震楨)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인홍(鄭仁弘)의 생질로, 폐모론(廢母論)에 찬성하였다가 인조반정 후 금성(金城)에 유배되고, 아들 유지욱(柳之煜)이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을 추대하려다 역모죄로 처형될 때 함께 사사됨.
1563~162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시보(時甫)@남언경 - 남언경(南彦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반박하고 양명학(陽明學) 체계를 완성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시보(時甫)@유즙 - 유즙(柳濈)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종인(柳種仁)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시보(時甫) - 권득경(權得經)
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홍귀달(洪貴達)의 《허백정집(虛白亭集)》에 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시보(時甫)@박유동 - 박유동(朴惟棟)
조선 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사삼(朴事三)의 아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 등과 친교(親交)가 있었으며,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시보(時輔)@유시보 - 유시보(柳時輔)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된 유구(柳䪷)의 아버지로, 횡성 현감(橫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시보(時輔) - 김시보(金時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현감을 지냄. 수원김씨(水原金氏) 시조 김품언(金稟言)의 22세손으로, 용성김씨(龍城金氏)의 시조.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ㅣ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시부(時夫) - 음유우(陰幼遇)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가 멸망하자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매진하여 《운부군옥(韻府群玉)》등의 저서를 남김.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시비동(是飛洞) - 이동(伊洞)
경상도 안동(安東) 천사(川沙)에 있는 고을 이름. 이황(李滉)이 제자인 이덕홍(李德弘)과 함께 자주 갔던 곳.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시사(豕蛇) - 봉시장사(封豕長蛇)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공격을 받은 초(楚) 나라의 신하 신포서(申包胥)가 진(秦) 나라의 애공(哀公)에게 도움을 청하면서 오 나라를 '탐욕스러운 큰 돼지와 먹이를 통째로 삼키는 긴 뱀'에 비유한 데서 유래한 고사성어. 탐욕스럽고 잔인한 사람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시산(詩刪) - 국조시산(國朝詩刪)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문인인 허균(許筠)이 엮은 시문집. 9권 4책. 목판본. 정도전(鄭道傳)ㆍ백광훈(白光勳)ㆍ최경창(崔慶昌) 등의 작품을 수록하였으며, 숙종(肅宗) 때 광주 부윤(廣州府尹) 박태순(朴泰淳)이 간행함.
169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문헌>서명
-
시산군(詩山君) - 이정숙(李正叔)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손자인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맏아들로,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 등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 때 관작을 삭탈당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재차 연루되어 처형됨.
?~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시산부정(詩山副正) - 이정숙(李正叔)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손자인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맏아들로,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 등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 때 관작을 삭탈당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재차 연루되어 처형됨.
?~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시산정(詩山正) - 이정숙(李正叔)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손자인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맏아들로,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 등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 때 관작을 삭탈당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재차 연루되어 처형됨.
?~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시삼백(詩三百)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시상(時翔) - 마문룡(馬文龍)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사제사신(賜祭使臣)으로 조선에 왔을 때 송인(宋寅)과 시문을 주고받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시상(柴桑)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시상자(柴桑子)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시선(詩仙)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시선(詩仙)@임억령 - 임억령(林億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박상(朴祥)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동생 임백령(任百齡)이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일에 가담하자 해남(海南)으로 내려가 은거함.
1496~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시선(詩仙)@이백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시성(詩聖)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시세종(柴世宗) - 세종(世宗)@오대십국(후주)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주(後周)의 제2대 황제. 재위 954~959. 태조(太祖)의 양자(養子)로, 양자강(揚子江) 이북을 통일하고 내정을 안정적으로 통치하는 등 국가 체제를 확고히 정비함.
921~959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시숙(始叔) - 송찬(宋贊)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 《중종실록(中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진위사(陳慰使)와 진하사(進賀使)로 두 차례에 걸쳐 명(明) 나라에 다녀옴.
1510~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시숙(時叔)@윤창명 - 윤창명(尹昌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으로, 윤신(尹信)의 아들. 정자(正字)를 지냈으며, 유몽인(柳夢寅)ㆍ구사맹(具思孟) 등과 교유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제천 , 인명>관인>문신
-
시숙(時叔) - 안우(安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김종직(金宗直)에게 수학하고 김굉필(金宏弼)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였으며, 효행(孝行)으로 당대에 이름이 높았음.
1449~15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시숙(時叔)@박응립 - 박응립(朴應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명종(明宗) 때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낸 박세무(朴世茂)의 아들이며, 인조(仁祖) 때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박지계(朴智誡)의 아버지로, 수안 군수(遂安郡守)를 지냄.
1517~15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습(時習)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시아(詩雅)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시안(始安) - 괴산(槐山)
충청북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소백산맥이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어 교통이 불편하여 유교적인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지역임.
충청도>괴산 , 지명>행정지명
-
시안군(始安君) - 이탁(李擢)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손자이며, 칠성수(漆城守) 이화(李譁)의 아버지로, 시안군(始安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시암(是庵) - 강인(姜絪)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555~16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시암(時庵) - 조상우(趙相禹)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인. 본관은 양주(楊州). 김장생(金長生)의 문인(門人)으로 참판(參判)에 증직되고, 온양(溫陽)에 있는 정퇴서원(靜退書院)에 배향됨.
1582~165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문인
-
시암(枾岩) - 권진(權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인품이 강직하여 이이첨(李爾瞻)에게 아부하지 않아 여러 번 탄핵을 받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고관(高官)들이 모두 도주했지만 홀로 조정과 대궐을 호위해 많은 공을 세움.
157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시암(詩庵) - 김정희(金正喜)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서화가(書畫家).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참판(兵曹參判)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추사체(秋史體)를 대성한 명필로 예서(隸書)ㆍ행서(行書)에 능하며, 그림과 금석학(金石學) 등에도 조예가 깊음.
1786~18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예산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시애(施愛) - 이시애(李施愛)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무신ㆍ역적. 본관은 길주(吉州)로, 함길도 첨절제사(咸吉道僉節制使) 이인화(李仁和)의 아들. 1467년(세조 12)에 길주에서 반란을 일으켜, 함길도 절도사(咸吉道節度使) 강효문(康孝文)을 살해함. 구성군(龜城君) 이준(李浚)과 남이(南怡) 등이 난을 진압하고, 이시애는 체포되어 참수됨.
?~1467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길성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시양(時讓) - 김시양(金時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비안 현감(庇安縣監) 김인갑(金仁甲)의 아들.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1636년(인조 14) 청백리에 뽑힘. 《하담파적록(荷潭破寂錄)》ㆍ《하담집(荷潭集)》ㆍ《부계기문(涪溪記聞)》 등을 남김.
1581~16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시언(時言) - 이묵(李黙)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시랑(侍郎) 등을 지냈으나, 엄숭(嚴嵩)과 대립하고 조문화(趙文華)의 모함으로 옥사함. 저서로 《고수부담(孤樹裒談)》ㆍ《군옥루고(群玉樓稿)》등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시열(時烈) - 송시열(宋時烈)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남인(南人)과 대립하고, 후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賜死)됨.
1607~168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시영(是詠) - 금시영(琴是詠)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금복고(琴復古)의 장남으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시영(時榮) - 송시영(宋時榮)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상의원 주부(尙衣院主簿) 등을 지냄. 정묘호란 때 왕을 보필하였으며,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로 갔다가 성이 포위당해 이시직(李時稷) 등과 함께 자결함. 영동(永同) 초강서원(草江書院) 등에 배향됨.
1588~163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시영(柴榮) - 세종(世宗)@오대십국(후주)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주(後周)의 제2대 황제. 재위 954~959. 태조(太祖)의 양자(養子)로, 양자강(揚子江) 이북을 통일하고 내정을 안정적으로 통치하는 등 국가 체제를 확고히 정비함.
921~959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시옹(時翁) - 김미(金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제주 목사(濟州牧使) 김률(金硉)의 아들. 우승지ㆍ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고, 명종 초에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옹(詩翁) - 매요신(梅堯臣)
중국 송(宋) 나라의 대표적 시인ㆍ문신. 당시(唐詩)의 섬세하고 교묘한 폐풍을 버리고 고문운동(古文運動)과 관련된 시 형식을 개척하여 새로운 송시(宋詩)의 개조(開祖)가 됨.
1002~106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시용(時庸) - 박시용(朴時庸)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박흥생(朴興生)의 조부(祖父)로, 감찰규정(監察糾正)을 지냈으며, 운문관 대제학(右文館大提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시용(時用) - 서박(徐薄)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1497년(홍치 10) 황제의 칙령으로 《대명회전(大明會典)》 편찬에 착수하여 1549년(가정 28년)에 완성함.
1428~149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시우(時宇) - 애유신(艾維新)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호부 주사(戶部主事)로 종군(從軍)하여 군량(軍糧)을 관리함. 군량 운송의 기일을 지키지 못한 검찰사(檢察使) 김응남(金應南)과 의주 부윤(義州府尹) 황진(黃璡) 등에게 장형(杖刑)을 가했다는 기록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시우(時遇)@음유우 - 음유우(陰幼遇)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가 멸망하자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매진하여 《운부군옥(韻府群玉)》등의 저서를 남김.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시우(時遇) - 서응기(徐應麒)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당성(唐城).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의 아들로, 장례원 사의(掌隸院司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시우(詩友) - 김순의(金順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제(金堤). 태재(泰齋) 유방선(柳方善)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유학
-
시우당(時雨堂) - 목첨(睦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으로, 목세칭(睦世秤)의 아들. 공조 참의(工曹參議)ㆍ청홍도 관찰사(淸洪道觀察使)ㆍ대사간(大司諫)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515~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시원(始元) - 이시원(李始元)
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 이선제(李先齊)의 아들이며, 감사(監司) 이복선(李復善)의 아버지. 1450년(세종 3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헌납(獻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시원(恃源) - 하시원(河恃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륜(河崙)의 조부로, 식목도감 녹사(式目都監錄事)를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보조공신(補祚功臣)에 추록되고, 진강부원군(晉康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시원(蓍元) - 민시원(閔蓍元)
조선 전기의 유학. 온계(溫溪) 이해(李瀣)와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큰 형인 충순위(忠順衛) 이잠(李潛)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시은(市隱) - 박계강(朴繼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여항시인(閭巷詩人). 본관은 밀양(密陽).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인 김정(金淨)과 교유하고, 유희경(劉希慶)을 중심으로 구성된 풍월향도시인(風月香徒詩人)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문인
-
시응(時應) - 최정호(崔挺豪)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최수도(崔守道)의 아들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ㆍ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지냄.
1573~162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시임(時任) - 김시임(金時任)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豐山)으로, 잠암(潛庵) 김의정(金義貞)의 현손(玄孫).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시임당(媤妊堂) - 신사임당(申師任堂)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서화가(書畵家)ㆍ문인. 본관은 평산(平山). 이이(李珥)의 어머니로, 시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남.
1504~155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시자(時孶) - 이시자(李時孶)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요동 순안어사(遼東巡按御史)로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명 나라와 조선 사이에 오가는 외교문서를 전달하는 역할을 함. 정곤수(鄭崐壽)의 《백곡집(栢谷集)》에 그와 관련한 글이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시재(施齋) - 조혜(趙惠)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 조연(趙涓)의 아들이며 성종(成宗) 때의 문신 조지주(趙之周)의 아버지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를 지냄.
?~14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재(是齋)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시정(施政) - 김중권(金仲權)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금양(金壤). 이규보(李奎報)의 외조부. 울진 현위(蔚珍縣尉)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통천 , 인명>관인>문신
-
시정(時靜) - 곽월(郭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사성(司成) 곽지번(郭之藩)의 아들이며,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의 아버지. 1556년(명종 1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간(司諫)을 거쳐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역임함.
1518~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시제(始帝)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시제(時濟) - 김우홍(金禹洪)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그의 행장(行狀)이 실려 있음.
1459~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문사>학자
-
시조(始祖)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시조(是調) - 금시조(琴是調)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금복고(琴復古)의 아들로, 1624년(인조 2) 식년시에 급제하여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584~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시좌(時佐)@김시좌 - 김시좌(金時佐)
조선 전기의 효자. 본관은 안동(安東). 어려서 아버지를 여읜 후, 어머니를 지성으로 모시었고, 어머니가 죽자 여막(廬墓)에서 3년간 살면서 한 번도 집에 돌아가지 않았다고 함. 또 중종(中宗)과 명종(明宗)의 국상(國喪)에 3년간 심상(心喪)을 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효자
-
시좌(時佐) - 성준(成俊)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순조(成順祖)의 아들로, 좌의정ㆍ영의정 등을 지냄. 1495년(연산군 1) 시폐십조(時弊十條)를 주청하는 등 난정(亂政)을 바로잡으려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교살(絞殺)당함.
1436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시중(時中)@양경림 - 양경림(楊景霖)
조선 전기의 유학.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彥)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시중(時中)@민시중 - 민시중(閔時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을 지낸 민총(閔叢)의 아들. 여주 목사(驪州牧使)ㆍ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지냈으며, 《백담집(柏潭集)》에 구봉령(具鳳齡)이 보낸 시가 실려 있음.
151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시중(時中) - 마신(馬伸)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이천(伊川) 정이(程頤)의 문인으로, 이천이 핍박받을 때 매일 찾아가 마침내 제자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시중(時中)@한주 - 한주(韓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당진(唐津). 통사랑(通仕郞) 한근(韓瑾)의 아들로, 1533년(중종 2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인(舍人) 등을 지냄.
151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중(時中)@선시중 - 선시중(宣時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을 지낸 박희중(朴熙中)의 맏아들 박휘생(朴暉生)을 사위로 삼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시중(時仲)@봉성민 - 봉성민(奉聖民)
조선 전기의 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 감찰(監察)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훈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시중(時仲) - 구변(具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이조 좌랑(吏曹佐郞)으로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이 되어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중(蓍重) - 민시중(閔蓍重)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민광훈(閔光勳)의 아들이며, 좌의정(左議政) 민정중(閔鼎重)ㆍ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형.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냈고, 학행(學行)으로 이름이 남.
1625~167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지(始之) - 정조(鄭造)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광해군 때 윤인(尹訒)과 함께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서궁(西宮)에 유폐시키는 데 적극 가담하고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 때 사형당함.
1559~162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시지(時之) - 권용중(權用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풍기 군수(豐基郡守)로 있던 주세붕(周世鵬)에게서 이름과 자(字)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시직(時稷) - 이시직(李時稷)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조호익(曺好益)ㆍ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공주(公州)까지 호종함.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가 함락되자 송시영(宋時榮) 등과 함께 자결함.
1572~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진(市津) - 은진(恩津)
충청도 남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금강유역에 있어 물자운송이 편리하여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강경산(江景山)․황화산(皇華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음. 현재는 충청남도 논산시(論山市)에 속함.
충청도>은진 , 지명>행정지명
-
시진(時珍) - 이시진(李時珍)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ㆍ의원. 《본초강목(本草綱目)》의 저자로, 의업(醫業)에 종사하는 한편, 약물의 기준서(基準書)를 집대성하는 일에 주력함.
1518~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
-
시진송씨(市津宋氏) - 은진송씨(恩津宋氏)
고려 때 판원사(判院事)를 지내고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진 송대원(宋大原)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집단>성씨
-
시집전명물초(詩集傳名物鈔) - 모시명물초(毛詩名物鈔)
중국 원(元) 나라 학자인 허겸(許謙)의 문집. 8권. 고의(古義)에 해박한 저자가 명물음훈(名物音訓)을 상고하여 저술한 것으로, 《모시(毛詩)》의 빠진 것을 보충할 수 있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시찬(是瓚) - 김시찬(金是瓚)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성균생원 김성익(金聖翼)의 아들. 학행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천거되고 그 후 봉사(奉事)ㆍ직장(直長) 등 여러 차례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함.
1754~18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시창(始昌) - 김시창(金始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 유학ㆍ효자(孝子). 본관은 금산(金山).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현량과(賢良科)에 피천(被薦)되었으나 나가지 않음.
1472~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문사>유학ㅣ인명>기타인명>효자
-
시천(詩川) - 이후원(李厚遠)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둔촌(遁村) 이집(李集)의 10대손으로, 이집(李集)의 문집 《둔촌잡영(遁村雜詠)》을 개간했음. 문집으로 《시천집(詩川集)》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시촌(枾村) - 시전촌(枾田村)
충청도 온양(溫陽)에 있는 고을 이름.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가 1600년(선조 33)에 파면되고 물러나 거처하던 곳임.
충청도>온양 , 지명>행정지명
-
시촌거사(柿村居士)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시침(時忱)@윤시침 - 윤시침(尹時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도사(都事)를 지내고, 사암(思菴) 박순(朴淳)과 교유함.
15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침(時忱) - 김시침(金時忱)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잠암(潛庵) 김의정(金義貞)의 현손(玄孫)으로, 서빙고 별제(西氷庫別提)에 제수됨.
1600~167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시편(詩篇)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시하(時夏) - 이시하(李時夏)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쌍계(雙溪) 이재(李梓)의 아들이며, 병조 정랑(兵曹正郞) 최석우(崔錫祐)의 사위로, 젊은 나이에 요절함.
165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시행(始行) - 박시행(朴始行)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박중신(朴中信)의 아들이고,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낸 박공달(朴公達)의 아버지로,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시행(時行) - 신시행(申時行)
중국 명(明)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이부 상서(吏部尙書)ㆍ건극전 대학사(建極殿大學士) 등을 지냈음. 문장에 뛰어났으며, 저서에는 《사한당집(賜閑堂集)》이 있음.
1535~161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시형(始亨) - 박시형(朴始亨)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승지(承旨)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