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시형(時亨) - 엄세보(嚴世父)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시환(始煥) - 김시환(金始煥)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김상성(金尙星)의 아버지.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1661~1739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시황제(始皇帝)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시회(時晦)@윤흔 - 윤흔(尹昕)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64~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시회(時晦)@김시회 - 김시회(金時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헌납(獻納) 김충갑(金忠甲)의 아들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했으며, 부평 부사(富平府使)를 지냄.
1542~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시회(時晦)@정엽 - 정엽(鄭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 황주 판관(黃州判官)으로서 왜군을 격퇴한 공으로 중화 부사(中和府使)가 됨. 대사성(大司成)으로서 타직(他職)을 겸하는 예가 정엽으로부터 비롯됨.
1563~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시회(時晦) - 신광한(申光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고, 우찬성(右贊成)으로 양관(兩館) 대제학을 겸했으며, 좌찬성(左贊成)을 지냄.
1484~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시흥백(始興伯) - 왕필(王佖)
고려 후기의 종친. 이규보(二奎報)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시흥백필위회안공(始興伯佖爲淮安公)〉이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식(埴) - 이식(李埴)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계양(李繼陽)의 아들이며, 퇴계 이황(李滉)의 아버지로, 아우인 이우(李堣)와 함께 학문 연구에 정진함.
1463~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식(寔) - 권식(權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권응창(權應昌)의 아들.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한 뒤 통례랑(通禮郞) 등을 지냄.
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식(拭) - 이식(李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승상(李承常)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동서분당(東西分黨)이 일어나자 정희적(鄭熙績) 등과 함께 서인(西人)의 등용을 막으려다 체직됨.
1510~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식(栻) - 신식(申栻)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내자시 첨정(內資寺僉正)을 지낸 신여량(申汝樑)의 아들로, 1555년(명종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손윗동서.
15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식(植)@유식 - 유식(柳植)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집(河西集)》에, 그가 술그릇과 화분을 보내준 데 대해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식(植) - 이식(李植)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인조반정 후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당대의 이름난 학자로서, 문장이 뛰어나 신흠(申欽)ㆍ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와 함께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로 불림.
1584~1647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식(植)@진식 - 진식(陳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여(扶餘). 1506년(연산군 12)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서산 군수(瑞山郡守)ㆍ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 , 인명>관인>문신
-
식(植)@임식 - 임식(林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홍문관 교리(弘文館敎理) 등을 지냈으나 모함을 받아 파직된 뒤에는 고향인 충청도 결성(結城)으로 낙향하여 부해정(浮海亭)이라는 정자에 은거하며 지냄.
1539~15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결성 , 인명>관인>문신
-
식(植)@박식 - 박식(朴植)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박중원(朴仲元)의 아들로, 1528(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별시(别詩)와 화답시(和答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식(湜)@신식 - 신식(申湜)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ㆍ성운(成運)의 문인으로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학식이 높고, 예악(禮樂)에도 밝았으나, 정여립(鄭汝立)의 일파라는 탄핵을 받아 곤양(昆陽)에 유배됨.
1551~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식(湜) - 이식(李湜)
조선 전기의 종친ㆍ시인.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셋째 아들로, 시(詩)에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김.
1458~14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종친
-
식(湜)@조선 - 김식(金湜)@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현량과(賢良科)에 장원 급제하고, 기묘팔현(己卯八賢)의 한 사람으로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개혁정치를 펼쳤으나, 기묘사화와 신사무옥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다가 자결함. 선조(宣祖) 때 영의정에 추증됨.
1482~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식(湜)@하식 - 하식(河湜)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륜(河崙)의 증조부로, 선관서 승(膳官署承)을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보조공신(補祚功臣)에 추록되고, 진강군(晉康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식(湜)@고려 - 김식(金湜)@고려
고려 전기의 문신. 상산김씨(商山金氏)의 시조인 김수(金需)의 손자. 찬성사(贊成事) 김희일(金希逸)의 아버지로, 시중(侍中) 등을 지냄.
990~?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식(湜)@윤식 - 윤식(尹湜)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윤시영(尹時英)의 아들로 윤시호(尹時豪)에게 출계함. 윤자신(尹自新)의 아버지. 당제(堂弟)인 윤결(尹潔)이 화를 입자 은둔하였으며, 죽은 후 영의정(領議政) 용은부원군(龍恩府院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식(湜)@홍식 - 홍식(洪湜)
조선 예종(睿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귀해(洪貴海)의 아들로, 좌승지(左承旨)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부안(扶安)에 부처되었다가,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화를 입어 참형당함.
1449~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식(軾)@고려 - 이식(李軾)@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사천이씨(泗川李氏)의 시조로, 송악 군수(松岳郡守)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
-
식(軾)@정식 - 정식(鄭軾)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정자신(鄭自新)의 아들이며, 이극근(李克勤)의 문인. 세조 초에 좌익 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조선 초기의 군사제도와 군적정리에 공을 세움.
1407~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식(軾)@유식 - 유식(柳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참판(參判)을 지낸 유윤덕(柳潤德)의 아버지로,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인천 부사(仁川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식(軾)@차식 - 차식(車軾)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차광운(車廣運)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거쳐 선조 때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냄.
1517~157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식(軾)@조선 - 이식(李軾)@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들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손자이며,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아들로, 동생 도안군(道安君) 이철(李轍)과 함께 아버지 부림군의 문집인 《사우정집(四雨亭集)》을 초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식(軾)@성식 - 성식(成軾)
조선 전기의 유학. 백광훈(白光勳)의 《옥봉집(玉峯集)》에 〈성대임가유별(成大任家留別)〉이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식(軾) - 손식(孫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로, 의서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낸 손숙겸(孫叔謙)의 아들. 전라도 관찰사ㆍ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식(遈) - 권식(權遈)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좌익공신(佐翼功臣)으로 책록된 권개(權愷)와 전라 감사(全羅監司)를 지낸 권제(權悌)의 아버지로, 호군(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식(鉽) - 김식(金鉽)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자점(金自點)의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郎)이 되었으나, 1651년(효종 2) 김자점의 옥사(獄事) 때 역모 혐의로 함께 처형됨.
1620~16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식괴옹(植槐翁) - 왕호(王祜)
중국 송(宋) 나라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직언(直言)으로 인해 끝내 재상이 되지 못하자 뜰에 세 그루의 홰나무를 심고 자손 가운데 삼공(三公)이 되는 이가 있을 것이라고 하였는데, 아들인 왕단(王旦)이 재상이 되었다는 고사가 전함.
924~98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식당암(食堂巖) - 비선암(祕仙巖)
강원도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바위. 일찍이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이곳을 기행하고 〈청학동기(靑鶴洞記)〉를 남긴 뒤로 여러 문인들의 기행록에 보임.
강원도>홍천ㅣ강원도>평창ㅣ강원도>강릉 , 지명>자연지명
-
식로(息老) - 이자현(李資玄)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인주(仁州). 과거에 급제하여 대악서 승(大樂署丞)이 되었으나, 관직을 버리고 춘천(春川)의 청평산(淸平山)에 들어가 아버지가 세웠던 보현원(普賢院)을 문수원(文殊院)이라 고치고 평생을 수도생활로 일관함.
1061~1125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식료찬요(食療纂要)@전순의 - 식료찬요(食療撰要)
조선 세조(世祖) 때 어의(御醫) 전순의(全循義)가 편찬한 우리나라 최초의 식이요법서(食餌療法書). 손순효(孫舜孝)가 경상 감사(慶尙監司)로 있을 때 성종(成宗)의 명을 받아 상주(尙州)에서 간행함.
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문헌>서명
-
식목수(息牧叟) - 윤중암(允中菴)
고려 말 일본인 승려. 용산(龍山)의 제자. 당(唐) 나라 배휴(裴休)가 편찬한 《황벽전심요결(黃蘗傳心要訣)》과 《완릉록(宛陵錄)》을 전포하기 위해 이색(李穡)에게 발문(跋文)을 구함.
1335~?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식산(息山) - 이만부(李萬敷)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연안(延安).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이옥(李沃)의 아들로, 북청(北靑)에 유배된 아버지를 모시면서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연구에 진력함.
1664~173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학자
-
식신(息愼) - 말갈(靺鞨)
한반도 동북부 및 만주(滿洲) 일대에 거주하던 종족, 또는 그 부족들의 총칭(總稱). 시대에 따라 각기 읍루(挹婁)ㆍ물길(勿吉)ㆍ말갈(靺鞨) 등으로 불렸으며, 여진(女眞)의 전신(前身).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집단>종족
-
식암(息庵)@황섬 - 황섬(黃暹)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황응규(黃應奎)의 아들이며 정탁(鄭琢)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고 평안도 모운사(平安道募運使)가 되어 군량 조달 등의 공을 세움.
1544~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식암(息庵) - 이자현(李資玄)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인주(仁州). 과거에 급제하여 대악서 승(大樂署丞)이 되었으나, 관직을 버리고 춘천(春川)의 청평산(淸平山)에 들어가 아버지가 세웠던 보현원(普賢院)을 문수원(文殊院)이라 고치고 평생을 수도생활로 일관함.
1061~1125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식암(息菴) - 김석주(金錫胄)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좌명(金佐明)의 아들. 외척으로 남인(南人)을 배척하는 데 앞장섰으며 숙종의 묘정에 배향됨.
1634~168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풍 , 인명>왕실>인척ㅣ인명>관인>문신
-
식암선생문집(息庵先生文集) - 식암집(息庵集)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황섬(黃暹)의 시문집. 5권 3책. 목판본. 신경준(申景濬)이 1769년(영조 45)에 간행함.
176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식암선생유고(息庵先生遺稿) - 식암유고(息庵遺稿)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석주(金錫胄)의 시문집. 25권 14책. 활자본. 초간본은 아들 김도연(金道淵)이 편차하여 간행하고, 중간본은 저자의 문인인 홍숙(洪璛)이 1697년(숙종 23)에 전라도 영광(靈光)에서 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식영노인(息影老人) - 식영(息影)
고려 후기의 승려. 선원사(禪源寺)에서 보각국사(普覺國師) 혼수(混脩)에게 능엄경(楞嚴經)을 가르침. 시문(詩文)에 조예가 깊고, 사대부들과 교류가 많았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식영암(息影菴) - 식영(息影)
고려 후기의 승려. 선원사(禪源寺)에서 보각국사(普覺國師) 혼수(混脩)에게 능엄경(楞嚴經)을 가르침. 시문(詩文)에 조예가 깊고, 사대부들과 교류가 많았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식우(拭疣) - 김수온(金守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신. 세종ㆍ세조(世祖) 때 편찬 및 국역 사업에 공헌하고, 특히 시문에 뛰어나 〈희청부(喜晴賦)〉는 명 나라에까지 알려짐.
1410~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식우선생집(拭疣先生集) - 식우집(拭疣集)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신인 김수온(金守溫)의 시문집. 초간본은 성종(成宗)의 명으로 교서관에서 간행하였으나 화재로 거의 소실되고, 1673년(현종 14)에 14대손 김우준(金禹濬)이 시문을 모아 엮은 필사본을 1961년에 종손 김낙중(金洛中)이 중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식재(息齋)@고항 - 고항(高閌)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비서성 정자(秘書省正字)ㆍ국자사업(國子司業)ㆍ예부 시랑(禮部侍郎) 등을 지냄. 양시(楊時)ㆍ호안국(胡安國)의 문하에서 수학함.
1097~115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식재(息齋)@이간 - 이간(李衎)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화가. 절강행성평장정사(浙江行省平章政事) 등을 지내고, 대나무ㆍ돌ㆍ나무 등을 잘 그려 당대에 이름을 떨침.
1245~1320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식재(息齋) - 김경직(金敬直)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이 배원(排元) 정책을 시행할 때 원수(元帥)로 임명되어 압록강 방면을 수비함. 화엄종사(華嚴宗師) 우운(友雲)의 형.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식재도인(息齋道人) - 이간(李衎)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서화가. 절강행성평장정사(浙江行省平章政事) 등을 지내고, 대나무ㆍ돌ㆍ나무 등을 잘 그려 당대에 이름을 떨침.
1245~1320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식주(息主) - 식후(息侯)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식(息) 나라의 제후. 초(楚) 나라 문왕(文王)에게 절세미인인 부인을 빼앗기고 죽임을 당함.
?~B.C.68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식지(式之) - 대복고(戴復古)
중국 송(宋) 효종(孝宗)~이종(理宗) 때의 시인. 강호파(江湖派)의 대표적 시인으로서 유명하며, 한때 대시인(大詩人) 육유(陸游)에게서 시를 배움.
116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식지진로(食芝秦老)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식형(式馨) - 이지란(李之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여진의 금패천호(金牌千戶) 아라불화(阿羅不花)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고려에 귀화함.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31~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북청ㅣ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伸)@박신 - 박신(朴伸)
조선 전기의 유학. 오건(吳健)의 《덕계집(德溪集)》에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신(伸) - 민신(閔伸)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며, 김종서(金宗瑞)와 함께 단종을 보호하다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안평대군(安平大君) 일파라 하여 수양대군(首陽大君)에 의해 참살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신(伸)@조신 - 조신(曺伸)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역관ㆍ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문장이 뛰어나 사역원 정(司譯院正)에 특선(特選)되었고, 명(明) 나라에서 시(詩)로 이름을 날림. 조위(曺偉)의 서제(庶弟)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처남.
14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산 , 인명>관인>역관ㅣ인명>관인>문신
-
신(侁) - 선우신(鮮于侁)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절동 전운사(浙東轉運使)로 떠날 때, 사마광(司馬光)이 동쪽 지역의 폐해를 구제하는 것은 선우신이 아니면 불가능하니 그야말로 일로(一路)의 복성(福星)이라고 말한 고사가 있음.
1019~108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信) - 박신(朴信)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운봉(雲峰). 운성부원군(雲城府院君) 박종우(朴從愚)의 아버지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362~144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운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信)@전신 - 전신(全信)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김제안(金齊顔)ㆍ이제현(李齊賢) 등과 교유함. 음서(蔭敍)로 관직에 진출하여 동지밀직사사 상의회의도감사(同知密直司事商議會議都監事)를 지냄.
1276~133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관인>문신
-
신(信)@이돈의아들 - 이신(李信)@이돈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증손이며, 잠성정(岑城正) 이돈(李惇)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신(信)@이수기의아들 - 이신(李信)@이수기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麒)의 둘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신(信)@이석근의아들 - 이신(李信)@이석근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셋째 아들인 익안대군(益安大君) 이방의(李芳毅)의 손자이며, 익평부원군(益平府院君) 이석근(李石根)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신(信)@윤신 - 윤신(尹信)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윤희이(尹希夷)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신(信)@조신 - 조신(曺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명(明) 나라에 과거를 보러가는 도중, 영광(靈光)의 자은도(慈恩島) 근해에서 풍랑으로 배가 부서져 물에 빠져 죽음.
?~1373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신(愼)@권신 - 권신(權愼)
조선 전기의 유학.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청학산(靑鶴山)을 유람할 때 중도(中途)에서 만난 내용이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신(愼)@황신 - 황신(黃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황대수(黃大受)의 아들.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유배되어 죽음.
1562~161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부여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愼)@홍신 - 홍신(洪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경창(洪慶昌)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진하사(進賀使)로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신(愼) - 탁신(卓愼)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예의 판서(禮儀判書) 탁광무(卓光茂)의 아들. 경학(經學)에 밝고 무예(武藝)ㆍ음률(音律)에도 능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36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신(紳) - 강신(姜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우의정을 지낸 강사상(姜士尙)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낸 강사안(姜士安)에게 출계(出系)함. 선조 때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을 평정한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43~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紳)@배신 - 배신(裵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빙고 별좌(氷庫別座) 등을 지내고, 조식(曺植)의 문인이었다가 뒤에 이황(李滉)의 문인이 됨. 〈남명선생행록(南冥先生行錄)〉을 지어 올림.
1520~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신^걸(辛^桀) - 걸^주(桀^紂)
중국 하(夏) 나라의 마지막 왕인 걸(桀)과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인 주(紂)를 함께 부르는 말. 폭군(暴君)을 가리킴.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부(莘^傅) - 부^신(傅^莘)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재상인 부열(傅說)과, 탕(湯) 임금 때의 재상인 이윤(伊尹)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사람이 각각 은거하던 부암(傅巖)과 유신(有莘)에서 유래했으며, 뛰어난 현신(賢臣)을 가리킴.
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완(晨^阮) - 유^완(劉^阮)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 때의 서생(書生)인 유신(劉晨)과 완조(阮肇)를 함께 부르는 말. 두 사람이 약을 캐러 천태산(天台山)에 들어갔다가 선경(仙境)에서 살다 온 고사로 인해 선경에서 노닌 사람을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위(莘^渭) - 위^신(渭^莘)
중국 은(殷) 나라 때 위수(渭水)에서 낚시하다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재상이 된 여상(呂尙)과, 신야(莘野)에서 농사짓다 탕(湯) 임금의 재상이 된 이윤(伊尹)을 함께 부르는 말. 초야에서 발탁되어 왕조의 기반을 다진 어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지(莘^摯) - 지^신(摯^莘)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인 태임(太任)과 문왕의 부인이자 무왕(武王)의 어머니인 태사(太姒)를 함께 부르는 말. 지(摯)는 태임의 출신지이며 신(莘)은 태사의 출신지로, 현숙한 비(妃)를 가리킴.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간성(申杆城) - 신국형(申國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장음정유고(長吟亭遺稿)》에 나식(羅湜)의 송별시(送別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개(申介) - 신포서(申包胥)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 오(吳) 나라가 초 나라를 침략하였을 때 진(秦) 나라의 궁궐에 가서 7일 동안 울며 지원병을 요청하자, 이에 감동하여 출병(出兵)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신건백(新建伯) - 왕수인(王守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ㆍ문신. 양명학(陽明學)의 창시자. 심성론(心性論)으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철학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침.
1472~152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걸(莘傑) - 윤신걸(尹莘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85년(충렬왕 11) 국자시(國子試)에서 시(詩)ㆍ부(賦)로 수석합격함. 충숙왕 때 순성보리공신(純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의평리(僉議評理) 등을 역임함.
1266~133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게(莘憩) - 이돈우(李敦宇)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상두(李相斗)의 아들로, 이상형(李相衡)에게 출계함. 《철종실록(哲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냈으며, 저서에 《갑고(甲藁)》가 있음.
1801~1884 한국>근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겸(信謙) - 심신겸(沈信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아들로, 가산 군수(嘉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경(信卿) - 한형윤(韓亨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주(淸州)로, 청평위(靑平尉) 한기(韓紀)의 아버지. 1492년(성종 2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ㆍ예서(隸書)에 능하여 당대의 명필로 알려짐.
1470~153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신경(信敬) - 신현(申贒)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학자. 우탁(禹倬)의 문인으로, 원(元) 나라의 주공천(朱公遷)ㆍ허겸(許謙)ㆍ전당(錢唐) 등 학자들과 교유하고, 당시 대학자로 추앙받음. 명(明) 나라 황제로부터 스승의 대우를 받고 불훤재(不諼齋)라는 호를 하사받음.
1298~1377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학자
-
신경(信璟) - 구신경(具信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세조(世祖)의 조카사위인 구수영(具壽永)의 아들이며, 중종(中宗)의 사위인 능창위(綾昌尉) 구한(具澣)의 아버지. 춘천 부사(春川府事)ㆍ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 등을 지냄.
1494~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신경(愼卿)@구겸 - 구겸(具謙)@구봉령의아버지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능성(綾城).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구봉령(具鳳齡)의 아버지.
1504~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신경(愼卿) - 성순(成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성세형(成世亨)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신경(新京) - 강화(江華)
인천 북서부 연안과 서해 15개 도서(島嶼)로 이루어진 지역 이름. 그중 강화도(江華島)는 몽고(蒙古) 침입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임시수도의 역할을 함.
경기도>강화 , 지명>행정지명
-
신경(莘耕)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경(藎卿) - 이치신(李致身)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권(李勸)의 아들로, 후사가 없어 형 이성신(李省身)의 아들인 이환(李桓)을 양자로 들임.
1594~166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신경문(申景文) - 신응하(申應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지냈음.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하여, 《제봉집(霽峯集)》에 그를 송별하며 쓴 〈송신경문환경(送申景文還京)〉이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신경수(莘耕叟)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계옹(新溪翁) - 이천상(李天相)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전의(全義)로, 통덕랑(通德郞) 이군정(李君靖)의 아들. 배유장(裵幼樟)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정통함.
1637~17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신계이(辛啓而) - 신내옥(辛乃沃)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을 지낸 신중곤(辛仲坤)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출사(出仕)하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념함. 유운룡(柳雲龍)ㆍ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함.
1525~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강원도>영월 , 인명>문사>유학
-
신고(信古) - 노우명(盧友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음운학(音韻學)에 조예가 깊고 해서(楷書)에 능함.
1471~152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고(神考) - 신종(神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6대 황제. 재위 1067~1085. 영종(英宗)의 장자로, 왕안석(王安石)을 등용하여 부국강병책을 시행하였으나, 서하(西夏) 원정 등 외정(外征)에 실패하여 실의에 빠져 죽음.
1048~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고당(信古堂) - 노우명(盧友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음운학(音韻學)에 조예가 깊고 해서(楷書)에 능함.
1471~152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