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신곡수(薪谷守) - 이부정(李富丁)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신공(申公)@여공저 - 여공저(呂公著)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문식과 덕행으로 직언을 마다하지 않았으며, 재상으로서 왕을 보필하여 어진 정사를 펼침.
1018~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공직(辛公直) - 신상절(辛尙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으로,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문인. 훈융 첨사(訓戎僉使)ㆍ갑산 부사(甲山府使)ㆍ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무신
-
신광사(神光寺) - 선석사(禪石寺)
통일신라 효소왕(孝昭王) 때 경상도 성주(星州) 선석산(禪石山)에 창건한 사찰. 692년(효소왕 1)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신광사(神光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으며, 고려 말 혜근(惠勤)이 선석사로 이름을 고침.
69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사찰
-
신구헌(申龜軒) - 신명인(申命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 사림파의 구명을 위해 상소함. 정광필(鄭光弼)ㆍ안당(安瑭)ㆍ이장곤(李長坤)ㆍ김정(金淨)ㆍ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ㆍ기준(奇遵) 등과 함께 팔현(八賢)이라 불림.
14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문인
-
신국(信國) - 문천상(文天祥)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시인. 지방관으로 있을 때 천도를 반대하는 글을 올려 면직됨. 송 나라 멸망 후 옥중(獄中)에서 지은 〈정기가(正氣歌)〉로 유명함.
1236~1282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국(藎國) - 김신국(金藎國)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킴. 1613년(광해군 5)에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록되고 청릉군(淸陵君)에 봉해짐.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지냄.
1572~165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국(藎國)@나신국 - 나신국(羅藎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학생 나효종(羅孝宗)의 아들. 1566년(명종 2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정자(正字)ㆍ현감(縣監)을 거쳐 좌랑(佐郞)을 지냈으며,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함.
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신국공(信國公)@서달 - 서달(徐達)
중국 명(明) 태조(太祖) 때의 무신. 태조를 따라 사방을 정략(征略)하였고, 중서 우승상(中書右丞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지고 죽은 뒤에 중산왕(中山王)에 추봉(追封)됨.
1332~138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신국공(信國公) - 문천상(文天祥)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시인. 지방관으로 있을 때 천도를 반대하는 글을 올려 면직됨. 송 나라 멸망 후 옥중(獄中)에서 지은 〈정기가(正氣歌)〉로 유명함.
1236~1282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국무목왕(信國武穆王) - 악비(岳飛)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무신ㆍ학자. 남송(南宋) 초에 금군(金軍)의 침략을 저지하는 전공(戰功)을 세웠으나, 주화파(主和派)인 진회(秦檜)와의 불화로 무고한 누명을 쓰고 살해됨. 후에 신원되어 구국의 영웅으로 추앙됨.
1103~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신군(神君) - 교지명(喬智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 현령(縣令)으로 선정(善政)을 베풀어 고을 백성으로부터 신군(神君)이라는 칭송을 받음. 혜제(惠帝)가 업(鄴)을 정벌할 때 자신의 계략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조(趙) 나라로 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신궁(新宮) - 경복궁(景福宮)
조선 태조(太祖) 때 북악산(北岳山) 아래에 세운 궁궐 이름. 조선시대 5대 궁궐 중 정궁(正宮)에 해당하며, 현재 서울 종로구(鍾路區) 세종로(世宗路)에 속함.
13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건물>궁궐
-
신극(宸極) - 북극성(北極星)
천구상의 북극 가까이에서 빛나는, 작은곰자리의 가장 밝은 별.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아 방위나 위도의 지침이 됨. 예로부터 사계(四季)를 바로잡고 기후변화를 주관하는 신으로 섬겨졌으며, 때로는 천자(天子)를 가리키기도 함.
자연물>천체
-
신기재집(申企齋集) - 기재집(企齋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신광한(申光漢)의 유고집(遺稿集). 목판본. 24권 10책.
한국>조선시대 , 문헌>서명
-
신녀(莘女) - 태사(太姒)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비(妃). 무왕(武王)의 어머니. 부덕(婦德)이 훌륭하여 태임(太任)ㆍ태강(太姜)과 더불어 주 나라 왕실의 ‘삼모(三母)’로 일컬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신녀협(神女峽) - 무협(巫峽)
중국 사천성(四川省) 중경시(重慶市)와 호북성(湖北省) 파동현(巴東縣) 사이에 있는 협곡. 장강삼협(長江三峽)의 하나.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신능산(申能山) - 신숭겸(申崇謙)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고려 건국에 큰 공을 세움으로써 개국일등공신(開國一等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견훤(甄萱)과의 공산전투(公山戰鬪)에서 태조를 구출하고 전사함.
?~927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곡성ㅣ강원도>춘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달(莘達) - 윤신달(尹莘達)
고려 태조(太祖)~광종(光宗) 때의 문신ㆍ공신. 파평윤씨(坡平尹氏)의 시조. 왕건(王建)을 도와 후삼국(後三國)을 통일하는 데 공을 세우고 벽상삼한익찬공신(壁上三韓翊贊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 등을 지냄.
893~97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당(新堂) - 정붕(鄭鵬)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정철견(鄭鐵堅)의 아들이며, 박영(朴英)의 스승.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고, 성희안(成希顔)과 친교를 맺음. 청송 부사(靑松府使) 등을 지냄.
1467~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신덕수(愼德秀) - 진덕수(眞德秀)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주희(朱熹)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함. 저서에 《대학연의(大學衍義)》ㆍ《서산집(西山集)》이 있음.
1178~12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도(信度) - 신수근(愼守勤)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거창부원군(居昌府院君) 신승선(愼承善)의 아들. 연산군(燕山君)의 비(妃)인 거창(居昌) 신씨(愼氏)의 동생이자, 중종(中宗)의 비(妃)인 단경왕후(端敬王后)의 아버지. 좌의정(左議政)을 지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에 반대하다 피살됨.
1450~150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신도(信都) - 가산(嘉山)
평안도에 있는 고을 이름. 박천(博川)ㆍ정주(定州)ㆍ태천(泰川)과 접해 있으며, 1811년(순조 11) 이곳에서 홍경래(洪景來)의 난이 일어남.
평안도>가산 , 지명>행정지명
-
신도(申屠) - 신도적(申徒狄)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 은 나라의 마지막 왕 주(紂)를 간(諫)하다 듣지 않으므로 돌을 지고 하수(河水)에 빠져 죽었음.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도령(新塗令) - 이중(李中)@오대십국(남당)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의 문신ㆍ문인. 신도 영(新塗令)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저서에 《벽운집(碧雲集)》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신도순(申都巡) - 신립(申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임진왜란 때 삼도 순변사(三道巡邊使)가 되어 출전하여 충주의 탄금대(彈琴臺)에서 배수진을 치고 왜군과 대결하였으나 참패한 뒤 강물에 투신 순절함.
1546~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신도왕(信都王) - 공황제(恭皇帝)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의 둘째 아들. 아들 애제(哀帝)가 황위에 오른 뒤 공황제(恭皇帝)로 추존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독(身毒) - 천축(天竺)
고대 중국에서 인도(印度) 또는 인도 방면에 대해 부르던 호칭. 《후한서(後漢書)》 〈서역전(西域傳)〉에 처음으로 명칭이 보이며, 남북조시대에 널리 불림.
고대 , 기타지역 , 시간>국명
-
신독국(身毒國) - 천축(天竺)
고대 중국에서 인도(印度) 또는 인도 방면에 대해 부르던 호칭. 《후한서(後漢書)》 〈서역전(西域傳)〉에 처음으로 명칭이 보이며, 남북조시대에 널리 불림.
고대 , 기타지역 , 시간>국명
-
신독재(愼獨齋) - 김집(金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김장생(金長生)의 아들로, 예학(禮學)을 대성시킴. 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내고, 효종과 북벌(北伐)을 계획함.
1574~16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독재선생유고(愼獨齋先生遺稿) - 신독재유고(愼獨齋遺稿)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집(金集)의 시문집. 목판본. 15권 7책. 1710년(숙종 36)에 연산(連山)의 둔암서원(遯巖書院)을 중심으로 문인(門人)들이 유고(遺稿)를 간행하였을 것으로 추정됨.
171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 , 문헌>서명
-
신동(信童) - 박신동(朴信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박중검(朴仲儉)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신동(神童) - 김신동(金神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출(罷黜)됨
148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득종(辛得宗) - 신경립(辛敬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 진사(進士) 신내옥(辛乃沃)의 아들로, 유운룡(柳雲龍)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안동(安東)에서 의병을 일으킴.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신란궁부인(神鸞宮夫人) - 낙랑공주(樂浪公主)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딸. 고려에 항복한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아내가 되어 의성김씨(義城金氏)의 시조가 되는 김석(金錫)을 낳음. 어머니는 유긍달(柳兢達)의 딸인 신명태후 유씨(神明太后柳氏).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공주
-
신로(愼老)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로(莘老)@유지 - 유지(劉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철종 때 원우 삼당(元祐三黨)의 하나인 삭당(朔黨)의 영수가 되어 정이(程頤)의 낙당(洛黨) 및 소식(蘇軾)의 촉당(蜀黨)과 함께 정쟁(政爭)을 벌이고, 우복야(右僕射) 등을 지냄.
1030~109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로(莘老)@손각 - 손각(孫覺)
중국 송(宋)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호원(胡瑗)의 문하에서 공부하였으며, 왕안석(王安石)과 교유함. 벼슬이 간의대부(諫議大夫)에 이름.
1028~1090 중국>송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로(莘老)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릉(愼陵) - 화제(和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 재위 89~105년. 장제(章帝)의 넷째 아들로, 10세에 즉위하여 두태후(竇太后)가 수렴청정을 함. 환관들과 연합하여 두태후 일당을 척결했으나 환관들의 전횡 때문에 다시 정치가 문란해지고, 그 우울증에 시달리다 죽음.
79~10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만퇴(申晩退) - 신응구(申應榘)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동지중추부사 신벌(申橃)의 아들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함. 인조반정 후 승정원 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 등을 지냄.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남포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망(新莽) - 왕망(王莽)
중국 신(新) 나라의 황제. 재위 8~23년. 전한(前漢) 말에 왕위를 찬탈하고 황제가 되었으나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에 의해 멸망함.
B.C.45~A.D.23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명태후(神明太后) -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成王太后)
고려 태조(太祖)의 비(妃). 태사 내사령(太師內史令)에 추증된 유긍달(劉兢達)의 딸로, 정종(定宗)ㆍ광종(光宗) 등 다섯 왕자와 낙랑(樂浪)ㆍ흥방(興芳) 두 공주를 둠.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충주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신명태후유씨(神明太后柳氏) -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成王太后)
고려 태조(太祖)의 비(妃). 태사 내사령(太師內史令)에 추증된 유긍달(劉兢達)의 딸로, 정종(定宗)ㆍ광종(光宗) 등 다섯 왕자와 낙랑(樂浪)ㆍ흥방(興芳) 두 공주를 둠.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충주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신묘(神廟) - 신종(神宗)@고려
고려의 제20대 국왕. 재위 1197~1204. 인종(仁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명종(明宗)의 동모제(同母弟)로, 최충헌(崔忠獻) 형제가 명종을 폐하고 왕으로 추대하였는데, 재위 중 잇따라 민란이 일어남.
1144~120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신묘(神廟)@신종 - 신종(神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6대 황제. 재위 1067~1085. 영종(英宗)의 장자로, 왕안석(王安石)을 등용하여 부국강병책을 시행하였으나, 서하(西夏) 원정 등 외정(外征)에 실패하여 실의에 빠져 죽음.
1048~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묘임진사초(辛卯壬辰史草) - 기재사초(寄齋史草)
조선 후기의 문신인 박동량(朴東亮)이 임진왜란(壬辰倭亂)의 전말을 일기체(日記體)로 엮은 책. 필사본. 2권 1책. 현존하는 유일한 사초(史草).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신문(新門) - 돈의문(敦義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서울 성곽의 사대문(四大門) 가운데 서쪽 성문. 지금의 서울 종로구 신문로에 있었으나 1915년 일제의 도시 계획에 따른 도로 확장으로 철거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신문경(辛聞慶) - 신단(辛湍)
조선 전기의 유학. 《백담집(栢潭集)》에 구봉령(具鳳齡)이 지은 〈신원우신문경(新院遇辛聞慶)〉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문경 , 인명>문사>유학
-
신민(信民) - 양신민(楊信民)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때의 문신ㆍ학자. 강음(江陰) 사람으로, 일조현 지사(日照縣知事)와 좌도어사(左都御史) 등을 지냈으며, 《성원주기(姓原珠璣)》를 저술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민(新民) - 김신민(金新民)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중성(金仲誠)의 아들로, 《세종실록(世宗實錄)》편찬에 편수관(編修官)으로 참여하였으며 벼슬이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신백(信伯) - 왕빈(王蘋)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학자. 정이(程頤)의 문인(門人)으로 정이의 학통을 이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신보(愼甫) - 백간미(白簡美)
고려 성종(成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무신. 육조(六朝)에 걸쳐 벼슬을 지내고 영해(寧海)로 낙향하였으며, 문종이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응하지 않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신보(新甫)@유대진 - 유대진(兪大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좌의정 유홍(兪泓)의 아들. 이이(李珥)의 천거로 홍문관(弘文館)에 발탁되고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54~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보(新甫) - 왕가(王嘉)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문신. 전한(前漢) 칠상(七相) 중의 한 명이며, 애제(哀帝) 때 변사(辯士)인 식부궁(息夫躬)의 계략을 저지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보(申保) - 채신보(蔡申保)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필선(弼善)을 지낸 채륜(蔡倫)의 아들로, 평해 현감(平海縣監)ㆍ남양 부사(南陽府使)를 지냄.
1419~14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음성 , 인명>관인>문신
-
신보(臣保) - 정신보(鄭臣保)
고려 후기의 유학. 본래 중국 절강(浙江) 사람으로, 송(宋) 나라 때 상서형부 원외랑(尙書刑部員外郞)에 올랐다가 나라가 망하자 고려로 건너와 충청도 서산(瑞山)에 정착하여 서산정씨(瑞山鄭氏)의 시조가 됨. 송곡서원(松谷書院)에 배향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문사>유학
-
신복천(神福泉) - 비수(泌水)
중국 문수현(文水縣)의 동남쪽으로 흘러 문수(文水)로 흘러드는 강. 《시경(詩經)》〈진풍(陳風)〉 '형비(衡泌)'편에서 형문(衡門)과 함께 은거하는 곳을 뜻하는 용어로 쓰임.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ㅣ지명>자연지명
-
신본(信本) - 구양순(歐陽詢)
중국 수(隨) 양제(煬帝)~당(唐)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당 고조(高祖)가 즉위한 후에 급사중(給事中)으로 발탁되고, 태자솔경령(太子率更令)ㆍ홍문관 학사(弘文館學士)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사람들로부터 해법(楷法)의 극칙(極則)이라 하여 칭송됨.
557~64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신비(愼妃)@단경왕후 - 단경왕후(端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비(妃). 본관은 거창(居昌).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 신수근(愼守勤)의 딸로, 중종반정(中宗反正) 직후 폐위(廢位)되었다가 영조(英祖) 때 복위(復位)됨.
1487~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신사(莘姒) - 태사(太姒)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비(妃). 무왕(武王)의 어머니. 부덕(婦德)이 훌륭하여 태임(太任)ㆍ태강(太姜)과 더불어 주 나라 왕실의 ‘삼모(三母)’로 일컬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신상인(信上人) - 유신(惟信)
조선 전기의 승려. 법장(法藏)의 제자로, 팔공산(八公山)의 사리사(闍梨寺)에서 수행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종교인>승려
-
신생(申生)@신포서 - 신포서(申包胥)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 오(吳) 나라가 초 나라를 침략하였을 때 진(秦) 나라의 궁궐에 가서 7일 동안 울며 지원병을 요청하자, 이에 감동하여 출병(出兵)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신서(申胥) - 신포서(申包胥)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 오(吳) 나라가 초 나라를 침략하였을 때 진(秦) 나라의 궁궐에 가서 7일 동안 울며 지원병을 요청하자, 이에 감동하여 출병(出兵)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신서(申胥)@오운 - 오운(伍員)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재상. 초(楚)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와 형이 초(楚) 평왕(平王)에게 처형당함. 오 나라 부차(夫差)를 도와 월(越) 나라를 이기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후에 부차(夫差)에게 처형당함.
B.C.559~B.C.48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신서십조(信書十條) - 훈요십조(訓要十條)
고려 태조(太祖)가 자손들에게 내린 열 가지 유훈(遺訓). 943년(태조 26) 4월에 박술희(朴述熙)를 통하여 전했으며, 주로 왕실의 안녕을 위해 지켜야 할 일을 담고 있음.
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법제>법률
-
신석견(辛石堅) - 신석조(辛碩祖)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426년(세종 8)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개성 유수(開城留守) 등을 지냄. 저서로 《연빙당집(淵氷堂集)》이 있음.
1407~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석곡(申石谷) - 신대수(申大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곡성(谷城). 신세달(申世達)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지냄.
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문신
-
신선당(信善堂) - 조언수(趙彦秀)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방좌(趙邦佐)의 아들이자 조사수(趙士秀)의 형으로, 명종(明宗) 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으로 책록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497~15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선옹(神仙翁) - 유호인(劉好仁)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유선보(劉善寶)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성운(成運)ㆍ김대유(金大有)ㆍ이희안(李希顔) 등과 교유하였으며, 참봉(參奉)을 지냄.
1502~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신성(信城) - 신성군(信城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네 번째 서자. 인빈김씨(仁嬪金氏)의 소생으로, 선조의 사랑을 독차지하여 한때 세자 책봉이 거론되기도 했으나 좌절됨.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피란 도중 의주(義州)에서 병사함.
1578~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신성(信星) - 토성(土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중앙(中央)을 상징하는 별. 28년마다 하늘을 한 바퀴 도는데, 해마다 이십팔수(二十八宿) 중의 한 별자리를 채우는 데서 ‘진성(鎭星)’이라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신성(神聖)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신성대왕(神聖大王)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신성부원군(信城府院君) - 강지연(康之淵)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신천강씨(信川康氏)의 시조로, 몽고의 난이 일어나 강화도로 천도할 때 왕을 호종하여 호성공신(扈聖公臣)이 되고 신성부원군(信城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신성수(信城守) - 이희(李曦)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정희수(鄭希壽)의 장인으로, 신성수(信城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신세련(申世連) - 신세달(申世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곡성(谷城). 곡성신씨(谷城申氏)의 시조(始祖). 현감(縣監)을 지낸 신대수(申大壽)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곡성 , 인명>문사>유학
-
신수(信水) - 황하(黃河)
중국 청해성(青海省) 파안(巴顏) 객라산(喀喇山)에서 발원하여 감숙성(甘肅省)ㆍ섬서성(陝西省)ㆍ하남성(河南省)ㆍ산동성(山東省) 등을 거쳐 발해만(渤海灣)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신수(莘叟)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숙(信叔) - 심대부(沈大孚)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심대(沈岱)의 아들이며, 정구(鄭逑)의 문인. 후에 효종이 된 봉림대군(鳳林大君)의 사부(師傅)를 지냈으며,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함.
1586~16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숙(愼叔) - 박심문(朴審問)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인해 조정에 출사하지 않고 단종(端宗)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성삼문(成三問) 등 육신(六臣)이 참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음독자살함.
1408~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신순부(申順夫) - 신지제(申之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아주(鵝洲). 창원 부사(昌原府使)로 있을 때 명화적(明火賊)을 토평하고 민심을 안정시켜 그 공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신술고(辛述古) - 신종원(辛宗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영원 군수(寧遠郡守)를 지낸 신진(辛鎭)의 아들로, 연천 현감(連川縣監)ㆍ호조 좌랑(戶曹佐郞) 등을 지냄.
1551~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숭(神嵩) - 송악산(松岳山)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는 산 이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기은제(祈恩祭)를 지냈던 산 중의 하나로,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송악산의 기운을 받고 태어났다고 함.
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신시(新詩) - 백일시(百一詩)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인 응거(應璩)가 지은 시의 편명(篇名). 당시의 세태를 비판한 풍자시.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신식후(新息侯) - 마원(馬援)
중국 후한(後漢) 때의 장군. 광무제(光武帝)의 신하가 되어 교지(交趾)와 흉노(匈奴) 등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움.
B.C.14~A.D.4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신신(藎臣) - 남신신(南藎臣)
조선 종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양(英陽).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남치형(南致亨)ㆍ남치리(南致利)의 아버지.
1505~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신아(神娥) - 항아(姮娥)
중국 고대 유궁후(有窮后) 예(羿)의 아내. 예가 서왕모(西王母)에게 얻은 선약(仙藥)을 몰래 훔쳐 먹고 신선이 되어 혼자 월궁(月宮)으로 달아났으나, 두꺼비로 변해 달에서 외롭게 살고 있다고 전함. 달에 사는 신선(神仙)이나, 달 자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임.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신악(神嶽) - 삼각산(三角山)
서울 북부와 경기도 고양에 걸쳐 있는 북한산(北漢山)의 고려ㆍ조선시대의 이름. 최고봉 백운대(白雲臺)와 그 동쪽의 인수봉(仁壽峰), 남쪽 만경대(萬景臺)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명명됨.
경기도>고양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신안(新安)@강현 - 강현(姜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김안로(金安老)의 간사(奸邪)를 논핵하여 귀양보냄.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형조판서(刑曹判書)ㆍ경연특진관(經筵特進官) 등을 지냄.
1486~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 , 인명>관인>문신
-
신안(新安)@주희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신안거사(新安居士) - 왕백언(汪伯彦)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지냈으나, 금군(金軍)이 남침했을 때 황잠선(黃潛善) 등과 함께 방비책을 강구하지 않고 화평을 주장하여 송 나라를 패배하게 함.
1069~114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안군(信安君) - 나수(那壽)
중국 원(元) 나라 순제(順帝) 때의 환관. 고려 사람으로 중국 원(元) 나라에 가서 환관(宦官)이 되었으며, 순제 때 벼슬이 봉의대부 견용태감(奉議大夫甄用太監)에 이르렀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ㅣ경상도>신녕 , 인명>관인>환관
-
신안백(信安伯) - 장보(張輔)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무신. 안남(安南)의 국상(國相) 여계리(黎季犛)가 안남왕 진일규(陳日煃)를 시해하고 명령을 받지 않자, 목성(沐晟)과 함께 안남을 평정하는 등 여러 지방을 정벌하는데 큰 공을 세움.
1375~144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신안부자(新安夫子)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신안사(新安祠) - 신안서원(新安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임실(任實)에 건립한 서원. 1819년(순조 19)에 사액되었으며, 한호겸(韓好謙)ㆍ송경원(宋慶元)ㆍ한필성(韓必聖)ㆍ한명유(韓鳴愈) 등을 배향함.
158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임실 , 유적>건물>서원,향교
-
신안예씨(新安倪氏) - 예사의(倪士毅)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스승인 진역(陳櫟)이 지은 《사서발명(四書發明)》과 호병문(胡炳文)이 지은 《사서통(四書通)》을 합하여 《사서집석(四書輯釋)》을 찬술함.
1303~134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신안오씨(新安吳氏) - 오역(吳棫)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천주통판(泉州通判)을 지내고, 주희(朱熹)가 극찬한 훈석학(訓釋學)의 대가로 《서비전(書裨傳)》ㆍ《시보음(詩補音)》ㆍ《논어지장(論語指掌)》ㆍ《고이속해(考異續解)》ㆍ《초사석음(楚辭釋音)》ㆍ《운보(韻補)》ㆍ《자학보운(字學補韻)》등의 많은 저서를 남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신안왕씨(新安王氏) - 왕염(王炎)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군기소감(軍器少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경사(經史)에 능통하여 예기(禮記)ㆍ사서(四書) 등을 주석함. 저서에 《쌍계집(雙溪集)》이 있음.
1137~121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안주(辛安柱) - 신인손(辛引孫)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평안도 도안무사(平安道都按撫使)를 지낸 신유정(辛有定)의 아들. 1408년(태종 8)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이름.
1384~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