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신안진씨(新安陳氏) - 진역(陳櫟)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송(宋) 나라가 멸망한 뒤 은거하면서 주희(朱熹)를 종주(宗主)로 삼고 저술에 전념함.
1252~133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신암(愼庵) - 이만각(李晩慤)
조선 고종(高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로,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의 조카. 경학연구 및 후진양성에 진력하였으며, 저서로 《신암문집(愼庵文集)》이 있음.
1815~187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학자
-
신암(新岩) - 금시조(琴是調)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금복고(琴復古)의 아들로, 1624년(인조 2) 식년시에 급제하여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584~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신암(新庵) - 당고(唐皐)
조선 중종(中宗) 때 명(明) 나라에서 온 사신(使臣). 1521년(중종 16) 명 나라의 신황제등극반조정사(新皇帝登極頒詔正使)로 다녀감.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암(新庵)@이준민 - 이준민(李俊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냈으나, 동서(東西)의 당론(黨論)이 심해지자 병을 칭탁하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으며, 당론을 조정하려던 이이(李珥)를 존경함.
1524~159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신야(新野) - 이인행(李仁行)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관섭(李觀燮)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경사(經史)에 두루 능통하여 서연(書筵)에 입시하여 진강하기도 함.
1758~18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야(莘野)@이인행 - 이인행(李仁行)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관섭(李觀燮)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경사(經史)에 두루 능통하여 서연(書筵)에 입시하여 진강하기도 함.
1758~18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야(莘野)@이징 - 이징(李澄)@이황의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형으로, 제원도 찰방(濟原道察訪)을 지냄.
1498~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야(莘野)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야경수(莘野耕叟)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야문집(新野文集) - 신야집(新野集)
조선 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인행(李仁行)의 시문집. 14권 7책. 목활자본. 서문(序文)과 발문(跋文)이 없어 간행 경위는 불분명함. 4권 2책의 속집(續集)에는 이정식(李貞植)의 발문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신야선생문집(新野先生文集) - 신야집(新野集)
조선 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인행(李仁行)의 시문집. 14권 7책. 목활자본. 서문(序文)과 발문(跋文)이 없어 간행 경위는 불분명함. 4권 2책의 속집(續集)에는 이정식(李貞植)의 발문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신야후(新野侯) - 왕망(王莽)
중국 신(新) 나라의 황제. 재위 8~23년. 전한(前漢) 말에 왕위를 찬탈하고 황제가 되었으나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에 의해 멸망함.
B.C.45~A.D.23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양군(新陽君) - 노영(盧瑛)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충목왕(忠穆王) 때 좌정승(左政丞)을 지낸 노책(盧頙)의 아들이며, 서원군(瑞原君) 노제(盧濟)의 동생.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신여(信如) - 기화(己和)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 최치원(崔致遠)이 주장했던 불교(佛敎)ㆍ유교(儒敎)ㆍ도교(道敎)의 삼교일치설(三敎一致說)을 전개함.
1376~14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종교인>승려
-
신연(神燕)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신예중(申詣仲) - 신섬(申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용궁 현감(龍宮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신옹(愼翁)@임수겸 - 임수겸(林守謙)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음(安陰)으로, 부제학(副提學)ㆍ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문신
-
신옹(愼翁)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왕(信王) - 상흥제(祥興帝)
중국 송(宋) 나라의 마지막 황제. 재위 1278~1279. 도종(度宗)의 막내아들로, 형 단종(端宗)이 죽자 즉위했으나 원(元) 나라 군대에 쫓기다가 바다에 빠져 죽었으며, 이에 송은 멸망함.
?~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왕(神王) - 신종(神宗)@고려
고려의 제20대 국왕. 재위 1197~1204. 인종(仁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명종(明宗)의 동모제(同母弟)로, 최충헌(崔忠獻) 형제가 명종을 폐하고 왕으로 추대하였는데, 재위 중 잇따라 민란이 일어남.
1144~120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신왕(神王)@신종 - 신종(神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6대 황제. 재위 1067~1085. 영종(英宗)의 장자로, 왕안석(王安石)을 등용하여 부국강병책을 시행하였으나, 서하(西夏) 원정 등 외정(外征)에 실패하여 실의에 빠져 죽음.
1048~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왕(辛王) - 신예(辛裔)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원(元) 나라 환관 고용보(高龍普)와 함께 충혜왕을 잡아가도록 도와주었고, 고용보의 위세를 빌어 정권을 농락함.
?~135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신요(神堯)@태조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신요(神堯) - 고조(高祖)@당
중국 당(唐)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618~626.
565~63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요서(申堯瑞) - 신명수(申蓂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참봉(參奉) 신광섭(申光涉)의 아들로, 옥계(玉溪) 노진(盧禛)의 문인. 이황(李滉)에게서 역(易)에 대해 배움.
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신용(信容) - 양신용(梁信容)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증손. 정묘호란(丁卯胡亂) 때의 전공(戰功)으로 인동 도호부사(仁同都護府使)에 제수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신용석(辛用錫) - 신경진(辛慶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신응시(辛應時)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문무(文武)의 재능을 겸비하여 명성이 높았고 예조 참판(禮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54~161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우(神禹)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우(辛禑) - 우왕(禑王)
고려 제32대 국왕. 재위 1374~1388. 수시중(守侍中) 이인임(李仁任)의 후원으로 즉위했다가 이인임이 실각한 후 정치적 기반을 잃고 이성계(李成桂)에게 쫓겨나 유배되었다가 죽음.
1365~138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신우봉(申牛峯) - 신진(申津)
조선 전기의 유학. 정유길(鄭惟吉)과 교유했으며, 《임당유고(林塘遺稿)》와 《백록유고(白麓遺稿)》에 만사(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신원(信元) - 김신원(金信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정철(鄭澈)의 《송강집(松江集)》에 〈추차홍태고운 봉증일학김학사(追次洪太古韻奉贈一壑金學士)〉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신원(愼原) - 이말숙(李末叔)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증손이며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아들. 1521년(중종 16)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형(兄) 이정숙(李正叔)과 함께 유배됨.
1507~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신원(新元) - 원일(元日)
설날.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名節). 조상에게 차례(茶禮)를 지내고 웃어른들에게 세배(歲拜)를 드리며, 다양한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함.
사건>풍속
-
신월성(新月城) - 반월성(半月城)
신라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 때 경상도 경주(慶州)에 쌓은 성. 원래 호공(瓠公)의 거주지였던 것을 탈해(脫解)가 꾀를 써 빼앗고, 파사이사금이 성을 쌓아 신라의 궁성으로 사용함.
101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성,진,책
-
신음(申陰) - 안음(安陰)
경상도 함양(咸陽)과 거창(居昌)의 일부 지역을 관장했던 조선 전기의 행정구역명.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지명>행정지명
-
신읍(信邑) - 신천(信川)
황해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관서 지방과 기호 지방의 경계를 이루어 자연․인문에 많은 차이가 있으며, 서강(西江)을 비롯한 여러 강이 망류함. 곳곳에 큰 규모의 저수지가 있으며, 석회암이 분해된 비옥한 농토임.
황해도>신천 , 지명>행정지명
-
신읍(新邑) - 낙읍(洛邑)
중국 하남성(河南省) 낙양(洛陽)의 서쪽 지역에 있던 고대 서주(西周)의 수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신응규(申應槼) - 신응구(申應榘)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동지중추부사 신벌(申橃)의 아들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함. 인조반정 후 승정원 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 등을 지냄.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남포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의군공(新義郡公) - 한금호(韓擒虎)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수(隋) 나라 문제(文帝) 때의 장군. 영주 자사(永州刺史)ㆍ화주 자사(和州刺史) 등을 지냄. 진(陳) 나라를 정벌하여 후주(後主)를 사로잡은 공으로 상주국(上柱國)에 봉해지고, 양주 총관(凉州摠管)이 되었으나 곧 죽음. 죽어서는 염라대왕(閻羅大王)이 되었다고 전해짐.
538~592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신이(信耳) - 이수계(李壽誡)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견성군(甄城君) 이돈(李惇)의 둘째 아들로, 견성군이 역모 혐의로 귀양 갔을 때 중종(中宗)의 권유로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양자가 됨.
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신이(辛夷) - 목련(木蓮)
목련과(木蓮科)의 낙엽교목(落葉喬木). 꽃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木筆)이라고도 하고, 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끝이 북녘을 향한다고 해서 북향화라고 함. 꽃이 아름다워 《양화소록(養花小錄)》의 〈화목구등품제(花木九等品第)〉에서는 7등에 속해 있음.
자연물>식물
-
신일(愼日) - 원일(元日)
설날.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名節). 조상에게 차례(茶禮)를 지내고 웃어른들에게 세배(歲拜)를 드리며, 다양한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함.
사건>풍속
-
신임무옥(辛壬誣獄) - 신임사화(辛壬士禍)
조선 경종(景宗) 원년인 신축년(1721)과 이듬해인 임인년(1722)에 일어난 사화. 이이명(李頤命)ㆍ김창집(金昌集)ㆍ이건명(李健命)ㆍ조태채(趙泰采) 등 노론(老論) 4대신이 왕제(王弟) 연잉군(延礽君)을 세제(世弟)로 책봉하도록 주청한 일에 대하여, 조태구(趙泰耉) 등 소론(少論)이 공격하면서 일어남.
1721~1722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
-
신임옥사(辛壬獄事) - 신임사화(辛壬士禍)
조선 경종(景宗) 원년인 신축년(1721)과 이듬해인 임인년(1722)에 일어난 사화. 이이명(李頤命)ㆍ김창집(金昌集)ㆍ이건명(李健命)ㆍ조태채(趙泰采) 등 노론(老論) 4대신이 왕제(王弟) 연잉군(延礽君)을 세제(世弟)로 책봉하도록 주청한 일에 대하여, 조태구(趙泰耉) 등 소론(少論)이 공격하면서 일어남.
1721~1722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
-
신자(申子) - 신불해(申不害)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 소후(昭侯) 때의 학자ㆍ재상. 황제(黃帝)와 노자(老子)에 기본하여 형명(刑名)을 주로 연구하였는데, 법가(法家)의 조종(祖宗)이 됨.
?~B.C.33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경대부
-
신자(辛子) - 신영희(辛永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영산(靈山).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으나 직산(稷山)에 은둔하여 학문에 정진함.
1442~151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직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신재(信齋)@홍혁 - 홍혁(洪革)
고려 후기의 유학. 권보(權溥)ㆍ민지(閔漬)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신재(信齋) - 양복(楊復)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의례도(儀禮圖)》를 저술하고, 《가례(家禮)》의 주석을 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신재(信齋)@심동로 - 심동로(沈東老)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명은 한(漢)으로 삼척심씨(三陟沈氏)의 비조(鼻祖). 중서사인(中書舍人)을 지냈으며, 공민왕이 동로(東老)라는 이름을 하사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신재(信齋)@한상경 - 한상경(韓尙敬)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청성군(淸城君) 한수(韓脩)의 셋째 아들. 이성계(李成桂)를 추대하는 모의에 가담하고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함.
1360~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재(愼哉) - 유세훈(柳世勛)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문화(文化).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신천서원(新川書院)ㆍ이양서원(伊陽書院)에 배향됨.
1564~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
-
신재(愼齋)@김집 - 김집(金集)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김장생(金長生)의 아들로, 예학(禮學)을 대성시킴. 대사헌(大司憲)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내고, 효종과 북벌(北伐)을 계획함.
1574~16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재(愼齋)@주세붕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재(愼齋) - 왕백(王伯)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의 후손으로, 왕씨는 사성(賜姓).
1277~135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ㅣ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신재(愼齋)@조림 - 조림(趙琳)@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김인후(金麟厚)의 문인인 조희문(趙希文)의 아버지로, 사성(司成)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신재(愼齋)@황효헌 - 황효헌(黃孝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담론(談論)과 학문을 좋아하고 문장에 뛰어났으며, 풍의(風儀)가 아름다워 귀공자 같았다고 함. 이행(李荇)과 함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편찬에 참여함.
1491~153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재(新齋)@최산두 - 최산두(崔山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초계최씨(草溪崔氏)의 중시조. 사간(司諫)ㆍ지평(持平) 등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동복(同福)으로 유배됨. 문장에 뛰어나 유성춘(柳成春)ㆍ윤구(尹衢)와 함께 ‘호남삼걸’로 불림.
1483~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관인>문신
-
신재(新齋) - 김진종(金振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오랫동안 유배 생활을 하다 죽음.
1496~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재최선생실기(新齋崔先生實記) - 신재집(新齋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최산두(崔山斗)의 문집. 1책. 활자본. 저자의 유문(遺文)과 행적을 모아 엮은 책으로, 기정진(奇正鎭)이 1870년(고종 7)에 수집하여 저자의 후손과 함께 간행함.
187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신전(新典) - 대명회전(大明會典)
중국 명(明) 나라 때 서박(徐薄)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명 나라의 법제(法制)를 집대성한 행정법전(行政法典). 전 180권.
1509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신절(信節)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신정(新定) - 목천(木川)
충청도 천안(天安)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지형적 특색으로 백제시대에는 북방의 군사요지로 쓰였고, 고려의 태조(太祖) 왕건(王建)은 이곳이 오룡쟁주형(五龍爭珠形)이므로 천하를 통일시킬 수 있는 곳이라 하여 중요하게 여김.
충청도>목천 , 지명>행정지명
-
신정릉(新靖陵)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신조(申照) - 정종(靖宗)
고려 제10대 왕. 재위 1035~1046. 현종(顯宗)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원성왕후 김씨(元成王后金氏). 형인 덕종(德宗)의 유업을 이어받아 천리장성을 완성하는 등 변방의 수비를 강화하고 거란과 화친하여 나라를 태평하게 함.
1018~104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신조(神照)@신돈 - 신돈(辛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僧侶).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師傅)로서 국정을 맡음.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
?~13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종교인>승려
-
신종군(新宗君) - 이효백(李孝伯)
조선 전기의 종친ㆍ무신.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로, 1468년(세조 14) 무과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냄. 활을 잘 쏘아 세조(世祖)ㆍ예종(睿宗)ㆍ성종(成宗) 등에게 총애를 받음.
1433~14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신종정효대왕(神宗靖孝大王) - 신종(神宗)@고려
고려의 제20대 국왕. 재위 1197~1204. 인종(仁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명종(明宗)의 동모제(同母弟)로, 최충헌(崔忠獻) 형제가 명종을 폐하고 왕으로 추대하였는데, 재위 중 잇따라 민란이 일어남.
1144~120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신주(信州) - 신천(信川)
황해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관서 지방과 기호 지방의 경계를 이루어 자연․인문에 많은 차이가 있으며, 서강(西江)을 비롯한 여러 강이 망류함. 곳곳에 큰 규모의 저수지가 있으며, 석회암이 분해된 비옥한 농토임.
황해도>신천 , 지명>행정지명
-
신중(愼中) - 오신중(吳愼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적개공신(敵愾功臣) 오자치(吳自治)의 아버지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신중(愼仲) - 김부의(金富儀)@조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25~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신중(臣重) - 정신중(鄭臣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정이오(鄭以吾)의 아버지로,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신증승람(新增勝覽)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조선 중종(中宗) 때 이행(李荇) 등이 왕명에 따라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을 새로 증보하여 편찬한 조선 전기의 전국 지리지(全國地理志). 55권 25책. 목판본.
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신지(信之) - 송징(宋徵)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유학(幼學). 본관은 신평(新平). 송정순(宋庭筍)의 문인(門人). 정철(鄭澈)과 교유하였으며 이이첨(李爾瞻)의 폐모론(廢母論)에 맞서 유생으로 항소(抗疏)를 올림.
1564~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유학
-
신지(信之)@정성지 - 정성지(鄭性之)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냄.
1172~125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지(信之)@유응부 - 유응부(兪應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기계(杞溪). 단종(端宗)을 위하여 사절(死節)한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 무신이면서도 유학에 뜻이 깊고, 절개(節介)ㆍ충의(忠義)의 상징으로 추앙받음.
?~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무신
-
신지(愼之)@권경 - 권경(權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김종서(金宗瑞)ㆍ황보인(皇甫仁) 등 원로대신을 숙청함.
1429~14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지(愼之) - 남지언(南知言)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고성(固城). 남인(南寅)의 아들이며, 남정(嵐亭) 김시창(金始昌)의 사위이자 문인. 김천도 찰방(金泉道察訪)을 지냈으며, 말년에 황간(黃澗)에 삼괴당(三槐堂)을 짓고 후학 교육에 전념함.
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황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신지(愼之)@유견오 - 유견오(庾肩吾)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詩人). 유신(庾信)의 아버지. 궁체시(宮體詩)의 대표작가로 성률(聲律)에 치중하여 이후 율시(律詩)의 발전에 영향을 끼침.
487~55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신지(愼之)@성근 - 성근(成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세균(成世均)의 아들로, 큰아버지 성세명(成世明)에게 출계함.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를 지냄.
1490~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신지(愼志) - 탁신지(卓愼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직장(直長)을 지낸 탁지(卓智)의 맏아들로, 현감(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신지(新之)@윤신지 - 윤신지(尹新之)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부마(駙馬). 본관은 해평(海平). 윤방(尹昉)의 아들로, 선조의 두 번째 서녀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혼인함.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능했음.
1582~165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왕실>인척
-
신지(新之)@노효손 - 노효손(盧孝孫)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진사에 급제하여 태학박사(太學博士) 등을 역임하고, 말년에 관직을 사양하고 학문에 매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지(新之) - 정완(鄭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예조(禮曹)ㆍ이조(吏曹)의 정랑(正郞)을 지내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현풍(玄風)에 부처됨.
1473~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신지(申之) - 이수복(李壽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옹진(瓮津). 1519년(중종 14) 경과 별시(慶科別試)에 급제하여 영흥 부사(永興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신찬(申璨) - 신찬(申澯)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아들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창(辛昌) - 창왕(昌王)
고려 제33대 왕. 재위 1388~1389. 우왕(禑王)의 아들. 이색(李穡)ㆍ조민수(曺敏修) 등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나 곧 이성계(李成桂)에 의해 폐위됨.
1380~138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신창향후(新昌鄉侯) - 무제(武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1대 황제. 재위 265~290. 위(魏) 나라 원제(元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진 나라를 세운 뒤, 오(吳) 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함.
236~29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처사(申處士) - 신계성(申季誠)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학자. 성리학(性理學)에 뜻을 두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박영(朴英)에게 수학(受學)하고, 김대유(金大有)ㆍ조식(曺植) 등과 종유(從遊)하여 삼고(三高)라 불림.
1499~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
-
신천군(信川君) - 강곤(康袞)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고, 남이(南怡)의 옥사(獄事)에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1411~148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천부원군(信川府院君) - 강순(康純)
조선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의주 목사(義州牧使)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남이(南怡)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됨. 순조(純祖) 때 복관(復官)됨.
1390~14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천부원군(信川府院君) - 강순(康純)
조선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의주 목사(義州牧使)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남이(南怡)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됨. 순조(純祖) 때 복관(復官)됨.
1390~14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천부원군(信川府院君) - 강순(康純)
조선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의주 목사(義州牧使)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남이(南怡)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됨. 순조(純祖) 때 복관(復官)됨.
1390~14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초(愼初) - 권종윤(權終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유성룡(柳成龍)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신촌(愼村) - 권사복(權思復)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정당문학(政堂文學) 백문보(白文寶)의 문인으로, 김구용(金九容)ㆍ이숭인(李崇仁)ㆍ이무방(李茂芳) 등과 동문(同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신촌로(薪村老) - 신명수(申蓂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참봉(參奉) 신광섭(申光涉)의 아들로, 옥계(玉溪) 노진(盧禛)의 문인. 이황(李滉)에게서 역(易)에 대해 배움.
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신촌상공(愼村相公) - 권사복(權思復)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정당문학(政堂文學) 백문보(白文寶)의 문인으로, 김구용(金九容)ㆍ이숭인(李崇仁)ㆍ이무방(李茂芳) 등과 동문(同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신총병(申總兵) - 신립(申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임진왜란 때 삼도 순변사(三道巡邊使)가 되어 출전하여 충주의 탄금대(彈琴臺)에서 배수진을 치고 왜군과 대결하였으나 참패한 뒤 강물에 투신 순절함.
1546~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신추(神騅) - 오추마(烏騅馬)
중국 진(秦) 나라 말기의 무장(武將)인 항우(項羽)가 타던 애마(愛馬) 이름. 적토마(赤兎馬)와 함께 준마(駿馬)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며, 시(詩)의 소재로도 자주 쓰임.
중국>진 , 중국 , 자연물>동물
-
신축년무옥(辛丑年誣獄) - 신임사화(辛壬士禍)
조선 경종(景宗) 원년인 신축년(1721)과 이듬해인 임인년(1722)에 일어난 사화. 이이명(李頤命)ㆍ김창집(金昌集)ㆍ이건명(李健命)ㆍ조태채(趙泰采) 등 노론(老論) 4대신이 왕제(王弟) 연잉군(延礽君)을 세제(世弟)로 책봉하도록 주청한 일에 대하여, 조태구(趙泰耉) 등 소론(少論)이 공격하면서 일어남.
1721~1722 한국>조선후기 , 사건>사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