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권몽참(權夢參)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했고 매화를 좋아하였는데, 권호문이 그가 매화를 얻은 것에 대해 축하하는 시가 《송암집(松巖集)》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몽태(權夢台)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어릴 때 같은 마을에서 자랐으며, 권호문이 지은 만사(輓詞)가 《송암집(松巖集)》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문언(權文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규(權逵)의 아들.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門人)으로 벼슬길에는 나아가지 않음.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증직됨.
1530~15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권문연(權文淵)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예천(醴泉). 권지(權祉)의 아들이며, 초간(草澗) 권문해(權文海)의 동생. 권문해가 먼저 죽은 동생을 애도하며 지은 시가 《초간집(草澗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권문임(權文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규(權逵)의 아들이며,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門人). 1576년(선조 9)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권지(成均館權知)를 지냄.
1530~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권문저(權文著)
조선 전기의 유학. 안분당(安分堂) 권규(權逵)의 아들로, 훈도(訓導)를 지낸 작은아버지 권수(權遂)의 양자로 들어갔음.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학덕이 뛰어나 화릉 참봉(和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벼슬에 나가지 않음.
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문해(權文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천(醴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하고,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을 저술함.
1534~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권문현(權文顯)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권규(權逵)의 아들이며, 이원(李源)의 사위. 조식(曺植)의 문인. 오건(吳健)에 대한 제문이 《덕계집(德溪集)》에 전함.
1524~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권미수(權眉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선조(宣祖) 때 호군(護軍)을 지낸 권몽두(權夢斗)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민수(權敏手)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이조 좌랑으로서 직언을 하다가 영외(嶺外)에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66~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박(權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낸 권령(權齡)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도화서 별제(圖畫署別提)ㆍ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1475~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반(權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찬성(贊成) 권제(權踶)의 아들. 1453년(단종 1) 형 권람(權攬)과 함께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좌익공신(左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개성 부윤(開城府尹) 등을 지냄.
1419~14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권반(權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윤국형(尹國馨)의 문인(門人).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가 되어 지방행정을 잘 다스려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졌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564~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벌(權橃)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내고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올랐으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삭주(朔州)로 유배된 뒤 죽음.
147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봉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권벽(權擘)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시문(詩文)이 뛰어나 명(明) 나라에 오가는 외교 문서를 전담하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20~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권별(權鼈)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예천(禮泉)으로, 사간(司諫)을 지낸 권문해(權文海)의 아들. 왕실의 사적(事蹟)과 인물열전(人物列傳)을 집대성한 《해동잡록(海東雜錄)》을 편술함.
1589~16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
-
권병기(權秉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권보(權堡)의 아들. 서거정(徐居正)ㆍ성삼문(成三問)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보(權堡)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헌납(獻納)과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내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에 추증됨.
?~14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보(權溥)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ㆍ학자. 안향(安珦)의 문인. 국로(國老)로서 대원(對元) 관계의 어려운 정국을 해결하여 공신에 봉해졌고, 《사서집주(四書集註)》를 간행하여 성리학의 전파에 공헌함.
1262~134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권복(權福)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료(權憭)의 아들로, 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지냈으며, 김안국(金安國)ㆍ김정국(金正國)ㆍ김안로(金安老) 등과 교유함.
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빈(權璸)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조 정랑(吏曹正郞)ㆍ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냄.
1446~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권사복(權思復)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정당문학(政堂文學) 백문보(白文寶)의 문인으로, 김구용(金九容)ㆍ이숭인(李崇仁)ㆍ이무방(李茂芳) 등과 동문(同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사빈(權士彬)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충재(冲齋) 권벌(權橃)의 아버지로,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49~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산해(權山海)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이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가 참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자결함.
?~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권상(權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권진(權振)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선공감 정(繕工監正)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후에 영의정(領議政) 동흥부원군(東興府院君)에 추증됨.
1508~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상일(權相一)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했으며, 이황(李滉)을 사숙하여 〈사칠설(四七說)〉을 지음.
1679~17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권상하(權尙夏)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ㆍ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이이(李珥)를 조종(祖宗)으로 하여 송시열에게 계승된 기호학파(畿湖學派)를 이끎.
1641~17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권석순(權碩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1474년(성종 5)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했으며, 정수강(丁壽崗)의 《월헌집(月軒集)》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문신
-
권석충(權錫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권춘란(權春蘭)ㆍ권춘계(權春桂)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선문(權善文)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안주 교수(安州敎授) 권륙(權稑)의 아들이며 권호문(權好文)의 형으로, 《송암집(松巖集)》에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성(權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승(權昇)의 맏아들이며, 여주 목사(驪州牧使) 권현(權睍)의 형으로,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결성(結城)과 부안(扶安) 두 고을의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무신
-
권성오(權省吾)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 권호신(權虎臣)의 아들로, 1612년(광해군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이름. 저서로 《동암집(東巖集)》이 있음.
1587~16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권성익(權聖翊)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중심으로 그 변화에 대한 의견을 밝힘.
1735~182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학자
-
권세춘(權世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영사원종공신(寧社原從功臣)에 책록된 권도(權濤)의 아버지로, 사포서 별좌(司圃署別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소(權紹)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권민수(權敏手)의 아들로, 숙부인 권달수(權達手)에게 출계(出系)함.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권찬(權纘)의 동생으로, 안동 부사(安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권수익(權受益)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권운(權雲)의 아버지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숙(權肅)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문신. 왕후(王煦)의 손자이며 왕중귀(王重貴)의 아들.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상주(上奏)로 복성(復姓)되었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순(權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영의정 권철(權轍)의 아들. 파주(坡州)ㆍ여주(驪州)의 목사牧使) 등을 제수받았으나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체직되었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이룸.
1536~160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관인>문신
-
권숭례(權崇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으로 책록된 권충(權衷)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승(權昇)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어모장군(禦侮將軍) 권확(權確)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가산을 털어 관군(官軍)을 도운 공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의 품계를 받았으나, 변함없이 검소한 생활을 함.
1537~159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권시(權偲)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무안 현감(務安縣監)을 지낸 권열(權挒)의 아버지. 1411년(태종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吏曹佐郞)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386~14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시(權諰)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낸 권득기(權得己)의 아들. 잠야(潛冶) 박지계(朴知誡)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과 같은 기호학파(畿湖學派)로서 예론(禮論)에 밝았음.
1604~167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권식(權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권응창(權應昌)의 아들.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한 뒤 통례랑(通禮郞) 등을 지냄.
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식(權遈)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좌익공신(佐翼功臣)으로 책록된 권개(權愷)와 전라 감사(全羅監司)를 지낸 권제(權悌)의 아버지로, 호군(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권신(權愼)
조선 전기의 유학.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청학산(靑鶴山)을 유람할 때 중도(中途)에서 만난 내용이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권심(權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영조(英祖) 때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권상일(權相一)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심언(權審言)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지낸 야옹(野翁) 권의(權檥)의 아들로, 음서(蔭敍)로 거창 현감(居昌縣監) 등을 지냈으며, 아버지의 학덕을 받들기 위해 예천(醴泉)에 야옹정(野翁亭)을 지음.
1502~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안(權晏)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ㆍ남효온(南孝溫) 등과 함께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권억(權憶)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종(中宗) 때 좌승지(左承旨)를 지낸 권기(權祺)의 아버지로, 광흥창 수(廣興倉守)를 지내고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연(權沇)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인 권경유(權景裕)의 아들. 아버지와 함께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사형당함.
?~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연(權讌)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종(中宗) 때의 유학 권진(權璡)의 아버지로 충의위 병절교위(忠義衛秉節校尉)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권열(權挒)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시(權偲)의 아들. 1465년(세조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무안 현감(務安縣監)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신녕 , 인명>관인>문신
-
권엽(權燁)
조선 전기의 문신. 《백담집(栢潭集)》에 구봉령(具鳳齡)이 지은 만사(輓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권영(權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했고, 관직은 중추부 경력(中樞府經歷)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영(權詠)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미암집(眉巖集)》에 유희춘(柳希春)을 전별하는 자리에 참석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문사>유학
-
권예(權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사빈(權士彬)의 아들이며 명종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동생. 어려서부터 질병이 많아 평생토록 벼슬하지 않음. 승사랑(承仕郞)에 이름.
1482~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예(權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일파 구원에 앞장섰고, 김안로(金安老)와 함께 복성군 옥사(福城君獄死)를 일으켜 심정(沈貞)ㆍ성세창(成世昌) 등을 파직ㆍ사사(賜死)시킴.
1495~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오기(權五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동생 권오복(權五福)이 극형을 당하자 이에 연루되어 해남으로 유배됨.
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권오륜(權五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예천(醴泉).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처형된 권오복(權五福)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권오복(權五福)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이라 하여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일손(金馹孫)ㆍ권경유(權景裕) 등과 함께 극형에 처해짐.
1467~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권오상(權五常)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처형된 권오복(權五福)의 동생으로, 좌부승지(左副承旨) 권문해(權文海)의 조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권오행(權五行)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예천(醴泉). 무오사화(戊午士禍)로 동생 권오복(權五福)이 처형되던 해에 문과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권옹집(倦翁集)
조선 전기의 학자 유빈(柳贇)의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1902년 그의 후손 유하영(柳夏榮)이 편집, 간행. 권두에 이만좌(李晩佐)의 서문과 권말에 편자의 발문이 있음.
1902 한국>근대 , 문헌>서명
-
권용(權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권응정(權應挺)의 아들.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을 지냈으며,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했고, 적서(嫡庶)의 구별을 엄히 할 것과 언로(言路)의 개방을 주장함.
1509~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용(權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첨의찬성(僉議贊成) 권렴(權廉)의 아들. 아들 권진(權瑨)이 공민왕의 시역(弑役)에 가담하여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무신
-
권용중(權用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풍기 군수(豐基郡守)로 있던 주세붕(周世鵬)에게서 이름과 자(字)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권우(權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생원 권대기(權大器)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에 밝았고 광해군(光海君)의 사부(師傅)에 제수되었으며, 사후(死後)에 좌의정(左議政)에 추증됨.
1552~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우(權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관직은 직장(直長) 등을 역임하였고 충주(忠州)에 정자(亭子)를 지었는데, 황정욱(黃廷彧)이 호서 방백(湖西方伯)으로 부임했을 때 정자에 시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권우(權遇)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 말에 출사하고, 조선 건국 뒤에도 계속 등용되어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 등을 지내면서 정인지(鄭麟趾) 등 여러 문인을 양성함.
136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권욱(權旭)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현감을 지낸 권심언(權審言)의 아들로 장흥고 봉사(長興庫奉事) 등을 지냈고, 정탁(鄭琢)과 함께 《심경(心經)》을 강론함.
1556~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권운(權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낸 권수익(權受益)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위(權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정탁(鄭琢)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했고, 해미(海美)ㆍ강진(康津)의 현감(縣監)과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권위(權韙)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조부. 원조(遠祖)는 태사(太師) 김행(金幸)인데, 고려 태조(太祖)에게서 권(權)이라는 성을 하사받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유(權愈)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근(權近)의 후손. 1665년(현종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유배되었다가 돌아와 곧 죽음.
1633~17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유(權濡)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두경(權斗經)의 아버지. 권벌(權橃)의 후손으로 권목(權霂)와 함께 《충재집(冲齋集)》을 간행하는 데 힘씀.
1628~16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유(權瑠)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금산 군수(金山郡守) 권빈(權璸)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권육(權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부친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질서(姪壻).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윤희(權胤禧)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결(權潔)의 아버지. 벼슬하지 못하고 일찍 죽었으나, 후에 사복시 정(司僕寺正)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율(權慄)@조선전기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동생인 매헌(梅軒) 권우(權遇)의 손자. 김종직(金宗直)ㆍ장말손(張末孫)ㆍ조극치(曺克治)ㆍ채신보(蔡申保)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율(權慄)@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명장. 본관은 안동(安東).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6세손이자 영의정을 지낸 권철(權轍)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행주대첩(幸州大捷)을 승리로 이끎.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으로 추봉됨.
1537~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권은(權殷)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모재집(慕齋集》에 박감(朴敢)ㆍ박수춘(朴壽椿) 등의 동문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字)와 자설(字說)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권응도(權應度)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정유일(鄭惟一)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했지만 병으로 일을 진행하지 못하였고, 관직은 순릉 참봉(順陵參奉)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응성(權應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훈도(訓導) 권윤(權綸)의 아들. 1558년(명종 1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권호문(權好文)ㆍ반홍(潘洪)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153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응수(權應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덕신(權德臣)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대장으로 활동하면서 각지에서 큰 전공을 세워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도총부 도총관(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46~16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신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권응시(權應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공조 좌랑(工曹佐郞)ㆍ호조 좌랑(戶曹佐郞)을 거쳐, 군위 현감(軍威縣監)ㆍ양구 현감(楊口縣監) 등을 지냄.
1541~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응인(權應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시재(詩才)가 뛰어나 선위사(宣慰使) 일행이 되기도 했으며, 송(宋) 나라의 시풍(詩風)이 유행하던 문단(文壇)에 만당(晩唐)의 시풍을 받아들여 큰 전환을 가져왔음.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문인
-
권응정(權應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송인수(宋麟壽)ㆍ이언적(李彦迪)ㆍ노수신(盧守愼) 등과 함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의 배후로 지목되어 유배됨.
1498~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권응창(權應昌)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권희맹(權希孟)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1500~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의(權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명종(明宗)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형.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1475~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의숙(權宜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종형(從兄)으로 그가 죽자 권호문이 애도하는 시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이(權頤)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익평공(翼平公) 권람(權攬)의 현손. 중종(中宗) 때 영의정을 지낸 성희안(成希顔)의 외손자이며, 대사헌을 지낸 송인수(宋麟壽)의 사위. 송기수(宋麒壽)의 《추파집(秋坡集)》에 묘표(墓表)가 실려 있음.
1521~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인(權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준신(權俊臣)ㆍ권호신(權虎臣) 형제의 아버지. 제용감 봉사(濟用監奉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권인룡(權仁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정탁(鄭琢)과 교유했고, 관직은 별장(別將)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권자신(權自愼)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사육신(死六臣)과 함께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가 거열형(車裂刑)을 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자홍(權自弘)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책(權策)의 아버지로, 1427년(세종 9) 친시(親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ㆍ예문관 직제학(藝文官直提學)을 지내고,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장(權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명종(明宗)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동생.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1489~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재(權載)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적(權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교(權僑)의 아들로, 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ㆍ강화 부사(江華府使)를 지냄.
1470~153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적(權適)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전(權專)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한성부 윤(漢城府尹)을 지낸 권백종(權伯宗)의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비(妃)인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아버지로, 중추원사(中樞院事)ㆍ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냄.
1371~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