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신축호종공(辛丑扈從功) - 호종공신(扈從功臣)
고려 공민왕(恭愍王) 10년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왕을 안동(安東)까지 호종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홍언박(洪彥博)ㆍ정세운(鄭世雲) 등 121명을 2등으로 나누어 녹훈(錄勳)함.
1361 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신축호종공신(辛丑扈從功臣) - 호종공신(扈從功臣)
고려 공민왕(恭愍王) 10년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왕을 안동(安東)까지 호종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홍언박(洪彥博)ㆍ정세운(鄭世雲) 등 121명을 2등으로 나누어 녹훈(錄勳)함.
1361 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신편집성마의방(新編集成馬醫方) - 신편집성마우의방(新編集成馬牛醫方)
조선 정종(定宗) 때 권중화(權仲和)ㆍ한상경(韓尙敬) 등이 엮은 수의학서(獸醫學書). 1책. 목판본. 중국의 여러 문헌에서 말과 소의 질병에 대한 방문(方文)을 모음.
139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문헌>서명
-
신편집성마의방우의방(新編集成馬醫方牛醫方) - 신편집성마우의방(新編集成馬牛醫方)
조선 정종(定宗) 때 권중화(權仲和)ㆍ한상경(韓尙敬) 등이 엮은 수의학서(獸醫學書). 1책. 목판본. 중국의 여러 문헌에서 말과 소의 질병에 대한 방문(方文)을 모음.
139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문헌>서명
-
신평군(信平君) - 강윤희(康允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1519년(중종 14)에 사림파가 박원종(朴元宗) 등 정국공신(靖國功臣)을 배척하려 한다는 김우증(金友曾)의 말을 고변(告變)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신폐빈(愼廢嬪) - 단경왕후(端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비(妃). 본관은 거창(居昌).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 신수근(愼守勤)의 딸로, 중종반정(中宗反正) 직후 폐위(廢位)되었다가 영조(英祖) 때 복위(復位)됨.
1487~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신포(新浦) - 유대진(兪大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좌의정 유홍(兪泓)의 아들. 이이(李珥)의 천거로 홍문관(弘文館)에 발탁되고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54~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포(薪浦) - 은진(恩津)
충청도 남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금강유역에 있어 물자운송이 편리하여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강경산(江景山)․황화산(皇華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음. 현재는 충청남도 논산시(論山市)에 속함.
충청도>은진 , 지명>행정지명
-
신포송씨(薪浦宋氏) - 은진송씨(恩津宋氏)
고려 때 판원사(判院事)를 지내고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진 송대원(宋大原)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집단>성씨
-
신풍군(新豊君) - 장유(張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사위이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효종비(孝宗妃)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로,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호종함.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여 양명학적(陽明學的) 사고방식을 보임.
1587~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안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신풍도정(新豊都正) - 이순(李循)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신풍부원군(新豊府院君) - 장유(張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사위이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효종비(孝宗妃)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로,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호종함.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여 양명학적(陽明學的) 사고방식을 보임.
1587~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안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신하(紳夏) - 이신하(李紳夏)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식(李植)의 아들이며 이여(李畬)의 아버지. 예빈시 정(禮賓寺正)ㆍ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지냄.
1623~169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신행(愼行) - 우신행(于愼行)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상중(喪中)에 출사한 장거정(張居正)의 행위를 논하다가 미움을 받아 낙향하고, 후에 복직하여 태자소보(太子少保) 등을 지냄. 풍기(馮琦)와 함께 문학(文學)으로 명성을 떨침.
1545~160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형(信亨) - 박신형(朴信亨)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유호인(兪好仁) 등과 함께 낙동강(洛東江)에서 물놀이했던 내용이 《뇌계집(㵢谿集)》의 〈낙강범주시발(洛江泛舟詩跋)〉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신회곡(申晦谷) - 신유(申愈)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송시열(宋時烈)ㆍ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문장이 뛰어났음.
1673~170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진잠ㅣ충청도>예산 , 인명>문사>학자
-
신회당(申悔堂) - 신원록(申元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효자ㆍ학자. 본관은 아주(鵝州)로,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8년간 팔공산(八公山)에 올라가 약초를 캐면서 병든 아버지를 보살핌.
151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회전(新會典) - 대명회전(大明會典)
중국 명(明) 나라 때 서박(徐薄)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명 나라의 법제(法制)를 집대성한 행정법전(行政法典). 전 180권.
1509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신효(愼孝)@1422 - 이신효(李愼孝)@1422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음직(蔭職)으로 출사하여,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냄.
1422~149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신효(愼孝)@조선전기 - 이신효(李愼孝)@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젊은 나이에 요절하였으며, 이이의 《율곡전서(栗谷全書)》에 그의 죽음을 애도한 만시(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안평(安平)@홍성 - 홍성(洪城)
충청남도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홍주목(洪州牧)과 결성현(結城縣)이 합해져 이루어진 고을로, 백제 멸망 후 부흥운동의 최후 항거지였던 주류성(周留城)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군사상 요지로서 충청도의 5개 진관(鎭管) 중 하나가 설치됨.
충청도>홍주 , 지명>행정지명
-
안평(安平) - 오준(吳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었다가 다시 서용(敍用)되어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안평(安平)@안평대군 - 안평대군(安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셋째 아들. 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세력에 맞서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역모 혐의로 유배된 후 사사됨.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렸고, 당대 제일의 명필(名筆)로 꼽힘.
1418~14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왕자
-
안평공주(安平公主) -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고려 제25대 충렬왕(忠烈王)의 비. 원(元) 세조(世祖)의 딸로 충렬왕이 세자로 원(元)에 체류하였을 때 결혼하여 충선왕(忠宣王)을 낳음. 독실한 불교도로 불사(佛事)에 많은 공을 들임.
1259~1297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안평군(安平君) - 안평대군(安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셋째 아들. 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세력에 맞서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역모 혐의로 유배된 후 사사됨.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렸고, 당대 제일의 명필(名筆)로 꼽힘.
1418~14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왕자
-
안평군(安平君)@이서 - 이서(李舒)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홍주(洪州). 고려 우왕(禑王) 때 6년간의 여묘살이로 정문(旌門)을 받았으며,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332~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평군공(安平郡公) - 선제(宣帝)@남북조(晉)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군이며, 서진(西晉)의 추존 황제. 조조(曹操)에게 등용된 후 촉(蜀) 나라 제갈량(諸葛亮)의 북벌을 막고 공손연(公孫淵)을 요동(遼東)에서 토벌하는 등 공을 세웠으며, 진(晉) 나라 건국 후 황제로 추존됨.
179~25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안평원(顔平原) - 안고경(顔杲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 상산군(常山郡)의 태수(太守)로 있을 때 종제(從弟)인 안진경(顔眞卿)과 함께 안녹산(安祿山)의 반란군에 맞서 싸웠으나, 성이 함락되자 붙잡혀 낙양(洛陽)으로 압송된 뒤 죽임을 당함.
692~75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평중(晏平仲) - 안영(晏嬰)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영공(靈公)~경공(景公) 때의 재상. 제 나라의 어진 재상으로 관중(管仲)과 비견되고, 어떤 권력에도 굽히지 않는 지조가 있었음.
?~B.C.50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안평후(安平侯) - 개연(蓋延)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무신. 후한의 건국공신인 이십팔장(二十八將) 가운데 한 사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안표(顔彪) - 안연지(顔延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지내고, 유교(儒敎)와 불교(佛敎)에 통달하여 삼세인과(三世因果)의 설을 주장함. 문장에 뛰어나 사영운(謝靈運)과 함께 ‘안사(顔謝)’로 불림.
384~4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안학관(安學官) - 안정란(安庭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안당(安塘)의 서얼 증손으로, 중국말에 능하여 윤근수(尹根壽)ㆍ김성일(金誠一)의 명(明) 나라 사행(使行) 때 동행하였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사련(宋祀連)의 무덤을 파 시신을 훼손시킴.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한공(安漢公) - 왕망(王莽)
중국 신(新) 나라의 황제. 재위 8~23년. 전한(前漢) 말에 왕위를 찬탈하고 황제가 되었으나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에 의해 멸망함.
B.C.45~A.D.23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안행(安行) - 유거정(劉居正)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유지(劉摯)의 아버지로, 비서 승(秘書丞)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현(顔賢) - 안회(顔回)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 공자(孔子)가 가장 신임했던 수제자로,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도를 즐기고 학문과 덕행으로 이름을 높임.
B.C.521~B.C.49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안현군(安賢君) - 이성동(李盛同)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송림군(松林君) 이효창(李孝昌)의 둘째 아들로, 중종반정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위훈삭제(僞勳削除)로 녹훈이 취소되었다가 뒤에 복작(復爵)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안혜(安惠) - 이명규(李名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순(李峋)의 아들로, 두 차례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행서와 초서에 능함.
1497~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안호(安胡) - 남경우(南景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특별한 재능이 없으면서 관품이 높아 평판이 좋지 않았음. 봉조하(奉朝賀)로 치사(致仕)함.
?~14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안호거사(雁湖居士) - 이벽(李壁)@송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문장(文章)이 뛰어나고 전장(典章)과 제도(制度)에 정통하였으며, 권신 한탁주(韓侂冑)를 추종하여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159~122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안화(安化) - 선천(宣川)
평안북도 서남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태조(太祖) 이후 북방의 요충지 중 하나로 강동육주(江東六州) 중 통주(通州)에 해당됨.
평안도>선천 , 지명>행정지명
-
안회덕(安懷德) - 안경빈(安敬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58년(명종 13) 식년 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였고, 회덕(懷德) 등 여러 지방을 다스릴 때 선정을 베풀었으며, 부사(府使) 등을 역임함.
1526~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안효(安孝)@고종 - 고종(高宗)@고려
고려의 제23대 왕. 재위 1213~1259. 거란ㆍ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음. 팔만대장경을 조판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인 업적도 남김.
1192~12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안효(安孝) - 심온(沈溫)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세종(世宗)의 장인. 고려 말에 문과에 급제하고 조선 왕조의 창업에 참여함. 태종(太宗) 때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은 뒤 이조 판서(吏曹判書)ㆍ공조 판서(工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안효사(安孝思) - 안승종(安承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어모장군(禦侮將軍) 안건(安建)의 아들. 1525년(중종 20)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예천(醴泉)에 은거하며 이황(李滉)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안효왕(安孝王) - 고종(高宗)@고려
고려의 제23대 왕. 재위 1213~1259. 거란ㆍ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음. 팔만대장경을 조판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인 업적도 남김.
1192~12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안후(安侯) - 안홍(安鴻)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정지운(鄭之雲)의 문인으로, 1566년(명종 21)에 청주 목사(淸州牧使)가 되어 흉년으로 굶주리는 백성을 구제하는 데 기여함.
1517~15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안훈도(安訓導) - 안응규(安應奎)
조선 전기의 유학. 향교(鄕校)의 훈도(訓導)를 역임하였으며,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안흥(安興) - 안응세(安應世)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단양군수(丹陽郡守)를 지낸 안중담(安仲聃)의 아들. 남효온(南孝溫)ㆍ김시습(金時習) 등과 교유하고 악부(樂府)에 뛰어났으나, 26세의 나이에 요절함.
1455~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유학
-
안흥군(安興君) - 김치(金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부사(府使) 김시회(金時晦)의 아들로, 상락군(上洛君) 김시민(金時敏)에게 출계함. 인조반정 후 한때 대북(大北)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등을 지냄.
1577~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안희(安僖) - 조자칭(趙子偁)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의 생부. 효종이 즉위하여 수왕(秀王)으로 추존됨.
?~114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알국(鴶鵴)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알야산(閼也山) - 여산(礪山)
전라도 익산(益山)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정종(定宗) 때 여량(礪良)과 낭산(朗山)의 이름을 합쳐 여산이라 칭했고, 세종(世宗) 때 군(郡)으로 승격함.
전라도>여산 , 지명>행정지명
-
알영부인(閼英夫人) - 알영(閼英)
신라의 시조인 혁거세거서간(赫居世居西干)의 비(妃). 신화에, B.C. 53년에 알영정(閼英井)에 나타난 계룡(鷄龍)의 왼쪽 겨드랑이에서 태어나, 우물 이름을 따서 ‘알영’이라 칭하였으며, 13세 때 혁거세와 혼인하였다 함.
B.C.53~?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비
-
알지(閼智) - 김알지(金閼智)
신라 제4대 탈해왕(脫解王)의 양자. 경주김씨(慶州金氏)의 시조. 탈해왕(脫解王) 때 시림(始林)의 금궤에서 수려한 아이가 나왔다 하여 김알지라 이름하고 수양아들로 삼음.
65~?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알지왕(閼智王) - 김알지(金閼智)
신라 제4대 탈해왕(脫解王)의 양자. 경주김씨(慶州金氏)의 시조. 탈해왕(脫解王) 때 시림(始林)의 금궤에서 수려한 아이가 나왔다 하여 김알지라 이름하고 수양아들로 삼음.
65~?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알철(斡啜) - 완안종필(完顔宗弼)
중국 금(金) 나라 태조(太祖)의 넷째 아들. 태사도원수(太師都元帥) 등을 지냈으며, 군사를 이끌고 장강(長江)을 건너 악비(岳飛)ㆍ한세충(韓世忠) 등 송(宋) 나라의 명장들과 사투를 벌였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공을 세음.
?~1148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알출(斡出) - 완안종필(完顔宗弼)
중국 금(金) 나라 태조(太祖)의 넷째 아들. 태사도원수(太師都元帥) 등을 지냈으며, 군사를 이끌고 장강(長江)을 건너 악비(岳飛)ㆍ한세충(韓世忠) 등 송(宋) 나라의 명장들과 사투를 벌였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공을 세음.
?~1148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알탄칸() - 엄답(俺答)
16세기 말 몽고 토묵특부(土默特部)의 수령(首領). 1530년경부터 10여 년간 해마다 중국 명(明) 나라의 북쪽 국경에 침입함.
1507~1582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암(嵒) - 이암(李嵒)
고려 충선왕(忠宣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철원군(鐵原君) 이우(李瑀)의 아들. 찬화공신(贊化功臣)ㆍ익조공신(翊祚功臣)에 책록되고, 좌정승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동국(東國)의 조자앙(趙子昻)으로 불리고, 묵죽화(墨竹畫)에도 능함.
1297~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암(巖)@윤암 - 윤암(尹巖)
조선 태종(太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태종의 아홉 번째 서녀(庶女)인 숙경옹주(淑慶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지냈고.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암(巖) - 이암(李巖)
조선 인종(仁宗) 때의 종친ㆍ화가.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으로, 동식물을 소재로 한 그림을 잘 그렸으며, 인종 초에 중종(中宗)의 어용(御容)을 그릴 때 이에 참여함.
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암(諳) - 윤암(尹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보(尹珤)의 다섯째 아들이며, 전법 판서(典法判書) 윤해(尹侅)의 아버지로, 소부 윤(少府尹)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암(黯)@신암 - 신암(申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신민일(申敏一)의 아버지. 김포 현령(金浦縣令)ㆍ중추부 경력(中樞府經歷) 등을 지냄.
15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암(黯) - 급암(汲黯)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 회양 태수(淮陽太守)를 역임하였고, 황로지도(黃老之道)ㆍ무위(無爲)의 정치를 주장함.
?~B.C.11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암곡(岩谷) - 이종겸(李宗謙)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낸 이안직(李安直)의 아들. 일찍 벼슬을 버리고 형 이종검(李宗儉)과 함께 용인의 남곡(南谷)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암곡(嵒谷) - 이종겸(李宗謙)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낸 이안직(李安直)의 아들. 일찍 벼슬을 버리고 형 이종검(李宗儉)과 함께 용인의 남곡(南谷)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암곡(巖谷) - 신경(辛鏡)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문신. 북송(北宋)에서 건너 온 팔학사(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영산(靈山)에 정착하여 영산신씨(靈山辛氏)의 시조가 됨. 금자광록대부(金紫光錄大夫)ㆍ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1107~? 한국>고려전기 , 중국ㅣ경상도>영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암둔(巖遯) - 박면(朴免)
고려 말~조선 초의 문인. 권근(權近)ㆍ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암린(巖隣)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암방사(巖房寺) - 용암사(龍巖寺)
경기도 개성(開城)의 남산(南山)에 있던 절 이름. 1388년(우왕 14)에 이성계(李成桂)가 이 절의 북쪽 고개를 점거하고서 최영(崔瑩)을 압박함.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찰
-
암사(嵒師) - 상주(尙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명종 때 과거에 입격하고 네 곳의 명산(名山)에서 주지(住持)를 지냈으며, 양사언(楊士彦)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회양 , 인명>종교인>승려
-
암수(巖叟)@하몽계 - 하몽계(何夢桂)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 송 나라 도종(度宗) 때 감찰어사(監察御使) 등을 지냈으나, 나라의 국운이 기울자 소유원(小酉源)에 은거함. 《주역(周易)》에 정통하고, 저서에 《잠재집(潛齋集)》 등이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암수(巖叟) - 박면(朴免)
고려 말~조선 초의 문인. 권근(權近)ㆍ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암수(巖壽)@정암수 - 정암수(丁巖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최산두(崔山斗)의 문인으로, 정철(鄭澈)과도 교분을 쌓음. 1589년(선조 22)에 이산해(李山海)와 유성룡(柳成龍) 등이 정여립(鄭汝立)에 동조하였다고 고발하였으나, 무고(無告)로 몰려 추국(推鞫)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 , 인명>문사>유학
-
암수(巖壽) - 진암수(陳巖壽)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삼척(三陟). 어려서부터 무예에 능하여 일찍이 무과에 급제한 후 성종의 총애를 받아 선전관(宣傳官)을 지내고, 내자 판관(內資判官)ㆍ임천 군수(林川郡守) 등을 지냄.
1457~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암실(暗室)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암실병부(暗室病夫)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암암(巖巖) - 송태(宋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아버지로,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1475~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유학
-
암연자(闇然子) - 장무(章懋)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남경 국자감 좨주(南京國子監祭酒) 등을 지내고, 저서로 《풍산어록(楓山語錄)》ㆍ《풍산집(楓山集)》 등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암옹(巖翁)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암헌(巖軒) - 신장(申檣)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아버지. 《정종실록(定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유학(儒學)에 조예가 깊고 서예에도 능함.
1382~14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암현(巖賢) - 부열(傅說)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명재상. 부암(傅巖)에서 노역을 하다가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룸.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암후(巖后) - 이만각(李晩慤)
조선 고종(高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로,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의 조카. 경학연구 및 후진양성에 진력하였으며, 저서로 《신암문집(愼庵文集)》이 있음.
1815~187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학자
-
압각수(鴨脚樹) - 은행(銀杏)
한국ㆍ중국ㆍ일본에만 분포하는 나무로, 씨가 살구처럼 생기고 은빛이 난다 하여 붙여진 이름. 유학(儒學)의 전래와 관계가 깊으며 유학을 상징함.
자연물>식물
-
압강(鴨江)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압구정(押鷗亭) - 한명회(韓明澮)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종(睿宗)ㆍ성종의 국구(國舅). 세조를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과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되었다가 후에 신원됨.
141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압독국(押督國) - 경산(慶山)
경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변진(弁辰)의 압량소국(押梁小國)을 102년(신라 파사왕 23)에 압량(押梁)이라 하였다가, 940년(태조 23)에 장산군(獐山郡)으로 고치고 충선왕(忠宣王) 때 경산(慶山)으로 개칭함.
경상도>경산 , 지명>행정지명
-
압량(押梁) - 경산(慶山)
경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변진(弁辰)의 압량소국(押梁小國)을 102년(신라 파사왕 23)에 압량(押梁)이라 하였다가, 940년(태조 23)에 장산군(獐山郡)으로 고치고 충선왕(忠宣王) 때 경산(慶山)으로 개칭함.
경상도>경산 , 지명>행정지명
-
압록수(鴨綠水)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압수(鴨水)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압하(鴨河)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압해정씨(押海丁氏) - 나주정씨(羅州丁氏)
중국 당(唐) 나라 대상(大相)으로 신라에 귀화한 정덕성(丁德盛)을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때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을 지낸 정윤종(丁允宗)을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나주 , 인명>집단>성씨
-
앙산(仰山) - 혜적(慧寂)
중국 당(唐) 나라 무종(武宗)~희종(僖宗) 때의 선승(禪僧). 위산 영우(潙山靈祐)의 제자로, 앙산(仰山)을 중심으로 법을 선양하여 위앙교(潙仰敎)를 성립시킴.
807~88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앙성(仰城) - 이여송(李如松)
중국 명(明) 나라 말기의 무신. 요동 총병(遼東總兵) 이성량(李成梁)의 맏아들로, 1592년 동정제독(東征提督)으로서 영하(寧夏)에서 일어난 발배(哱拜)의 난을 평정함. 임진왜란 때 원군으로 조선에 들어와 왜병을 격파해 전세를 역전시킴.
1549~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앙성(仰聖) - 금앙성(琴仰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로, 금원정(琴元貞)의 손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앙수(仰叟) - 백이(伯夷)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고죽군(孤竹君)의 아들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叔齊)와 더불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종친
-
앙지(仰之) - 금원군(錦原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아들. 어머니는 홍경주(洪景舟)의 딸인 희빈홍씨(熙嬪洪氏). 사옹원(司甕院)ㆍ종부시(宗簿寺) 등의 도제조를 지냄.
1513~156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앙지(仰之)@민백종 - 민백종(閔百宗)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공주진관 병마절제도위(公州鎭管兵馬節制都尉) 민흥수(閔興洙)의 아들로, 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냄. 1768년(영조 44) 야은(冶隱) 길재(吉再)의 충절과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채미정(採薇亭)을 건립함.
171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앙지(仰止) - 박은(朴訔)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조선 초기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 등을 지냄.
1370~142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애(崖) - 이애(李崖)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익산(益山). 익산부원군(益山府院君) 이공수(李公遂)의 아버지로, 감찰규정(監察糾正)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