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애(薆) - 이애(李薆)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이거이(李居易)의 아들로, 태조의 맏딸인 경신공주(慶愼公主)와 혼인함. 태종을 도와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한 공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과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3~14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애(𧪚) - 이개(李𧪚)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첫째 아들.
?~14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애강(靉江)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애공(哀公)@경애왕 - 경애왕(敬哀王)
신라 제55대 왕. 재위 924~927. 포석정(鮑石亭)에서 견훤(甄萱)의 공격을 받아 견훤의 강요에 의해 자살함.
?~92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애녀(騃女) - 직녀(織女)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여자 주인공. 견우(牽牛)와 만나느라 베 짜는 일을 게을리 한 벌로 은하수(銀河水)를 사이에 두고 헤어지게 되었는데, 칠월 칠석(七夕)에야 오작교(烏鵲橋)를 통해 한 번 만난다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애력당(愛櫟堂) - 송익지(宋益祉)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그의 당호(堂號)에 대한 제시(題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애련재(愛蓮齋) - 강신(姜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우의정을 지낸 강사상(姜士尙)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낸 강사안(姜士安)에게 출계(出系)함. 선조 때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을 평정한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43~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애로(厓老) - 유성룡(柳成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권율(權慄)ㆍ이순신(李舜臣)을 천거하여 왜란에 대비하고 군대 양성과 군비 확충에 노력함. 도학(道學)ㆍ문장(文章)ㆍ덕행(德行)ㆍ글씨로 이름을 떨쳐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음.
1542~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애문산(厓門山) - 애산(崖山)
중국 광동성(廣東省) 신회현(新會縣)의 남쪽 대해(大海) 가운데 있는 산 이름. 남송(南宋) 말기에 장세걸(張世傑)이 원(元) 나라 장수 장홍범(張弘範)에게 패하자, 육수부(陸秀夫)가 상흥제(祥興帝)를 업고 바다에 빠져 죽은 고사가 전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애산(厓山) - 애산(崖山)
중국 광동성(廣東省) 신회현(新會縣)의 남쪽 대해(大海) 가운데 있는 산 이름. 남송(南宋) 말기에 장세걸(張世傑)이 원(元) 나라 장수 장홍범(張弘範)에게 패하자, 육수부(陸秀夫)가 상흥제(祥興帝)를 업고 바다에 빠져 죽은 고사가 전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애상(厓相) - 유성룡(柳成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권율(權慄)ㆍ이순신(李舜臣)을 천거하여 왜란에 대비하고 군대 양성과 군비 확충에 노력함. 도학(道學)ㆍ문장(文章)ㆍ덕행(德行)ㆍ글씨로 이름을 떨쳐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음.
1542~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애손(愛孫) - 노애손(盧愛孫)
조선 전기의 유학. 노수신(盧守愼)의 조카. 《소재집(蘇齋集)》에 노수신이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진도(珍島)로 유배되어 있을 때 동생 노극신(盧克愼)과 어린 조카를 생각하며 지은 시(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애송당(愛松堂) - 조광익(曹光益)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자연보(朱子年譜)〉에 보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애옹(崖翁) - 홍간(洪侃)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풍산(豐山). 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나 언사(言事)로 인해 동래 현령(東萊縣令)으로 좌천됨. 시문에 능하고 시체(詩體)가 청려하여 이제현(李齊賢)ㆍ허균(許筠) 등으로부터 칭송을 받음.
?~130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애왕(哀王)@유박 - 유박(劉髆)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의 여섯째 아들. 유하(劉賀)의 아버지로, B.C.97년에 창읍왕(昌邑王)에 봉해짐.
?~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애왕(哀王) - 유양(劉襄)
중국 전한(前漢)의 제(齊) 도혜왕(悼惠王) 유비(劉肥)의 아들. 혜제(惠帝) 때 유비(劉肥)의 뒤를 이어 제왕(齊王)이 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애유식리(愛猷識理) - 소종(昭宗)@북원
중국 북원(北元)의 제2대 황제. 재위 1370~1378. 원(元) 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순제(順帝)와 고려 출신인 기황후(奇皇后)의 소생. 주원장(朱元璋)에게 원이 함락되자 아버지 순제와 함께 몽고(蒙古) 지방으로 도주하여 북원을 세우고, 순제가 죽자 시호를 혜제(惠帝)로 고치고 2대 황제로 즉위함.
1339~137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애유식리달랍(愛猷識理達臘) - 소종(昭宗)@북원
중국 북원(北元)의 제2대 황제. 재위 1370~1378. 원(元) 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순제(順帝)와 고려 출신인 기황후(奇皇后)의 소생. 주원장(朱元璋)에게 원이 함락되자 아버지 순제와 함께 몽고(蒙古) 지방으로 도주하여 북원을 세우고, 순제가 죽자 시호를 혜제(惠帝)로 고치고 2대 황제로 즉위함.
1339~137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애육려발력팔달(愛育黎拔力八達) - 인종(仁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8대 황제. 재위 1311~1320. 문예정책에 힘을 기울이고, 중국인과 몽골인 간의 관직을 평등하게 분배함.
1286~1320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애일당(愛日堂) - 정분(鄭苯)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토목에 조예가 깊어 궁궐 조성과 축성, 현릉(顯陵) 조성 등을 감독함. 우의정에 재직 중 계유정난(癸酉靖難)이 일어나 낙안(樂安)에 안치되어 관노(官奴)가 되었다가 사사(賜死)됨.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애장집(豫章集) - 예장황선생문집(豫章黃先生文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ㆍ화가인 황정견(黃庭堅)의 저서. 3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애주사(艾主事) - 애유신(艾維新)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호부 주사(戶部主事)로 종군(從軍)하여 군량(軍糧)을 관리함. 군량 운송의 기일을 지키지 못한 검찰사(檢察使) 김응남(金應南)과 의주 부윤(義州府尹) 황진(黃璡) 등에게 장형(杖刑)을 가했다는 기록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애지(愛之) - 우인손(禹仁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을 지낸 우상(禹鏛)의 아버지로,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무신
-
애탄(愛灘) - 임현(任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인.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 부사(南原府使)가 되어 명(明) 나라 장수 양원(楊元)과 함께 성을 수비하였는데 양원은 도중에 도망하고 홀로 분전하다가 전사함.
1549~159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애호강(愛滹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애황(哀皇) - 애제(哀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제10대 황제. 재위 362~365. 성제(成帝) 사마연(司馬衍)의 아들로 25세의 젊은 나이로 병사함.
340~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액봉(額蓬) - 파주(坡州)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398년(태조 7) 서원(瑞原)ㆍ파평(坡平)을 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고, 1460년(세조 6)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
경기도>파주 , 지명>행정지명
-
앵도(櫻桃)@번소 - 번소(樊素)
중국 당(唐) 나라 때의 기생.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가기(家妓)로, 노래를 잘하였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기술인>기생
-
앵앵(鶯鶯) - 최앵앵(崔鶯鶯)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인물. 최붕(崔鵬)의 딸로, 원진(元稹)이 지은 《앵앵전(鶯鶯傳)》의 여자 주인공.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앵앵(鸎鸎) - 최앵앵(崔鶯鶯)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인물. 최붕(崔鵬)의 딸로, 원진(元稹)이 지은 《앵앵전(鶯鶯傳)》의 여자 주인공.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앵앵전(鸎鸎傳) - 앵앵전(鶯鶯傳)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 원진(元稹)이 지은 전기 소설(傳奇小說). 1권. 재상의 딸 최앵앵(崔鸎鸎)과 백면서생 장서(張瑞)와의 사랑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원(元) 나라 때의 잡극(雜劇)인 《서상기(西廂記)》의 소재가 됨.
800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야(埜) - 조야(趙埜)
조선 영조(英祖) 때의 유학.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인 조려(趙旅)의 《어계집(漁溪集)》 간행에 참여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유학
-
야계(倻溪) - 송희규(宋希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야로(冶爐). 이언적(李彦迪)과 교유하였으며, 윤임(尹任)을 옹호하고 윤원형(尹元衡)의 전횡을 탄핵하였음.
1494~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야계(耶溪) - 약야계(若耶溪)
중국 절강성(浙江省) 소흥현(紹興縣)에 있는 하천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야계산옹(倻溪散翁) - 송희규(宋希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야로(冶爐). 이언적(李彦迪)과 교유하였으며, 윤임(尹任)을 옹호하고 윤원형(尹元衡)의 전횡을 탄핵하였음.
1494~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야계선생문집(倻溪先生文集) - 야계집(倻溪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송희규(宋希奎)의 시문집. 1816년(순조 16)에 문집이 처음 완성되었으며, 정종로(鄭宗魯)의 서문(序文)이 있음.
181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야국(倻國) - 고령(高靈)
경상북도 남서단에 있는 고을 이름. 대가야(大伽倻)의 옛 도읍지.
경상도>고령 , 지명>행정지명
-
야국(耶國) - 가야(伽倻)
기원(紀元)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洛東江)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總稱). 562년에 대가야(大伽倻)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
?~562 한국>가야 , 시간>국명
-
야금(倻琴) - 가야금(伽倻琴)
우리나라 대표적 고유 현악기(絃樂器)의 하나. 우륵(于勒)이 처음 만들었다고 하며, 오동나무 공명통(共鳴筒) 위에 열두 줄의 명주실을 매고 손가락으로 뜯어 연주함.
한국>가야 , 물품>기타용품>악기
-
야금(耶琴) - 가야금(伽倻琴)
우리나라 대표적 고유 현악기(絃樂器)의 하나. 우륵(于勒)이 처음 만들었다고 하며, 오동나무 공명통(共鳴筒) 위에 열두 줄의 명주실을 매고 손가락으로 뜯어 연주함.
한국>가야 , 물품>기타용품>악기
-
야당(埜堂)@허금 - 허금(許錦)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지신사(知申事)를 지낸 허경(許絅)의 아들. 이인복(李仁復)의 문하에서 급제하여 예의 정랑(禮儀正郞)ㆍ전리 판서(典理判書) 등을 지내고, 우왕 옹립에 반대함.
1340~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야로(冶老)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야로(埜老) - 지엄(智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승려. 1491년(성종 22) 여진(女眞)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 출가하여 불도를 닦아 불교계의 종사(宗師)가 됨. 문인 영관(靈觀)ㆍ원오(圓悟) 등에게 대승경론(大乘經論) 등을 강의하였음.
1464~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종교인>승려
-
야로(野老)@지엄 - 지엄(智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승려. 1491년(성종 22) 여진(女眞)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 출가하여 불도를 닦아 불교계의 종사(宗師)가 됨. 문인 영관(靈觀)ㆍ원오(圓悟) 등에게 대승경론(大乘經論) 등을 강의하였음.
1464~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종교인>승려
-
야로(野老) - 이순(李淳)@153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철성(鐵城). 이언명(李彦明)의 아들이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모장(召募將)으로 의병을 모집하여 왜적과 싸움.
1530~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
-
야로당(野老堂) - 이순(李淳)@153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철성(鐵城). 이언명(李彦明)의 아들이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모장(召募將)으로 의병을 모집하여 왜적과 싸움.
1530~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
-
야매잠(夜寐箴) -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중국 송(宋) 나라의 진백(陳栢)이 스스로를 경계하기 위해 지은 글. 208자(字)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희(朱熹)의 〈경재잠(敬齋箴)〉과 서로 표리(表裏)를 이룸.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야별초(夜別抄) - 삼별초(三別抄)
고려 무신정권(武臣政權) 때의 특수 군대. 최씨 정권(崔氏政權)의 사병(私兵)으로, 좌별초(左別抄)ㆍ우별초(右別抄)ㆍ신의군(神義軍)의 3개 별초군(別抄軍)을 말하며, 경찰ㆍ전투 임무를 수행함. 무신정권의 전위(前衛)로서 몽고와의 항전을 전개함.
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야산(倻山) - 가야산(伽倻山)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 사이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야산(耶山) - 가야산(伽倻山)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 사이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야산(野山) - 여산(礪山)
전라도 익산(益山)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정종(定宗) 때 여량(礪良)과 낭산(朗山)의 이름을 합쳐 여산이라 칭했고, 세종(世宗) 때 군(郡)으로 승격함.
전라도>여산 , 지명>행정지명
-
야속진(也速眞) - 의비(懿妃)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의 제2비. 원(元) 나라 사람이며, 제27대 충숙왕(忠肅王)의 어머니.
?~1316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야손철목아(也孫鐵木兒) - 태정제(泰定帝)
중국 원(元) 나라의 황제. 재위 1323~1328. 무종(武宗)의 종형(從兄)으로, 영종(英宗)이 시해된 후에 옹립되었으나, 재위 기간 중 불사(佛事)를 빈번하게 일으키고, 사회적 모순을 더욱 심화시킴.
1293~1328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야수(野叟)@정문형 - 정문형(鄭文炯)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개국공신 정진(鄭津)의 손자이며 정숙지(鄭叔墀)의 아버지. 1447년(세종 2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오도 관찰사(五道觀察使)ㆍ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1455년(세조 1)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녹훈됨.
1427~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야수(野叟) - 고용현(高用賢)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고경(高慶)의 아들로,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과 교유하였음.
1302~136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야순(野淳) - 이야순(李野淳)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상정(李象靖)ㆍ김종덕(金宗德)의 문하에서 이황(李滉)의 성리학을 전습(傳習)하였으며,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었음.
1755~18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학자
-
야시매(也尸買) - 낭천(狼川)
강원도 화천(華川)에 있는 옛 고을 이름.
강원도>낭천 , 지명>행정지명
-
야악(倻岳) - 가야산(伽倻山)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 사이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야옹(冶翁)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야옹(野翁)@권의 - 권의(權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명종(明宗)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형.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1475~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야옹(野翁) - 전상인(田上人)
조선 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雲谷行錄)》에 〈서야옹전상인권(書野翁田上人卷)〉이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야옹정(野翁亭) - 신잠(申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오랜 기간 유배되었음.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는데, 묵죽(墨竹)에 특히 뛰어났다고 함.
1491~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야왕(野王)@고야왕 - 고야왕(顧野王)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ㆍ진(陳)의 문신ㆍ학자. 천문(天文)ㆍ복서(卜書)ㆍ기자(奇字)에 능통하여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그 가운데 《옥편(玉篇)》이 유명함.
519~58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야왕(野王) - 환이(桓伊)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음악가. 강주 자사(江州刺史)를 지내고, 음악의 이치에 통달하여 젓대를 잘 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야운(野雲) - 각우(覺牛)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나옹(懶翁)의 대표적인 제자로, 동문인 각웅(覺雄)과 중국에 들어가 구법활동을 함. 그의 저서 《자경문(自警文)》은 승려가 반드시 공부해야 하는 필독서가 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야운관물(野雲觀物) - 민기(閔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당대의 문장가로서 이름이 높았음.
1504~156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야율(耶律) - 요(遼)
916년 거란족(契丹族)인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가 세운 중국의 정복 왕조. 9대 210년간 존속.
916~1125 중국>요 , 중국 , 시간>국명
-
야은(冶隱)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야은(埜隱) - 전녹생(田祿生)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벼슬이 문하평리(門下評理)에 이르렀으며,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지공거(知貢擧) 이색(李穡)과 함께 진사를 선발하기도 함.
1318~13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야은(壄隱) - 전녹생(田祿生)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벼슬이 문하평리(門下評理)에 이르렀으며,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지공거(知貢擧) 이색(李穡)과 함께 진사를 선발하기도 함.
1318~13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야은(野隱)@송시영 - 송시영(宋時榮)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상의원 주부(尙衣院主簿) 등을 지냄. 정묘호란 때 왕을 보필하였으며,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로 갔다가 성이 포위당해 이시직(李時稷) 등과 함께 자결함. 영동(永同) 초강서원(草江書院) 등에 배향됨.
1588~163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야은(野隱) - 이영우(李永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별시위(別侍衛)를 지낸 이귀(李龜)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야은선생언행록(冶隱先生言行錄) - 야은집(冶隱集)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길재(吉再)의 시문집. 문인 박서생(朴瑞生)이 초간하였다고 하나 전하지 않고, 1573년(선조 6) 길재의 5대손 길회(吉誨)가 《야은선생행록(冶隱先生行錄)》을 간행한 이후 속집 등이 다양하게 복간됨.
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문헌>서명
-
야은선생언행습유(冶隱先生言行拾遺) - 야은집(冶隱集)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길재(吉再)의 시문집. 문인 박서생(朴瑞生)이 초간하였다고 하나 전하지 않고, 1573년(선조 6) 길재의 5대손 길회(吉誨)가 《야은선생행록(冶隱先生行錄)》을 간행한 이후 속집 등이 다양하게 복간됨.
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문헌>서명
-
야은선생일고(壄隱先生逸稿) - 야은일고(壄隱逸稿)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전녹생(田祿生)의 문집. 6권 2책. 목판본. 초간본(初刊本)은 1738년(영조 14) 후손 전일상(田日祥)이 경상도 칠곡(漆谷) 송림사(松林寺)에서 간행함.
17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야은자(冶隱子)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야자(冶子) - 구야자(歐冶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검(劍)을 만든 장인(匠人). 월왕(越王)을 위해 거궐(巨闕)ㆍ담로(湛盧)ㆍ승사(勝邪)ㆍ어장(魚腸)ㆍ순구(純鉤)의 5검을 만들고, 초왕(楚王)을 위해 용연(龍淵)ㆍ태아(太阿)ㆍ공포(工布)의 3검을 만듦.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야자홀(也恣忽) - 금성(金城)
강원도 철원(鐵原)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파산(慶把山)ㆍ적산(赤山) 등의 산과, 보리진(菩提津)ㆍ다경진(多慶津) 등의 나루가 있음.
강원도>금성 , 지명>행정지명
-
야장(冶長) - 공야장(公冶長)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이며 사위. 그에 대한 일화가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 편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야졸(夜卒) - 삼별초(三別抄)
고려 무신정권(武臣政權) 때의 특수 군대. 최씨 정권(崔氏政權)의 사병(私兵)으로, 좌별초(左別抄)ㆍ우별초(右別抄)ㆍ신의군(神義軍)의 3개 별초군(別抄軍)을 말하며, 경찰ㆍ전투 임무를 수행함. 무신정권의 전위(前衛)로서 몽고와의 항전을 전개함.
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야주(耶州) - 합천(陜川)
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합천군(陜川郡)ㆍ초계군(草溪郡)ㆍ삼가현(三嘉縣)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 해인사(海印寺)ㆍ영암사지(靈巖寺址)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
경상도>합천 , 지명>행정지명
-
야차홀(也次忽) - 금성(金城)
강원도 철원(鐵原)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파산(慶把山)ㆍ적산(赤山) 등의 산과, 보리진(菩提津)ㆍ다경진(多慶津) 등의 나루가 있음.
강원도>금성 , 지명>행정지명
-
야천(冶川) - 박소(朴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조광조 등 신진사류(新進士類)와 더불어 왕도정치(王道政治) 구현을 위하여 힘씀.
1493~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약(瀹) - 홍약(洪瀹)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역임하였으며, 태자부 참군(太子府參軍)으로 남경(南京)에 있을 때 고려에서 온 유연(柳衍)을 도와 경적(經籍) 1만여 권을 사게 하였으며, 또 원(元) 나라에 주청하여 많은 서적을 고려에 주게 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약(瀹)@유약 - 유약(柳瀹)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자신(子新) 유종덕(柳種德)의 장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약(躍) - 김약(金躍)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형조 정랑(刑曹正郞) 김계보(金季甫)의 아버지로, 능성 현령(綾城縣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약^도(略^韜) - 도^약(韜^略)
중국 주(周) 나라의 신하인 여상(呂尙)이 지었다는 《육도(六韜)》와, 진(秦) 나라 말의 병법가(兵法家) 황석공(黃石公)이 지었다는 《삼략(三略)》을 함께 부르는 말. 병법(兵法) 또는 병서(兵書)를 가리킴.
중국>진ㅣ중국>주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약균(若鈞) - 김약균(金若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선공시 판사(繕工寺判事)를 지낸 김원석(金元石)의 아들로, 선천 군수(行宣川郡守)ㆍ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약능(若能) - 상득용(尙得容)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목천(木川). 장단(長湍) 출신. 영의정 상진(尙震)의 후손이며, 상동기(尙東耆)의 아들로, 화량진 첨사(花梁鎭僉使) 등을 지냄. 병서와 경사(經史)에 밝고, 천문ㆍ주수(籌數)에 능하였으며, 저서로 《성루합편(星漏合編)》등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장단 , 인명>관인>무신
-
약란(若蘭) - 소혜(蘇蕙)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전진(前秦) 부견(符堅) 때의 열녀. 연파장군(連波將軍)을 지낸 두도(竇滔)의 아내로 두도가 죄를 입어 귀양가자, 남편을 그리워한 나머지 비단을 짜서 회문선도(回文旋圖)를 만들어 시(詩)를 써 보내주었다는 고사가 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열녀
-
약로(藥盧) - 서천왕(西川王)
고구려의 제13대 왕. 재위 270~292. 중천왕(中川王)의 둘째 아들로, 숙신(肅愼)이 침략하자 격퇴하고 단로성(檀盧城) 등 여러 성을 빼앗았으며, 동생 일우(逸友)ㆍ소발(素勃) 등이 반란을 도모하자 주살함.
?~292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약로(藥老) - 이해수(李海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건저 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종성(鐘城)으로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함.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내고, 시와 예서에 뛰어남.
1536~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약묵(若默) - 김약묵(金若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진(康津). 학문이 뛰어났으며 전라도 태인(泰仁)의 무성서원(武城書院)에 배향됨. 《하서전집(河西全集)》에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500~155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약봉(藥峯)@김극일 - 김극일(金克一)@1522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진(金璡)의 아들이고 김성일(金誠一)의 형.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성주 목사(星州牧使)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1522~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약봉(藥峯) - 서성(徐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으나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 후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호종함.
1558~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약봉(藥峰) - 이탁(李鐸)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의(全義). 《중종실록(中宗實錄)》과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덕이 많고 청렴한 인물로 이름이 높았으며, 권신 이기(李芑)를 탄핵함.
1509~157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약봉집(藥峯集) - 약봉유고(藥峯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서성(徐渻)의 시문집. 초간본(初刊本)은 1705년(숙종 31) 저자의 증손인 서문유(徐文裕)가 전라도 전주(全州)에서 목판으로 간행함.
170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약빙(若氷) - 이약빙(李若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함창 현감(咸昌縣監)을 지낸 이자(李滋)의 아들. 1514년(중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산 군수(韓山郡守)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7년(명종 2) 양재역(良才驛) 벽서(壁書)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8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약사(藥師) - 약사불(藥師佛)
열두 가지 대원(大願)을 세워 중생을 모든 병고(病苦)에서 구하고, 무명(無名)의 고질까지도 치유하여 깨달음을 인도하는 부처. 통일신라시대부터 신앙의 대상으로 크게 성하여 석가모니불ㆍ아미타불ㆍ미륵불과 함께 가장 널리 신봉되는 부처의 하나.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약사(藥師)@이정 - 이정(李靖)@당
중국 수(隋) 말~당(唐) 초의 명장. 처음에는 수 나라를 섬겼으나, 당 나라 태종(太宗) 때 행군총관(行軍總管)이 되어 돌궐(突厥) 등 서역(西域)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움.
571~649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