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약사사(藥師寺) - 약사암(藥師庵)
통일신라 때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라도 광산(光山)의 무등산(無等山)에 있는 사찰. 철감선사(澈鑑禪師) 도윤(道允)이 증심사(證心寺)를 창건하기 위해 지었다 하며, 지금의 광주광역시(光州光域市)에 속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찰
-
약사여래(藥師如來) - 약사불(藥師佛)
열두 가지 대원(大願)을 세워 중생을 모든 병고(病苦)에서 구하고, 무명(無名)의 고질까지도 치유하여 깨달음을 인도하는 부처. 통일신라시대부터 신앙의 대상으로 크게 성하여 석가모니불ㆍ아미타불ㆍ미륵불과 함께 가장 널리 신봉되는 부처의 하나.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약사유리광여래(藥師瑠璃光如來) - 약사불(藥師佛)
열두 가지 대원(大願)을 세워 중생을 모든 병고(病苦)에서 구하고, 무명(無名)의 고질까지도 치유하여 깨달음을 인도하는 부처. 통일신라시대부터 신앙의 대상으로 크게 성하여 석가모니불ㆍ아미타불ㆍ미륵불과 함께 가장 널리 신봉되는 부처의 하나.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약산(藥山) - 오광운(吳光運)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오상순(吳尙純)의 아들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 하에서 정치적 지도자로서 활약하며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689~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약수(若水) - 황보항(皇甫抗)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영천(永川). 죽림고회(竹林高會) 7인 중의 한 명으로, 1176년(명종 6) 승보시(升補試)에 수석으로 급제하였으나 중원 서기(中原書記)에 머무름. 악장(樂章)에 능하였다 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문인
-
약수(若水)@조선 - 이약수(李若水)@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자(李滋)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가 유배되자 소두(疏頭)로서 항소하였다가 투옥됨. 평해(平海)로 유배되었다가 예산(禮山)으로 이배되어 죽음.
1486~153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학자
-
약수(若水)@전약수 - 전약수(錢若水)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냈으나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은퇴하여 명철보신(明哲保身)함.
960~100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약수(若水)@송 - 이약수(李若水)@송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흠종(欽宗) 때의 문신. 이부 시랑(吏部侍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강(靖康)의 변(變) 때 금군(金軍)에 포로로 끌려간 흠종을 보호하다가 피살됨.
1093~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약수(若水)@담약수 - 담약수(湛若水)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양명학(陽明學)을 이룩한 왕수인(王守仁)의 도우(道友). 진헌장(縝獻章)의 영향을 받아, 치양지설(致良知說)을 내세우는 왕수인(王守仁)과 논난(論難)하여 양보하는 일이 없었음.
1466~156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약수(若洙) - 김약수(金若洙)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조선 말의 학자이며 의병장인 김도화(金道和)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약수(藥水) - 정백붕(鄭百朋)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 정탁(鄭鐸)의 아들이며, 우의정 정순붕(鄭順朋)의 형으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약시(若時) - 김약시(金若時)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진현관 직제학(進賢館直提學)에 이르렀으나, 고려가 망하자 광주(廣州) 산골에 은거함. 두문동 칠십이현(七十二賢)의 한 사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약양군공(略陽郡公) - 이도종(李道宗)
중국 당(唐) 나라의 종친. 고조(高祖)의 당질(堂侄)로, 17세부터 태종(太宗) 이세민(李世民)을 도와 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태상경(太常卿) 등을 역임함.
600~65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약온(若溫) - 김약온(金若溫)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양감(金良鑑)의 아들로, 이자겸(李資謙)과 인척이면서도 가까이하지 않음. 벼슬이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름.
1059~114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약옹(弱翁) - 위상(魏相)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선제 때 곽광(霍光)이 죽은 후 그 아들과 조카 등 곽씨(霍氏)가 전횡하자 권력을 축소할 것을 건의하였으며, 승상(丞相)이 된 후 병길(丙吉)과 함께 국정을 보좌함.
?~B.C.5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약옹(藥翁)@김극일 - 김극일(金克一)@1522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진(金璡)의 아들이고 김성일(金誠一)의 형.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성주 목사(星州牧使)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1522~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약옹(藥翁) - 이해수(李海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건저 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종성(鐘城)으로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함.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내고, 시와 예서에 뛰어남.
1536~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약왕(藥王) - 약사불(藥師佛)
열두 가지 대원(大願)을 세워 중생을 모든 병고(病苦)에서 구하고, 무명(無名)의 고질까지도 치유하여 깨달음을 인도하는 부처. 통일신라시대부터 신앙의 대상으로 크게 성하여 석가모니불ㆍ아미타불ㆍ미륵불과 함께 가장 널리 신봉되는 부처의 하나.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약용(若庸) - 정약용(程若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로 《성리자훈강의(性理字訓講義)》ㆍ《태극홍범도설(太極洪範圖說)》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약용(若鏞) - 정약용(丁若鏞)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형원(柳馨遠)ㆍ이익(李瀷)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實學)을 집대성함. 주자(朱子) 성리학(性理學)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
1762~18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약우(若友) - 서천왕(西川王)
고구려의 제13대 왕. 재위 270~292. 중천왕(中川王)의 둘째 아들로, 숙신(肅愼)이 침략하자 격퇴하고 단로성(檀盧城) 등 여러 성을 빼앗았으며, 동생 일우(逸友)ㆍ소발(素勃) 등이 반란을 도모하자 주살함.
?~292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약우(若愚) - 안약우(顔若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진덕수(眞德秀)의 제자로, 《심경(心經)》에 찬주(贊註)를 달아 1234년 천주(泉州)에서 간행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약이(約而) - 소세검(蘇世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쌍봉유고(雙峰遺稿)》를 저술함.
1483~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약이(約而)@윤선도 - 윤선도(尹善道)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ㆍ시인. 남인(南人)의 거두로, 치열한 당쟁 속에서 일생을 유배지에서 보냄. 경사(經史)에 해박하고 특히 시조(時調)에 뛰어나, 정철(鄭澈)ㆍ박인로(朴仁老)와 더불어 ‘조선삼대시가인(朝鮮三大詩歌人)’으로 불림.
1587~167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해남ㅣ전라도>영암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약재(約齋) - 이숙(李塾)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학사(學士) 이도(李燾)의 아들이며, 남헌(南軒) 장식(張栻)의 문인(門人).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약재(約齋)@장표 - 장표(張杓)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장식(張栻)의 아우이며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주희가 연로하여 병들었을 때 그를 면려(勉勵)하는 말을 직접 남겼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약재(若齋) - 김구용(金九容)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우왕 때 삼사 좌윤(三司左尹)으로 이숭인(李崇仁)ㆍ정도전(鄭道傳) 등과 북원(北元)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竹州)로 귀양 감. 사장(詞章)에 뛰어나고, 특히 시(詩)로 유명함.
1338~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약전(若銓) - 정약전(丁若銓)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진주 목사(晉州牧使) 정재원(丁載遠)의 아들이며 정약용(丁若鏞)의 형으로, 신유사옥(辛酉邪獄) 때 흑산도(黑山島)로 유배되어 《자산어보(玆山魚譜)》를 지음.
1758~18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약지(約之) - 김방(金放)
조선 전기의 유학. 유방선(柳方善)과 교유하여, 그의 문집인 《태재집(泰齋集)》에 관련 시편(詩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약지(約之)@주박 - 주박(周博)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주세붕(周世鵬)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인. 문장이 뛰어나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했으며, 칠원(漆原)의 덕연서원(德淵書院) 별사(別祠)에 제향됨.
1524~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약채(若采) - 김약채(金若采)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광성군(光城君) 김정(金鼎)의 아들. 1400년(정종 2) 사병을 없애고 병권을 중앙에 집중시키자고 역설하여 단행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연산 , 인명>관인>문신
-
약천(若天)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약천(若天)@이응성 - 이응성(李應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공달(李公達)의 아들이며 이제신(李濟臣)의 백부(伯父)로, 찰방(察訪)을 지냄.
1497~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약천(藥泉) - 남구만(南九萬)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숙종 때 정치운영의 중심에 있으면서 소론(少論)의 영수로 지목됨. 문집으로 《약천집(藥泉集)》있음.
1629~17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약충(若沖) - 이자연(李子淵)
고려 현종(顯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이한(李翰)의 아들로, 세 딸이 모두 문종의 비(妃)가 됨으로써 세력을 장악함.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내고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종의 묘정에 배향됨.
1003~106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약평(若枰) - 김약평(金若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참판(參判) 김희열(金希說)의 아버지로, 목천 현감(木川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약포(藥圃)@정탁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약포(藥圃) - 이해수(李海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건저 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종성(鐘城)으로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함.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내고, 시와 예서에 뛰어남.
1536~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약포노부(藥圃老夫)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약포병부(藥圃病夫)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약포상공(藥圃相公)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약포선(藥圃仙) - 이해수(李海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건저 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종성(鐘城)으로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함.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내고, 시와 예서에 뛰어남.
1536~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약포선생문집(藥圃先生文集) - 약포집(藥圃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탁(鄭琢)의 시문집. 원집(原集)은 5대손 정옥(鄭玉)이 1760년(영조 36)에 해주(海州)에서 목판으로 7권 4책을 초간(初刊)하였으며, 속집(續集)은 후손 정광익(鄭光翊)이 1818년(순조 18) 도정서원(道正書院)에서 목판으로 4권 2책을 초간함.
176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서명
-
약포선생속집(藥圃先生續集) - 약포집(藥圃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탁(鄭琢)의 시문집. 원집(原集)은 5대손 정옥(鄭玉)이 1760년(영조 36)에 해주(海州)에서 목판으로 7권 4책을 초간(初刊)하였으며, 속집(續集)은 후손 정광익(鄭光翊)이 1818년(순조 18) 도정서원(道正書院)에서 목판으로 4권 2책을 초간함.
176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서명
-
약포선생유고(藥圃先生遺稿) - 약포유고(藥圃遺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해수(李海壽)의 문집. 7권 3책. 목판본. 저자의 외6대손인 조영세(趙榮世)가 안동 부사(安東府使)로 있을 때 간행함. 이재(李縡)의 서문이 있음.
17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약포유고(藥圃遺稾) - 약포유고(藥圃遺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해수(李海壽)의 문집. 7권 3책. 목판본. 저자의 외6대손인 조영세(趙榮世)가 안동 부사(安東府使)로 있을 때 간행함. 이재(李縡)의 서문이 있음.
17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약포집(藥圃集)@이해수 - 약포유고(藥圃遺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해수(李海壽)의 문집. 7권 3책. 목판본. 저자의 외6대손인 조영세(趙榮世)가 안동 부사(安東府使)로 있을 때 간행함. 이재(李縡)의 서문이 있음.
17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약항(若恒) - 김약항(金若恒)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명 나라에 보낸 표전(表箋)으로 인해 명 나라에 불려가 억류되었으며, 후에 다른 일로 양자강(揚子江)으로 귀양가 사망함.
?~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약해(若海)@호약해 - 호약해(胡若海)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문신. 당시 군웅(群雄)의 한 사람이던 방국진(方國珍)이 명주 사도(明州司徒)로 있을 적에 그의 사신이 되어 공민왕(恭愍王) 때 고려에 옴.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약해(若海) - 고약해(高若海)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대사헌(大司憲)ㆍ형조 참판(刑曹參判)ㆍ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지냄.
1377~14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약해(若海)@이약해 - 이약해(李若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직제학(直提學) 등을 지냈으나,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이 정권을 잡은 후 나주 목사(羅州牧使)로 좌천되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임(尹任)의 일파로 몰려 사사(賜死)됨.
1498~154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약허(若虛) - 김약허(金若虛)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강진(康津)으로, 생원 김희윤(金希尹)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문사>유학
-
약헌(若軒) - 백이정(白頤正)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ㆍ학자. 충선왕(忠宣王)을 따라 연경(燕京)에 머물면서 중국 성리학을 연구하고 정주(程朱)의 서적을 가져오는 등 고려 성리학 발전에 크게 공헌함.
1247~132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약회(若晦) - 김약회(金若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강진(康津)으로, 생원 김희윤(金希尹)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전라도 태인(泰仁)에 한정(閑亭)을 짓고 살면서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문사>유학
-
양(亮) - 사마량(司馬亮)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 혜제(惠帝) 때의 왕족. 선제(宣帝) 사마의(司馬懿)의 아들로 태재(太宰) 등을 지냈으나, 혜제의 황후 가씨(賈氏)에게 죽임을 당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양(亮)@유량 - 유량(庾亮)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명제(明帝)의 비(妃)인 명목유황후(明穆庾皇后)의 오빠로, 조카인 성제(成帝) 때 권력을 휘둘러 비난을 받음.
289~34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양(亮)@이량 - 이량(李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평창(平昌). 익평(翼平) 이계남(李季男)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4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양(亮)@허량 - 허량(許亮)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보(許輔)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년)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도사(都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양(亮)@제갈량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壤) - 유양(柳壤)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청천부원군(菁川府院君) 유순정(柳順汀)의 아버지로, 밀양도호부사(密陽都護府使)ㆍ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양(揚) - 구양(具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구성로(具成老)의 아들이며 구치홍(具致洪)ㆍ구치관(具致寬)의 아버지. 공주 목사(公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양(揚)@이양 - 이양(李揚)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인범(李仁範)의 아들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양(樑) - 이량(李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5세손이며, 정사룡(鄭士龍)의 문인. 윤원형(尹元衡)을 견제하기 위해 등용되었으나 전횡을 일삼고, 사림(士林)을 숙청하려던 계획이 발각되어 강계(江界)로 유배된 후 죽음.
1519~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양(瀁) - 정양(鄭瀁)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연일(延日)로, 정종명(鄭宗溟)의 아들. 간성 군수(杆城郡守) 등을 지내고, 홍석(洪錫) 등과 교유하며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저서로 《어록해(語錄解)》ㆍ《포옹집(抱翁集)》 등이 있음.
1600~16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양(瀁)@최양 - 최양(崔瀁)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낸 최지(崔贄)의 아들. 외삼촌인 정몽주(鄭夢周)에게 수학하고 문하찬성사를 지냈으며, 고려가 망하자 전주(全州)에 은거함.
1351~142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양(煬) - 후주(後主)@남북조(陳)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제5대 국왕. 재위 582~589. 선제(宣帝)의 장자로 주색(酒色)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고, 수(隋) 나라의 군사가 쳐들어와도 음악과 시문을 지으며 노닐다 수 나라의 장수 한금호(韓擒虎)에게 잡힘.
?~58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穰) - 이양(李穰)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무신ㆍ종친. 태조(太祖)의 서제(庶弟)인 의안대군(義安大君) 이화(李和)의 손자이며, 완천군(完川君) 이숙(李淑)의 아들로,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황보인(皇甫仁) 등과 함께 피살됨.
?~14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양(良) - 이량(李良)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함풍(咸豐). 함성군(咸城君) 이종생(李從生)의 아들로, 충청도 수군절도사(忠淸道水軍節度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무신
-
양(諒) - 이량(李諒)
고려 후기의 문신.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최선(崔詵)의 장인으로, 중서 사인(中書舍人)을 지냄.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최선을 대신해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양(讓) - 박양(朴讓)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1516년(중종 1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양(陽) - 김양(金陽)
통일신라의 왕족. 839년(민애왕 2) 김우징(金佑徵)ㆍ장보고(張保皐) 등과 함께 민애왕(閔哀王)을 시해하고 김우징을 신무왕(神武王)으로 추대함.
808~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양^여(楊^呂) - 여^양(呂^楊)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양시(楊時)와 여조겸(呂祖謙)을 함께 부르는 말. 송대 성리학의 발전에 기여한 두 학자를 말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양^왕(楊^王) - 왕^양(王^楊)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왕발(王勃)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양형(楊炯)을 함께 부르는 말. 초당사걸(初唐四傑)에 속하는 인물들로, 시문(詩文)으로 명성을 떨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양가(楊家) - 수(隋)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에 이어지는 통일 왕조. 양견(楊堅)이 북주(北周)의 정제(靜帝)로부터 양위를 받아 건국하였으며, 3대 38년간 존속.
581~618 중국>수 , 중국 , 시간>국명
-
양가(羊家) - 양권(羊權)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도사. 양침(羊忱)의 아들로, 모산(茅山)에 거처하면서 도(道)를 터득함. 구의산(九嶷山)의 선녀가 그에게 신선술(神仙術)과 환약(丸藥) 등을 주고 갔다는 일화가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양간(良簡)@이수남 - 이수남(李壽男)@이함장의아들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조 참판 이함장(李諴長)의 아들.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고, 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온 뒤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가 되었으나 과음하여 32세로 요절함.
1439~147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간(良簡)@황여헌 - 황여헌(黃汝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장수(長水).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으로,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낸 황관(黃瓘)의 아들이며 황맹현(黃孟獻)의 아우. 문장과 글씨에 능하며, 〈죽지사(竹枝詞)〉라는 작품은 명(明) 나라에서도 격찬을 받음.
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양간(良簡)@김련 - 김련(金璉)@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사원(金士元)의 아버지.
1215~12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양간(良簡)@이천선 - 이천선(李千善)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참지중서정사(參知中書政事)를 지냈으며, 기철(奇轍)ㆍ권겸(權謙) 등이 주살된 사실을 원(元) 나라에 보고한 공으로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수사공(守司空) 주국(柱國)이 되어 낙안백(樂安伯)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양간(良簡)@원창명 - 원창명(元昌命)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를 지낸 원상(元庠)의 아들.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냈으며, 세종(世宗) 때 숭불정책(崇佛政策)을 배척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양간(良簡) - 김승택(金承澤)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상락후(上洛侯) 김방경(金方慶)의 손자.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한 공로로 이등공신에 봉해지고, 공민왕 때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치사(致仕)함.
?~135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양간(襄簡)@신전 - 신전(愼詮)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신이충(愼以衷)의 아들. 1429년(세종 11) 식년(式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양간(襄簡) - 윤희평(尹熙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윤길생(尹吉生)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왜적 토벌에 활약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69~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간(襄簡)@이서장 - 이서장(李恕長)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한성부윤(漢城府尹) 이사관(李士寬)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 토벌에 참여하여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23~148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간(襄簡)@이세응 - 이세응(李世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으로,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 이계통(李季通)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평안도 관찰사 등을 지냄.
147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간(讓簡) - 문인걸(文仁傑)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장간공(章簡公) 문성화(文聖和)의 아들. 국자감 사업(國子監司業)ㆍ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며, 조정이 권신들에게 좌지우지되자 사직하고 가솔을 거느리고 지리산에 은거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양간(良簡) - 윤안숙(尹安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보(尹珤)의 넷째 아들로, 충숙왕(忠肅王)과 충정왕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감(羊敢) - 공양감(公羊敢)
중국 전한(前漢) 때의 학자. 가학(家學)으로 내려오던 공양고(公羊高)의 《춘추(春秋)》에 대한 전술(傳述)을 아버지 공양지(公羊地)에게 이어받아 아들 공양수(公羊壽)에게 전수함. 후대에《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으로 완성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양감(良鑑) - 김양감(金良鑑)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자겸(李資謙)과 인척이면서도 정의를 지킴.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수록된 〈가락국기(駕洛國記)〉의 저자라고 전하기도 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관인>문신
-
양강(楊江) - 양자강(揚子江)
중국 대륙 서쪽에서 동쪽으로 중앙부를 횡단하는 중국에서 가장 긴 강. 청해성(靑海省) 서부에서 발원하여 깊은 협곡을 이루며 흘러 장강(長江)이라고도 부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양거제(楊巨濟)@양거원 - 양거원(楊巨源)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시인. 국자사업(國子司業) 등을 지내고, 백거이(白居易)ㆍ원진(元稹)ㆍ유우석(劉禹錫) 등과 교유함. 시에 능하고, 특히 음률(音律)을 중시한 작품이 많음.
75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양견(楊堅) - 문제(文帝)@수
중국 수(隋)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581~604. 북주(北周) 정제(靜帝)에게서 왕위를 선양(禪讓) 받아 수 나라를 세우고 남조(南朝)의 진(陳)을 평정하여 남북조를 통일함.
541~604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겸(養謙) - 고양겸(顧養謙)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우첨도어사(右僉都御史)를 거쳐 병부 시랑(兵部侍郞)에 이르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과 화친을 해야겠다는 내용의 자문(咨文)을 보내왔음.
1537~160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경(良敬)@정문형 - 정문형(鄭文炯)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개국공신 정진(鄭津)의 손자이며 정숙지(鄭叔墀)의 아버지. 1447년(세종 2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오도 관찰사(五道觀察使)ㆍ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1455년(세조 1)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녹훈됨.
1427~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경(良敬)@조연 - 조연(趙涓)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선이 건국되자 왕을 호위하고,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됨.
1374~142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경(良敬) - 민여익(閔汝翼)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개국을 도와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전결(田結)과 노비를 받았으며,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두루 역임했음.
1360~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경(良敬)@이언 - 이언(李堰)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대사헌(大司憲) 이은(李垠)의 아들.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전주 부윤(全州府尹) 등을 지냄.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경(良敬)@최문도 - 최문도(崔文度)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최성지(崔誠之)의 아들. 원(元) 나라에 가서 숙위(宿衛)하였으며, 몽고의 말과 글에 능통하였고, 벼슬은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이르렀으며, 성리학에 밝았음.
1292~134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양경(良景)@유원 - 유원(柳源)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삼중대광 진천군(三重大匡晉川君)에 봉해진 유지정(柳之淀)의 아들로,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북방 수비에 공을 전력하고, 지공거(知貢擧)로서 과거를 관장함.
1341~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양경(良景) - 이종선(李種善)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색(李穡)의 아들이며 권근(權近)의 사위.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68~143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