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경(良璥) - 김양경(金良璥)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효민(金孝敏)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양경(襄景)@성몽정 - 성몽정(成夢井)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담년(成聃年)의 아들로,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사류와 교유함.
1471~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경(襄景) - 김승주(金承霔)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고려 말 왜구의 격퇴와 조선 태종(太宗)의 즉위에 공을 세움.
1354~142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양경(襄頃) - 이종(李徖)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3남인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차남으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됨.
1432~14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양경(讓卿) - 심사손(沈思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심정(沈貞)의 아들로, 평안도 만포(滿浦)에서 변방방어에 힘쓰던 중 야인(野人)의 기습으로 죽음.
149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양경리(楊經理) - 양호(楊鎬)
중국 명(明) 나라 말기의 무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경략조선군무사(經略朝鮮軍務使)가 되어 참전했다가 울산(蔚山) 도산성(島山城) 싸움에서 대패하여 파면됨.
?~162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경부(兩京賦) - 양도부(兩都賦)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학자인 반고(班固)가 지은 부(賦). 서도부(西都賦)와 동도부(東都賦) 두 편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는데, 서도(西都)인 장안(長安)과 동도(東都)인 낙양(洛陽)의 역사ㆍ지형ㆍ풍물 등을 소재로 하여 전편과 후편으로 나누어 서술함.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양경신(兩京身) - 모란(牡丹)
작약과(芍藥科)에 속하는 낙엽관목(落葉灌木).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 부귀(富貴)를 상징함. 설총(薛聰)의 〈화왕계(花王戒)〉로 유명함.
자연물>식물
-
양계(暘溪) - 정호인(鄭好仁)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로, 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를 지낸 정안번(鄭安藩)의 아들. 병자호란 때 향리에서 의병을 일으켜 관군을 돕고, 진주 목사(晉州牧使) 등을 지냄.
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양계(梁溪) - 이강(李綱)@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금(金) 나라와의 화친을 반대한 주전론자(主戰論者)로서 송 나라의 국력을 신장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 금 나라 군대를 공격하다가 화친 조약을 어겼다는 죄목으로 파직당함.
1083~114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계(楊谿) - 김사(金嗣)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수원(水原). 벼슬하지 않고 안빈수도(安貧守道)하며 후학을 양성함.
1447~15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학자
-
양계(羊季) - 양호(羊祜)
중국 남북조시대 서진(西晉)의 무신. 상서좌복야(尚書左伏射)로 형주(荊州)에 주둔하던 10년 동안 둔전을 실시하고 군량을 비축하는 등 오(吳) 나라를 치기 위한 준비를 했으나 실현하지 못함.
221~27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계(良桂) - 박양계(朴良桂)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추밀원사(樞密院事)를 지냈으며, 민사평(閔思平)과 시문을 주고받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양계성(楊戒成) - 양계성(楊繼盛)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 등을 지냄. 엄숭(嚴嵩)이 권력을 전횡할 때 세 번이나 상소하여 그의 죄를 탄핵하다가 하옥된 후 죽임을 당함.
1516~155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계자(羊季子) - 양담(羊曇)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 사안(謝安)의 생질로, 시문(詩文)에 능하였음. 사안의 사랑을 받다가 그가 죽자 서주(西州)의 길을 차마 지나가지 못하였는데, 어느날 술에 취해 자신도 모르게 서주의 성문에 이르자 슬퍼하며 통곡하고 떠나갔다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양고(羊高) - 공양고(公羊高)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학자. 자하(子夏)의 제자로 춘추삼전(春秋三傳) 중의 하나인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을 저술하였고 《외전(外傳)》 50편을 저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양곡(暘谷)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양곡(暘谷)@한원진 - 한원진(韓元震)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이간(李柬)과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의 논쟁을 벌여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주장함. 영릉 참봉(寧陵參奉) 등을 지내고, 저서로 《남당집(南塘集)》이 있음.
1682~175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결성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곡(楊谷) - 김공량(金公亮)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연산군 때 스승인 묵재(默齋) 이심원(李深源)과 선비들이 화를 당하자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함.
1472~154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양곡(陽谷)@양성 - 양성(陽城)
경기도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의 안성(安城) 지역에 해당하며 천덕산(天德山)과 남쪽의 백운산(白雲山) 사이에 자리잡고 있음.
경기도>양성 , 지명>행정지명
-
양곡(陽谷)@오두인 - 오두인(吳斗寅)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현종(顯宗)의 부마(駙馬)인 오태주(吳泰周)의 아버지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다가 유배되었으나 후에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624~168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양곡(陽谷) - 소세양(蘇世讓)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종(仁宗) 때 윤임(尹任) 일파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가 명종 때 재등용되어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송설체(松雪體)를 잘 씀.
1486~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양곡당(暘谷堂) - 이국량(李國樑)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준(李賢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이자 조카사위로,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17~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양곡선생집(陽谷先生集) - 양곡집(陽谷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소세양(蘇世讓)의 시문집. 14권 7책. 목판본. 1571년(선조 4)에 아들 소수(蘇遂)가 저자의 유문(遺文)을 모아 편집하여 황해도 곡산(谷山)에서 초간(初刊)함.
157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문헌>서명
-
양골(梁骨) - 영평(永平)
경기도 북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현재는 경기도 포천시(抱川市)에 속함.
경기도>영평 , 지명>행정지명
-
양공(梁公) - 방현령(房玄齡)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재상. 정관(貞觀)의 치세(治世)를 이끈 핵심 인물로, 두여회(杜如晦)를 천거함.
578~648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공(梁公)@적인걸 - 적인걸(狄仁傑)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이씨(李氏)를 제거하고 무씨(武氏)의 종묘(宗廟)를 세우자 중종(中宗)을 받들어 당실(唐室)을 회복함.
607~70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공(楊公) - 양방형(楊邦亨)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1595년(선조 28) 흠차책봉일본정사(欽差冊封日本正使) 이종성(李宗城)을 따라 부사(副使)로 조선에 나왔으며, 도중에 이종성이 도망치자 정사가 되어 일본에 가서 풍신수길(豐臣秀吉)과 협상하였으나 실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공(楊公)@양옹백 - 양옹백(楊雍伯)
중국 전한(前漢)의 효자. 낙양(洛陽) 출신으로, 물이 귀한 무종산(無終山)에서 음료를 제공하는 선행을 쌓은 끝에 선인(仙人)에게 돌멩이를 받아 남전(藍田)에 뿌렸더니 모두 옥(玉)으로 자라났으며, 그 옥을 캐어 아름다운 아내를 얻었다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양공(襄公) - 여정(余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범중엄(范仲淹)이 귀양갈 때 상서(上書)하여 다투다가 파직당함. 구양수(歐陽修)ㆍ왕소(王素)ㆍ채양(蔡襄)과 함께 사간(四諫)으로 일컬어짐.
1000~106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공(襄公)@심경지 - 심경지(沈慶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무신. 이민족의 반란을 진압하고 많은 전공을 세워 건무장군(建武將軍)에 임명되고, 역모를 고변하여 시중(侍中)에 올랐다가 폐제(廢帝)에 의해 사사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공거사비(楊公去思碑) - 양호거사비(楊鎬去思碑)
조선 후기 임진왜란 때 출전한 중국 명(明) 나라 장군 양호(楊鎬)의 무훈을 기리기 위하여 서울에 건립한 비. 양호 장군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4기의 비 중 하나.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유적>기타유적
-
양공타루비(楊公墮淚碑) - 양호거사비(楊鎬去思碑)
조선 후기 임진왜란 때 출전한 중국 명(明) 나라 장군 양호(楊鎬)의 무훈을 기리기 위하여 서울에 건립한 비. 양호 장군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4기의 비 중 하나.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유적>기타유적
-
양관곡(陽關曲) - 위성곡(渭城曲)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王維)가 지은 악곡. 왕유가 원이사(元二使)를 송별(送別)할 때 지은 시가 송별의 노래로 널리 애창되었고, 세 번 되풀이하여 부르기 때문에 양관삼첩곡(陽關三疊曲)이라고도 부름.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양관삼첩(陽關三疊) - 위성곡(渭城曲)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王維)가 지은 악곡. 왕유가 원이사(元二使)를 송별(送別)할 때 지은 시가 송별의 노래로 널리 애창되었고, 세 번 되풀이하여 부르기 때문에 양관삼첩곡(陽關三疊曲)이라고도 부름.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양관삼첩곡(陽關三疊曲) - 위성곡(渭城曲)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王維)가 지은 악곡. 왕유가 원이사(元二使)를 송별(送別)할 때 지은 시가 송별의 노래로 널리 애창되었고, 세 번 되풀이하여 부르기 때문에 양관삼첩곡(陽關三疊曲)이라고도 부름.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양광(楊廣) - 양제(煬帝)
중국 수(隋)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604~618. 문제(文帝)의 둘째 아들로 형과 아버지를 살해하고 즉위함. 만리장성을 수축하고,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대패함.
569~618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광도(楊光道)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양광충청도(楊光忠淸道)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양광충청주도(楊廣忠淸州道)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양굉(良肱) - 여양굉(余良肱)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여상(余爽)ㆍ여변(余卞)의 아버지로, 형남 사리참군(荊南司理參軍)ㆍ광록경(光祿卿)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구(羊裘)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양구(養久) - 이시발(李時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임진왜란 때 접반관(接伴官) 등으로 활약하고. 광해군(光海君)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비론에 반대함. 인조반정 후 이괄(李适)의 난을 수습하는 데 공을 세우고 형조 판서 등을 지냄.
1569~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양구수(羊裘叟)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양구어부(羊裘漁父)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양구현(楊溝縣) - 양구(楊口)
강원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내륙 산간에 위치하며, 산세가 험준함.
강원도>양구 , 지명>행정지명
-
양국(梁國) - 적인걸(狄仁傑)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이씨(李氏)를 제거하고 무씨(武氏)의 종묘(宗廟)를 세우자 중종(中宗)을 받들어 당실(唐室)을 회복함.
607~70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국(涼國) - 이소(李愬)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무신. 오원제(吳元濟)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방비가 소홀한 틈을 타 반군의 근거지인 채주(蔡州)를 불의에 습격하여 오원제를 사로잡음으로써 회서(淮西)가 평정되는 무공을 세움.
773~82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국공(梁國公) - 적인걸(狄仁傑)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이씨(李氏)를 제거하고 무씨(武氏)의 종묘(宗廟)를 세우자 중종(中宗)을 받들어 당실(唐室)을 회복함.
607~70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국공(涼國公) - 이소(李愬)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무신. 오원제(吳元濟)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방비가 소홀한 틈을 타 반군의 근거지인 채주(蔡州)를 불의에 습격하여 오원제를 사로잡음으로써 회서(淮西)가 평정되는 무공을 세움.
773~82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국공(凉國公) - 남옥(藍玉)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원(元) 순제(順帝)의 아들인 익왕(益王) 탈고사첩목아(脫古思帖木兒)를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양국공(凉國公)에 책봉되었으나, 모반죄로 처형됨.
?~139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규(良圭) - 백양규(白良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대구(大邱). 군위 훈도(軍尉訓導) 백승문(白承文)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양근공(楊根公) - 송여림(宋汝霖)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낸 송요년(宋遙年)의 아들로, 양근 군수(楊根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양근원(楊根院) - 양근서원(楊根書院)
황해도 해주(海州)에 있었던 서원. 주세붕(周世鵬)을 배향하였음.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양기(良器) - 조성(趙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음악이론가ㆍ학자ㆍ의원. 본관은 평양(平壤). 정주 판관(定州判官) 조수함(趙守諴)의 아들이며, 조욱(趙昱)의 형.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았고, 군직(軍職)에 나가 의술을 가르쳤으며 편종ㆍ편경을 이정(釐正)함.
1492~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ㅣ서울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문사>학자
-
양기(良琪) - 조양기(趙良琪)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본관은 한양(漢陽). 충렬왕의 명을 받고 원(元) 나라 세조(世祖)가 일본을 정벌할 때 김방경(金方慶)과 함께 참가하여 공을 세움. 쌍성총관(雙城摠管)을 지냄.
1261~? 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양남(陽南) - 주윤창(周允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유학(遊學)하였음. 1480(성종 11) 친시(親試)에 급제하였고,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양대(養大) - 임선미(林先味)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본관은 예천(醴泉). 고려가 망한 뒤 조선 태조(太祖)가 과거를 실시하였으나 이에 응하지 않고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충의를 지킨 태학생(太學生) 중 한 사람으로, 조의생(曺義生) 등과 함께 표절사(表節祠)에 제향됨.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양대년(楊大年) - 양억(楊億)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진종(眞宗) 때의 학자ㆍ문신. 왕흠약(王欽若)과 함께 《책부원귀(冊符元龜)》를 저술하고, 불서(佛書)인 《전등록(傳燈錄)》을 교간(校刊)함.
973~102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덕(良德)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양도(梁道) - 가규(賈逵)
중국 후한(後漢) 때의 유학자. 유흠(劉歆)에게 배웠으며,《좌씨전(左氏傳)》 및 오경(五經)에 해박하고 《경전의고(經傳義詁)》를 저술하는 등 통유(通儒)로 일컬어짐.
30~10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양도(楊渡) - 양화도(楊花渡)
서울과 경기도 금천(衿川)에 걸쳐 있던 나루 이름. 서울에서 강화(江華)로 통하는 교통의 요지였으며, 한강 조운(漕運)의 중심 지역 중 하나로서, 현재 서울 마포구(麻浦區)에 속함.
경기도>금천ㅣ서울 , 지명>행정지명
-
양도(羊陶) - 양침(羊忱)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양권(羊權)의 아버지로, 서주 자사(徐州刺史) 등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도(良度)@최사의 - 최사의(崔士儀)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낸 최유경(崔有慶)의 아들로,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376~145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양도(良度)@이숙묘 - 이숙묘(李叔畝)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손자이며, 진안대군(鎭安大君) 이방우(李芳雨)의 사위로, 여러 차례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43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양도(良度)@정양생 - 정양생(鄭良生)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사위로, 청주(淸州)에서 《관동와주(關東瓦注)》을 간행함.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39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양도(良度) - 안경공(安景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냄. 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誾)의 죄를 감해줄 것을 요청했다가 탄핵을 받음.
1347~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도(良悼) - 황유(黃裕)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부마. 본관은 회덕(懷德). 판사(判事) 황자후(黃子厚)의 아들로, 태종의 열한 번째 딸인 숙안옹주(淑安翁主)와 혼인함.
1421~145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왕실>인척
-
양도(襄度)@최사의 - 최사의(崔士儀)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낸 최유경(崔有慶)의 아들로,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376~145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양도(襄度) - 이천우(李天祐)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서형(庶兄)인 이원계(李元桂)의 아들로, 이성계의 휘하에서 왜구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우고, 조선 개국 후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양도(襄悼) - 예종(睿宗)@조선
조선의 제8대 국왕. 재위 1468~1469. 세조(世祖)의 아들로, 재위 1년 2개월 만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함.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을 완성함.
1450~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양도왕(襄悼王) - 예종(睿宗)@조선
조선의 제8대 국왕. 재위 1468~1469. 세조(世祖)의 아들로, 재위 1년 2개월 만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함.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을 완성함.
1450~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양동(兩瞳)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량(襄良) - 안한평(安漢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문하시중(門下侍中) 안사경(安社卿)의 아버지이며, 죽성군(竹城君) 안극인(安克仁)의 조부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역임하였고,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양량(陽良) - 양지(陽智)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했던 고을 이름. 현재 경기도 용인시(龍仁市) 일대를 가리키며, 조선 태종(太宗) 때 치소를 광주(廣州) 추계향(秋溪鄕)에 두고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함.
경기도>양지ㅣ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양량부곡(陽良部曲) - 양지(陽智)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했던 고을 이름. 현재 경기도 용인시(龍仁市) 일대를 가리키며, 조선 태종(太宗) 때 치소를 광주(廣州) 추계향(秋溪鄕)에 두고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함.
경기도>양지ㅣ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양렬(襄烈) - 정인경(鄭仁卿)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주(瑞州). 몽고어 통역관 출신으로 원(元) 나라에서 충렬왕을 시종하고, 요동(遼東) 일대의 고려 유민을 찾아내어 귀국시킴. 동녕부(東寧府)를 고려에 귀속시킬 때 공을 세우고, 중찬(中贊)을 지냄.
1237~130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양렬(襄烈)@조인벽 - 조인벽(趙仁璧)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돈(趙暾)의 아들로, 환조(桓祖)의 딸 정화공주(貞和公主)와 혼인함. 김용(金鏞)의 토벌에 공을 세워 이등공신이 되고, 우왕(禑王) 때 여러 번 왜구를 격퇴하였으며, 위화도 회군(威化島回軍)에도 참여함.
?~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양렬(襄烈)@이지란 - 이지란(李之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여진의 금패천호(金牌千戶) 아라불화(阿羅不花)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고려에 귀화함.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31~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북청ㅣ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로(陽老)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로왕(養老王)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양록(楊錄) - 이락연원록신증(伊洛淵源錄新增)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양렴(楊廉)이 편찬한 책. 14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양록군(楊麓郡) - 양구(楊口)
강원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내륙 산간에 위치하며, 산세가 험준함.
강원도>양구 , 지명>행정지명
-
양록부정(楊麓副正) - 이수(李粹)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증손이며, 물거군(勿巨君) 이철(李徹)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양류(楊柳) - 소만(小蠻)
중국 당(唐) 나라 때의 기생.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가기(家妓).
중국>당 , 중국 , 인명>기술인>기생
-
양릉(陽陵)@신종 - 신종(神宗)@고려
고려의 제20대 국왕. 재위 1197~1204. 인종(仁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명종(明宗)의 동모제(同母弟)로, 최충헌(崔忠獻) 형제가 명종을 폐하고 왕으로 추대하였는데, 재위 중 잇따라 민란이 일어남.
1144~120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양릉(陽陵) - 경제(景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6대 황제. 재위 B.C.157~B.C.141.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반란을 진압하고, 중앙집권제를 확립함.
B.C.188~B.C.14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릉후(陽陵侯) - 변화(卞和)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사람. 형산(荊山)에서 박옥(璞玉)을 얻어 왕에게 바쳤으나 속였다는 이유로 두 발이 잘리고 나중에야 보옥(寶玉)임을 인정받았던 화씨벽(和氏璧)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양인
-
양만춘(梁萬春) - 양만춘(楊萬春)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의 안시성(安市城) 성주(城主). 지모(智謀)와 용기(勇氣)가 뛰어났으며, 연개소문(淵蓋蘇文)의 정변과 당(唐) 나라 태종(太宗)의 침공 때 불굴의 의지로 싸워 승리함.
한국>고구려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명(陽明) - 왕수인(王守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ㆍ문신. 양명학(陽明學)의 창시자. 심성론(心性論)으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철학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침.
1472~152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명부(梁明府) - 양희(梁喜)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노정(盧禎)ㆍ이후백(李後白)과 함께 도의와 학문을 닦아 영남(嶺南)의 삼걸(三傑)이라 일컬어짐.
1515~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양무(梁武) - 무제(武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502~549. 경릉팔우(竟陵八友) 중 한 사람이며, 불교를 신봉해 500여 개의 사찰을 세움.
464~54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무(陽武) - 강진(康津)
전라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청자의 주요 생산지였으며,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19년간 유배생활을 했던 곳으로 잘 알려짐.
전라도>강진 , 지명>행정지명
-
양무(陽茂) - 이양무(李陽茂)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조선 태조(太祖)의 고조부인 목조(穆祖) 이안사(李安社)의 아버지로, 상장군(上將軍) 이강제(李康濟)의 딸과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ㅣ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무신
-
양묵(襄墨)@송익손 - 송익손(宋益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처남 홍달손(洪達孫)을 따라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세조(世祖) 때 나주 목사(羅州牧使)로 여산군(礪山君)에 봉해짐.
1419~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묵(襄墨) - 관미생(管尾生)
조선 성종(成宗) 때 김일손(金馹孫)이 붓을 의인화하여 지은 〈관처사묘지명(管處士墓誌銘)〉에 나오는 처사 관술(管述)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양민(襄敏) - 고양겸(顧養謙)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우첨도어사(右僉都御史)를 거쳐 병부 시랑(兵部侍郞)에 이르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과 화친을 해야겠다는 내용의 자문(咨文)을 보내왔음.
1537~160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민(襄敏)@손소 - 손소(孫昭)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종사관(從事官)으로 출정, 난이 평정된 뒤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내섬시 정(內贍寺正)으로 특진됨.
1433~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민(襄敏)@이재 - 이재(李材)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남경병부 상서(南京兵部尚書)를 지냈으며, 육구연(陸九淵)의 학문을 깊이 연구함.
1518~159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백(陽伯) - 이서(李舒)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홍주(洪州). 고려 우왕(禑王) 때 6년간의 여묘살이로 정문(旌門)을 받았으며,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332~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