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백(養伯)@박희립 - 박희립(朴希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돈녕부 부정(敦寧府副正) 박세영(朴世榮)의 아들로,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청주 목사(淸州牧使)ㆍ길주 목사(吉州牧使)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양백(養伯)@이안성 - 이안성(李安性)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낸 이식(李植)의 아버지. 안기도 찰방(安奇道察訪)을 지내고, 후에 좌찬성(左贊成)에 증직됨.
1554~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양백(養伯) - 박수검(朴守儉)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의흥(義興). 박경심(朴景諶)의 아들이고, 조석윤(趙錫胤)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를 지냄.
1629~169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백옹(楊伯雍) - 양옹백(楊雍伯)
중국 전한(前漢)의 효자. 낙양(洛陽) 출신으로, 물이 귀한 무종산(無終山)에서 음료를 제공하는 선행을 쌓은 끝에 선인(仙人)에게 돌멩이를 받아 남전(藍田)에 뿌렸더니 모두 옥(玉)으로 자라났으며, 그 옥을 캐어 아름다운 아내를 얻었다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양백화(楊白花)@양화 - 양화(楊華)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명장(名將)인 양대안(楊大眼)의 아들. 선무영황후(宣武靈皇后)와 정을 통한 뒤 화를 염려하여 양(梁) 나라로 달아남. 황후가 그를 그리워하며 〈양백화가(楊白華歌)〉를 지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양백화가(楊白華歌) - 양백화(楊白花)
악부(樂府) 잡곡가사(雜曲歌辭)의 하나.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명장(名將)인 양대안(楊大眼)의 아들 양화(楊華)를 추모하기 위해 선무영황후(宣武靈皇后)가 지은 노래.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양보(楊普) - 김양보(金楊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 예의 판서(禮儀判書)를 지낸 김주(金澍)의 아들로, 문경 현감(聞慶縣監)ㆍ선위사(宣慰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양보(良甫) - 유최기(兪㝡基)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정미환국 때 소론의 거두 이광좌(李光佐)의 횡포를 반박하고, 신임사화로 죽은 노론의 거두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의 신원(伸寃)과 소론의 음모사실을 논박함.
1689~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양봉(梁鳳) - 양석재(梁碩材)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6대조.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내고 금자광록대부(今紫光祿大夫)에 서품됨.
13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양부(梁傅) - 가의(賈誼)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문제(文帝)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됨.
B.C.200~B.C.1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부(楊溥)@예제 - 예제(睿帝)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오(吳)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921~937. 태조(太祖) 효무제(孝武帝)의 부장인 서온(徐溫)에 의해 황제 자리에 오름.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부(良父) - 예백(芮伯)
중국 주(周) 나라 때의 제후. 주 여왕(厲王)의 실정을 비난하였는데, 그 내용이 《시경(詩經)》의 〈상유(桑柔)〉에 실려 있음.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부장(楊副將) - 양원(楊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부총병(副總兵)으로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하였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성(南原城) 전투에서 이복남(李福男)ㆍ오응정(吳應井) 등의 군사와 연합하여 왜적과 맞서 싸움.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비(楊妃)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양사암(梁思庵) - 양흔(梁忻)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양희(梁喜)의 형. 오건(吳健)ㆍ노진(盧禛)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양산(陽山) - 양지(陽智)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했던 고을 이름. 현재 경기도 용인시(龍仁市) 일대를 가리키며, 조선 태종(太宗) 때 치소를 광주(廣州) 추계향(秋溪鄕)에 두고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함.
경기도>양지ㅣ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양산대장(陽山大丈) - 김경운(金慶雲)@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진사(進士) 김수(金粹)의 아들로, 주세붕(周世鵬)ㆍ정사룡(鄭士龍)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문사>유학
-
양상(良相) - 선덕왕(宣德王)
신라 제37대 국왕. 재위 780~785.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의 10세손으로 해찬(海飡) 김효방(金孝芳)의 아들. 혜공왕(惠恭王) 때 김지정(金志貞)의 난을 진압하고 즉위하였으며, 어룡성(御龍省)을 개편하고 패강진(浿江鎭)을 개척함.
?~78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양생(楊生) - 양주(楊朱)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 초기의 도가 철학자. 이기적인 쾌락설을 주장하여 맹자가 이단성(異端性)을 지적함.
B.C.440~B.C.36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양생(良生) - 정양생(鄭良生)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사위로, 청주(淸州)에서 《관동와주(關東瓦注)》을 간행함.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39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양생(陽生) - 도공(悼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488~B.C.485. 경공(景公)의 아들로 노(魯) 나라로 망명해 있다가 안유자(晏孺子)의 뒤를 이어 즉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생(陽生)@이양생 - 이양생(李陽生)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오(李晤)의 아버지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사종(李嗣宗)의 할아버지.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전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계성군(鷄城君)에 봉해짐.
1423~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서(良瑞) - 당양서(唐良瑞)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송(宋) 나라의 학자 김이상(金履祥)이 지은 염락풍아(濂洛風雅)를 편차(編次)함.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양서(讓西) - 이광윤(李光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곤(李鯤)의 손자이며 이득윤(李得胤)의 형. 1594년(선조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성주 목사(星州牧使) 등을 지냄.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예천(醴泉)의 인산서원(仁山書院)에 배향됨.
1564~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양선(梁選) - 문선(文選)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소통(蕭統)이 양 나라 이전 문인들의 명작 800여 편을 모아 엮은 책. 30권. 중국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시문총집(詩文總集).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양설대부(羊舌大夫) - 양설힐(羊舌肹)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도공(悼公)~소공(昭公) 때의 대부. 외국(外國)에 사신 가서나, 외국의 빈객을 접대할 때 응대(應對)를 잘하기로 명성이 높았음. 공자가 유직(遺直)이라고 칭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양설힐(羊舌肸) - 양설힐(羊舌肹)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도공(悼公)~소공(昭公) 때의 대부. 외국(外國)에 사신 가서나, 외국의 빈객을 접대할 때 응대(應對)를 잘하기로 명성이 높았음. 공자가 유직(遺直)이라고 칭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양성(楊城) - 양주(楊州)
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조선 세조(世祖) 때 목(牧)으로 승격됨.
경기도>양주 , 지명>행정지명
-
양성(良性) - 도양성(陶良性)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감생(監生)으로 경략(經略) 송응창(宋應昌)을 수행하고, 이어 영평부 통판(永平府通判)으로 군문(軍門) 형개(邢玠)를 수행하여 두 차례 조선에 건너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성(養性) - 이양성(李養性)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단성 현감(丹城縣監)을 지낸 이겸인(李兼仁)의 아버지. 길주 목사(吉州牧使)ㆍ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양성군(陽城君)@이륜 - 이륜(李倫)@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종친. 장천정(長川正) 이수효(李壽㹲)의 아들이며 이응복(李應福)의 아버지로, 양성군(陽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양성군(陽城君) - 김경직(金敬直)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이 배원(排元) 정책을 시행할 때 원수(元帥)로 임명되어 압록강 방면을 수비함. 화엄종사(華嚴宗師) 우운(友雲)의 형.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양성군(陽城君)@이온 - 이온(李蒕)@이승소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성(陽城). 삼탄(三灘) 이승소(李承召)의 아버지.
?~14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문사>유학
-
양성군(陽城君)@이승소 - 이승소(李承召)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편찬함. 당대의 문장가로 예악(禮樂)ㆍ음양(陰陽)ㆍ율력(律曆) 등 여러 방면에 조예가 깊음.
1422~148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양성노수(陽城老守) - 안정(安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낸 안처선(安處善)의 아들.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곤양(昆陽)으로 유배되었다가 사면되었으며, 특히 그림에 뛰어나 매화와 대나무를 잘 그렸음.
149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양성당(養性堂) - 혜능(慧能)@조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승려. 응철(應哲)에게 수계(受戒)하고 천조(天照)ㆍ호구당(虎丘堂)에게 가르침을 받음. 전국의 명산을 유력(遊歷)하다가 말년에 천축사(天竺寺)로 돌아와 입적함.
1562~1636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홍천ㅣ강원도>강릉 , 인명>종교인>승려
-
양성부원군(陽城府院君) - 이광부(李光富)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으로, 첨의평리(僉議評理)를 지낸 이나해(李那海)의 아들. 1371(공민왕 20) 신돈(辛旽)의 당으로 지목되어 형제인 이춘부(李春富)ㆍ이원부(李元富)와 함께 유배를 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양성부정(陽城副正) - 이륜(李倫)@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종친. 장천정(長川正) 이수효(李壽㹲)의 아들이며 이응복(李應福)의 아버지로, 양성군(陽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양성정후(陽城停侯) - 초주(譙周)
중국 삼국시대 촉(蜀)~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촉 나라에서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지냈으나, 위(魏) 나라의 공격을 받을 때 후주(後主)에게 항복을 권유하고, 진 나라 건국 후 벼슬하지 않음. 천문(天文)ㆍ경서(經書)에 능하고, 저서로 《오경론(五經論)》ㆍ《고사고서(古史考書)》 등이 있음.
200~270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성헌(養性軒)@도희령 - 도희령(都希齡)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도득린(都得麟)의 아들. 당곡(唐谷) 정희보(鄭希輔)의 문인(門人)으로, 홍문관 저작(弘文館著作)을 지냄.
1539~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ㅣ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양성헌(養性軒) - 영조(英祖)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1776.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蕩平策)과 균역법(均役法)을 추진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
1694~17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양소(楊釗) - 양국충(楊國忠)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장역지(張易之)의 사위이며, 양귀비(楊貴妃)의 친척. 이임보(李林甫)와 결탁하여 현종(玄宗)에게 중용되었으나, 실정(失政)과 전횡(專橫)으로 정사를 어지럽히고, 안녹산(安祿山)과의 반목으로 안사(安史)의 난(亂)을 초래함.
?~75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소(良昭) - 김영렬(金英烈)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의성(義城).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4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소(襄昭)@의안대군 - 의안대군(義安大君)
조선 태조(太祖)의 이복동생. 태조를 도와 조선 건국에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태종(太宗) 때 외척인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처벌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림.
1348~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양소(襄昭) - 박중선(朴仲善)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등 여러 차례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ㆍ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35~14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소훈(楊昭訓) - 양소훈(楊紹勳)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요동광녕진수총병관(遼東廣寧鎭守總兵官)으로 아우 양소신(楊紹新)과 함께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손(良孫) - 유양손(柳良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용양위 사과(龍驤衛司果)를 지낸 유공좌(柳公佐)의 아버지로, 전생서 영(典牲署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양손(讓孫) - 최양손(崔讓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중종(中宗) 때 시정(寺正)을 지낸 최운(崔雲)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양송(兩宋) - 송(宋)
중국의 통일 왕조. 조광윤(趙光胤)이 오대(五代) 후주(後周)의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국가. 개봉(開封)에 도읍했던 북송(北宋) 시대와 정강(靖康)의 변(變) 때 임안(臨安)으로 천도한 이후의 남송(南宋) 시대로 구분됨.
960~1277 중국>송 , 중국 , 시간>국명
-
양송(養松) - 김제(金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화가.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좌의정 김안로(金安老)의 아들. 산수화를 특히 잘 그렸으며, 최립(崔笠)의 문장, 한호(韓濩)의 글씨와 더불어 삼절(三絶)이라 불림.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ㆍ구사민(具思閔)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1524~159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양송거사(養松居士) - 김제(金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화가.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좌의정 김안로(金安老)의 아들. 산수화를 특히 잘 그렸으며, 최립(崔笠)의 문장, 한호(韓濩)의 글씨와 더불어 삼절(三絶)이라 불림.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ㆍ구사민(具思閔)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1524~159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양송당(養松堂) - 김제(金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화가.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좌의정 김안로(金安老)의 아들. 산수화를 특히 잘 그렸으며, 최립(崔笠)의 문장, 한호(韓濩)의 글씨와 더불어 삼절(三絶)이라 불림.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ㆍ구사민(具思閔)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1524~159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양송암(梁松巖) - 양대박(梁大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남원(南原).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아들 양경우(梁慶遇)와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담양(潭陽)에서 의병을 일으킨 고경명(高敬命)을 맹주로 추대한 뒤 종사관(從事官)으로 활동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양송헌(養松軒) - 김제(金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화가.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좌의정 김안로(金安老)의 아들. 산수화를 특히 잘 그렸으며, 최립(崔笠)의 문장, 한호(韓濩)의 글씨와 더불어 삼절(三絶)이라 불림.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ㆍ구사민(具思閔)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1524~159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양수(楊隋) - 수(隋)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에 이어지는 통일 왕조. 양견(楊堅)이 북주(北周)의 정제(靜帝)로부터 양위를 받아 건국하였으며, 3대 38년간 존속.
581~618 중국>수 , 중국 , 시간>국명
-
양수(漾水) - 한수(漢水)
중국 섬서성(陝西省) 영강현(寧强縣) 북부 반총산(蟠冢山)에서 발원하여 동남부를 거쳐 호북성(湖北省)을 지나 양자강(揚子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양자강의 최대의 지류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양수(羊壽) - 공양수(公羊壽)
중국 전한 경제(景帝) 때의 학자. 가학(家學)으로 내려오던 공양고(公羊高)의 《춘추(春秋)》에 대한 전술(傳述)을 제자인 호모생(胡母生)과 함께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으로 정리하여 편찬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양숙(羊叔) - 양호(羊祜)
중국 남북조시대 서진(西晉)의 무신. 상서좌복야(尚書左伏射)로 형주(荊州)에 주둔하던 10년 동안 둔전을 실시하고 군량을 비축하는 등 오(吳) 나라를 치기 위한 준비를 했으나 실현하지 못함.
221~27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숙(襄肅) - 어세공(魚世恭)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만종(萬從) 어효첨(魚孝瞻)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봉해지고, 경학(經學)ㆍ역학(易學)ㆍ율학(律學)에 조예가 깊음.
1432~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숙(讓叔) - 심인겸(沈仁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아들로, 한성부 판관(漢城府判官)ㆍ천안 군수(天安郡守) 등을 지냄.
1533~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양숙(養叔) - 박난(朴蘭)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원량(朴元亮)의 아들이고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1543년(중종 3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정(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양숙(養叔)@신희복 - 신희복(愼希復)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명종의 대군(大君) 시절 사부(師傅)를 지냈음. 명종 즉위 후에 개성 유수(開城留守)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1493~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양숙(養叔)@이이명 - 이이명(李頤命)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ㆍ학자.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6세손.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유배되었다가 갑술옥사(甲戌獄事) 때 재등용 된 후 좌의정 등을 지내고, 노론(老論) 정권의 핵심적 인물로 활약함.
1658~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숙(養叔)@윤인함 - 윤인함(尹仁涵)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파평(坡平).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경주(慶州)가 함락되자 의병을 모집하여 활동함. 문장과 그림에 능하고, 특히 대나무를 잘 그림.
1531~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양순(梁淳) - 양찬(梁讚)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8대조. 한림원 학사(翰林院學士)를 거쳐 좌부 상서(左部尙書)ㆍ찬성사(贊成事)에 오름.
1253~1317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양식(陽植) - 유양식(柳陽植)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도지휘사(都指揮使)를 지낸 유의(柳依)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양신(良臣) - 한세충(韓世忠)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무신. 남송(南宋) 초에 악비(岳飛)ㆍ유광세(劉光世)ㆍ장준(張浚) 등의 군벌 병력과 협력하여 금(金) 나라의 침략을 저지하는 전공을 세움.
1089~115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신(良臣)@백양신 - 백양신(白良臣)
고려 후기의 무신. 백문보(白文寶)의 조부. 직산백씨(稷山白氏) 시조로,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무신
-
양심당(養心堂) - 조성(趙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음악이론가ㆍ학자ㆍ의원. 본관은 평양(平壤). 정주 판관(定州判官) 조수함(趙守諴)의 아들이며, 조욱(趙昱)의 형.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았고, 군직(軍職)에 나가 의술을 가르쳤으며 편종ㆍ편경을 이정(釐正)함.
1492~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ㅣ서울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문사>학자
-
양심당시집(養心堂詩集) - 양심당집(養心堂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음악이론가ㆍ학자ㆍ의원인 조성(趙晟)의 시문집. 1책. 목판본. 1568년(선조 1)에 저자의 문인(門人)이자 조카사위인 박계현(朴啓賢)이 수집ㆍ편차하여 간행함.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문헌>서명
-
양심정(養心亭) - 문계창(文繼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탁월한 무재(武才)로써 왜구를 물리친 공으로 창원 부사(昌原府使)로 발탁됨.
?~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양씨(楊氏)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양악(陽岳) - 낙안(樂安)
전라도 순천(順天)에 속하였던 옛 고을 이름.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順天市) 낙안면(樂安面)ㆍ외서면(外西面)과 보성군(寶城郡) 벌교읍(筏橋邑) 일대에 해당함.
전라도>낙안 , 지명>행정지명
-
양안(良安) - 장담(張湛)@조선
조선 태조(太祖)~정종(定宗) 때의 무신. 조선 건국에 공이 있어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2차 왕자의 난 때에는 이방간(李芳幹)을 도운 죄로 파직된 뒤 장형(杖刑)을 받고 죽었음.
?~1400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암(陽庵) - 하활(河活)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노진(盧禛)의 문인(門人)인 하맹보(河孟寶)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양앵(梁罃) - 혜왕(惠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제후. 잦은 전쟁으로 국력이 피폐해지자 수도를 대량(大梁)으로 옮기고 국호를 ‘양(梁)’으로 고쳤으며, 요(堯)ㆍ순(舜)의 인의정치(仁義政治)를 표방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야(楊爺) - 양호(楊鎬)
중국 명(明) 나라 말기의 무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경략조선군무사(經略朝鮮軍務使)가 되어 참전했다가 울산(蔚山) 도산성(島山城) 싸움에서 대패하여 파면됨.
?~162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양(良襄) - 김교(金嶠)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선산(善山).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무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1479년(성종 10) 건주야인(建州野人)을 토벌하였으며, 훈련원 판관(訓練院判官)ㆍ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등을 지냄. 동생 6명이 모두 무과에 합격한 무인 집안임.
1428~14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양(襄陽)@예천 - 예천(醴泉)
경상북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농산물 집산지로 발달한 교통의 중심지이며, 예로부터 활의 생산지로 유명함. 고려 신종(神宗) 때 남도초토사(南道招討使) 최광의(崔光義)가 이곳에서 동경적(東京賊)을 크게 토벌함.
경상도>예천 , 지명>행정지명
-
양양(襄陽)@맹간 - 맹간(孟簡)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맹교(孟郊)의 종숙(從叔)으로, 당시 논란이 되던 한유(韓愈)의 불교 숭상 여부에 대해 한유와 편지로 교유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양(襄陽)@맹호연 - 맹호연(孟浩然)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오언시(五言詩)를 잘하여 왕유(王維)와 비견됨.
689~74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양양(陽壤) - 삼등(三登)
평안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으로 성천부(成川府)와 경계하였고, 명승지로 황학루(黃鶴樓) 등이 있음.
평안도>삼등 , 지명>행정지명
-
양양공(襄陽公) - 왕서(王恕)
고려 제20대 신종(神宗)의 아들. 제21대 희종(熙宗)의 아우이며, 공양왕(恭讓王)의 6대조. 희종이 폐위될 때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교동현(喬洞縣)으로 쫒겨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동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양양군(襄陽君) - 김대언(金臺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부마. 충선왕의 비 순비허씨(順妃許氏)의 전실 소생인 영복옹주(永福翁主)와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왕실>인척
-
양양군왕(襄陽郡王) - 노응(路應)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등을 지냈으며, 양양군왕(襄陽郡王)에 봉해짐. 한유(韓愈)의 《한창려집(韓昌黎集)》에 그에 대한 신도비명(神道碑銘)이 실려 있음.
741~81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양양기구(襄陽耆舊) - 방덕공(龐德公)
중국 후한(後漢) 때의 처사(處士). 유표(劉表)가 벼슬하기를 청하였으나 사절하고 양양(襄陽)의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양양화학(襄陽畵學) - 화사(畵史)
중국 북송(北宋)의 서예가ㆍ화가인 미불(米芾)이 지은 화론서. 1권. 진(晉)ㆍ육조(六朝)ㆍ수(隋)ㆍ당(唐)ㆍ오대(五代)ㆍ북송(北宋) 등의 명화에 대해 우열과 진위를 평하고, 잘못된 점을 교정함. 《서사(書史)》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서론서(書論書)로 유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양영천(楊盈川) - 양형(楊炯)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영천 영(盈川令) 등을 지냄. 육조시(六朝詩)의 영향을 받아 율시(律詩)에 능하고, 왕발(王勃)ㆍ노조린(盧照隣)ㆍ낙빈왕(駱賓王)과 함께 ‘초당사걸(初唐四傑)’로 불림.
650~69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양예(梁蚋) - 양황후(梁皇后)
중국 후한(後漢) 순제(順帝)의 후비. 호강대족(豪强大族) 출신으로, 양기(梁冀)의 누이동생. 순제 사후 충제(冲帝)ㆍ질제(質帝)ㆍ환제(桓帝) 때까지 태후로서 정권을 장악하여 양씨 외척이 크게 발호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양오(養五) - 남태보(南泰普)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울산 부사(蔚山府使)를 지냄. 《매호유고(梅湖遺稿)》의 서문을 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양오(養吾) - 도양성(陶良性)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감생(監生)으로 경략(經略) 송응창(宋應昌)을 수행하고, 이어 영평부 통판(永平府通判)으로 군문(軍門) 형개(邢玠)를 수행하여 두 차례 조선에 건너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오(養吾)@김시회 - 김시회(金時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헌납(獻納) 김충갑(金忠甲)의 아들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했으며, 부평 부사(富平府使)를 지냄.
1542~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양오(養吾)@이지완 - 이지완(李志完)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시문(詩文)에 능하여 1606년(선조 39) 중국 사신 주지번(朱之蕃)이 왔을 때 이호민(李好閔)ㆍ허균(許筠) 등과 접반함. 이이첨(李爾瞻)과 사돈을 맺고 권력을 탐해 사람들의 비난을 받음.
1575~161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양옹(陽翁)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옹백(楊翁伯) - 양옹백(楊雍伯)
중국 전한(前漢)의 효자. 낙양(洛陽) 출신으로, 물이 귀한 무종산(無終山)에서 음료를 제공하는 선행을 쌓은 끝에 선인(仙人)에게 돌멩이를 받아 남전(藍田)에 뿌렸더니 모두 옥(玉)으로 자라났으며, 그 옥을 캐어 아름다운 아내를 얻었다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양와(養窩)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양왕(梁王)@유무 - 유무(劉武)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의 둘째 아들. 양원(梁園)이라는 동산을 꾸미고 사마상여(司馬相如) 등 사방의 문장 호걸들을 초청하여 풍류를 즐겼으나, 율태자(栗太子)가 폐위된 후 원앙(袁盎) 등의 반대로 태자가 되지 못하자 후에 원앙 등을 죽임.
?~B.C.41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왕(梁王)@혜왕 - 혜왕(惠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제후. 잦은 전쟁으로 국력이 피폐해지자 수도를 대량(大梁)으로 옮기고 국호를 ‘양(梁)’으로 고쳤으며, 요(堯)ㆍ순(舜)의 인의정치(仁義政治)를 표방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왕(梁王) - 팽월(彭越)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무신. 본래 항우(項羽)의 무관으로 유방(劉邦)의 휘하에 들어가 항우를 물리치고 천하를 통일하는 데 공을 세웠으나, 후에 모반(謀反)을 의심받아 폐서인(廢庶人)되어 유배되었다가 일족이 죽임을 당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왕(襄王)@소왕 - 소왕(昭王)@춘추전국(연)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연(燕) 나라의 제후. 재위 B.C.312~B.C.279. 곽외(郭隗)와 악의(樂毅)를 등용하여 부국강병을 꾀했으며, 연 나라를 멸망시키려 한 제(齊) 나라와 전쟁을 일으켜 제 나라의 국력을 약화시킴.
?~B.C.2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