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왕(襄王)@경양왕 - 경양왕(頃襄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諸侯). 재위 B.C.298~B.C.263. 간신들을 중용하고 주색(酒色)에 빠져 국정을 돌보지 않음.
?~B.C.26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왕(釀王) - 이진(李璡)
중국 당(唐) 나라 영왕(甯王)의 맏아들. 활쏘기를 잘하였고, 하지장(賀知章)과 시주(詩酒)로 교유함. 술을 좋아하여 ‘주중팔선인(酒中八仙人)’ 중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짐.
?~75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왕(梁王) - 태조(太祖)@오대십국(후량)
중국 오대(五代) 후량(後梁)의 제1대 황제. 재위 907~912. 당(唐) 나라 말 황소(黃巢)의 부하로 있다가 관군에 항복하여 황소의 잔당과 군벌을 평정한 후 양왕(梁王)에 봉해짐. 소종(昭宗)을 죽이고 애제(哀帝)를 세웠다가 폐위하고 양(梁) 나라를 건국함.
852~91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우(梁友) - 양응정(梁應鼎)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시문(詩文)에 뛰어나 선조 때 팔대문장가(八大文章家)의 한 사람으로 뽑힘.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양우(良佑) - 이양우(李良祐)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서형(庶兄)인 완산군(完山君) 이원계(李元桂)의 아들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2차 왕자의 난 때 중립을 지켜 태종(太宗)의 미움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14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양우(良祐) - 이양우(李良祐)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서형(庶兄)인 완산군(完山君) 이원계(李元桂)의 아들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2차 왕자의 난 때 중립을 지켜 태종(太宗)의 미움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14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양운(揚雲) - 양웅(揚雄)
중국 전한(前漢) 말의 학자ㆍ문인.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작품을 통하여 배운 문장력을 인정받아, 성제(成帝) 때 궁정문인의 한 사람이 됨.
B.C.53~A.D.1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양원(梁園)@소쇄원 - 소쇄원(瀟灑園)
조선 중종(中宗) 때 전라도 담양(潭陽)에 건립한 정원. 1530년(중종 25) 소쇄(瀟灑) 양산보(梁山甫)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스승인 조광조(趙光祖)가 사사되자 낙향한 후 계곡을 중심으로 원림(園林)을 조영함.
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유적>건물>누정
-
양원(梁苑) - 양원(梁園)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 양효왕(梁孝王) 유무(劉武)가 하남성(河南省) 개봉현(開封縣) 동남쪽에 만든 정원. 매승(枚乘)ㆍ사마상여(司馬相如) 등 사부(辭賦)에 뛰어난 문사들을 초청하여 주연을 베풀던 곳으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기타유적
-
양원(楊原) - 이숙감(李淑瑊)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말정(李末丁)의 아들. 세조(世祖)가 즉위하자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으로 책록되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원(楊原)@양원군 - 양원군(楊原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막내아들. 숙의홍씨(淑儀洪氏) 소생. 중종(中宗) 원년에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옥책(玉冊)을 개정(改正)하여 원종일등훈(原從一等勳)이 사급됨.
1492~155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양원(陽元) - 위서(魏舒)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 때의 문신. 산도(山濤)의 대임으로 사도(司徒) 등을 역임하였으며, 침중한 천성으로 널리 일컬어짐.
209~29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원(陽元)@이양원 - 이양원(李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원부령(利原副令) 이학정(李鶴汀)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明) 나라에 가서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우고, 영의정 등을 지냄.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원(陽原)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양원(陽原)@양천 - 양천(陽川)
경기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의 서울시 양천구(陽川區) 가양동(加陽洞) 일대를 말하며, 개화산(開花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었음.
경기도>양천 , 지명>행정지명
-
양원(養源) - 이함(李涵)@1554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조부로, 선조 때 문과에 올랐으나 답안지 가운데 《장자(莊子)》에서 인용한 말이 있다고 하여 취소당하였으며, 의령 현감(宜寧縣監) 등을 역임한 후 광해군 때 낙향함.
1554~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양원공자(梁園公子) - 유무(劉武)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의 둘째 아들. 양원(梁園)이라는 동산을 꾸미고 사마상여(司馬相如) 등 사방의 문장 호걸들을 초청하여 풍류를 즐겼으나, 율태자(栗太子)가 폐위된 후 원앙(袁盎) 등의 반대로 태자가 되지 못하자 후에 원앙 등을 죽임.
?~B.C.41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원권씨(良媛權氏) - 현덕왕후(顯德王后)
조선 제5대 문종(文宗)의 비(妃).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전(權專)의 딸. 단종(端宗)의 어머니로, 세종(世宗) 때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나 가례(嘉禮)를 행하지 못한 채 4년 만에 죽자 현덕(顯德)이란 시호가 내려졌으며, 문종이 즉위한 후 왕후로 추봉(追封)됨.
1418~144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양위(襄威) - 이봉(怡峯)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의 무신. 뛰어난 용맹으로 훗날 북주(北周)의 태조(太祖)가 된 우문태(宇文泰)의 신임을 얻어 어지러운 정국을 돌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유(楊侑) - 공제(恭帝)@수
중국 수(隋) 나라 제3대 황제. 재위 617~618. 양제(煬帝)의 손자.
605~619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후(神后) - 신종(神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6대 황제. 재위 1067~1085. 영종(英宗)의 장자로, 왕안석(王安石)을 등용하여 부국강병책을 시행하였으나, 서하(西夏) 원정 등 외정(外征)에 실패하여 실의에 빠져 죽음.
1048~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신후지간(身後之諫) - 시간(屍諫)
죽으면서도 임금에게 간언(諫言)함.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 사추(史鰌)가 자신이 죽은 뒤 주검을 문밖에 내놓는 것으로 영공(靈公)에게 간언(諫言)하여 깨닫게 했다는 고사로, 《공자가어(孔子家語)》 등에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신희(新稀) - 하연(河演)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불교의 일곱 종파를 선(禪)ㆍ교(敎) 양종으로 통합하고, 혁파된 사원의 토지와 노비를 국가에 환수하게 하였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문종(文宗)의 묘정에 배향됨.
1376~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실(實) - 전실(田實)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예산(禮山).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전승개(田承漑)의 아버지로, 고령 현감(高靈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 , 인명>관인>문신
-
실달(悉達)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실달다(悉達多)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실리라(室利羅) - 사리(舍利)
참된 불도(佛道)의 수행 결과로 생기는 구슬 모양의 유골. 양산(梁山) 통도사(通度寺)와 오대산(五臺山) 상원사(上院寺) 등에 석가(釋迦)의 진신사리(眞身舍利)가 봉안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짐.
사상>현상>신체증상
-
실부(實夫) - 윤상(尹祥)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인 조용(趙庸)에게 수학하였으며, 세종(世宗) 때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으로 세손(世孫)이던 단종을 가르침. 경학(經學)에 밝고 문장에도 매우 능하였으며 후진양성에 힘씀.
1373~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실이(實而) - 이자화(李自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호조 판서(戶曹判書) 이자견(李自堅)과 좌참찬(左參贊) 이자건(李自健)의 아우로,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실재(實齋) - 왕수(王遂)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 화문각 직학사(華文閣直學士)를 지냈으며, 《주자대전속집(朱子大全續集)》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실재(實齋)@이제현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실주(實周) - 임밀(林密)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예부 주사(禮部主事)를 지내고, 1374년(고려 공민왕 23)에 채빈(蔡斌)과 함께 고려에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실지(實之) - 황성창(黃誠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영의정 황희(黃喜)의 증손. 1491년(성종 22)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병조 참지(兵曹參知)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실지(實之)@이종유 - 이종유(李宗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사복시 정(司僕寺正) 이적(李績)의 아들이며, 정존재(靜存齋) 이담(李湛)의 아버지로,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냄.
1479~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실직(悉直) - 삼척(三陟)
강원도 동부 해안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삼척 , 지명>행정지명
-
심(深)@강심 - 강심(姜深)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오른 아들 강덕룡(姜德龍)의 공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심(深)@홍심 - 홍심(洪深)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덕보(洪德輔)의 아들이며 좌의정 홍응(洪應)의 아버지로, 한성부윤(漢城府尹) 등을 지내고,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됨.
1398~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심(深)@권심 - 권심(權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영조(英祖) 때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권상일(權相一)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심(深) - 이심(李深)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으로, 의정부 참찬(議政府參贊)을 지낸 이문화(李文和)의 아버지. 전공 판서(典工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심(深)@최심 - 최심(崔深)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로, 감사(監司)를 지낸 최현(崔晛)의 아버지.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
1512~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심(諶) - 김심(金諶)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호조 참의(戶曹參議) 김우신(金友臣)의 아들로, 도총부 부총관(都摠府副摠管)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445~150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심(沈) - 윤심(尹沈)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윤화명(尹化溟)의 아들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심(𦸂) - 이심(李𦸂)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하원군(河源君)에 봉해짐.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이행(李荇)의 종형(從兄)으로, 《용재집(容齋集)》에 묘지(墓誌)가 실려 있음.
1472~151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심경(心經)@반야심경 - 반야심경(般若心經)
불교 경전(經典)의 하나. 여러 반야경(般若經) 가운데 중심 사상을 간결하게 설한 것으로,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현장(玄奘)의 한역(漢譯)이 가장 널리 알려짐.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이라는 문구로 유명함.
고대 , 기타지역 , 문헌>서명
-
심경부주석의(心經附註釋疑) - 심경석의(心經釋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송(宋) 나라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을 해석한 책. 활자본. 4권 1책. 원래는 이황의 강의 내용을 이덕홍(李德弘)ㆍ이함형(李咸亨) 등이 기록한 것으로, 숙종(肅宗) 때 송시열(宋時烈) 등이 왕명(王命)으로 교정하여 간행함. 송시열이 쓴 서(序)가 있음.
168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심경석의(心經釋義) - 심경석의(心經釋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송(宋) 나라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을 해석한 책. 활자본. 4권 1책. 원래는 이황의 강의 내용을 이덕홍(李德弘)ㆍ이함형(李咸亨) 등이 기록한 것으로, 숙종(肅宗) 때 송시열(宋時烈) 등이 왕명(王命)으로 교정하여 간행함. 송시열이 쓴 서(序)가 있음.
168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심곡(深谷) - 김치(金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부사(府使) 김시회(金時晦)의 아들로, 상락군(上洛君) 김시민(金時敏)에게 출계함. 인조반정 후 한때 대북(大北)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등을 지냄.
1577~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심곡수(深谷守) - 이숙손(李淑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희수(鄭希壽)의 외조부이며, 심곡수(深谷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심공립(沈公立) - 심신겸(沈信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아들로, 가산 군수(嘉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심공직(沈公直) - 심충겸(沈忠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심의겸(沈義謙)의 아우이며, 인순왕후(仁順王后)의 동생.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군량미 조달에 공헌하여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올랐으며,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45~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심기리편(心氣理篇) - 심기리(心氣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정도전(鄭道傳)이 유가(儒家)의 입장에서 불가(佛家)와 도가(道家)를 비판하고 유가의 우수성을 찬양한 글. 〈심난기(心難氣)〉ㆍ〈기난심(氣難心)〉ㆍ〈이유심기(理諭心氣)〉의 3편으로 구성됨.
1394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심낭중(沈郞中) - 심현화(沈玄華)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낭중(郞中)ㆍ대리소경(大理少卿)등을 역임하였으며, 김성일(金誠一)이 중국에 사신으로 갔을 때 문서 고치는 일을 도와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심뇨산도인(深裊山道人) - 오내(吳萊)
중국 원(元) 나라의 시인. 지방관의 추천을 받아 춘시(春試)에 응시하였으나 급제하지 못하고‚ 이후 심뇨산(深裊山)에 은거하며 독서와 저술에 전념함. 저서로는 제자인 송렴(宋濂)이 펴낸 《연영오선생집(淵潁吳先生集)》과 《맹자제자열전(孟子弟子列傳)》등이 있음.
1297~1340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심대비(沈大妃) - 인순왕후(仁順王后)
조선 제13대 명종(明宗)의 정비(正妃). 명종 즉위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며, 명종이 죽고 선조(宣祖)가 즉위하자 잠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532~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심도(心圖) -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조선 전기의 대학자 이황(李滉)이 선조(宣祖)에게 바친 성학십도(聖學十圖) 가운데 여섯 번째 도설(圖說). 심(心)ㆍ성(性)ㆍ정(情)의 성리학적 개념을 도식(圖式)으로 표현함.
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심도(沁都) - 강화(江華)
인천 북서부 연안과 서해 15개 도서(島嶼)로 이루어진 지역 이름. 그중 강화도(江華島)는 몽고(蒙古) 침입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임시수도의 역할을 함.
경기도>강화 , 지명>행정지명
-
심돈(沈惇) - 심열(沈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송(靑松). 심예겸(沈禮謙)의 아들로, 숙부 심충겸(沈忠謙)에게 출계(出系)함. 삼사(三司)의 요직을 역임하고, 탁지(度支)에 대한 뛰어난 경륜으로 왕의 총애를 받음.
1569~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심만포(沈滿浦) - 심사손(沈思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심정(沈貞)의 아들로, 평안도 만포(滿浦)에서 변방방어에 힘쓰던 중 야인(野人)의 기습으로 죽음.
149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심문(審問) - 박심문(朴審問)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인해 조정에 출사하지 않고 단종(端宗)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성삼문(成三問) 등 육신(六臣)이 참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음독자살함.
1408~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심보(深父) - 최강(崔江)
고려 후기의 유학. 초명은 지(潪)이고 강(江)으로 개명함. 이곡(李穀)이 새 이름에 대한 자(字)를 심보(深父)로 지어 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심보(深父)@이휘준 - 이휘준(李彙濬)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만도(李晩燾)의 아버지로, 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냄.
1806~186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심보(深甫) - 유은(柳溵)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유충정(柳忠貞)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좌랑(佐郞)을 역임함.
154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심부(深父) - 왕회(王回)
중국 송(宋) 인종(仁宗)~영종(英宗) 때의 학자ㆍ문신. 유향(劉向)의 《열녀전(列女傳)》을 7전(七傳)으로 편집(編輯)하여 각 편의 대의(大意)를 밝힘.
1023~106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심부평(沈富平) - 심신겸(沈信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아들로, 가산 군수(嘉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심사눌(沈士訥) - 심종민(沈宗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명(明) 나라 제독 이승훈(李承勛)의 휘하에 종군하여 그 공으로 군자감 주부(軍資監主簿)가 됨.
1554~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심석(心石) - 송병순(宋秉珣)
조선 고종(高宗)~근대의 문신ㆍ순국지사. 본관은 은진(恩津).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토오적문(討五賊文)〉을 지어 민족정기의 앙양과 국권회복을 호소하고, 경술국치(庚戌國恥) 후에 일제의 회유책에 맞서 음독 자결함.
1839~1912 한국>근대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심석재(心石齋) - 송병순(宋秉珣)
조선 고종(高宗)~근대의 문신ㆍ순국지사. 본관은 은진(恩津).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토오적문(討五賊文)〉을 지어 민족정기의 앙양과 국권회복을 호소하고, 경술국치(庚戌國恥) 후에 일제의 회유책에 맞서 음독 자결함.
1839~1912 한국>근대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심성정도(心性情圖) -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조선 전기의 대학자 이황(李滉)이 선조(宣祖)에게 바친 성학십도(聖學十圖) 가운데 여섯 번째 도설(圖說). 심(心)ㆍ성(性)ㆍ정(情)의 성리학적 개념을 도식(圖式)으로 표현함.
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심숙(尋叔) - 심삼달(沈三達)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심열(沈說)의 아들이자 심징(沈澄)의 아버지로, 1630년(인조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8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심악군(深岳君) - 이담(李湛)@고려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기거주(起居注)와 우대언(右代言)을 역임하였으며, 동지공거(同知貢擧)를 맡아 송천봉(宋天鳳) 등을 선발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심악주(深岳主) - 신자건(愼自健)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신후갑(愼後甲)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냈으나, 파직당한 뒤에는 교하(交河)로 내려가 서예에 전념함.
1443~15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심암(深菴) - 구준(丘濬)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에 매우 웅장하고 전례(典例)와 고사(故事)에 정통함. 《영종실록(英宗實錄)》ㆍ《헌종실록(憲宗實錄)》을 편찬하고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저술함.
1420~149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심양(潯陽)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심양(沈陽) - 심양(瀋陽)
중국 요동(遼東) 동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청(淸) 나라 초기의 수도(首都)이며 행정ㆍ문화의 중심지. 간체자로 심양(沈陽)이라고도 하는데, 심(沈)은 혼하(渾河)의 원래 이름인 심수(沈水)에서 나온 것이며, 양(陽)은 강(江)의 북쪽을 가리킴.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심양왕(瀋陽王) - 충선왕(忠宣王)
고려 제26대 왕. 재위 1298, 1308~1313. 충렬왕(忠烈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토지와 관제개혁 등 일련의 혁신정치를 시도하고, 원(元) 나라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세워 서적수집과 학자들의 문화교류에 큰 영향을 줌.
1275~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심양유사(潯陽幽士)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심양처사(潯陽處士)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심언(審言) - 권심언(權審言)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지낸 야옹(野翁) 권의(權檥)의 아들로, 음서(蔭敍)로 거창 현감(居昌縣監) 등을 지냈으며, 아버지의 학덕을 받들기 위해 예천(醴泉)에 야옹정(野翁亭)을 지음.
1502~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심언(審言)@두심언 - 두심언(杜審言)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두보(杜甫)의 할아버지로, 수문관 직학사(修文館直學士) 등을 지냄. 이교(李嶠)ㆍ최융(崔融)ㆍ소미도(蘇味道)와 함께 문장사우(文章四友)로 일컬어짐.
648~70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심왕(瀋王)@충선왕 - 충선왕(忠宣王)
고려 제26대 왕. 재위 1298, 1308~1313. 충렬왕(忠烈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토지와 관제개혁 등 일련의 혁신정치를 시도하고, 원(元) 나라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세워 서적수집과 학자들의 문화교류에 큰 영향을 줌.
1275~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심왕(瀋王) - 왕고(王暠)
고려 충렬왕(忠烈王)의 손자. 충숙왕(忠肅王) 때 독로화(禿魯花)로서 원(元) 나라에 머무름. 충숙왕ㆍ충혜왕(忠惠王) 때 고려 왕위를 도모했으나 실패함.
?~134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심왕고(瀋王暠) - 왕고(王暠)
고려 충렬왕(忠烈王)의 손자. 충숙왕(忠肅王) 때 독로화(禿魯花)로서 원(元) 나라에 머무름. 충숙왕ㆍ충혜왕(忠惠王) 때 고려 왕위를 도모했으나 실패함.
?~134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심원(深源)@양홍 - 양홍(楊洪)@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영광 군수(靈光郡守)를 지낸 양사형(楊士衡)의 아버지로, 1540년(중종 35)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사복시 부정(司僕寺副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심원(深源)@이심원 - 이심원(李深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의 무고로 유배생활을 했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심원(深源) - 민반(閔泮)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성주 목사(星州牧使)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使) 등을 지냄. 《희락당고(希樂堂稿)》에 김안로(金安老)가 쓴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439~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심원(深源)@윤준 - 윤준(尹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윤시걸(尹時傑)의 셋째 아들로, 시정기(時政記) 필화사건으로 처형된 안명세(安明世)를 비호하였다는 구사안(具思顔)의 밀계(密啓)로 인해 형 윤결(尹潔)과 함께 처형됨.
1520~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심원(深源)@이굉 - 이굉(李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손자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굉필(金宏弼)의 당여로 몰려 관직이 삭탈되었다가 중종반정 뒤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하고 안동(安東)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440~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심원(深源)@조필 - 조필(趙泌)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창(淳昌). 생원(生員) 조희(趙禧)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심원(深源)@은호 - 은호(殷浩)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 중원장군(中原將軍)이 되었을 때 북벌(北伐)에 번번이 실패하여 벗인 환온(桓溫)의 상소로 인해 축출되자, 하루종일 허공에 ‘돌돌괴사(咄咄怪事)’ 네 글자만 썼다는 고사로 유명함
?~3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심원사(尋源寺) - 백담사(百潭寺)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 때 자장(慈藏)이 강원도(江原道) 인제(麟蹄) 설악산에 창건한 사찰. 처음 이름은 한계사(寒溪寺)였으나, 소실(燒失)과 중건(重建)의 반복으로 이름과 위치가 여러 번 바뀜. 1455년(세조 1)에 승려 재익(載益) 등이 옛 한계사 터의 윗쪽 20리 지점에 중건하고 백담사라고 개칭함.
647 한국>신라 , 강원도>인제 , 유적>건물>사찰
-
심원사(深源寺) - 백담사(百潭寺)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 때 자장(慈藏)이 강원도(江原道) 인제(麟蹄) 설악산에 창건한 사찰. 처음 이름은 한계사(寒溪寺)였으나, 소실(燒失)과 중건(重建)의 반복으로 이름과 위치가 여러 번 바뀜. 1455년(세조 1)에 승려 재익(載益) 등이 옛 한계사 터의 윗쪽 20리 지점에 중건하고 백담사라고 개칭함.
647 한국>신라 , 강원도>인제 , 유적>건물>사찰
-
심유격(沈遊擊) - 심유경(沈惟敬)
중국 명(明) 나라의 사신. 임진왜란 때 요양부총병(遼陽副摠兵) 조승훈(祖承訓)의 유격장군(遊擊將軍)으로 와서 소서행장(小西行長)과 강화를 의논함. 강화가 결렬된 후 일본에게 항복하려다가 명 나라 장수 양원(楊元)에게 체포되어 처형됨.
?~159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심은후(沈隱侯) - 심동로(沈東老)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명은 한(漢)으로 삼척심씨(三陟沈氏)의 비조(鼻祖). 중서사인(中書舍人)을 지냈으며, 공민왕이 동로(東老)라는 이름을 하사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심의(沈醫) - 심안신(沈安信)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원. 유희춘(柳希春)이 쓴 《미암집(眉巖集)》에 파주(坡州)에 있는 백인걸(白仁傑)의 병을 돌봐 주었다는 사실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술인>의원
-
심일로(沈逸老) - 심응지(沈膺之)
조선 전기의 유학. 이해수(李海壽)와 교유하여 《약포유고(藥圃遺稿)》에 여러 편의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심자(沈子) - 심인사(沈驎士)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제(齊) 나라 학자. 빈사(貧士)로서 손수 발(簾)을 짜면서 글을 읽었지만 경사(經史)에 박통(博通)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심재(心齋)@송환기 - 송환기(宋煥箕)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5대손이며 송능상(宋能相)의 문인으로,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학덕을 겸비하여 조야의 존경을 받았으며, 시문집으로 《성담집(性潭集)》이 있음.
1728~180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심재(心齋) - 김여석(金礪石)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참여하고, 명(明) 나라의 건주위(建州衛) 정벌 때 참여하여 공을 세움.
1445~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심적(心適) - 김이상(金履祥)@김수련의아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수련(金守蓮)의 아들. 중종 때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통례원 통례(通禮院通禮), 덕천 군수(德川郡守) 등을 지냄. 시를 잘 지어 현재까지 전해오는 것이 많고, 개성(開城) 남산사(南山祠)에 향사됨.
1498~157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심적당(心適堂) - 김이상(金履祥)@김수련의아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수련(金守蓮)의 아들. 중종 때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통례원 통례(通禮院通禮), 덕천 군수(德川郡守) 등을 지냄. 시를 잘 지어 현재까지 전해오는 것이 많고, 개성(開城) 남산사(南山祠)에 향사됨.
1498~157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