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심존중(沈存中) - 심괄(沈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사천감(司天監)이 되어 천체관측법ㆍ역법(曆法) 등을 창안하였고, 천문ㆍ수학ㆍ지리ㆍ본초(本草) 등 과학에 밝았으며, 저서에는 《몽계필담(夢溪筆談)》이 있음.
1031~109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심주진(沁州津) - 강화(江華)
인천 북서부 연안과 서해 15개 도서(島嶼)로 이루어진 지역 이름. 그중 강화도(江華島)는 몽고(蒙古) 침입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임시수도의 역할을 함.
경기도>강화 , 지명>행정지명
-
심중(心仲) - 경세인(慶世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군수(郡守)를 지낸 경상(慶祥)의 아들로,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야인으로 생을 마침.
14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심중오(沈仲悟) - 심경(沈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이(李珥)의 문인. 이발(李潑) 형제가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처형되었을 때 장사를 지냈다는 죄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정인홍(鄭仁弘)이 폐모론을 일으키자 규탄하다가 유배감.
1556~161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면천 , 인명>관인>문신
-
심지(審之) - 이심지(李審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이맹전(李孟專)의 아버지. 예빈시 사(禮賓寺事)를 지내고, 후에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심지(深之) - 이강(李絳)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792년 당 나라 정원(貞元) 8년에 구양첨(歐陽詹)ㆍ한유(韓愈) 등과 함께 육지(陸贄)의 방(榜)에 합격하였는데, 당시 사람들에게 용호방(龍虎榜)이라는 칭호를 들음.
764~83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심지현(沈知縣) - 심종민(沈宗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명(明) 나라 제독 이승훈(李承勛)의 휘하에 종군하여 그 공으로 군자감 주부(軍資監主簿)가 됨.
1554~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심춘(尋春) - 유심춘(柳尋春)
조선 정조(正祖)~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유광수(柳光洙)의 아들로, 유발(柳潑)에게 출계함. 평소 《주자대전(朱子大全)》을 탐독하여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시문(詩文)에도 능함.
1762~18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심통도(心統圖) -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조선 전기의 대학자 이황(李滉)이 선조(宣祖)에게 바친 성학십도(聖學十圖) 가운데 여섯 번째 도설(圖說). 심(心)ㆍ성(性)ㆍ정(情)의 성리학적 개념을 도식(圖式)으로 표현함.
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심통사(心通寺) - 신통사(神通社)
전라도 담양(潭陽)에 있었던 사찰 이름. 면앙정(俛仰亭)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함.
전라도>담양 , 유적>건물>사찰
-
심학(心學) - 양명학(陽明學)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왕수인(王守仁)이 주창한 유가철학(儒家哲學)의 한 학파. 정주이학(程朱理學)과 대립되는 성격으로, 육구연(陸九淵)의 학설을 계승하여 심즉리(心卽理)ㆍ치양지(致良知)ㆍ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을 주창함.
중국>명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심한(沈漢) - 심동로(沈東老)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명은 한(漢)으로 삼척심씨(三陟沈氏)의 비조(鼻祖). 중서사인(中書舍人)을 지냈으며, 공민왕이 동로(東老)라는 이름을 하사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십곡성(十谷城) - 곡산(谷山)
황해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고향.
황해도>곡산 , 지명>행정지명
-
십구사략통고(十九史略通考) - 십구사략(十九史略)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여진(余進)이 편찬한 역사서. 원(元) 나라 때 증선지(曾先之)가 편찬한 《십팔사략(十八史略)》에 원사(元史)를 보태어 만듦. 원래 서명은 《십구사략통고(十九史略通考)》.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십도(十圖) - 성학십도(聖學十圖)
조선 전기의 학자 이황(李滉)이 성학(聖學)의 개요를 열 폭의 도식(圖式)으로 설명한 글. 도학(道學)ㆍ이학(理學)에 대한 이황의 학문적 깊이가 잘 나타나 있음.
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십도서(十圖書) - 성학십도(聖學十圖)
조선 전기의 학자 이황(李滉)이 성학(聖學)의 개요를 열 폭의 도식(圖式)으로 설명한 글. 도학(道學)ㆍ이학(理學)에 대한 이황의 학문적 깊이가 잘 나타나 있음.
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십동천(十洞天) - 선인사(仙人祠)
중국 사천성(四川省) 청성현(靑城縣)의 명학산(鳴鶴山)에 있던 포교 사당.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십방후(什方侯) - 옹치(雍齒)
중국 진(秦)~전한(前漢) 때의 무신. 한(漢) 고조(高祖)의 미움을 받았으나 제장(諸將)들을 안정시키기 위한 장량(張良)의 계책으로 인해 십방후(什方侯)에 봉해짐.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십붕(十朋) - 왕십붕(王十朋)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시인ㆍ문신. 주희(朱熹)ㆍ왕응신(汪應辰) 등의 학자들과 교유했으며, 소동파(蘇東坡)의 시(詩)를 집주(集註)한 《집주분류동파선생시(集註分類東坡先生詩)》로 유명함.
1112~117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십삼역(十三驛) - 십삼산역(十三山驛)
중국 요동(遼東) 광녕위(廣寧衛)의 서남쪽 십삼산보(十三山堡)에 있는 역(驛) 이름. 성 동쪽에 13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십삼산(十三山)'이 있는데, 십삼산역도 이로 인해 명칭을 얻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십성당(十省堂) - 엄흔(嚴昕)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언로의 개방과 언관의 탄압 중지 등을 건의했으며, 시문(詩文)에 능하였음.
1508~15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십성헌(十省軒) - 엄흔(嚴昕)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언로의 개방과 언관의 탄압 중지 등을 건의했으며, 시문(詩文)에 능하였음.
1508~15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십오지(十五志) - 순오지(旬五志)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만종(洪萬宗)이 지은 문학평론집. 정철(鄭澈)ㆍ송순(宋純) 등의 시가(詩歌), 속담, 한국의 역사, 유ㆍ불ㆍ선에 관한 일화,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에 대한 견해, 속자(俗字)에 대한 기술 등 다양한 내용을 실음. 2권 1책. 필사본.
167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십완(十玩) - 정사룡(鄭士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명종 때 이량(李樑)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削職)당함. 시문(詩文)ㆍ음률(音律)에 뛰어나고,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申光漢)과 쌍벽을 이룸.
149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십완당(十玩堂) - 정사룡(鄭士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명종 때 이량(李樑)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削職)당함. 시문(詩文)ㆍ음률(音律)에 뛰어나고,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申光漢)과 쌍벽을 이룸.
149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십이현금(十二絃琴) - 가야금(伽倻琴)
우리나라 대표적 고유 현악기(絃樂器)의 하나. 우륵(于勒)이 처음 만들었다고 하며, 오동나무 공명통(共鳴筒) 위에 열두 줄의 명주실을 매고 손가락으로 뜯어 연주함.
한국>가야 , 물품>기타용품>악기
-
십익건(什翼犍) - 소성제(昭成帝)@남북조(북위)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추존왕. 전진(前秦)의 부견(苻堅)과의 싸움에서 패하여 도망쳐 떠돌다가 아들인 탁발식군(拓拔寔君)에게 피살됨.
320~37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십장(十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십조(十條) - 주자십회훈(朱子十悔訓)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가 남긴 학설.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면서 하기 쉬운 후회 가운데 열 가지를 뽑아 제시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십청(十淸) - 김세필(金世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복직되었으나, 조광조(趙光祖)를 사사(賜死)한 중종의 과오를 규탄하다가 장배(杖配)됨. 경학(經學)에 밝았음.
1473~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십청(十靑)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십청선생집(十淸先生集) - 십청집(十淸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세필(金世弼)의 문집. 4권 2책. 활자본. 용재(容齋) 이행(李荇)이 증손 김인용(金仁龍)의 집에서 유고를 얻어 교정 편집하고, 김광악(金光岳)이 송시열(宋時烈)의 신도비명(神道碑銘) 등을 합하여 간행함.
174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십청정(十靑亭)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십청헌(十淸軒) - 김세필(金世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복직되었으나, 조광조(趙光祖)를 사사(賜死)한 중종의 과오를 규탄하다가 장배(杖配)됨. 경학(經學)에 밝았음.
1473~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십청헌집(十淸軒集) - 십청집(十淸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세필(金世弼)의 문집. 4권 2책. 활자본. 용재(容齋) 이행(李荇)이 증손 김인용(金仁龍)의 집에서 유고를 얻어 교정 편집하고, 김광악(金光岳)이 송시열(宋時烈)의 신도비명(神道碑銘) 등을 합하여 간행함.
174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십팔랑(十八郞) - 이모(李瑁)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열여덟째 아들. 무혜비(武惠妃)의 소생으로, 검남절도사(劍南節度使) 등을 지냈으나, 자신의 비(妃)였던 양귀비(楊貴妃)를 현종에게 빼앗김.
?~77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십훈(十訓) - 훈요십조(訓要十條)
고려 태조(太祖)가 자손들에게 내린 열 가지 유훈(遺訓). 943년(태조 26) 4월에 박술희(朴述熙)를 통하여 전했으며, 주로 왕실의 안녕을 위해 지켜야 할 일을 담고 있음.
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법제>법률
-
십훈(十訓)@주자십회훈 - 주자십회훈(朱子十悔訓)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가 남긴 학설.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면서 하기 쉬운 후회 가운데 열 가지를 뽑아 제시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십훈요(十訓要) - 훈요십조(訓要十條)
고려 태조(太祖)가 자손들에게 내린 열 가지 유훈(遺訓). 943년(태조 26) 4월에 박술희(朴述熙)를 통하여 전했으며, 주로 왕실의 안녕을 위해 지켜야 할 일을 담고 있음.
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법제>법률
-
쌍계(雙溪)@왕염 - 왕염(王炎)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군기소감(軍器少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경사(經史)에 능통하여 예기(禮記)ㆍ사서(四書) 등을 주석함. 저서에 《쌍계집(雙溪集)》이 있음.
1137~121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쌍계(雙溪)@이종검 - 이종검(李宗儉)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낸 이안직(李安直)의 아들로, 아우 이종겸(李宗謙)과 함께 용인의 남곡(南谷)에 은거하여 이맹전(李孟專)ㆍ김시습(金時習) 등과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쌍계(雙溪) - 김뉴(金紐)@1420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중엄(金仲淹)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했으며, 시(詩)ㆍ서(書)ㆍ금(琴)에 모두 뛰어났음.
14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쌍계(雙溪)@이재 - 이재(李梓)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인조의 묘호(廟號)에 대하여 인종(仁宗)이 있다는 이유로 반대한 유계(兪棨)ㆍ심대부(沈大孚) 등을 옹호하다가 삭직당함. 집의(執義)ㆍ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등을 지냄.
1606~165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쌍계(雙谿) - 이경석(李景奭)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를 호종하고, 청(淸) 나라의 침략으로 인한 위기에서 국가를 구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 삼전도비(三田渡碑)의 비문을 씀.
1595~167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 , 인명>관인>문신
-
쌍계서원(雙溪書院) - 도동서원(道東書院)@현풍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현풍(玄風)에 건립된 서원. 1605년(선조 38) 건립되어 배신(裵紳)ㆍ정구(鄭逑)ㆍ김굉필(金宏弼)ㆍ곽율(郭𧺝) 등을 배향함. 지금의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에 속함.
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유적>건물>서원,향교
-
쌍계재(雙溪齋) - 김뉴(金紐)@1420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중엄(金仲淹)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했으며, 시(詩)ㆍ서(書)ㆍ금(琴)에 모두 뛰어났음.
14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쌍곡(雙谷) - 김질(金礩)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의 단종(端宗) 복위 계획을 고변하여 사육신(死六臣) 사건의 계기를 제공함.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에 참여함.
1422~14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쌍곡(雙谷)@정척 - 정척(鄭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호조 참판 정언각(鄭彦慤)의 아들. 1549년(명종 4)의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지(承旨)ㆍ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냄.
1517~159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쌍괴(雙槐) - 문근(文瑾)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영남 출신 사림파의 한 사람으로 훈구파와 사림파 사이를 조제(調劑)하는 역할을 함.
14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쌍괴(雙槐)@이홍간 - 이홍간(李弘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 등과 교유했고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남곤(南袞)의 과오를 지적하는 등 강직한 언사로 명망이 있었음.
1486~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쌍괴당(雙槐堂) - 문근(文瑾)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영남 출신 사림파의 한 사람으로 훈구파와 사림파 사이를 조제(調劑)하는 역할을 함.
14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쌍당(雙塘) - 권홍(權弘)@1360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권균(權鈞)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등을 지냄. 문학에 뛰어났으며, 전서ㆍ예서에 능하여 헌릉(獻陵)ㆍ문묘(文廟)ㆍ기자사(箕子祠)의 비문을 씀.
1360~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쌍도왕(雙刀王) - 왕필(王弼)@명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무신. 쌍도(雙刀)를 지니고 다니며 사용하여 ‘쌍도왕(雙刀王)’으로 불렸으며, 원(元) 나라 말기 주원장(朱元璋) 휘하에서 활약하여 여러 전투에서 전공을 올림.
?~139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쌍리(雙里) - 이이첨(李爾瞻)
조선 선조(宣曺)~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대북(大北)의 영수로서, 광해군(光海君) 즉위 후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살해하고 소북(小北)파를 숙청하는 등 생살치폐(生殺置廢)를 자행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나자 처형됨.
1560~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쌍매당(雙梅堂) - 이첨(李詹)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내고, 하륜(河崙) 등과 함께 《삼국사략(三國史略)》을 찬수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소설 〈저생전(楮生傳)〉을 지음.
1345~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쌍매당(雙梅堂)@이윤 - 이윤(李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김일손(金馹孫)ㆍ권오복(權五福) 등과 교유하였으며,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재등용되어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쌍매당협장문집(雙梅堂篋藏文集) - 쌍매당협장집(雙梅堂篋藏集)
고려 말~조선 초의 학자인 이첨(李詹)의 시문집. 25권. 활자본. 아들 이소축(李少畜)이 편집ㆍ간행함. 원본은 극히 희귀하여 현재 일부만 전해짐.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쌍매헌(雙梅軒) - 이학(李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로,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를 지낸 이세원(李世元)의 아들. 성균관(成均館) 진사(進士)로 명성이 높았고,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절친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쌍명재(雙明齋) - 최당(崔讜)
고려 명종(明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최선(崔詵)ㆍ장자목(張自牧) 등과 함께 기로회(耆老會)를 조직하여 시주(詩酒)로써 소일하므로 당시에 지상선(地上仙)으로 불림.
1135~1211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쌍명재(雙明齋)@이인로 - 이인로(李仁老)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원(慶源).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 등과 교유하고,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등을 지냄. 시문(詩文)뿐만 아니라 초서(草書)ㆍ예서(隸書)에도 능함.
1152~122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쌍미륵(雙彌勒) - 쌍석불(雙石佛)
고려시대에 경기도 파주(坡州)의 용암사(龍巖寺)에 조성한 석불입상(石佛立像). 고려 선종(宣宗)의 비(妃)인 원신궁주(元信宮主)가 이 석불을 조성한 후 아들을 낳았다 하여 기도처로 널리 알려짐.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유적>기타유적
-
쌍백당(雙栢堂) - 최기(崔沂)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낼 때 박희일(朴希一) 등을 무고죄로 처형함으로써 이이첨(李爾瞻)의 미움을 받아 옥사(獄死)함. 뒤에 다시 대역죄로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인조(仁祖) 때 신원됨.
1553~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쌍백당(雙栢堂)@이세화 - 이세화(李世華)@조선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평(富平). 이이재(李以載)의 아들로, 이희재(李熙載)에게 출계함.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내고, 1689년(숙종 15)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비설을 듣고 상소를 올렸으며, 청백리(淸白吏)에 선정됨.
1630~1701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쌍봉(雙峯) - 도신(道信)
중국 선종(禪宗)의 제4조. 좌선행(坐禪行)을 통해 불교 본래의 가치인 수행력을 회복하게 하였고, 선종이 중국화 되는 계기를 마련함.
580~65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쌍봉(雙峯)@소세검 - 소세검(蘇世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쌍봉유고(雙峰遺稿)》를 저술함.
1483~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쌍봉(雙峯)@자각 - 자각(慈覺)
고려 후기의 승려. 순비허씨(順妃許氏)가 충선왕(忠宣王)에게 재가하기 전 낳은 아들 중 둘째. 속세를 벗어나 연하(煙霞)에 뜻을 두었고, 덕망이 높은 스님들의 존숭을 받아 선사(禪師)로 불리면서 이름을 크게 떨침.
한국>조선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문헌>서명
-
쌍봉(雙峯)@요로 - 요로(饒魯)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황간(黃榦)의 문인으로, 성학(聖學)에 뜻을 두고 치지역행(致知力行)을 근본으로 삼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쌍봉(雙峰) - 이복로(李福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택(李澤)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등을 지냄.
1469~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쌍봉요씨(雙峯饒氏) - 요로(饒魯)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황간(黃榦)의 문인으로, 성학(聖學)에 뜻을 두고 치지역행(致知力行)을 근본으로 삼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쌍봉일고(雙峰逸稿) - 쌍봉유고(雙峰遺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소세검(蘇世儉)의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1935년 후손 소학규(蘇學奎)ㆍ소진문(蘇鎭文) 등이 편집ㆍ간행함.
1935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쌍부(雙鳧) - 왕교(王喬)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 때의 문신. 업현(鄴縣)의 수령을 역임하였으며, 신술(神術)이 있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쌍성(雙城)@영흥 - 영흥(永興)@지명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정평(定平), 남쪽으로 고원(高原)ㆍ문천(文川)과 접해 있으며, 동쪽은 동해의 영흥만에 면해 있음. 조선 태조(太祖)가 태어난 선원전(璿源殿)이 있음.
함경도>영흥 , 지명>행정지명
-
쌍성(雙成) - 동쌍성(董雙成)
중국 고대 전설 속에 나오는 선녀. 서왕모(西王母)의 시녀(侍女).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쌍송(雙松)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쌍수당(雙修堂) - 김지대(金之岱)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청도김씨(淸道金氏)의 시조. 고종(高宗) 4년에 거란군이 침입하자 아버지를 대신해 출전함.
1190~126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쌍옹헌(雙翁軒) - 권철(權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의 아버지.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며 복상(福相)으로 칭송됨.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쌍정(雙井) - 황여헌(黃汝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장수(長水).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으로,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낸 황관(黃瓘)의 아들이며 황맹현(黃孟獻)의 아우. 문장과 글씨에 능하며, 〈죽지사(竹枝詞)〉라는 작품은 명(明) 나라에서도 격찬을 받음.
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쌍천(雙泉)@성여학 - 성여학(成汝學)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공주 판관(公州判官) 을 지낸 성언기(成彦器)의 아들로,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냄. 이수광(李晬光)ㆍ심종직(沈宗直)ㆍ김현성(金玄成) 등과 교유하고, 시를 잘 지음.
15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쌍천(雙泉) - 권순(權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영의정 권철(權轍)의 아들. 파주(坡州)ㆍ여주(驪州)의 목사牧使) 등을 제수받았으나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체직되었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이룸.
1536~160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관인>문신
-
쌍청(雙淸)@송유 - 송유(宋愉)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신덕왕후(神德王后)가 붕어(崩御)한 뒤 위패가 태조묘(太祖廟)에 부(附)해지지 않자 이를 한탄하는 글을 올리고 낙향하여 회덕(懷德)에 쌍청당(雙淸堂)을 짓고 은거함.
1388~144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쌍청(雙淸)@안종원 - 안종원(安宗源)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역임했음.
1325~139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쌍청(雙淸)@이계준 - 이계준(李繼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이구령(李九齡)의 아들로, 거창(居昌)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 임훈(林薰)의 《갈천집(葛川集)》에 그의 묘갈(墓碣)이 실려 있음.
1490~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문사>문인
-
쌍청(雙淸) - 박흥생(朴興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자수(金子粹)의 문인으로 창평 현령(昌平縣令)을 지냈으나, 친상(親喪)을 당해 낙향한 뒤 학문에 전념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쌍청당(雙淸堂) - 송유(宋愉)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신덕왕후(神德王后)가 붕어(崩御)한 뒤 위패가 태조묘(太祖廟)에 부(附)해지지 않자 이를 한탄하는 글을 올리고 낙향하여 회덕(懷德)에 쌍청당(雙淸堂)을 짓고 은거함.
1388~144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쌍청당(雙淸堂)@이현보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쌍청당(雙淸堂)@이계준 - 이계준(李繼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이구령(李九齡)의 아들로, 거창(居昌)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 임훈(林薰)의 《갈천집(葛川集)》에 그의 묘갈(墓碣)이 실려 있음.
1490~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문사>문인
-
쌍청당(雙淸堂)@안종원 - 안종원(安宗源)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역임했음.
1325~139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쌍청선생(雙淸先生) - 이계준(李繼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이구령(李九齡)의 아들로, 거창(居昌)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 임훈(林薰)의 《갈천집(葛川集)》에 그의 묘갈(墓碣)이 실려 있음.
1490~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문사>문인
-
쌍청처사(雙淸處士) - 송유(宋愉)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신덕왕후(神德王后)가 붕어(崩御)한 뒤 위패가 태조묘(太祖廟)에 부(附)해지지 않자 이를 한탄하는 글을 올리고 낙향하여 회덕(懷德)에 쌍청당(雙淸堂)을 짓고 은거함.
1388~144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쌍취헌(雙翠軒) - 권철(權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의 아버지.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며 복상(福相)으로 칭송됨.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쌍호(雙湖)@호일계 - 호일계(胡一桂)
중국 원(元) 나라 문종(文宗) 때의 학자. 호방평(胡方平)의 아들로, 주희(朱熹)의 학문을 종주로 하여 도학(道學)을 강학하였으며, 역학(易學)에 정통하여 《역본의부록찬소(易本義附錄纂疏)》ㆍ《역학계몽익전(易學啓蒙翼傳)》 등을 저술함.
124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쌍호(雙湖) - 남상문(南尙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명(明) 나라의 경리(經理) 양호(楊鎬)가 뛰어난 학식에 감동되어 그의 문하가 되었고, 고고한 품행으로 금오랑(金吾郞)에 등용됨.
1520~160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쌍호호씨(雙湖胡氏) - 호일계(胡一桂)
중국 원(元) 나라 문종(文宗) 때의 학자. 호방평(胡方平)의 아들로, 주희(朱熹)의 학문을 종주로 하여 도학(道學)을 강학하였으며, 역학(易學)에 정통하여 《역본의부록찬소(易本義附錄纂疏)》ㆍ《역학계몽익전(易學啓蒙翼傳)》 등을 저술함.
124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쌍회(雙檜) - 도동명(陶東明)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문학(文學)과 효행(孝行)으로 남대 장령(南臺掌令)이 되었으나, 조선이 건국되자 두문동(杜門洞)으로 들어가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쌍회당(雙檜堂) - 도동명(陶東明)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문학(文學)과 효행(孝行)으로 남대 장령(南臺掌令)이 되었으나, 조선이 건국되자 두문동(杜門洞)으로 들어가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아(阿) - 최아(崔阿)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아^기(牙^期) - 종^백(鍾^伯)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악공인 백아(伯牙)와 그 친구 종자기(鍾子期)를 함께 부르는 말. 마음이 통하는 절친한 교우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아개(阿盖) - 김인선(金仁瑄)
통일신라의 인물. 내사령(內史令) 김예겸(金禮謙)의 아버지로, 김인경(金仁鏡)의 선조. 그에 관한 기록이 《허백당집(虛白堂集)》〈김양경시집서(金良鏡詩集序)〉에 남아 있음.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아경(鵝經) - 황정경(黃庭經)
도가 경전(道家經典)의 하나. 중국 남북조시대 위(魏)ㆍ진(晉)의 도가들이 양생(養生)과 수련(修練)의 학습에 사용하던 책으로, 왕희지(王羲之)가 써주고 거위와 바꾸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아계(丫溪)@김일경 - 김일경(金一鏡)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소론(小論)의 거두로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주도하여 노론(老論) 수백 명을 살해 또는 추방하고 우참찬에 올랐으나, 영조가 즉위하여 노론이 재집권하자 친국(親鞫)을 받은 뒤 참형당함.
1662~17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