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아계(丫溪) - 고경허(高景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서경덕(徐敬德)에게 수학하고, 공조 좌랑(工曹佐郞)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아계(鵝溪)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계노인(鵝溪老人)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계병생(鵝溪病生)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계부원군(鵝溪府院君)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계상공(鵝溪相公)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계유고(鵝溪遺稾) - 아계유고(鵝溪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산해(李山海)의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기성록(箕城錄)〉ㆍ〈종현록(鍾峴錄)〉ㆍ〈쌍문록(雙門錄)〉 등으로 구성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아계집(鵝溪集) - 아계유고(鵝溪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산해(李山海)의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기성록(箕城錄)〉ㆍ〈종현록(鍾峴錄)〉ㆍ〈쌍문록(雙門錄)〉 등으로 구성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아곡(阿曲) - 울산(蔚山)
경상남도 북동부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시대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영(慶尙左道兵馬都節制使營)이 설치되어 경상좌도 육군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상도>울산 , 지명>행정지명
-
아골타(阿骨打) - 태조(太祖)@금
중국 금(金)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1115~1123. 만주 동부와 고려 장성(長城) 밖의 여진 제부(女眞諸部)를 통합하고, 요(遼) 나라 군대를 만주의 영강주(寧江州)에서 격파한 뒤 황제에 오름.
1068~1123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아구(阿丘) - 아사달(阿斯達)
고조선(古朝鮮) 때 단군(檀君) 왕검(王儉)이 도읍으로 삼았다는 지명.
고대 , 지명>기타지명
-
아나가야(阿那伽耶) - 함안(咸安)
경상도 남부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함안 , 지명>행정지명
-
아납특실리(阿納忒室利) - 충숙왕(忠肅王)
고려 제27대 왕. 재위 1313~1330, 1332~1339. 충선왕(忠宣王)의 둘째 아들. 원(元) 나라의 세공(歲貢)을 삭감하고 공녀(貢女)ㆍ환자(宦者)의 선발을 중지시키는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나, 뒤에 사냥과 연회 등에 빠져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않음.
1294~133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아노(阿奴) - 주모(周謨)@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 주의(周顗)ㆍ주숭(周嵩)의 아우로, 소부(少府)ㆍ중호군(中護軍)을 지내고 서평후(西平侯)에 봉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아노(鵝老)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단산(阿旦山) - 아차산(峨嵯山)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는 산 이름. 삼국시대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조선 명종(明宗) 때 점술가 홍계관(洪啓寬)을 잘못 죽인 데서 ‘아차’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고사가 전함. 지금의 서울 광진구(廣津區)와 경기도 구리시(九里市)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아달라왕(阿達羅王) -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
신라 제8대 왕. 재위 154~184. 최초로 감물(甘勿)ㆍ마산(馬山)의 두 현을 두었고, 계립령(鷄立嶺)ㆍ죽령(竹嶺)의 길을 개척함.
?~18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아달왕(阿達王) -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
신라 제8대 왕. 재위 154~184. 최초로 감물(甘勿)ㆍ마산(馬山)의 두 현을 두었고, 계립령(鷄立嶺)ㆍ죽령(竹嶺)의 길을 개척함.
?~18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아당(啞堂) - 박조(朴調)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효행으로 천거되어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내고, 성리학을 연구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아당(我堂) - 배진손(裵晉孫)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배규(裵規)의 아버지로, 고려 말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판공부사(判工部事)를 지냄. 조선 개국 때 이성계(李成桂)를 도왔으며,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아도물(阿堵物) - 공방(孔方)
고려 후기의 문인인 임춘(林椿)이 지은 가전체(假傳體) 소설 《공방전(孔方傳)》의 주인공. 엽전을 의인화한 인물로, 중국 한(漢) 나라 때 천(泉)의 아들로 태어나 홍려경(鴻臚卿) 등을 지냈으나, 재물만 중하게 여기다가 탄핵을 받아 쫓겨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아동(阿童) - 왕준(王濬)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 때의 장군. 누선(樓船)을 제조하여 오왕(吳王) 손호(孫皓)를 사로잡고 오 나라를 멸하였으며, 익주 자사(益州刺史)를 거쳐 무군대장군(撫軍大將軍) 등을 역임함.
206~2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아르탄칸() - 엄답(俺答)
16세기 말 몽고 토묵특부(土默特部)의 수령(首領). 1530년경부터 10여 년간 해마다 중국 명(明) 나라의 북쪽 국경에 침입함.
1507~1582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아리나례강(阿利那禮江)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아리수(阿利水) - 한강(漢江)
태백산맥(太白山脈)에서 발원하여 강원도ㆍ충청북도ㆍ경기도ㆍ서울을 동서로 흘러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하류 지역은 고대부터 문화 발달의 터전이었고, 삼국시대에는 쟁패의 요지였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 교통로로서의 중요성이 커짐.
서울 , 지명>자연지명
-
아림(娥林) - 거창(居昌)
경상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경상도>거창 , 지명>행정지명
-
아막(阿莫) - 운봉(雲峯)@지명
전라도 남원(南原)의 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지리산(智異山)의 서쪽에 위치하며, 호남(湖南)과 영남(嶺南)의 경계 지역을 이룸. 현재 전라북도 남원시(南原市)에 속함.
전라도>운봉 , 지명>행정지명
-
아막성(阿莫城) - 운봉(雲峯)@지명
전라도 남원(南原)의 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지리산(智異山)의 서쪽에 위치하며, 호남(湖南)과 영남(嶺南)의 경계 지역을 이룸. 현재 전라북도 남원시(南原市)에 속함.
전라도>운봉 , 지명>행정지명
-
아만(阿瞞)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아매(阿每)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아매씨(阿每氏)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아목(阿睦) - 홍섬(洪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언필(洪彦弼)의 아들이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안로(金安老)ㆍ이량(李樑)ㆍ남곤(南袞)의 횡포를 탄핵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경서에 밝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04~15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아몽(阿蒙) - 이안도(李安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황(李滉)의 장손(長孫)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이황 문하의 명유(名儒)들과 교유하였으며, 음서(蔭敍)로 벼슬하여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 등을 지냄.
1541~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아미(蛾眉)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아미산(峨嵋山) - 아미산(峨眉山)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산 이름. 청량산(淸凉山)ㆍ보타산(普陀山)과 함께 중국 불교의 3대 영산(靈山)으로 숭상됨. 미인의 아름다운 눈썹처럼 산세가 수려하여 이백(李白) 등 여러 문인들의 시문(詩文)에 자주 인용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아미산(蛾眉山) - 아미산(峨眉山)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산 이름. 청량산(淸凉山)ㆍ보타산(普陀山)과 함께 중국 불교의 3대 영산(靈山)으로 숭상됨. 미인의 아름다운 눈썹처럼 산세가 수려하여 이백(李白) 등 여러 문인들의 시문(詩文)에 자주 인용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아방(阿房) - 아방궁(阿房宮)
중국 진(秦) 나라 때 시황제(始皇帝)가 장안(長安) 서쪽에 세운 궁전 이름. 진을 정복한 항우(項羽)에 의해 전소되었는데, 석 달에 걸쳐 불탔다고 함. 호화로움의 극치를 상징함.
B.C.212~B.C.206 중국>진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아방전(阿房殿) - 아방궁(阿房宮)
중국 진(秦) 나라 때 시황제(始皇帝)가 장안(長安) 서쪽에 세운 궁전 이름. 진을 정복한 항우(項羽)에 의해 전소되었는데, 석 달에 걸쳐 불탔다고 함. 호화로움의 극치를 상징함.
B.C.212~B.C.206 중국>진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아보(亞父) - 범증(范增)
중국 진(秦) 나라 말기 항우(項羽)의 모사(謀士). 유방(劉邦)을 제거하기 위해 마련한 ‘홍문(鴻門)의 회동(會同)’이 실패로 끝난 이후 유방의 내통자로 의심받고 실권을 잃음.
B.C.277~B.C.204 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아보(阿父) - 전영자(田令孜)
중국 당(唐) 희종(僖宗)~소종(昭宗) 때의 환관. 황소(黃巢)의 난을 피해 희종을 따라 촉(蜀)으로 갔다가 환도(還都)한 뒤 공을 인정받아 권세를 떨쳤으나, 소종(昭宗)이 즉위한 뒤에 아들로 삼았던 왕건(王建)에게 피살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아부(亞夫) - 주아부(周亞夫)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장군. 강후(絳侯) 주발(周勃)의 아들로, 문제 때 흉노(匈奴)의 침입을 막고, 경제 때는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을 평정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아사(阿士) - 유효작(劉孝綽)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 7세에 속문(屬文)을 하여 신동(神童)으로 불리고, 양 무제(梁武帝)에게 시 7수를 지어 바쳐 비서승(祕書丞)을 제수받음. 하손(何遜)과 더불어 ‘하유(何劉)’로 병칭됨.
481~53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아산(峨山) - 아차산(峨嵯山)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는 산 이름. 삼국시대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조선 명종(明宗) 때 점술가 홍계관(洪啓寬)을 잘못 죽인 데서 ‘아차’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고사가 전함. 지금의 서울 광진구(廣津區)와 경기도 구리시(九里市)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아산(牙山)@어숙평 - 어숙평(魚叔平)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호조 판서(戶曹判書) 어계선(魚季瑄)의 아버지로, 충좌위 대호군(忠佐衛大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함종 , 인명>관인>문신
-
아산(阿山) - 함종(咸從)
평안남도 남서쪽 지역에 있는 고을 이름. 남쪽은 용강(龍岡), 북쪽은 증산(甑山)과 접하고 있음.
평안도>함종 , 지명>행정지명
-
아산공(牙山公) - 어숙평(魚叔平)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호조 판서(戶曹判書) 어계선(魚季瑄)의 아버지로, 충좌위 대호군(忠佐衛大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함종 , 인명>관인>문신
-
아산군(牙山君) - 어숙평(魚叔平)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호조 판서(戶曹判書) 어계선(魚季瑄)의 아버지로, 충좌위 대호군(忠佐衛大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함종 , 인명>관인>문신
-
아상(鵝相)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선(牙善) - 어계선(魚季瑄)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좌참찬(左參贊)을 지내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며, 충효를 겸전하고 예서(隸書)에 능함.
1502~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아선군(牙善君) - 어계선(魚季瑄)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좌참찬(左參贊)을 지내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며, 충효를 겸전하고 예서(隸書)에 능함.
1502~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아성(亞聖)@맹자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아성(亞聖) - 안회(顔回)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 공자(孔子)가 가장 신임했던 수제자로,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도를 즐기고 학문과 덕행으로 이름을 높임.
B.C.521~B.C.49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아성(鵝城) - 한산(韓山)
충청도 남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이곡(李穀) 등을 배향한 문헌서원(文獻書院)이 있으며, 지금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함.
충청도>한산 , 지명>행정지명
-
아성군(牙城君) - 어세공(魚世恭)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만종(萬從) 어효첨(魚孝瞻)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봉해지고, 경학(經學)ㆍ역학(易學)ㆍ율학(律學)에 조예가 깊음.
1432~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성군(鵝城君)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순(阿淳) - 이순도(李純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이황(李滉)의 손자로, 조목(趙穆) 등에게 수학하고 학문에 전심하였으나, 친상(親喪)의 거상중에 병으로 죽음.
1554~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
-
아술(牙述) - 아산(牙山)
충청도 서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초기에는 인주(仁州)ㆍ아주(牙州)라 불렀으며, 이순신(李舜臣)의 영정(影幀)을 모신 현충사(顯忠祠)가 있음.
충청도>아산 , 지명>행정지명
-
아시량국(阿尸良國) - 함안(咸安)
경상도 남부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함안 , 지명>행정지명
-
아애(阿愛) - 노애손(盧愛孫)
조선 전기의 유학. 노수신(盧守愼)의 조카. 《소재집(蘇齋集)》에 노수신이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진도(珍島)로 유배되어 있을 때 동생 노극신(盧克愼)과 어린 조카를 생각하며 지은 시(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아야고하(阿也苦河)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아영(阿英) - 운봉(雲峯)@지명
전라도 남원(南原)의 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지리산(智異山)의 서쪽에 위치하며, 호남(湖南)과 영남(嶺南)의 경계 지역을 이룸. 현재 전라북도 남원시(南原市)에 속함.
전라도>운봉 , 지명>행정지명
-
아영성(阿英城) - 운봉(雲峯)@지명
전라도 남원(南原)의 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지리산(智異山)의 서쪽에 위치하며, 호남(湖南)과 영남(嶺南)의 경계 지역을 이룸. 현재 전라북도 남원시(南原市)에 속함.
전라도>운봉 , 지명>행정지명
-
아옹(鵝翁)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웅(阿熊) - 주개(周愷)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수의부정(修義副正) 주세곤(周世鵾)의 아들이며,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의 조카.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아원혜(牙元惠) - 혜근(惠勤)
고려 충혜왕 복위(忠惠王復位)~우왕(禑王) 때의 승려. 선종(禪宗)의 고승(高僧)으로, 원(元) 나라에 가서 인도 승려 지공(指空)의 가르침을 받고, 처림(處林)에게서 중국 선교(禪敎)의 영향을 받음. 보우(普愚)와 함께 조선시대 불교의 초석을 세움.
1320~137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종교인>승려
-
아융(阿戎) - 왕융(王戎)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은자. 사도(司徒)의 관직을 지내다 정권교체기에 관직을 버리고 죽림칠현(竹林七賢) 중 한 사람이 됨.
233~305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아은(鵝隱)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이(阿怡) - 주이(周怡)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주세귀(周世龜)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도사(都事) 등을 지냄. 타고난 성품과 거동이 훌륭하여 신선 같다는 평을 들음.
1515~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아자개(阿玆蓋) - 아자개(阿慈介)
통일신라 말기의 장군. 경상도 상주(尙州) 출신으로 진흥왕(眞興王)의 아들인 구륜공(仇輪公)의 후손이라 전함. 후백제를 세운 견훤(甄萱)의 아버지로, 918년(태조 1)에 고려로 망명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무신
-
아자특실리(阿剌忒實利) - 충숙왕(忠肅王)
고려 제27대 왕. 재위 1313~1330, 1332~1339. 충선왕(忠宣王)의 둘째 아들. 원(元) 나라의 세공(歲貢)을 삭감하고 공녀(貢女)ㆍ환자(宦者)의 선발을 중지시키는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나, 뒤에 사냥과 연회 등에 빠져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않음.
1294~133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아정(雅亭)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아주(牙州) - 아산(牙山)
충청도 서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초기에는 인주(仁州)ㆍ아주(牙州)라 불렀으며, 이순신(李舜臣)의 영정(影幀)을 모신 현충사(顯忠祠)가 있음.
충청도>아산 , 지명>행정지명
-
아주(鵝州) - 한산(韓山)
충청도 남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이곡(李穀) 등을 배향한 문헌서원(文獻書院)이 있으며, 지금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함.
충청도>한산 , 지명>행정지명
-
아진(牙盡) - 조참(趙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조동호(趙銅虎)의 아들이며,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조순(趙舜)의 동생.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집의(執義) 등을 지냄.
14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아진압(阿珍押) - 안협(安峽)
강원도 북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동으로는 평강(平康), 서로는 황해도 토산(兎山), 남으로는 경기도 삭녕(朔寧), 북으로는 이천(伊川)과 경계를 이룸. 후에 이천에 흡수됨.
강원도>안협 , 지명>행정지명
-
아차(峨嵯) - 신잠(申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오랜 기간 유배되었음.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는데, 묵죽(墨竹)에 특히 뛰어났다고 함.
1491~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아차산(阿且山) - 아차산(峨嵯山)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는 산 이름. 삼국시대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조선 명종(明宗) 때 점술가 홍계관(洪啓寬)을 잘못 죽인 데서 ‘아차’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고사가 전함. 지금의 서울 광진구(廣津區)와 경기도 구리시(九里市)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아차산(阿嵯山) - 아차산(峨嵯山)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는 산 이름. 삼국시대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조선 명종(明宗) 때 점술가 홍계관(洪啓寬)을 잘못 죽인 데서 ‘아차’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고사가 전함. 지금의 서울 광진구(廣津區)와 경기도 구리시(九里市)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아차산인(峨嵯山人) - 신잠(申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오랜 기간 유배되었음.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는데, 묵죽(墨竹)에 특히 뛰어났다고 함.
1491~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아천군(鵝川君) - 이증(李增)@이지숙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공을 세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는 데 헌신함.
1525~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천부원군(鵝川府院君) - 이증(李增)@이지숙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공을 세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는 데 헌신함.
1525~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아함(阿咸) - 완함(阮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은자. 노장(老莊)의 허무주의(虛無主義)를 주장했고, 숙부인 완적(阮籍)과 함께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 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아헌(啞軒) - 김응조(金應祖)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산음 현감(山陰縣監)을 지낸 김대현(金大賢)의 아들이며, 김성일(金誠一)의 손녀 사위. 유성룡(柳成龍)ㆍ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587~166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아형(阿衡)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아호(丫湖) - 신경진(辛慶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신응시(辛應時)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문무(文武)의 재능을 겸비하여 명성이 높았고 예조 참판(禮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54~161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아호(鵝湖) - 육구연(陸九淵)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지형문군(知荊門軍) 등을 지냄. 주희(朱熹)의 성즉리설(性卽理說)에 반대하여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주장하고, 저서로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을 남김.
1139~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아홍(阿鴻) - 곽마천(霍摩天)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 대장군(大將軍)을 지낸 곽광(霍光)의 아들.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아화옥현(阿火屋縣) - 비안(比安)
경상도 의성(義城)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비안 , 지명>행정지명
-
아후(娥姁) - 여후(呂后)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황후. 고조가 죽자 여씨정권(呂氏政權)을 수립하여 횡포를 일삼음.
B.C.241~B.C.1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아흥군(鵝興君) - 이흡(李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사공신(靖社功臣) 이의배(李義培)의 아버지로, 사헌부 헌납(司憲府獻納) 등을 지냄. 1589년(선조 22) 기축옥사(己丑獄死) 때 최영경(崔永慶)을 국문하다 옥사하게 한 일로 파직ㆍ유배됨. 후에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고 아흥군(鵝興君)에 봉해짐.
1549~16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악(渥) - 한악(韓渥)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사기(韓謝奇)의 아들로, 심양왕(瀋陽王) 왕고(王暠)가 충선왕을 참소하였을 때 위기를 모면하게 한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정승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악견(嶽堅) - 박서귀(朴瑞龜)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창도(朴昌道)의 아들로, 교수(敎授)를 역임함.
1546~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악국공(鄂國公) - 울지공(尉遲恭)
중국 수(隨) 말~당(唐) 초의 무신. 수 나라 말에 유무주(劉武周) 휘하의 장수로 있다가 당 나라에 귀부하여 이세민(李世民)을 따라 왕세충(王世充)ㆍ두건덕(竇建德) 등을 격퇴하고, 현무문(玄武門)의 변(變) 때 이세민의 제위 탈취를 돕는 등의 공을 세움.
585~658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악록(岳麓) - 허성(許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을 직고하고, 임진왜란 때는 군병모집에 진력함.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48~161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악묘(岳廟) - 악왕묘(岳王廟)
중국 서호(西湖)에 있는 송(宋) 나라의 명장 악비(岳飛)를 모신 사당. 북방의 금(金)을 물리친 악비의 공을 기리기 위해 건립함.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악묘(嶽廟) - 동악신묘(東嶽神廟)
중국 광녕(廣寧)의 동쪽 성 밖에 있는 묘우(廟宇). 동악(東嶽), 즉 대악(岱岳)의 신인 제천인성제(齊天仁聖帝)를 모심. 중국을 오가는 길목에 있어 김성일(金誠一)의 〈조천기행(朝天紀行)〉 등 사신 길에 이곳을 기행한 글이 있음.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악무목정충도(岳武穆精忠圖) - 악무목왕정충록도(岳武穆王精忠錄圖)
중국 남송(南宋)의 명장 악비(岳飛)를 그린 그림. 명(明) 나라 때 간행된《회찬송악악무목왕정충록(會纂宋岳鄂武穆王精忠錄)》에 수록된 36편의 화도(畵圖)로, 악비의 초상ㆍ전투모습 등이 그려져 있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작품명
-
악성릉(樂成陵) - 효목후(孝穆后)
중국 후한(後漢) 때의 추존 왕비. 환제(桓帝)의 조모(祖母)이며 하간효왕(河間孝王)의 아내로, 환제 즉위 후 효목후(孝穆后)로 추존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악악왕(岳鄂王) - 악비(岳飛)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무신ㆍ학자. 남송(南宋) 초에 금군(金軍)의 침략을 저지하는 전공(戰功)을 세웠으나, 주화파(主和派)인 진회(秦檜)와의 불화로 무고한 누명을 쓰고 살해됨. 후에 신원되어 구국의 영웅으로 추앙됨.
1103~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악양(樂陽) - 악양(樂羊)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 문후(文侯) 때의 장군. 악의(樂毅)의 선조로, 수많은 참소에도 흔들리지 않은 문후의 절대적 신임 속에 중산(中山)을 정벌하고 3년 만에 돌아왔으며, 영수(靈壽)에 봉해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