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악왕(岳王) - 악비(岳飛)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무신ㆍ학자. 남송(南宋) 초에 금군(金軍)의 침략을 저지하는 전공(戰功)을 세웠으나, 주화파(主和派)인 진회(秦檜)와의 불화로 무고한 누명을 쓰고 살해됨. 후에 신원되어 구국의 영웅으로 추앙됨.
1103~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악재(樂齋) - 서사원(徐思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달성(達城).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주자학(朱子學) 및 이황(李滉)의 문집을 깊이 연구하고 후진양성에 힘씀.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악정(樂靜) - 이소기(李昭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소식(蘇軾)의 문인(門人)으로 문장에 뛰어났으며, 흡주 지사(歙州知事)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악지(樂之) - 정홍진(丁鴻進)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화가. 묵죽(墨竹)ㆍ초상화로 유명하며 이규보(李奎報)ㆍ최종준(崔宗峻) 등이 그에게 그림을 받고 지은 찬(贊)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여러 편 수록되어 있음. 비서감(祕書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악후(岳侯) - 악비(岳飛)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무신ㆍ학자. 남송(南宋) 초에 금군(金軍)의 침략을 저지하는 전공(戰功)을 세웠으나, 주화파(主和派)인 진회(秦檜)와의 불화로 무고한 누명을 쓰고 살해됨. 후에 신원되어 구국의 영웅으로 추앙됨.
1103~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안(安) - 사고(史高)
중국 한(漢) 나라 선제(宣帝) 때의 외척. 대사마 거기장군(大司馬車騎將軍) 등을 지내고, 선제 황후(皇后)의 아버지인 허백(許伯)과 권력을 독점함.
?~B.C.4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안(安)@조안 - 조안(趙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인 조려(趙旅)의 아버지로, 사복시 정(司僕寺正)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유학
-
안(晏)@권안 - 권안(權晏)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ㆍ남효온(南孝溫) 등과 함께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안(晏) - 신안(申晏)
고려 말~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종부령(宗簿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녹(祿)을 거절하고 평산의 황의산(黃衣山)에 들어가 충절을 지킴.
?~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안(晏)@정안 - 정안(鄭晏)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최우(崔瑀)와 처남ㆍ매부 사이. 최항(崔沆)을 비난한 일로 백령도(白翎島)에 귀양 갔다가 살해됨. 진각국사(眞覺國師) 혜심(惠諶)의 행록(行錄)을 지음.
?~125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안^공(顔^孔) - 공^안(孔^顔)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인 안회(顔回)를 함께 부르는 말. 안회는 공자의 제자 중 가장 높이 평가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가도(安可度) - 안견(安堅)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화가. 본관은 지곡(池谷). 안평대군(安平大君)의 후원을 받았으며,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그림. 산수화에 뛰어나 곽희파(郭熙派) 화풍을 토대로 한국적인 화풍을 완성하며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수묵화에까지 영향을 미침.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안간(安簡)@유혜손 - 유혜손(柳惠蓀)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당문학(政堂文學) 유인비(柳仁庇)의 둘째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유염(柳琰)의 아버지로, 문하평리(門下評理)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안간(安簡)@이복근 - 이복근(李福根)
조선 전기의 종실. 태조(太祖)의 첫째 아들인 진안대군(鎭安大君) 이방우(李芳雨)의 첫째 아들로,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안간(安簡) - 두우(杜佑)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학자. 3대에 걸쳐 재상을 지냈음. 사회의 움직임에 민감하고 정치에 밝았으며, 부국안민(富國安民)에 힘썼음. 역사연구가로, 《통전(通典)》을 저술함.
735~81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경(安卿)@이준인 - 이준인(李遵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음죽 현감(陰竹縣監) 이강(李綱)의 맏아들이며, 이준의(李遵義)의 형. 일선수(一善守) 이엽(李曄)의 사위. 1534년(중종 2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소격서 영(昭格署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경(安卿) - 진순(陳淳)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부(主簿)를 지냄.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로 철학 이론 면에서 스승의 학설을 계승하고 선양하려 힘씀.
1159~12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경(安慶)@김안경 - 김안경(金安慶)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안경(安慶)@왕창 - 왕창(王淐)
고려 제23대 고종(高宗)의 아들. 원종(元宗)의 동모제(同母弟)로 1269년(원종 10) 임연(林衍) 등에 의해 즉위하였으나, 몽고의 압력으로 곧 폐위되고 원종이 복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안경(安敬)@박안경 - 박안경(朴安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 박맹지(朴孟智)의 아버지로, 성균생원(成均生員)이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안경(安敬) - 김영정(金永貞)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김영견(金永堅)의 동생. 여러 번 명(明) 나라로 사신갔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음.
1437~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안경(顔卿) - 안고경(顔杲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 상산군(常山郡)의 태수(太守)로 있을 때 종제(從弟)인 안진경(顔眞卿)과 함께 안녹산(安祿山)의 반란군에 맞서 싸웠으나, 성이 함락되자 붙잡혀 낙양(洛陽)으로 압송된 뒤 죽임을 당함.
692~75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경공(安慶公) - 왕창(王淐)
고려 제23대 고종(高宗)의 아들. 원종(元宗)의 동모제(同母弟)로 1269년(원종 10) 임연(林衍) 등에 의해 즉위하였으나, 몽고의 압력으로 곧 폐위되고 원종이 복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안경용(安景容) - 안창(安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영흥 부사(永興府使) 안방경(安方慶)의 아들.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으로, 1594년(선조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부사(府使) 등을 역임함.
155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천 , 인명>관인>문신
-
안경후(安慶侯) - 왕창(王淐)
고려 제23대 고종(高宗)의 아들. 원종(元宗)의 동모제(同母弟)로 1269년(원종 10) 임연(林衍) 등에 의해 즉위하였으나, 몽고의 압력으로 곧 폐위되고 원종이 복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안곡(安穀) - 이길권(李吉卷)
고려 전기의 무신. 용인이씨(龍仁李氏)의 시조. 고려 태조(太祖)를 도와 삼한통일(三韓統一)에 공을 세우고, 태조의 여동생과 혼인하여 고려조의 첫 부마가 되었다고 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안곡공(安穀公) - 이길권(李吉卷)
고려 전기의 무신. 용인이씨(龍仁李氏)의 시조. 고려 태조(太祖)를 도와 삼한통일(三韓統一)에 공을 세우고, 태조의 여동생과 혼인하여 고려조의 첫 부마가 되었다고 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안관부(安貫夫) - 안종도(安宗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경률(安景嵂)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아 왜적과 싸움. 이감(李戡)ㆍ이중경(李重慶)과 동향(同鄕) 친구로, 권신 이량(李樑)의 비호 아래 현직(顯職)을 두루 지냄.
1522~16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광(安匡) - 이명규(李名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순(李峋)의 아들로, 두 차례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행서와 초서에 능함.
1497~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안국(安國)@윤안국 - 윤안국(尹安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윤응상(尹應商)의 아들로, 병조 참의(兵曹參議)ㆍ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역임함.
1569~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국(安國) - 이래(李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존오(李存吾)의 아들이며 우현보(禹玄寶)의 문인(門人)으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역임함.
1362~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국(安國)@왕안국 - 왕안국(王安國)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 신법(新法)으로 개혁정책을 단행한 왕안석(王安石)의 동생으로,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냄.
1028~107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국(安國)@호안국 - 호안국(胡安國)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이(程頤)를 사숙하고 정문(程門)의 학문을 규명하여 무이학파(武夷學派)를 창시하였으며, 《춘추(春秋)》를 20년 동안 연구하여 《춘추호씨전(春秋胡氏傳)》을 저술함.
1074~113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국(安國)@김안국 - 김안국(金安國)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계승하고,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
1478~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국후(安國侯) - 왕릉(王陵)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개국공신. 혜제(惠帝) 사후(死後) 여태후(呂太后)가 여씨(呂氏)들을 왕으로 세우려고 하자 이에 반대하고 관직에 나아가지 않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균(安鈞) - 안문개(安文凱)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안향(安珦)의 재종질(再從姪). 충숙왕이 원(元) 나라에 억류되어 있을 때 충절을 바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되고, 순흥부원군(順興府院君)에 봉해짐.
1273~133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기(安期) - 안기생(安期生)
중국 진(秦) 나라 시황(始皇) 때의 선인(仙人). 시황이 동쪽으로 순유(巡遊)할 때 그와 사흘밤을 함께 이야기하고서 황금(黃金)과 백벽(白璧)을 주었는데, 다 두고 가면서 “천년 후에 나를 봉래산(蓬萊山)에서 찾아달라.”는 글을 남겼다 함.
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안기우(安奇郵) - 안기도(安奇道)
경상도 안동(安東)에 있는 역로(驛路) 이름. 안동의 안기역(安奇驛)에서 영해(寧海)의 영양역(寧陽驛) 등 11개 역에 이르는 역로.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
-
안기자(安期子) - 안기생(安期生)
중국 진(秦) 나라 시황(始皇) 때의 선인(仙人). 시황이 동쪽으로 순유(巡遊)할 때 그와 사흘밤을 함께 이야기하고서 황금(黃金)과 백벽(白璧)을 주었는데, 다 두고 가면서 “천년 후에 나를 봉래산(蓬萊山)에서 찾아달라.”는 글을 남겼다 함.
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안길왕(安吉王) - 야아길니(也兒吉尼)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 때의 환관.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천추사(千秋使)로 원(元) 나라에 파견되어 있던 조서(趙瑞)의 딸과 혼인함.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안길주(安吉州) - 호주(湖州)
중국 절강성(浙江省)에 있는 도시. 항주(杭州)의 북쪽, 태호(太湖) 남쪽에 위치하며, 항주ㆍ소주(蘇州)와 함께 양자강(揚子江) 일대의 상업 중심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안남(安南) - 고부(古阜)
전라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의 시발지. 동쪽으로 태인(泰仁), 남쪽으로 흥덕(興德), 북쪽으로 부안(扶安)과 접해 있던 지역.
전라도>고부 , 지명>행정지명
-
안남군(安南君) - 이수련(李壽鍊)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둘째 아들로, 선조(宣祖) 때 안남군(安南君)에 추증됨.
1520~156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안남도정(安南都正) - 이수련(李壽鍊)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둘째 아들로, 선조(宣祖) 때 안남군(安南君)에 추증됨.
1520~156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안남정(安南正) - 이수련(李壽鍊)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둘째 아들로, 선조(宣祖) 때 안남군(安南君)에 추증됨.
1520~156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안노공(安魯公) - 안진경(顔眞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헌부상서(憲部尙書)에 임명되나 권신(權臣)에게 미움을 받아 번번이 지방으로 좌천됨. 해서ㆍ행서ㆍ초서의 각 서체에 모두 능하여 많은 걸작을 남김.
709~785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안눌(安訥) - 이안눌(李安訥)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덕수(德水).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이행(李荇)의 증손이며,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종숙(從叔). 당시(唐詩)에 능하여 이태백에 비유되었고 글씨도 잘 썼음.
1571~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안단성(安丹城) - 안전(安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이황(李滉)ㆍ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조식(曺植)과 친분이 두터웠음. 이이보다 23살이나 많으면서도 그의 문하에서 수학(受學)하였으며, 음죽 현감(陰竹縣監)ㆍ단성 현감(丹城縣監) 등을 지냄.
151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안단양(安丹陽) - 안중담(安仲聃)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상호군(上護軍) 정효충(鄭孝忠)의 사위로, 광흥창 사(廣興倉使)ㆍ단양 군수(丹陽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당(安塘) - 안당(安瑭)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우의정ㆍ영중추부사 등을 지냄.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아들 안처겸(安處謙)ㆍ안처근(安處謹)과 함께 사사(賜死) 되었으나, 명종(明宗) 때 복관됨.
1461~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당장(安堂長) - 안선원(安善元)
조선 전기의 유학. 이산해(李山海)의 《아계유고(鵝溪遺稿)》에 안선원의 전기(傳記)인 〈안당장전(安堂長傳)〉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문사>유학
-
안덕우시(安德于尸) - 영해(寧海)
경상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 서쪽으로 진보(眞寶), 북쪽으로 강원도 평해(平海)와 접해있으며 현재는 경상북도 영덕군(盈德郡)에 속함.
경상도>영해 , 지명>행정지명
-
안도(安悼)@수춘군 - 수춘군(壽春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섯째 서자. 어머니는 혜빈양씨(惠嬪楊氏)이고 1437년(세종 19) 수춘군(壽春君)에 봉해졌으나 일찍 죽음.
1431~145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안도(安悼)@이의 - 이의(李宜)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여섯째 아들. 조세강(趙世康)의 딸과 혼인함.
1433~147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안도(安悼) - 영해군(寧海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처음 이름은 장(璋)이었으나 후일 당(瑭)으로 바꿈.
1435~14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안도(安道)@김안도 - 김안도(金安道)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김전(金詮)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함종 현령(咸從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도(安道)@최안도 - 최안도(崔安道)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검교첨의평리(檢校僉議評理) 최현(崔玄)의 아들. 충숙왕이 원(元) 나라에 들어가 5년간 억류되어 있을 때 성심으로 시종(侍從)하여, 귀국한 후 응양 상호군(鷹揚上護軍)에 오르고 일등공신이 됨.
1293~1340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도(安道)@정안도 - 정안도(鄭安道)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유학 정의(鄭義)의 아들로, 판현사(判縣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안도(安道)@이안도 - 이안도(李安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황(李滉)의 장손(長孫)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이황 문하의 명유(名儒)들과 교유하였으며, 음서(蔭敍)로 벼슬하여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 등을 지냄.
1541~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안도(安道)@장방평 - 장방평(張方平)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벼슬을 그만두고 남경(南京)에 있을 때에 소식(蘇軾)이 옥에 갇혔다는 소식을 듣고 구원(救援)하기 위해 상서(上書)하였음. 저서에는 《낙전집(樂全集)》ㆍ《옥당집(玉堂集)》 등이 있음.
1007~109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도(安道) - 대규(戴逵)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ㆍ학자. 인품이 고상하여 당대의 명사인 사안(謝安)ㆍ사현(謝玄)ㆍ왕순(王珣)ㆍ왕휘지(王徽之) 등에게 존경을 받음.
?~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
-
안도(安道)@여정 - 여정(余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범중엄(范仲淹)이 귀양갈 때 상서(上書)하여 다투다가 파직당함. 구양수(歐陽修)ㆍ왕소(王素)ㆍ채양(蔡襄)과 함께 사간(四諫)으로 일컬어짐.
1000~106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동고산서원(安東高山書院) - 고산서원(高山書院)@안동
조선 정조(正祖) 때 경상북도 안동시(安東市) 남후면(南後面)에 건립한 서원. 이상정(李象靖)을 배향함.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없어진 뒤 복원됨.
178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 - 김해(金海)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대에 가락국(駕洛國)의 도읍지였음.
경상도>김해 , 지명>행정지명
-
안동퇴로(安東退老) - 이굉(李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손자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굉필(金宏弼)의 당여로 몰려 관직이 삭탈되었다가 중종반정 뒤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하고 안동(安東)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440~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안락(安樂) - 소옹(邵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 이지재(李之才)에게 천문(天文)ㆍ역수(易數) 등을 배우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數理哲學)을 완성함.
1011~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안락(顔樂) - 안락당집(顔樂堂集)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김흔(金訢)의 문집. 4권 2책. 목판본. 아들 김안로(金安老)가 편집하여, 영천 군수(榮川郡守) 권오기(權五紀)가 간행함. 남곤(南袞)ㆍ강흔(姜渾)의 서문과 김안국(金安國)의 발문(跋文)이 전함.
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문헌>서명
-
안락(顔樂) - 김흔(金訢)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사림(士林)의 촉망을 받았으며, 율시(律詩)에 능함.
144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안락공(安樂公) - 후주(後主)@삼국(촉)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제2대 황제. 재위 223~263. 제갈량(諸葛亮)의 보좌를 받아 정권을 유지하다가 제갈량이 죽은 뒤 위(魏) 나라에 항복하여 안락공(安樂公)에 봉해짐.
207~27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안락당(安樂堂) - 유이손(柳耳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서화가. 도화서(圖畫署) 화원(畫員)으로 서예에도 능했으며, 사자청(寫字廳)의 설립을 최초로 건의하여 사자관(寫字官)을 지냄. 신정(申珽)ㆍ유항(柳沆)등이 번역한 유향(劉向)의 《열녀전(列女傳)》을 사자(寫字)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안락당(顔樂堂) - 김흔(金訢)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사림(士林)의 촉망을 받았으며, 율시(律詩)에 능함.
144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안락선생(安樂先生) - 소옹(邵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 이지재(李之才)에게 천문(天文)ㆍ역수(易數) 등을 배우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數理哲學)을 완성함.
1011~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안락와(安樂窩) - 소옹(邵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 이지재(李之才)에게 천문(天文)ㆍ역수(易數) 등을 배우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數理哲學)을 완성함.
1011~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안락향후(安樂鄉侯) - 화흠(華歆)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병원(邴原)ㆍ관녕(管寧) 등과 절친하여, 당시 사람들이 화흠을 용의 머리, 병원을 용의 배, 관녕을 용의 꼬리라 칭함. 동한(東漢) 환제(桓帝) 때 상서령(尙書令)에 이르고 위 나라에서는 태위(太尉)에 이름.
157~231 중국>후한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량(安良) - 이석근(李石根)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셋째 아들인 익안대군(益安大君) 이방의(李芳毅)의 아들이며, 백파도정(白波都正) 이상(李常)의 아버지.
?~14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안로(安老) - 김안로(金安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하다 사사(賜死)되었으며, 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과 함께 정유상흉(丁酉三凶)으로 일컬어짐.
1481~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ㅣ경기도>교하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릉(安陵)@효공왕후 - 효공왕후(孝恭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고조인 목조(穆祖)의 비. 본관은 평창(平昌). 이숙(李肅)의 딸로 태조 때 효비(孝妃)로 봉하고, 태종(太宗) 때 효공왕후(孝恭王后)로 추봉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ㅣ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왕비
-
안릉(安陵) - 혜제(惠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2대 황제. 재위 B.C.195~B.C.188. 고조(高祖)의 맏 아들로, 즉위 초에 조참(曹參)을 승상으로 발탁하여 인정(仁政)을 베풀었으나, 성격이 우유부단하여 어머니인 여후(呂后)에게 실권을 빼앗기자 울분을 품고 죽음.
B.C.210~B.C.18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안명지(安明之) - 안처명(安處明)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안침(安琛)의 맏아들.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안성 군수(安城郡守)ㆍ회양 부사(淮陽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무(安武) - 홍달손(洪達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황보인(皇甫仁)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세조(世祖) 즉위 후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의정 등을 지냄.
1415~147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안민강(安民江)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안배당(安排堂) - 권벽(權擘)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시문(詩文)이 뛰어나 명(明) 나라에 오가는 외교 문서를 전담하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20~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안변도호부(安邊都護府) - 안변(安邊)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현종(顯宗) 때 도호부를 설치했으나 조선 태종(太宗) 때 조사의(趙思義)가 반란을 일으켜 감무(監務)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도호부로 환원됨. 경원선(京元線)과 동해 북부선(北部線)의 분기점(分岐點).
함경도>안변 , 지명>행정지명
-
안복(安福) - 김안복(金安福)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안복궁주(安福宮主) - 원혜왕후(元惠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4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세 자매가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문종(文宗)ㆍ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ㆍ효사왕후(孝思王后) 등을 낳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안봉영당(安峰影堂) - 안봉서원(安峰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세워진 서원. 이장경(李長庚)ㆍ이조년(李兆年)ㆍ이직(李稷) 등을 배향함.
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안분(安分)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분당(安分堂)@권규 - 권규(權逵)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사직공(司直公) 권시득(權時得)의 아들이며, 권문현(權文顯)ㆍ권문임(權文任)ㆍ권문언(權文彦)ㆍ권문저(權文著)의 아버지. 청향당(淸香堂) 이원(李源)과 교유함.
1496~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안분당(安分堂)@이희보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분당(安分堂) - 이공량(李公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매부(妹夫)로, 봉사(奉事)를 역임함.
1500~156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안분당고시(安分堂古詩) - 안분당시집(安分堂詩集)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이희보(李希輔)의 시집. 일부 시편(詩篇)이 정사본(精寫本)으로 전해짐. 2권 1책.
한국>조선시대 , 문헌>서명
-
안분로(安分老)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분옹(安分翁)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분자(安分子)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비(安庇) - 윤안비(尹安庇)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보(尹珤)의 여섯째 아들로, 1294년(충렬왕 20) 문과(文科)에 장원하고, 문하시랑(門下侍郞)ㆍ찬성사(贊成事)ㆍ태위(太尉)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안빙군(安聘君) - 안경인(安景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권호문(權好文)의 장인으로, 어려서부터 유자(儒者)의 행실이 있었으나, 26세의 젊은 나이에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안사고(顔師古) - 안주(顔籒)
중국 당(唐) 고조(高祖)~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고 정치에도 능통하여 조령(詔令)의 기초를 맡았으며, 훈고학(訓詁學)에 정통하여 《오경정의(五經正義)》 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한서(漢書)》에 주석을 가함.
581~64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사내(安四耐) - 안경창(安慶昌)
조선 후기의 처사(處士). 천민 출신으로 어렸을 때 화장사(花庄寺)에서 공부하며 기이한 행적을 남기고,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ㆍ이이(李珥) 및 조식(曺植)ㆍ노사신(盧思愼) 등 당시 명유들과 교유하였다고 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안사란(安史亂) - 안사지란(安史之亂)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 안녹산(安祿山)과 사사명(史思明) 등이 일으킨 반란. 이후 당 나라는 절도사(節度使)가 병권(兵權)을 장악하여 지방분권화 현상이 강화되고, 양세법(兩稅法)으로 전환됨.
755~763 중국>당 , 중국 , 사건>역모
-
안사묵(安士默) - 안용(安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안승명(安承命)의 아들로, 1558년(명종 3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152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