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권전(權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장살(杖殺) 당함.
1490~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전(權銓)
조선 후기의 의병(義兵). 임진왜란 때 백인국(白仁國)과 함께 의병을 규합하여 축산(丑山)에서 공을 세움.
한국>조선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권절(權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ㆍ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 등을 지냄. 세조(世祖)가 계유정난(癸酉靖難)에 동참할 것을 권했으나 귀머거리로 가장하여 응하지 않고, 이후 일생동안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1422~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제(權濟)
조선 전기의 유학. 어려서부터 사부(詞賦)를 잘 짓는다고 이름이 났지만 계속 과거에 실패한 뒤 쌍계사(雙磎寺)에서 학문을 닦고, 하수일(河受一)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권제(權踶)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사》편찬에 참여하고, 정인지(鄭麟趾)ㆍ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음.
1387~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종윤(權終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유성룡(柳成龍)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종정(權宗頂)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주(權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중국어에 능통해 대명 외교에 일익을 담당.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57~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주(權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있을 때 영남삼량(嶺南三良)이라 하여 이름난 수령으로 칭송됨.
1458~15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주(權鑄)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손자이며 현복군(玄福君) 권렴(權廉)의 아들. 지신사(知申事)ㆍ밀직 제학(密直提學) 등을 지냄.
?~139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권준(權俊)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남궁희(南宮憘)의 사위이며, 청하(靑霞) 권극중(權克中)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문사>유학
-
권준(權準)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1280~135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준(權蹲)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에 협력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권준신(權俊臣)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인(權寅)의 아들로, 1582년(선조 15) 생원시(生員試)에 형 권호신(權虎臣)과 함께 입격함.
1561~16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권중규(權仲規)
조선 세조(世祖) 때의 은자.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한 뒤 고령(高靈) 유천(鍮泉)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은자
-
권중달(權仲達)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한공(權漢功)의 아들.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냈으며,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장인.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권중신(權仲愼)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중형(權重衡)
조선 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권호문이 55세 되던 해에 금영주(琴韺奏)와 함께 가르침을 받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권중화(權仲和)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한공(權漢功)의 아들로, 의약ㆍ지리ㆍ복서(卜筮)에 통달하고, 전서(篆書)에도 능함.
1322~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지(權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예천(醴泉)으로,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지낸 권문해(權文海)의 아버지. 후에 형조 참의(刑曹參議)에 추증됨.
?~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권진(權瑨)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신(逆臣).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낸 권용(權鏞)의 아들. 자제위(子弟衛)에 소속되어 왕의 총애를 받았으나, 홍륜(洪倫)ㆍ최만생(崔萬生) 등과 공민왕을 시해함.
?~137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역적
-
권진(權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충의위 병절교위(忠義衛秉節校尉) 권겸(權謙)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진(權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인품이 강직하여 이이첨(李爾瞻)에게 아부하지 않아 여러 번 탄핵을 받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고관(高官)들이 모두 도주했지만 홀로 조정과 대궐을 호위해 많은 공을 세움.
157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진(權軫)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희정(權希正)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357~143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질(權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장인. 신사무옥(辛巳誣獄)으로 사림파가 쫓겨날 때 아우 권전(權磌)이 장살(杖殺)되면서 그도 예안(禮安)으로 유배되었음.
1483~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질(權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 문신인 권경희(權景禧)ㆍ권경우(權景祐)ㆍ권경유(權景裕)의 아버지로, 광주 판관(光州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집경(權執經)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지신사(知申事) 등을 역임하였고,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이문화(李文和)와 서로 왕래한 내용의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징(權徵)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사직(司直) 권굉(權硡)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 등과 함께 의병을 규합하여 왜병과 싸우고, 명(明) 나라 이여송(李如松)이 추진하는 화의(和議)를 반대함.
1538~159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찬(權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종 때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권민수(權敏手)의 아들. 중종의 아들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장인.
?~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권책(權策)
조선 세조(世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단종(端宗) 복위를 도모하다가 죽은 권자신(權自愼)의 조카로, 영해(寧海)의 유배지에서 일생을 보냄.
14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처중(權處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산(豐山).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황주 , 인명>문사>유학
-
권철(權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의 아버지.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며 복상(福相)으로 칭송됨.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철경(權哲經)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권예(權輗)의 아버지. 1483년(성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김안국(金安國)의 추천을 받았으나 벼슬하지 않음.
?~15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추(權推)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인.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과 교유하였고, 당호인 묵암(默庵)에 대한 기문(記文)이《허백정집(虛白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진위 , 인명>문사>문인
-
권춘계(權春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권석충(權錫忠)의 아들이며,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백인국(白仁國) 등과 교유함. 내시교관(內侍敎官)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춘란(權春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권석충(權錫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사간(司諫) 등을 지냈으나, 모친상(母親喪)을 당하자 관직을 그만두고 산수(山水)를 벗삼아 유유자적함.
1539~16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충(權衷)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검교정승 권희(權僖)의 아들이며, 권근(權近)의 형.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었고 진하사(進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온 뒤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역임함.
1352~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권탄연(權坦然)
조선 전기의 유학. 물암(勿巖) 김륭(金隆)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권태일(權泰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춘계(權春桂)의 아들로, 권춘란(權春蘭)에게 출계함. 구봉령(具鳳齡)ㆍ김언기(金彦璣)의 문인. 1599년(선조 3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등을 지냄. 저서에 《장곡집(藏谷集)》이 있음.
1569~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택중(權擇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풍기 군수(豐基郡守)로 있던 주세붕(周世鵬)에게서 명(名)과 자(字)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권팽(權彭)
조선 태종(太宗)의 딸인 숙근옹주(淑謹翁主)의 아들. 아버지는 화천군(花川君) 권공(權恭)이며,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계미(韓繼美)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왕실>인척
-
권팽로(權彭老)
조선 전기의 문신. 관직은 덕릉 참봉(德陵參奉) 등을 역임함. 구봉령(具鳳齡)의 외종조(外從祖)로, 구봉령에게 5년 동안 《소학(小學)》등을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권평숙(權平叔)
조선 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권필(權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정철(鄭澈)의 문인으로,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야인으로 일생을 살면서 많은 작품을 남김.
1569~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
-
권하(權賀)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심양왕 고(瀋陽王暠)와 같은 당(黨)이 되었다가, 1328년(충숙왕 15) 김온(金溫)ㆍ조식(趙湜)ㆍ전굉(田宏) 등과 순군옥(巡軍獄)에 하옥된 뒤 유배되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한공(權漢功)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충숙왕(忠肅王)에 의해 구금된 일로 충숙왕을 폐위시키고 심양왕(瀋陽王) 고(暠)를 옹립하려 했으나 실패함.
?~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권행(權幸)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공신. 안동 권씨(權氏)의 시조. 930년(태조 13)에 후백제군을 무찌르는 데 공을 세워 태조로부터 권씨(權氏) 성(姓)을 하사받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권행가(權行可)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권선문(權善文)의 아들이며, 숙부 권호문(權好文)에게 입양됨. 김성일(金誠一)과 권대기(權大器)의 문인(門人).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안동(安東)에서 의병대장 김해(金垓)를 도움.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헌(權憲)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경주 부윤(慶州府尹) 권걸(權傑)의 아들. 지평(持平) 등을 지냈으며, 연산군의 부당한 처사에 여러 번 상소하다가 파직되어 옥중에서 죽음.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현(權晛)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상락군(上洛君) 권진(權縉)의 아버지로, 《미수기언(眉叟記言)》에 묘지명이 전함.
1554~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현(權睍)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승(權昇)의 넷째 아들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의병을 모아 활동하였으며, 외직을 두루 거친 후 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지냄.
1576~165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권현(權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광주 목사(廣州牧使)를 지낸 권황(權煌)의 아버지.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를 지냄.
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현룡(權玄龍)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무신. 1381년(우왕 7) 강릉도(江陵道)에 침입한 왜구를 토벌하는 등 여러 차례 왜구토벌에 공을 세움. 힘이 세어 대항할 자가 없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만인적(萬人敵)이라 일컬음.
?~1386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권협(權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동지중추부사 권상(權常)의 아들.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고급사(告急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원병을 청함.
1553~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부평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호(權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득(權得)의 아들로, 1438년(세종 20)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가 서거정(徐居正) 등과 교유하였으며, 병조 정랑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권호(權鎬)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손자이며, 현복군(玄福君) 권렴(權廉)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호금(權好金)
조선 전기의 유학. 권문해(權文海)와 40년 넘게 교유했고, 산수를 벗 삼아 벼슬하지 않으며 한적하게 일생을 보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권호문(權好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무민재(無悶齋)를 짓고 은거하면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함.
1532~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권호신(權虎臣)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인(權寅)의 아들로, 1582년(선조 1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부모의 봉양을 이유로 사양함.
1558~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권홍(權弘)@1467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령(權齡)의 아들.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고 문장이 뛰어났음.
1467~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홍(權弘)@1360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권균(權鈞)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등을 지냄. 문학에 뛰어났으며, 전서ㆍ예서에 능하여 헌릉(獻陵)ㆍ문묘(文廟)ㆍ기자사(箕子祠)의 비문을 씀.
1360~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홍계(權弘啓)
조선 전기의 유학. 김륭(金隆)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권화(權和)@고려후기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이며, 검교정승(檢校政丞) 권희(權僖)의 아들.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화(權和)@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1711년(숙종 37) 박경여(朴慶餘)와 함께 《장릉지(莊陵誌)》를 간행.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권화(權和)@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이숙(姨叔). 《율곡전서(栗谷全書)》에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장인인 신명화(申命和)에게서 오죽헌(烏竹軒)을 물려받아 후손들에게 관리하게 함.
1518~157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권확(權確)@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우(權愚)의 둘째 아들이자, 권승(權昇)의 아버지.
1502~155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권확(權確)@조선후기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결(權潔)의 아들로, 1611년(광해군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여주 목사(驪州牧使)를 지냄.
1568~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황(權滉)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성낙선(成樂善)의 장인으로, 거창 현감(居昌縣監)ㆍ한산 군수(韓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권황(權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를 지낸 권현(權鉉)의 아들로,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지냄.
1502~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흔(權昕)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화(權和)의 아들로 1602년(선조 35)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한 뒤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역임함.
15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희(權僖)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장단(長湍)에서 적을 물리쳐 공을 세우고, 조선 건국 후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 등을 지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319~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권희맹(權希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로 재직 중 영월(寧越)에서 죽었음.
1475~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희익(權希益)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인.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권희정(權希正)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우의정을 지낸 권진(權軫)의 아버지이며, 사위는 판서(判書) 배상지(裵尙志). 감찰 규정(監察糾正)의 관직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궐(蟨)
중국 전설상의 동물. 앞발은 쥐와 같고 뒷발은 토끼와 같아서 잘 달리지 못하므로, 공공거허(蛩蛩巨虛)라는 잘 달리는 짐승에게 먹이를 구해주고 위급한 일이 생기면 도움을 받음.
중국 , 자연물>동물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귀등(歸登)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호북(湖北) 형주인(荊州人)으로 귀숭경(歸崇敬)의 아들.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냄.
754~82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귀록집(歸鹿集)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조현명(趙顯命)의 시문집. 20권 20책. 필사본. 고종(高宗) 연간이나 그 이후에 전사된 것으로 추측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귀룡산(歸龍山)
경상도 사천(泗川)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사천 , 지명>자연지명
-
귀생(歸生)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정(鄭) 나라의 공자(公子). 정 나라 군주를 시해(弑害)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귀성(龜城)
평안도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성종(成宗) 때 강동육주(江東六州)를 설치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며, 국방상의 요충지로 중시됨.
평안도>귀성 , 지명>행정지명
-
귀숭경(歸崇敬)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문신.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낸 귀등(歸登)의 아버지로,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냄. 저서로 《귀숭경집(歸崇敬集)》등이 있음.
712~79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귀인정씨(貴人鄭氏)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후궁.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 정유침(鄭惟沈)의 딸이며, 정철(鄭澈)의 맏누이. 14세에 동궁(東宮)으로 있던 인종의 빈(嬪)이 됨.
1520~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ㅣ서울 , 인명>왕실>후궁
-
귀일상인(歸一上人)
고려 후기의 승려. 소나무와 전나무 그림을 잘 그림.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귀전고(歸田稿)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천(謝遷)의 문집. 4권으로 구성.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귀전부(歸田賦)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인 장형(張衡)이 지은 산문부(散文賦). 전원으로 돌아가려는 결심과 한적한 전원생활 및 은거하는 모습을 표현함.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귀전시화(歸田詩話)
중국 명(明) 나라의 문인(文人)인 구우(瞿佑)가 쓴 책. 3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규^두(奎^斗)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열다섯째 별자리인 규성(奎星)과 여덟째 별자리인 두성(斗星)을 함께 부르는 말. 규성은 서쪽, 두성은 북쪽에 위치함.
자연물>기타자연물
-
규^벽(奎^壁)
문장(文章)을 주관하는 규성(奎星)과 문서(文書)를 주관하는 벽성(壁星)을 함께 부르는 말. 문운(文運)을 주관하는 별들로, 문필(文筆)에 비유됨.
사상>술어>관용어
-
규선사(規禪師)
고려 후기의 승려. 보제사(普濟寺)의 주지를 역임함.《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규성(奎星)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열다섯째 별자리에 있는 별. 굴곡이 문자 획과 비슷해 문운(文運)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이것이 밝으면 천하가 태평하다고 전함.
자연물>천체
-
규암집(圭菴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송인수(宋麟壽)의 시문집. 13대손 송태헌(宋台憲)등이 유고를 모아 정정(訂正)하고 송병선(宋秉璿)이 편집 정리하여 4권 2책으로 간행함.
1907 한국>근대 , 문헌>서명
-
규재문집(圭齋文集)
중국 원(元) 나라 학자인 구양현(歐陽玄)의 문집. 15권으로 구성.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규정(糾正)
고려 성종(成宗) 때 처음 설치한 사헌부(司憲府)에 속했던 관직. 대관(臺官)의 일원으로서 백관(百官)의 규찰(糾察)과 제사(祭祀)ㆍ조회(朝會) 및 전곡(錢穀)의 출납 등을 감찰함.
995 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직
-
균주(筠州)
중국 강서성(江西省) 서주부(瑞州府)에 있는 고을 이름. 고안현(高安縣)이라고도 불리며,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 소식(蘇軾)의 동생인 소철(蘇轍)이 이곳으로 좌천된 일이 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균천광악(鈞天廣樂)
진 목공(秦穆公)이 꿈에 상제(上帝)가 있는 곳에 가서 여러 신선들과 균천광악을 듣고 즐거워하며 감동을 받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천상(天上)에서 연주하는 미묘한 음악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귤강광(橘康廣)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명으로 일본국 왕사(日本國王使)가 되어 1587년(조선 선조 20) 조선으로 와서 일본 국내사정의 변화를 설명하고 통신사의 파견을 요청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귤림서원(橘林書院)
조선시대 제주(濟州)에 건립한 서원. 선조(宣祖) 때 제주 판관 조인준(趙仁俊)이 김정(金淨)을 추모하여 충암묘(冲菴廟)를 건립하고, 숙종(肅宗) 때 귤림서원(橘林書院)으로 사액됨. 김정ㆍ정온(鄭蘊)ㆍ송시열(宋時烈) 등을 배향함.
15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귤옥집(橘屋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윤광계(尹光啓)의 시문집. 1676(숙종 29) 증손인 윤승후(尹承厚)ㆍ윤천후(尹天厚) 형제가 김수항(金壽恒)에게 부탁하여 유고를 산정, 편집했던 것을 윤정은(尹正殷)이 간행함.
1829 한국>근대 , 문헌>서명
-
귤정유고(橘亭遺稿)
조선 전기의 문신인 윤구(尹衢)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