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안제미거(案齊眉擧) - 거안제미(擧案齊眉)
밥상을 눈썹 높이까지 들어 올려 바침. 중국 후한(後漢) 때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남편을 지성으로 받들었던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뜻함. 《후한서(後漢書)》 〈양홍전(梁鴻傳)〉에 보임.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안종(安宗) - 정종(定宗)@조선
조선 제2대 왕. 재위 1398~1400. 태조(太祖)와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소생.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靖安君)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
1357~14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안주부(安主簿) - 안응국(安應國)
조선 전기의 양인. 이산해(李山海)가 유배된 평해(平海)의 황보리(黃保里)에 살던 사람으로, 이산해의 《아계유고(鵝溪遺稾)》에, 그의 전기(傳記)인 〈안주부전(安主簿傳)〉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기타인명>양인
-
안중(安重) - 김안중(金安重)
조선 전기의 유학. 박흥생(朴興生)과 교유하였고, 《국당유고(菊堂遺稿)》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안중성(安仲誠) - 안경빈(安敬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58년(명종 13) 식년 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였고, 회덕(懷德) 등 여러 지방을 다스릴 때 선정을 베풀었으며, 부사(府使) 등을 역임함.
1526~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안지(安之) - 이정(李定)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과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 정씨(鄭氏)의 소생으로, 영천군(永川君)에 봉해짐. 시주(詩酒)를 즐겼고 산수화(山水畫)에 뛰어났음.
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안지(安止)@정안지 - 정안지(鄭安止)
조선 정종(定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정의(鄭義)의 아들이며, 판현사(判縣事) 정안도(鄭安道)의 동생. 한성 소윤(漢城少尹) 등을 지냈으나, 1421년(세종 3) 임군례(任君禮)의 대역사건에 연루되어 참형당함.
?~142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안지경(安祉卿) - 안사경(安社卿)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죽성군(竹城君) 안극인(安克仁)의 아버지. 벽상공신(壁上功臣) 및 삼한삼중대광(三韓三重大匡)에 책록되고, 판호조사(判戶曹事)ㆍ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직(安直) - 이안직(李安直)
조선 정종(定宗)~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종검(李宗儉)ㆍ이종겸(李宗謙)의 아버지. 1399년(정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보문각 직제학(寶文閣直提學) 등을 지냄. 대치서원(大峙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안진원(安珍原) - 안홍(安鴻)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정지운(鄭之雲)의 문인으로, 1566년(명종 21)에 청주 목사(淸州牧使)가 되어 흉년으로 굶주리는 백성을 구제하는 데 기여함.
1517~15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안천군(安川君)@나천서 - 나천서(羅天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이성계(李成桂)가 요동을 정벌하고 귀환할 때 아사지경(餓死之境)에 이른 군사를 생환시킨 공으로 안정백(安定伯)에 봉해짐. 안정나씨(安定羅氏)의 시조.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무신
-
안천군(安川君)@권팽 - 권팽(權彭)
조선 태종(太宗)의 딸인 숙근옹주(淑謹翁主)의 아들. 아버지는 화천군(花川君) 권공(權恭)이며,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계미(韓繼美)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왕실>인척
-
안천군(安川君) - 권준(權蹲)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에 협력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한규인 - 한규인(韓珪仁)
고려 후기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안변(安邊). 한경(韓卿)의 아버지로, 손녀인 신의왕후(神懿王后)가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로 책봉되자 익조공신(翊祚功臣)에 추록되고,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 한경(韓卿)
고려 후기의 문신ㆍ외척. 본관은 안변(安邊). 조선 태조(太祖)의 국구(國舅)로,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역임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딸이 신의왕후(神懿王后)에 추봉(追封)되자,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추록되고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안첨정(安僉正) - 안담(安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여지(安汝止)의 동생이며 김용(金涌)의 사돈으로, 구봉령(具鳳齡) 등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하고, 첨정(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안추(安樞) - 안한(安澣)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심수경(沈守慶)ㆍ송찬(宋贊) 등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안충(安忠) - 이안충(李安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창년(李昌年)의 아들로, 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안탁(安琢) - 안전(安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순흥(順興). 안처순(安處順)의 아들이며 매담(梅潭) 안창국(安昌國)의 아버지로, 노진(盧禛)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함.
1518~157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곡성 , 인명>문사>문인
-
안택(安澤) - 유안택(柳安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유관(柳寬)의 아버지로, 삼사 판관(三司判官)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오리정승(梧里政丞) - 이원익(李元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함천군(咸川君) 이억재(李億載)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병제와 조세제도를 정비하고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는 데 공헌함.
1547~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림군(烏林君) - 김교(金嶠)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선산(善山).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무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1479년(성종 10) 건주야인(建州野人)을 토벌하였으며, 훈련원 판관(訓練院判官)ㆍ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등을 지냄. 동생 6명이 모두 무과에 합격한 무인 집안임.
1428~14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오림정(五林亭)@신윤보 - 신윤보(申潤輔)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해주 목사(海州牧使) 등을 역임하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순천(順天)에 오림정(五林亭)을 짓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오만관(烏蠻館) - 옥하관(玉河館)
중국 북경(北京) 서쪽으로 흐르는 사하(沙河)의 옥하교(玉河橋) 위에 있던 관소(館所)의 이름. 우리나라 사신(使臣)의 숙소로 이용되었음.
중국>청 , 중국 , 유적>건물>관사
-
오만역(烏蠻驛) - 옥하관(玉河館)
중국 북경(北京) 서쪽으로 흐르는 사하(沙河)의 옥하교(玉河橋) 위에 있던 관소(館所)의 이름. 우리나라 사신(使臣)의 숙소로 이용되었음.
중국>청 , 중국 , 유적>건물>관사
-
오만취(吳晩翠) - 오억령(吳億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義州)에 호종하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가 탄핵을 받아 낙향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52~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동복 , 인명>관인>문신
-
오문(五文) - 김오문(金五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김구덕(金九德)의 아들이자, 왕세자 시절 문종(文宗)의 빈(嬪)이었던 휘빈(徽嬪)의 아버지로, 좌군동지총제(左軍同知摠制)를 지냈으며,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추록됨.
?~142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오바새가(烏波索迦) - 우바새(優婆塞)
출가(出家)하지 않고 세속인으로서 불법(佛法)을 믿고 따르는 남자 신도를 이르는 말. 불교의 사부대중(四部大衆)의 하나.
사상>술어>핵심어
-
오백나한(五百羅漢) - 아라한(阿羅漢)
불교에서 열반(涅槃) 또는 깨달음에 이른 성자(聖者)를 가리키는 말. 원래는 석가(釋迦)의 가까운 제자 16명을 지칭하였으나 뒤에는 500명까지 늘어났으며, 후대에는 개인적인 깨달음에 만족한 소승(小乘)의 수행자들을 가리키기도 함.
사상>술어>핵심어
-
오복(五福) - 권오복(權五福)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이라 하여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일손(金馹孫)ㆍ권경유(權景裕) 등과 함께 극형에 처해짐.
1467~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오봉(五峯)@호굉 - 호굉(胡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안국(胡安國)의 아들로, 양시(楊時)ㆍ이정(二程)의 이학(理學)을 계승하여 자신의 독창적인 오봉학파(五峯學派)를 창시하였으며, 주희(朱熹)ㆍ장식(張栻)ㆍ여조겸(吕祖謙) 등에게 영향을 미침.
1106?~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오봉(五峯)@이호민 - 이호민(李好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明) 나라의 군대를 불러오는 데 기여함. 적서(嫡庶)의 구별 없이 장자를 옹립하자는 입장론(立長論)을 주장함.
1553~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오봉(五峯) - 권책(權策)
조선 세조(世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단종(端宗) 복위를 도모하다가 죽은 권자신(權自愼)의 조카로, 영해(寧海)의 유배지에서 일생을 보냄.
14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오봉(梧峰) - 신지제(申之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아주(鵝洲). 창원 부사(昌原府使)로 있을 때 명화적(明火賊)을 토평하고 민심을 안정시켜 그 공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오봉(烏峰) - 금오산(金烏山)
경상북도 구미(龜尾)ㆍ칠곡(漆谷)ㆍ김천(金泉)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단풍의 명소로 일명 금강(金剛)이라 불리며 예로부터 경북팔경(慶北八景)의 하나로 꼽힘.
경상도>선산ㅣ경상도>개령 , 지명>자연지명
-
오봉(鰲峯) - 금오산(金鰲山)@경주
경상도 경주에 있는 산. 남서쪽에 박혁거세 전설이 전해지는 있는 나정(蘿井)이 있고, 신라시대의 각종 문화재가 산재해 있음. 김시습(金時習)이 은거하며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은 곳으로 알려짐.
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오봉(鰲峰) - 김제민(金齊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훈도(訓導) 김호(金灝)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향리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을 맞아 싸웠고, 난이 끝난 뒤 학문연구에 전심함.
1527~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오봉산(五峯山) - 낙산(洛山)
강원도 양양(襄陽)에 있는 산 이름. 671년에 의상(義湘)이 창건한 낙산사(洛山寺)가 있음.
강원도>양양 , 지명>자연지명
-
오봉산(五峰山) - 청평산(淸平山)
경기도 가평(加平)에서 강원도 춘천(春川)에 걸쳐 있는 산. 본래 이름은 경운산(慶雲山)이나, 고려 예종(睿宗) 때의 문신 이자현(李資玄)이 벼슬을 버리고 여기서 지내면서부터 도둑이 없어지고 호랑이도 종적을 감추었다고 하여 산 이름을 고침.
경기도>가평ㅣ강원도>춘천 , 지명>자연지명
-
오봉선생(五峯先生) - 호굉(胡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안국(胡安國)의 아들로, 양시(楊時)ㆍ이정(二程)의 이학(理學)을 계승하여 자신의 독창적인 오봉학파(五峯學派)를 창시하였으며, 주희(朱熹)ㆍ장식(張栻)ㆍ여조겸(吕祖謙) 등에게 영향을 미침.
1106?~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오봉선생(鰲峯先生) - 웅절(熊節)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서실(書室)을 지인당(智仁堂)이라고 했으며, 저서에는 《성리군서구해(性理群書句解)》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봉선생집(五峯先生集) - 오봉집(五峯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이호민(李好閔)의 문집. 15권 8책. 목활자본. 아들 이경엄(李景嚴)이 정리하고, 이식(李植)이 교정하여 발문을 씀. 저자의 조카인 홍주 목사(洪州牧使) 이경의(李景義)가 1636년(인조 14)에 간행함.
163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문헌>서명
-
오봉선생집(鰲峰先生集) - 오봉유고(鰲峰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제민(金齊閔)의 문집. 3권 3책. 목판본. 증손 김도기(金道器)가 편집하고, 외고손(外高孫)인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익태(李益泰)가 간행함. 《명재유고(明齋遺稿)》에 윤증(尹拯)의 서문이 전함.
169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제주 , 문헌>서명
-
오봉호씨(五峯胡氏) - 호굉(胡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안국(胡安國)의 아들로, 양시(楊時)ㆍ이정(二程)의 이학(理學)을 계승하여 자신의 독창적인 오봉학파(五峯學派)를 창시하였으며, 주희(朱熹)ㆍ장식(張栻)ㆍ여조겸(吕祖謙) 등에게 영향을 미침.
1106?~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오부(烏府)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오비(吳濞) - 유비(劉濞)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조카. 유중(劉仲)의 아들로, 제후들의 봉지(封地) 삭감을 주장한 조조(鼂錯)의 처단을 명분으로 경제(景帝) 때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을 일으켰으나, 패하여 동월(東越)로 달아났다가 피살됨.
B.C.215~B.C.15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오사(悟師) - 오공(悟公)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ㆍ성석린(成石璘) 등과 교유하여 《운곡행록(耘谷行錄)》과 《독곡집(獨谷集)》에 서권(書卷)ㆍ송시(送詩)ㆍ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종교인>승려
-
오사(烏斯) - 인제(麟蹄)
강원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양양(襄陽), 서쪽으로 양구(楊口)와 접해 있음.
강원도>인제 , 지명>행정지명
-
오사회(烏斯回) - 인제(麟蹄)
강원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양양(襄陽), 서쪽으로 양구(楊口)와 접해 있음.
강원도>인제 , 지명>행정지명
-
오산(五山) - 차천로(車天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낸 차식(車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한시(漢詩)에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최립(崔岦)의 문장과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이라 불림.
1556~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오산(五山)@오악 - 오악(五岳)
중국의 옛 신앙에 보이는 다섯 개의 산. 태산(泰山)ㆍ숭산(嵩山)ㆍ형산(衡山)ㆍ화산(華山)ㆍ항산(恒山)이 그것으로 중앙과 사방을 상징함.
중국 , 사상>기타사상ㅣ지명>자연지명
-
오산(烏山)@남평 - 남평(南平)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 남평읍(南平邑) 일원의 옛 고을 이름.
전라도>남평 , 지명>행정지명
-
오산(烏山)@순창 - 순창(淳昌)
전라북도의 남부 노령산맥(蘆嶺山脈)의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구암사(龜巖寺)와 강천사(剛泉寺) 등의 사찰이 있음.
전라도>순창 , 지명>행정지명
-
오산(烏山)@진주 - 오곡(烏谷)
경상도 진주(晉州) 진성(晉城)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진주 , 지명>자연지명
-
오산(烏山)@영일 - 영일(迎日)
경상도 동부 동해에 연해 있는 고을 이름. 연오랑(延烏郞)ㆍ세오녀(細烏女) 설화가 전하는 일월지(日月池)와 오천서원(烏川書院) 등의 유적이 있음. 지금은 경상북도 포항시(浦項市)에 속함.
경상도>영일 , 지명>행정지명
-
오산(烏山)@용강 - 용강(龍岡)
평안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명승지로 황룡산성(黃龍山城)ㆍ기자전(箕子殿)ㆍ오산서원(鰲山書院) 등이 있음.
평안도>용강 , 지명>행정지명
-
오산(烏山) - 금오산(金烏山)
경상북도 구미(龜尾)ㆍ칠곡(漆谷)ㆍ김천(金泉)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단풍의 명소로 일명 금강(金剛)이라 불리며 예로부터 경북팔경(慶北八景)의 하나로 꼽힘.
경상도>선산ㅣ경상도>개령 , 지명>자연지명
-
오산(烏山)@예산 - 예산(禮山)
충청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온양군(溫陽郡), 서쪽으로 덕산현(德山縣)과 접해 있음. 오현(烏縣)으로 불리며 반포조(反哺鳥) 까마귀와 같은 효의 고장으로 이름 높음.
충청도>예산 , 지명>행정지명
-
오산(鰲山)@금오산 - 금오산(金鰲山)@경주
경상도 경주에 있는 산. 남서쪽에 박혁거세 전설이 전해지는 있는 나정(蘿井)이 있고, 신라시대의 각종 문화재가 산재해 있음. 김시습(金時習)이 은거하며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은 곳으로 알려짐.
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오산(鰲山) - 청도(淸道)
경상북도 남쪽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청도 , 지명>행정지명
-
오산(鰲山)@흥해 - 흥해(興海)
경상북도 포항(浦項)의 흥해읍(興海邑)을 중심으로 한 지역의 고려ㆍ조선 시대의 고을 이름.
경상도>흥해 , 지명>행정지명
-
오산(鷔山) - 강진(康津)
전라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청자의 주요 생산지였으며,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19년간 유배생활을 했던 곳으로 잘 알려짐.
전라도>강진 , 지명>행정지명
-
오산군(烏山君)@문장창 - 문장창(文章昶)
고려 덕종(德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경간공(敬簡公) 문효제(文孝悌)의 아들로, 태위(太尉)ㆍ판리병부사(判吏兵部事)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오산군(烏山君) - 이주(李澍)@1437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맏아들로, 성종(成宗)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37~14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오산군(烏山君)@정몽주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산군(鰲山君)@김한귀 - 김한귀(金漢貴)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청도(淸道).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경성(京城)을 수복한 공으로 일등공신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오산군(鰲山君) - 김지대(金之岱)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청도김씨(淸道金氏)의 시조. 고종(高宗) 4년에 거란군이 침입하자 아버지를 대신해 출전함.
1190~126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오산도정(烏山都正) - 이현(李鉉)@이희의아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네 번째 서자로, 오산정(烏山正)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오산문씨(烏山文氏) - 남평문씨(南平文氏)
신라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 때 인물로 대장군(大將軍)을 거쳐 남평백(南平伯)에 봉해진 문다성(文多省)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전라도>남평 , 인명>집단>성씨
-
오산수(烏山守) - 이현(李鉉)@이희의아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네 번째 서자로, 오산정(烏山正)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오산유씨(鰲山兪氏) - 강진유씨(康津兪氏)
고려 말에 감문위 상장군(監門衛上將軍)을 지낸 유적(兪迪)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집단>성씨
-
오산정(烏山正) - 이현(李鉉)@이희의아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네 번째 서자로, 오산정(烏山正)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오상(五常)@장오상 - 장오상(張五常)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유학 장세균(張世鈞)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유학
-
오상(五常) - 권오상(權五常)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처형된 권오복(權五福)의 동생으로, 좌부승지(左副承旨) 권문해(權文海)의 조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오상(鰲相)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오상지(吳祥之) - 오상(吳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예조 좌랑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이조ㆍ예조ㆍ형조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문장에 뛰어나 8문장(八文章)의 한 사람으로 불림.
1512~15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오생(寤生) - 장공(莊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제후. 무공(武公)의 아들. 탁월한 지략과 수완으로 친동생 공숙단(共叔段)이 친모 무강(武姜)과 짜고 반역을 일으키자 일거에 진압하고, 뛰어난 명신들의 보좌를 받으면서 정 나라의 전성기를 구가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오서(伍胥) - 오운(伍員)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재상. 초(楚)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와 형이 초(楚) 평왕(平王)에게 처형당함. 오 나라 부차(夫差)를 도와 월(越) 나라를 이기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후에 부차(夫差)에게 처형당함.
B.C.559~B.C.48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오선정(五先亭) - 권사빈(權士彬)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충재(冲齋) 권벌(權橃)의 아버지로,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49~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오섭충(吳爕忠) - 오혁충(吳奕忠)
고려 후기의 문신. 태허정(太虛亭) 최항(崔恒)의 외조부(外祖父)이며, 판종부시사(判宗簿寺事)를 역임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오성(鰲城)@서능 - 서릉(徐稜)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이천(利川). 시중(侍中)을 지냈으며, 절효(節孝)로 향현사(鄕賢祠)에 배향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오성(鰲城)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오성부원군(鰲城府院君)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오성상국(鰲城相國)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오성정씨(筽城丁氏) - 영광정씨(靈光丁氏)
중국 당(唐) 나라 대상(大相)으로 신라에 귀화한 정덕성(丁德盛)을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낸 정찬(丁贊)을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영광 , 인명>집단>성씨
-
오세(五歲)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오세동자(五歲童子)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오세신동(五歲神童)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오세재(吳世材) - 오세재(吳世才)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인ㆍ학자. 본관은 고창(高敞). 해좌칠현(海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시와 서예에 능함. 명종 때 과거에 급제했으나 관로에는 오르지 못함.
113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오소유(吳少瑜) - 기소유(紀少瑜)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 무제(武帝) 때의 문신ㆍ문인. 일찍이 문장 육수(陸倕)로부터 청루 붓을 받는 꿈을 꾼 뒤 문장이 크게 진보되었다고 함. 초서에 능하고, 기실참군(記室參軍) 등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오수(獒樹) - 김중서(金仲舒)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오수 찰방(獒樹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오수(聱叟) - 원결(元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
723~77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오수(鰲岫) - 금오산(金鰲山)@경주
경상도 경주에 있는 산. 남서쪽에 박혁거세 전설이 전해지는 있는 나정(蘿井)이 있고, 신라시대의 각종 문화재가 산재해 있음. 김시습(金時習)이 은거하며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은 곳으로 알려짐.
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오숭(烏嵩) - 금오산(金烏山)
경상북도 구미(龜尾)ㆍ칠곡(漆谷)ㆍ김천(金泉)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단풍의 명소로 일명 금강(金剛)이라 불리며 예로부터 경북팔경(慶北八景)의 하나로 꼽힘.
경상도>선산ㅣ경상도>개령 , 지명>자연지명
-
오시은(吳市隱) - 매복(梅福)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 남창 현위(南昌縣尉)를 지내다 왕망(王莽)이 정사를 전횡하자 처자(妻子)를 버리고 은둔하여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오악(烏岳) - 금오산(金烏山)
경상북도 구미(龜尾)ㆍ칠곡(漆谷)ㆍ김천(金泉)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단풍의 명소로 일명 금강(金剛)이라 불리며 예로부터 경북팔경(慶北八景)의 하나로 꼽힘.
경상도>선산ㅣ경상도>개령 , 지명>자연지명
-
오악산인(五嶽山人) - 신광수(申光洙)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고령(高靈). 1746년(영조 22)에 관산융마(關山戎馬)란 시(詩)로 급제했는데, 이 시는 당시 과시(科詩)의 모범이 됨. 1774년(영조 50)에 관서지방의 풍속ㆍ고적ㆍ고사 등을 소재로 한 관서악부(關西樂府)를 지었으며, 《석북집(石北集)》을 남김.
1712~177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오암(午巖) - 구성윤(具誠胤)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구봉령(具鳳齡)의 아들.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오야(梧野) - 구의산(九疑山)
중국 호남성(湖南省) 영원현(寧遠縣) 남쪽에 있는 산 이름. 구봉(九峯)이 서로 비슷하여 구별하기 어려워 사람의 마음이 헤아리기 어려움을 비유함. 순(舜) 임금을 이곳에 장사지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오열탄(嗚咽灘) - 용천(龍泉)
황해도 서흥(瑞興) 남쪽 22리 지점에 있는 여울 이름. 산기슭에서 물이 솟아 나와 시내를 이룬 곳으로, 이곳에서 기생과 이별하는 모습을 읊은 어떤 사람의 시구(詩句)를 인용하여 서거정(徐居正)이 ‘오열탄(嗚咽灘)’이라 개명함.
황해도>서흥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