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오영(五英) - 육영(六英)
중국 고대 제곡(帝嚳) 고신씨(高辛氏)가 지은 음악. 육합(六合), 즉 천지와 사방의 영화(英華)를 총괄하였음을 칭송한 내용임.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오오아(鼇鼇兒) - 미우인(米友仁)
중국 남송(南宋)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아버지 미불(米芾)이 대미(大米)라고 불린 데 대해 소미(小米)라고 불림. 운산(雲山) 화법을 발전시켜 ‘미법산수(米法山水)’를 정착시키고, 초서와 예서에 뛰어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오왕(吳王)@유비 - 유비(劉濞)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조카. 유중(劉仲)의 아들로, 제후들의 봉지(封地) 삭감을 주장한 조조(鼂錯)의 처단을 명분으로 경제(景帝) 때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을 일으켰으나, 패하여 동월(東越)로 달아났다가 피살됨.
B.C.215~B.C.15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오왕(吳王)@강제 - 강제(康帝)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4대 황제. 재위 342~344. 명제(明帝)의 아들이자, 성제(成帝)의 아우로, 성제가 죽은 후 권신 유빙(庾冰)ㆍ유익(庾翼)의 도움으로 즉위함.
322~34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오왕(吳王)@부차 - 부차(夫差)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후. 재위 B.C.496~B.C.473. 월왕(越王) 구천(句踐)에게 죽은 아버지 합려(闔閭)의 유언에 따라 월 나라를 패퇴시키나, 결국 다시 구천에게 패하여 자살함.
?~B.C.47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오왕(吳王)@대제 - 대제(大帝)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222~252. 형 손책(孫策)의 뒤를 이어 강동(江東)을 차지하고, 유비(劉備)와 동맹하여 조조(曹操)를 적벽(赤壁)에서 무찌름.
182~25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오왕(吳王)@말제 - 말제(末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마지막 황제. 재위 264~280. 처음에는 선정을 베풀었으나 가혹한 조세(租稅)와 폭정(暴政) 등으로 민심을 잃었으며, 진(晉) 나라에 항복하여 귀명후(歸命侯)에 봉해짐.
242~284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오왕(吳王)@효왕 - 효왕(孝王)@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아들. 289년(무제 10)에 오왕(吳王)에 봉해지고, 셋째 아들 민제(愍帝)가 즉위하여 태보(太保)에 추증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오왕(吳王)@합려 - 합려(闔閭)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 제24대 제후. 재위 B.C.515~B.C.496. 초(楚) 나라 사람 오운(伍員)과 《손자(孫子)》의 저자인 손무(孫武)를 등용하여 오 나라의 세력을 중원(中原)에까지 넓혔으나, 월(越) 나라와의 전쟁에서 전사함.
?~B.C.49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오요(五曜) - 오성(五星)
중국에서 고대부터 알려져 있는 다섯 개 행성(行星)의 통칭. 목성(木星)ㆍ금성(金星)ㆍ화성(火星)ㆍ수성(水星)ㆍ토성(土星)을 일컫는 말로, 각각 동(東)ㆍ서(西)ㆍ남(南)ㆍ북(北)ㆍ중앙(中央)에 위치하여 그 방위를 관장하고 상징하는 것으로 인식됨.
자연물>천체
-
오원(五原)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오원(五原)@의안대군 - 의안대군(宜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소생으로, 배극렴(裵克廉)ㆍ조준(趙浚)ㆍ정도전(鄭道傳) 등의 요청으로 세자(世子)로 책봉되었으나,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피살됨.
138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오원군(五原君) - 이보정(李寶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아들인 덕천군(德泉君)의 손자이며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인명>왕실>종친
-
오원부수(五原副守) - 이보정(李寶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아들인 덕천군(德泉君)의 손자이며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인명>왕실>종친
-
오월당(梧月堂) - 이유함(李惟諴)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하수일(河受一)의 매서(妹壻)로, 1591년(선조 2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장원하여 영천 군수(榮川郡守) 등을 지냄.
1557~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오위(五緯) - 오성(五星)
중국에서 고대부터 알려져 있는 다섯 개 행성(行星)의 통칭. 목성(木星)ㆍ금성(金星)ㆍ화성(火星)ㆍ수성(水星)ㆍ토성(土星)을 일컫는 말로, 각각 동(東)ㆍ서(西)ㆍ남(南)ㆍ북(北)ㆍ중앙(中央)에 위치하여 그 방위를 관장하고 상징하는 것으로 인식됨.
자연물>천체
-
오유격(吳遊擊) - 오종도(吳宗道)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수병을 이끌고 와서 공적을 세웠으며, 1593년(선조 26)에 거제(巨濟)를 지키기 위해 진주(晉州)를 지나가면서 의병장 김천일(金千鎰)을 위해 쓴 제문(祭文)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오유당(烏有堂) - 서구연(徐九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함양 군수(咸陽郡守)를 역임하였으며, 남계서원(灆溪書院)의 건립에 참여함.
1502~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오은(悟隱) - 조창원(趙昌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낸 조존성(趙存性)의 아들로, 형조 좌랑(刑曹佐郞) 등을 지내고, 딸이 인조의 계비(繼妃)로 간택됨.
1583~164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오은(梧隱) - 김사렴(金士廉)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천(金蕆)의 아들.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과 교유하고, 신돈(辛旽)이 권력을 갖자 왕에게 직간(直諫)함. 조선이 건국되자 관직에 나가지 않고, 청주의 도산(陶山)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오은군(鰲恩君) - 이경일(李敬一)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경주(慶州). 진사(進士) 이종열(李宗悅)의 아들로, 도사(都事) 이종악(李宗岳)에게 출계함. 좌의정 등을 지내고, 저서에 《청헌유고(聽軒遺稿)》가 있음.
1734~18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오음(梧陰)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음상공(梧陰相公)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음상국(梧陰相國)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의숙(吳毅叔) - 오한(吳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함양(咸陽). 종제인 덕계(德溪) 오건(吳健)과 함께 조식(曺植)에게서 수학하며 학문에 전념함.
1546~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산음 , 인명>문사>문인
-
오익승(吳翼承) - 오장(吳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오건(吳健)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고, 광해군 때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옥사와 폐모론(廢母論)에 맞서다가 삭직되어 낙향한 후, 정온(鄭蘊)을 비호하다가 토산(兎山)으로 유배됨.
?~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오인원(吳仁遠) - 오언의(吳彦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으로, 현감(縣監)을 지낸 오석복(吳碩福)의 아들. 이우(李堣)의 문인이며,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치적을 많이 쌓았음.
1494~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오자(伍子) - 오운(伍員)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재상. 초(楚)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와 형이 초(楚) 평왕(平王)에게 처형당함. 오 나라 부차(夫差)를 도와 월(越) 나라를 이기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후에 부차(夫差)에게 처형당함.
B.C.559~B.C.48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오자(吳子)@오기 - 오기(吳起)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병법가. 증자(曾子)에게 배우고 노군(魯君)을 섬김. 제(齊) 나라가 노 나라를 침공하였을 때 제 나라 출신 아내를 죽여 충성을 나타낸 뒤, 노 나라 장군으로서 제 나라를 격파함. 병법에 밝아 《오자(吳子)》를 저술함.
B.C.440~B.C.38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오자(吳子)@오도현 - 오도현(吳道玄)
중국 당(唐) 나라의 화가. 불화(佛畫)와 산수화(山水畵)에 뛰어나 화성(畫聖)이라 불림. 소화(疎畵)의 체인 서화일치의 화체를 확립하고, 준법(皴法) 등을 사용하여 동양 회화에 영향을 끼침.
700~760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오자강(吳子强) - 오건(吳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좌랑으로 있으면서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여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521~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자묘(伍子廟) - 오운묘(伍員廟)
중국 절강성(浙江省) 항주(杭州)에 있는 사당. 춘추시대 초(楚) 나라 대부(大夫)인 오자서(伍子胥)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당(唐) 나라 적인걸(狄仁傑)의 음사(淫祠) 철폐 때에도 보존되었음.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오자사(伍子奢) - 오사(伍奢)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 오자서(伍子胥)의 아버지. 초(楚) 평왕(平王)의 태자태부(太子太傅)로, 비무기(費無忌)가 태자를 참소(譖訴)하자 간(諫)하다가 피살됨.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오자서(伍子胥) - 오운(伍員)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재상. 초(楚)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와 형이 초(楚) 평왕(平王)에게 처형당함. 오 나라 부차(夫差)를 도와 월(越) 나라를 이기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후에 부차(夫差)에게 처형당함.
B.C.559~B.C.48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오자서묘(伍子胥廟) - 오운묘(伍員廟)
중국 절강성(浙江省) 항주(杭州)에 있는 사당. 춘추시대 초(楚) 나라 대부(大夫)인 오자서(伍子胥)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당(唐) 나라 적인걸(狄仁傑)의 음사(淫祠) 철폐 때에도 보존되었음.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오자알(吳子遏) - 제번(諸樊)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제후. 오왕(吳王) 수몽(壽夢)이 아우 계찰(季札)이 현명하므로 임금으로 세우려 하였는데 적자(適子)가 왕위를 이어야 한다고 사양하여 즉위하였음. 합려(闔閭)의 아버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오자전(圬者傳) - 오자왕승복전(圬者王承福傳)
중국 당(唐) 나라의 학자인 한유(韓愈)가 지은 전(傳). 오자(圬者) 왕승복(王承福)을 빌어 고관을 풍자하는 내용을 담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오잠(鰲岑) - 금오산(金鰲山)@경주
경상도 경주에 있는 산. 남서쪽에 박혁거세 전설이 전해지는 있는 나정(蘿井)이 있고, 신라시대의 각종 문화재가 산재해 있음. 김시습(金時習)이 은거하며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은 곳으로 알려짐.
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오재(梧齋)@양만용 - 양만용(梁曼容)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양산축(梁山軸)의 아들이며, 강항(姜沆)ㆍ박동열(朴東說)의 문인.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을 일으켰으며, 청현직(淸顯職)을 두루 역임하고 영국원종공신(寧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598~165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재(梧齋) - 신지제(申之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아주(鵝洲). 창원 부사(昌原府使)로 있을 때 명화적(明火賊)을 토평하고 민심을 안정시켜 그 공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오적(五籍) - 오경(五經)
유교의 중요한 다섯 가지 경서(經書). 일반적으로 《역경(易經)》ㆍ《서경(書經)》ㆍ《시경(詩經)》ㆍ《예기(禮記)》ㆍ《춘추(春秋)》를 가리키며, 공자(孔子)가 편찬 및 저술에 관계했다고 하여 특히 존중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오전(五典) - 오경(五經)
유교의 중요한 다섯 가지 경서(經書). 일반적으로 《역경(易經)》ㆍ《서경(書經)》ㆍ《시경(詩經)》ㆍ《예기(禮記)》ㆍ《춘추(春秋)》를 가리키며, 공자(孔子)가 편찬 및 저술에 관계했다고 하여 특히 존중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오정(梧亭) - 박난(朴蘭)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원량(朴元亮)의 아들이고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1543년(중종 3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정(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오정로(梧亭老) - 박난(朴蘭)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원량(朴元亮)의 아들이고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1543년(중종 3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정(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오정석(吳廷碩) - 신준(神駿)
고려 의종(毅宗) 때의 승려. 원래 문인이었으나, 무신정변(武臣政變) 때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 불교에 귀의하여 명산을 두루 방랑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오정장인(梧亭丈人) - 박난(朴蘭)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원량(朴元亮)의 아들이고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1543년(중종 3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정(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오정후(烏程侯)@손견 - 손견(孫堅)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무장(武將). 손책(孫策)ㆍ손권(孫權: 오(吳) 대제(大帝))의 아버지. 지방의 호족(豪族) 출신으로, 황건(黃巾)의 난(亂)과 동탁(董卓) 토벌에 공을 세웠으나, 유표(劉表)와의 전투에서 황조(黃祖)에게 사살됨.
156~1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오정후(烏程侯) - 말제(末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마지막 황제. 재위 264~280. 처음에는 선정을 베풀었으나 가혹한 조세(租稅)와 폭정(暴政) 등으로 민심을 잃었으며, 진(晉) 나라에 항복하여 귀명후(歸命侯)에 봉해짐.
242~284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오제(五齊)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오조(五祖) - 홍인(弘忍)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 중국 선종(禪宗)의 제5조(第五祖)로, 도신(道信)을 따라 출가하여 대사(大師)가 된 후 동산법문(東山法門)을 창시함. 신수(神秀)ㆍ혜능(慧能) 등 많은 제자를 배출하여 크게 선풍(禪風)을 선양함.
601~674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오조(敖曹) - 고앙(高昂)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제(北齊)의 무신.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오조천(吾助川) - 오조천(吾早川)
황해도 우봉(牛峯) 서쪽에 있는 하천 이름. 성거산(聖居山)에서 발원하여 저탄(渚灘)으로 흘러 들어가며, 언덕 위에 돌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어 기이하고 웅장함. 당고(唐皐)의 시가 있음.
황해도>우봉 , 지명>자연지명
-
오주(吳主) - 예제(睿帝)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오(吳)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921~937. 태조(太祖) 효무제(孝武帝)의 부장인 서온(徐溫)에 의해 황제 자리에 오름.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오주(鰲洲) - 최휘지(崔徽之)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최연(崔珚)의 아들로, 문과(文科)에 급제하고도 출사(出仕)하지 않다가, 후에 집의(執義)ㆍ군수(郡守)등을 지냈으며, 글씨에 뛰어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오주교(吳主敎) - 오건(吳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좌랑으로 있으면서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여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521~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죽산인(悟竹山人) - 김충갑(金忠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헌납(獻納) 등을 역임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벽서(壁書)사건에 연루되어 삭직됨. 선조 초에 해배된 뒤 사후(死後) 보조공신(輔祚功臣)에 추증됨.
1515~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죽헌(烏竹軒)@이사온 - 이사온(李思溫)
조선 전기의 유학. 집에 오죽(烏竹)을 심어놓고 스스로 호(號)로 삼았으며, 김세필(金世弼)의 《십청집(十淸集》에 그의 시운(詩韻)에 화답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오중소년(吳中少年)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오지(五指) - 우조(羽調)
악곡(樂曲)에 쓰이는 악조(樂調)의 명칭 가운데 하나.
기타>가무
-
오찰(吳札) - 계찰(季札)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공자(公子). 각 제후국을 사신으로 순방하면서 예학을 논하는 등 박학하고 통명한 식견을 선보이며 현인으로 명성을 떨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오창(梧窓) - 박동량(朴東亮)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유훈을 받든 유교칠신(遺敎七臣)의 한 사람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보호함. 중국어에 능통하여 대중외교에도 기여함.
1569~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오천(梧川)@이종성 - 이종성(李宗城)@조선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박문수(朴文秀)와 함께 붕당(朋黨)의 폐를 논하고 암행어사(暗行御史)가 되어 민폐를 일소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저서로 《오천집(梧川集)》이 있음.
1692~175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오천(梧川) - 마천목(馬天牧)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장흥(長興).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는 데에 공을 세우고, 병조 판서(兵曹判書)가 되어 처음으로 6진(六鎭)의 설치를 주장함.
1358~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흥ㅣ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무신
-
오천(梧泉) - 김석진(金奭鎭)
조선 철종(哲宗)~순종(純宗) 때의 문신. 의열사(義烈士). 본관은 안동(安東).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오적신(五賊臣)의 처형을 주장하였으며, 1910년 국권이 피탈되자 음독 자결함.
1843~1910 한국>근대ㅣ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오천(烏川)@영일 - 영일(迎日)
경상도 동부 동해에 연해 있는 고을 이름. 연오랑(延烏郞)ㆍ세오녀(細烏女) 설화가 전하는 일월지(日月池)와 오천서원(烏川書院) 등의 유적이 있음. 지금은 경상북도 포항시(浦項市)에 속함.
경상도>영일 , 지명>행정지명
-
오천(烏川)@이문화 - 이문화(李文和)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조선 개국 후 세 차례에 걸쳐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의정부 참찬(議政府參贊) 등을 지냄.
1358~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오천(烏川) - 김부필(金富弼)@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16~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오천군(烏川君) - 정사도(鄭思道)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 때 모친상에 3년간 시묘(侍墓)한 효성으로 일성군(日城君)에 봉해짐. 최영(崔瑩)을 제거하려는 신돈(辛旽)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오천군(烏川君)에 개봉(改封)됨.
1318~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천대로(烏川大老)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천문(五千文) - 도덕경(道德經)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인 노자(老子)가 지었다는 도교 경전(道敎經典). 약 5000자, 상ㆍ하 2편으로 구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오천부원군(烏川府院君) - 정진(鄭鎭)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일성군(日城君) 정효전(鄭孝全)의 아버지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오천부정(烏川副正) - 이사종(李嗣宗)@이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손자이며, 순성군(順成君) 이개(李𧪚)의 서자로, 작은 키와 굵은 허리 등 독특한 외모로 인해 ‘토미륵(土彌勒)’이라는 별호를 얻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오천서원(鰲川書院) - 덕원서원(德源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순천(順天)에 건립한 서원. 차운혁(車云革)ㆍ차원부(車原頫)ㆍ차포온(車蒲溫)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 1806년(순조 11)에 경상도 합천(陜川)으로 옮기고 덕원서원이라고 함.
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오천선생(鳥川先生) - 정종소(鄭從韶)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정이교(鄭以僑)의 아버지로, 성균 사성(成均司成) 등을 지내고, 문장(文章)과 기절(氣節)이 빼어나 김종직(金宗直)의 존중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오천수(烏川叟)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천수(烏川守) - 이굉(李鍧)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두 번째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세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오천언(五千言) - 도덕경(道德經)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인 노자(老子)가 지었다는 도교 경전(道敎經典). 약 5000자, 상ㆍ하 2편으로 구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오천영당(梧川影堂) - 화산서원(禾山書院)
조선 철종(哲宗) 때 경상도 의성(義城)에 건립한 서원. 1855년(철종 6) 사림이 건립한 오천영당(梧川影堂)을 1915년에 개수하여 숭절사(崇節祠)로 고치고, 1976년에 화산서원(禾山書院)으로 개칭함. 마천목(馬天牧)ㆍ마승(馬勝) 등을 배향함.
185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오천정(烏川正) - 이사종(李嗣宗)@이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손자이며, 순성군(順成君) 이개(李𧪚)의 서자로, 작은 키와 굵은 허리 등 독특한 외모로 인해 ‘토미륵(土彌勒)’이라는 별호를 얻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오천정씨(烏川鄭氏) - 연일정씨(延日鄭氏)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때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낸 정종은(鄭宗殷)을 도시조(都始祖)로 하는 성씨. 지주사공파(知奏事公派)와 감무공파(監務公派)로 나뉨.
한국>신라 , 경상도>영일 , 인명>집단>성씨
-
오초려(吳草廬) - 오징(吳澄)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천문학(天文學)에 밝아 《찬언(纂言)》을 저술하였는데, 조선시대에 혼천의(渾天儀)를 만드는 데 기본틀이 됨.
1249~133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오촌(梧村)@이대건 - 이대건(李大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이시발(李時發)의 아버지로, 1573년(선조 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나 27세로 요절함.
1550~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오촌(梧村) - 박응훈(朴應勳)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효성이 지극하여 1601년(선조 34) 정려(旌閭)를 받았으며, 황간(黃澗)의 송계서원(松溪書院)에 배향됨.
1539~159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기타인명>효자
-
오추(烏騅) - 오추마(烏騅馬)
중국 진(秦) 나라 말기의 무장(武將)인 항우(項羽)가 타던 애마(愛馬) 이름. 적토마(赤兎馬)와 함께 준마(駿馬)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며, 시(詩)의 소재로도 자주 쓰임.
중국>진 , 중국 , 자연물>동물
-
오칠(五七) - 동인지문(東人之文)
고려 후기의 학자 최해(崔瀣)가 편찬한 시문집(詩文集). 신라 최치원(崔致遠)으로부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까지 명가(名家)의 작품들을 모아 엮음.
1338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오칠군왕(吳七郡王) - 오거(吳琚)
중국 송(宋)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서법가. 변량(汴梁) 사람으로 관직은 지강릉부(知江陵府)ㆍ판건강부(判建康府)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오칭(吳偁) - 오경(吳儆)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 오부(吳俯)와 함께 학문과 문장으로 이름을 날려 '강동이오(江東二吳)'로 불렸으며, 안무도감(安撫都監) 등을 지냄.
1125~118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오타운(五朶雲) - 오운체(五雲體)
아름다운 서체(書體)를 뜻함.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인 위척(韋陟)이 서찰(書札)을 쓸 때 시첩(侍妾)에게 쓰도록 모두 맡기고 자신은 서명(署名)만 하였는데, 그렇게 스스로 쓴 이름이 오색 구름처럼 아름답다고 자칭한 데서 온 말임.
중국>당 , 중국 , 사상>기법>방법
-
오태백(吳太伯) - 태백(太伯)
중국 주(周) 나라 태왕(太王)의 맏아들. 태왕이 셋째 아들인 왕계(王季)에게 전위(傳位)하려 하자, 동생 중옹(仲雍)과 함께 형만(荊蠻)으로 들어가 그들의 습속을 따라 몸에 문신을 하고 머리를 짧게 깎아 왕계에게 후계자의 자리를 양보함. 무왕(武王)이 천하를 통일한 다음 그의 자손을 오(吳) 나라에 봉해 줌.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오태서원(吳泰書院) - 오산서원(吳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인동(仁同)에 창건한 서원. 1574년(선조 7)에 지방 유림의 건의로 창건하여 야은(冶隱) 길재(吉再)를 배향함. 현재는 경상북도 구미시(龜尾市)에 속함.
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인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오토(於菟) - 호(虎)
호랑이. 민속(民俗)에서 잡귀(雜鬼)를 물리치고 효(孝)와 보은(報恩)의 동물로 묘사되는 등 신수(神獸)로 일컬어짐.
자연물>동물
-
오패(五伯) - 춘추오패(春秋五覇)
중국 춘추시대에 강력한 세력을 지녔던 5인의 패자(覇者). 《순자(荀子)》에서는 제(齊) 나라 환공(桓公), 진(晉) 나라 문공(文公), 초(楚) 나라 장왕(莊王), 오왕(吳王) 합려(闔閭), 월왕(越王) 구천(勾踐)을 꼽았으나, 서책에 따라 차이가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핵심어
-
오패(五覇) - 춘추오패(春秋五覇)
중국 춘추시대에 강력한 세력을 지녔던 5인의 패자(覇者). 《순자(荀子)》에서는 제(齊) 나라 환공(桓公), 진(晉) 나라 문공(文公), 초(楚) 나라 장왕(莊王), 오왕(吳王) 합려(闔閭), 월왕(越王) 구천(勾踐)을 꼽았으나, 서책에 따라 차이가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핵심어
-
오폐제(吳廢帝) - 폐제(廢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252~258.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막내아들. 맏형 손등(孫登)이 죽은 후 태자가 되어 제갈각(諸葛恪) 등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나, 손준(孫峻) 등에게 실권을 빼앗겨 결국 폐위되었으며, 후에 자살함.
243~26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오포(吳浦) - 오포(烏浦)
경상도 영덕(盈德)의 남쪽에 있던 포구 이름. 만호(萬戶)를 설치하여 병선(兵船)을 정박시켰으나, 수세(水勢)가 매우 사납고 모래가 해구(海口)를 메워 폐지됨.
경상도>영덕 , 지명>행정지명
-
오풍(五楓) - 이유경(李有慶)@이해의증손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해(李蟹)의 증손으로, 나주(羅州)의 영강서원(榮江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오하몽(吳下蒙) - 여몽(呂蒙)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의 명장. 주유(周瑜)ㆍ정보(程普) 등과 함께 적벽(赤壁)에서 조조(曹操)의 군대를 크게 격파함.
178~21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오한(五恨) - 박성건(朴成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언(朴彦)의 아들로, 1472년(성종 3)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오한거사(五恨居士) - 박성건(朴成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언(朴彦)의 아들로, 1472년(성종 3)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오한당(五寒堂) - 박희철(朴希哲)
조선 전기의 유학. 고청(孤靑) 서기(徐起)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