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오행(五行) - 권오행(權五行)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예천(醴泉). 무오사화(戊午士禍)로 동생 권오복(權五福)이 처형되던 해에 문과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오행총괄(五行總括) - 오행총괄(五行摠括)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인 서거정(徐居正)의 저서. 세조의 명으로 녹명(祿命)에 대한 궁리(窮理)를 위해 지음.
146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오헌(梧軒) - 탁도집(卓道集)
고려 전기의 문신.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인 탁지엽(卓之葉)의 둘째 아들로,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오현(吳縣) - 소주(蘇州)
중국 강소성(江蘇省) 남동부 태호(太湖) 동쪽에 있는 도시.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국도(國都)였으며, 그후 역대에 걸쳐 주변 지역의 행정 중심지로 중시됨. 수(隋) 나라 때 운하망(運河網)이 개통되어 항주(杭州)와 함께 번영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오현(吳賢) - 계찰(季札)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공자(公子). 각 제후국을 사신으로 순방하면서 예학을 논하는 등 박학하고 통명한 식견을 선보이며 현인으로 명성을 떨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오현(烏縣) - 예산(禮山)
충청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온양군(溫陽郡), 서쪽으로 덕산현(德山縣)과 접해 있음. 오현(烏縣)으로 불리며 반포조(反哺鳥) 까마귀와 같은 효의 고장으로 이름 높음.
충청도>예산 , 지명>행정지명
-
오호(五湖) - 이상의(李尙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임진왜란 때 광해군(光海君)을 호위한 위성공신(衛聖功臣)으로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에 봉해짐. 인조반정으로 훈공이 삭탈되고 품계도 강등되어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로 좌천됨.
1560~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회숙(吳晦叔) - 오익(吳翌)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오봉(五峯) 호굉(胡宏)의 문인(門人). 남헌(南軒) 장식(張栻) 등과 교유하였고, 주희(朱熹)가 그의 행장(行狀)을 지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오효원(吳孝元) - 오희순(吳希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아들 오결(吳潔)과 함께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예빈시 직장(禮賓寺直長) 등을 지냄. 성혼(成渾)의 《우계집(牛溪集)》에 그에게 답한 편지가 실려 있음.
1538~162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오훼(烏喙) - 구천(句踐)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제후. 재위 B.C.496~B.C.465. 아버지 합려(闔閭)의 복수를 준비하고 있던 오(吳) 나라의 왕 부차(夫差)와의 싸움에서 패배한 뒤 쓸개를 맛보며 국력을 키워 마침내 오 나라를 멸망시킴.
?~B.C.46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오흥(吳興) - 조맹부(趙孟頫)
중국 원(元) 나라의 서화가ㆍ문인. 송(宋) 나라의 종실이면서 원 나라에서 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를 지내고, 사후 위국공(魏國公)에 추봉됨. 서화(書畵)와 시문에 뛰어나서 원 나라의 4대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254~132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옥(沃)@하옥 - 하옥(河沃)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형산(河荊山)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옥(沃)@고려 - 이옥(李沃)@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이사근(李思謹)의 아버지이며 이승주(李承周)ㆍ이승소(李承召)ㆍ이승려(李承呂)의 증조부로,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오름.
?~1409 한국>고려후기ㅣ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옥(沃)@조선 - 이옥(李沃)@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네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옥(沃)@유문표의아들 - 유옥(柳沃)@유문표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박상(朴祥)ㆍ김정(金淨) 등과 연명으로 단경왕후(端敬王后) 신씨(愼氏)의 복위를 청하고 신씨를 폐위시켰던 훈신(勳臣)들의 죄를 규탄하는 상소를 올림.
1487~151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옥(沃)@유세훈의아버지 - 유옥(柳沃)@유세훈의아버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학자 유세훈(柳世勛)의 아버지로, 충의위(忠義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
-
옥(沃) - 신옥(申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곡성 현감(谷城縣監)을 역임하였으며, 이황(李滉)과 학문을 논하는 편지를 주고받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옥(玉)@장옥 - 장옥(張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유배당했고, 김안로(金安老) 일당에게 몰려 또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음.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한 뒤 판교(判校) 등을 역임함.
149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옥(玉) - 윤옥(尹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사익(尹思翼)의 아들이며 순회세자(順懷世子)의 장인으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1511~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옥강(玉崗) - 박사길(朴士吉)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 적이 호남을 침범하자, 박광전(朴光前)ㆍ송홍렬(宋弘烈) 등과 의병을 일으켜 동복(同福)에서 적을 크게 무찔렀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옥경(沃卿)@금계 - 금계(琴啓)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금회(琴淮)의 아들로,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벼슬에 나가지 않다가 음보(蔭補)로 천거되어 충무위 부장(忠武衛部將)ㆍ군위 현감(軍威縣監) 등을 역임함.
1439~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무신
-
옥경(沃卿)@한언 - 한언(韓堰)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 한명회(韓明澮)의 조카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며, 민반(閔泮)과 함께 《왕비세보(王妃世譜)》를 편찬함. 1492년(성종 23) 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갔다가 그곳에서 죽음.
1448~149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옥경(沃卿) - 유윤(柳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문화(文化). 대구부 교수(大丘府敎授)를 지낸 유종(柳從)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옥경(玉京)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옥경청리(玉京淸吏) - 김안복(金安福)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옥계(玉溪) - 노진(盧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지낸 노관(盧祼)의 형. 기대승(奇大升)ㆍ노수신(盧守愼)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1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옥계(玉溪)@의상인 - 의상인(宜上人)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승려.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의 시집에 써 준 서문(序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옥계(玉溪)@신달정 - 신달정(辛達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효자. 본관은 영월(寧越). 고려 후기 전법 판서(典法判書)를 지낸 신당계(辛唐系)의 6세손. 효행(孝行)으로 예천(醴泉) 옥동사(玉洞祠)에 향사(享祀)됨.
1483~15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기타인명>효자
-
옥계거사(玉溪居士) - 정승복(鄭承復)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정내(鄭鼐)의 아들로, 중종 때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에 뽑혔으며,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전공(戰功)을 세워 함흥 판관(咸興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옥계노씨(玉溪盧氏)@노효손 - 노효손(盧孝孫)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진사에 급제하여 태학박사(太學博士) 등을 역임하고, 말년에 관직을 사양하고 학문에 매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옥계노씨(玉溪盧氏) - 노진(盧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지낸 노관(盧祼)의 형. 기대승(奇大升)ㆍ노수신(盧守愼)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1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옥계도정(玉溪都正) - 이현동(李賢童)
조선 전기의 종친. 익안대군(益安大君)의 증손이며, 백파도정(白波都正) 이상(李常)의 장남. 생육신(生六臣)과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였으나 실패하자 이를 비관하여 농맹아(聾盲啞)로 일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옥계문집(玉溪文集) - 옥계집(玉溪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노진(盧禛)의 시문집. 목판본. 초간본은 문인 정염(丁焰)이 저자의 유고(遺稿) 가운데 약간을 초록(抄錄)하여 임진왜란 이전에 목판본으로 간행하였으나 남아 있지 않고, 손자 노척(盧脊)이 1632년(인조 10)에 중간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옥계부정(玉溪副正) - 이현동(李賢童)
조선 전기의 종친. 익안대군(益安大君)의 증손이며, 백파도정(白波都正) 이상(李常)의 장남. 생육신(生六臣)과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였으나 실패하자 이를 비관하여 농맹아(聾盲啞)로 일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옥계생(玉溪生) - 이상은(李商隱)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ㆍ시인. 영호초(令狐楚)에게 변려문(騈儷文)을 배웠으며, 풍부한 전고(典故)와 화려한 자구(字句)를 구사하여 당대 수사주의문학(修辭主義文學)의 극치를 보여줌.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냄.
812~85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옥계선생(玉溪先生) - 노효손(盧孝孫)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진사에 급제하여 태학박사(太學博士) 등을 역임하고, 말년에 관직을 사양하고 학문에 매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옥계선생문집(玉溪先生文集) - 옥계집(玉溪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노진(盧禛)의 시문집. 목판본. 초간본은 문인 정염(丁焰)이 저자의 유고(遺稿) 가운데 약간을 초록(抄錄)하여 임진왜란 이전에 목판본으로 간행하였으나 남아 있지 않고, 손자 노척(盧脊)이 1632년(인조 10)에 중간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옥계정(玉溪正) - 이현동(李賢童)
조선 전기의 종친. 익안대군(益安大君)의 증손이며, 백파도정(白波都正) 이상(李常)의 장남. 생육신(生六臣)과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였으나 실패하자 이를 비관하여 농맹아(聾盲啞)로 일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옥곡(玉谷)@김기 - 김기(金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대사간을 지낸 김숭조(金崇祖)의 아들. 홍문관 전한(典翰)을 지낸 뒤 조졸(早卒)함.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만시(挽詩) 두 편이 실려 있음.
1500~153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옥곡(玉谷) - 서흥(瑞興)
황해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교통상의 요지이며, 고려 원종(元宗) 때 임금의 태(胎)를 이곳에 묻음.
황해도>서흥 , 지명>행정지명
-
옥곡부령(玉谷副令) - 이계창(李啓昌)
조선 전기의 종친. 영의정 유순정(柳順汀)의 아들인 황간 현감(黃澗縣監) 유자(柳滋)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옥곤(玉崑) - 이옥곤(李玉崑)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고손(高孫)으로, 덕림군(德林君) 이자(李孜)의 아들이며 진천군(晉川君) 이옥정(李玉貞)의 동생. 1550년(명종 5)에 역모를 꾀한다는 고변으로 형과 함께 국문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옥관(玉關) - 옥문관(玉門關)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인 B.C.2세기 말 감숙성(甘肅省) 돈황현(敦煌縣) 만리장성(萬里長城) 서쪽 끝에 설치한 관문. 북도(北道)의 출발점으로, 남도(南道)의 출발점인 양관(陽關)과 함께 서역(西域)으로 통하는 중요한 관문.
중국>전한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옥녀(玉女) - 직녀(織女)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여자 주인공. 견우(牽牛)와 만나느라 베 짜는 일을 게을리 한 벌로 은하수(銀河水)를 사이에 두고 헤어지게 되었는데, 칠월 칠석(七夕)에야 오작교(烏鵲橋)를 통해 한 번 만난다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옥노(玉奴)@양귀비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옥노(玉奴) - 반비(潘妃)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 동혼후(東昏侯)의 비(妃). 용모는 아름다웠으나 사치스럽고 무절제하여 나라를 망하게 함. 전족(纏足)으로 황금의 연꽃 위를 걸었다는 일화가 전해지며, 이로써 전족을 금련(金蓮)이라 부르게 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옥당(玉堂) - 홍문관(弘文館)
조선 세조(世祖) 때 설치한 궁중의 경서(經書)ㆍ사적(史籍)의 관리, 문한(文翰)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사헌부(司憲府)ㆍ사간원(司諫院)과 함께 삼사(三司)라고 불림.
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청
-
옥당(玉堂)@우계 - 우계(羽溪)
강원도 강릉(江陵) 남쪽 60리 지점에 있던 고을 이름. 통일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삼척(三陟)에 속하였다가 고려 현종(顯宗) 때 강릉의 속현이 되었으며, 현재 강릉시 옥계면(玉溪面) 일대에 속함.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옥당부수(玉堂副守) - 이수장(李壽長)@이의손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현손이자, 연강수(連江守) 이의손(李義孫)의 아들이며, 안처겸(安處謙)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옥당선(玉堂仙)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옥동(玉洞)@문익성 - 문익성(文益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에게 《대학(大學)》의 요지를 배우고, 나주 목사(羅州牧使)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26~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옥동산인(玉洞仙人) - 문익성(文益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에게 《대학(大學)》의 요지를 배우고, 나주 목사(羅州牧使)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26~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옥동선생문집(玉洞先生文集) - 옥동집(玉洞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문익성(文益成)의 문집. 2권 1책. 목판본. 1873년(고종 10)에 후손 문경순(文景純)ㆍ문욱순(文郁純) 등이 간행함.
187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옥동선생집(玉洞先生集) - 옥동집(玉洞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문익성(文益成)의 문집. 2권 1책. 목판본. 1873년(고종 10)에 후손 문경순(文景純)ㆍ문욱순(文郁純) 등이 간행함.
187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옥란화(玉蘭花) - 목련(木蓮)
목련과(木蓮科)의 낙엽교목(落葉喬木). 꽃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木筆)이라고도 하고, 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끝이 북녘을 향한다고 해서 북향화라고 함. 꽃이 아름다워 《양화소록(養花小錄)》의 〈화목구등품제(花木九等品第)〉에서는 7등에 속해 있음.
자연물>식물
-
옥량(王良) - 백락(伯樂)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 때의 인물. 방구인(方九堙)의 추천으로 목공(穆公)의 말을 관리하였으며, 천리마(千里馬) 감정의 달인으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옥려(玉礪) - 김옥려(金玉礪)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선무랑(宣務郞) 김보중(金寶重)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옥룡자(玉龍子) - 도선(道詵)
통일신라 문성왕(文聖王)~효공왕(孝恭王) 때의 승려. 15세에 출가하여 23세 때 천도사(穿道寺)에서 구족계를 받고, 전라도 백계산(白鷄山) 옥룡사(玉龍寺)에서 후학들을 가르치다 죽음.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의 대가로 더욱 유명함.
827~898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영암 , 인명>종교인>승려
-
옥루(玉樓) - 백옥루(白玉樓)
상제(上帝)가 지었다는 천상의 누각(樓閣) 이름. 문인(文人)이 죽어서 가는 곳으로, 중국 당(唐) 나라 때의 시인인 이하(李賀)가 백옥루의 기문(記文)을 지었다고 전함.
중국 , 유적>건물>누정
-
옥립(玉立) - 탁지엽(卓之葉)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로, 선종 때 학업(學業)과 경술(經術)로 천거되어 태사(太師) 등을 지내고, 광산군(光山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옥마(玉馬) - 봉화(奉化)
경상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관이 빼어난 고산준령으로 이루어졌으며, 안동문화권에 속하는 문향(文鄕).
경상도>봉화 , 지명>행정지명
-
옥마금씨(玉馬琴氏) - 봉화금씨(奉化琴氏)
고려 초의 삼한공신(三韓功臣)인 태사(太師) 금용식(琴容式)을 시조로 하는 성씨. 기자(箕子)와 함께 우리나라에 온 금응(琴應)을 원조(遠祖)로 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집단>성씨
-
옥모(玉貌) - 노중련(魯仲連)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학자. 언변이 뛰어났으며 명예와 부를 경시하고 명예를 높이 여겨 의를 추구한 선비의 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옥문(玉門) - 옥문관(玉門關)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인 B.C.2세기 말 감숙성(甘肅省) 돈황현(敦煌縣) 만리장성(萬里長城) 서쪽 끝에 설치한 관문. 북도(北道)의 출발점으로, 남도(南道)의 출발점인 양관(陽關)과 함께 서역(西域)으로 통하는 중요한 관문.
중국>전한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옥문곡(玉門谷) - 여근곡(女根谷)
경상도 경주(慶州)에 있는 계곡 이름. 산의 모양에 따라 붙은 이름으로, 신라시대 선덕여왕(善德女王)이 백제(百濟)의 군대를 미리 막아낸 지역으로 유명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옥보(玉甫) - 신여식(申汝拭)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광주 부윤(廣州府尹)을 지낸 신준(申埈)의 아들로, 1648년(인조 26) 식년(式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냄.
16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옥보선인(玉寶仙人) - 옥보고(玉寶高)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의 은자ㆍ악공. 지리산(智異山) 운상원(雲上院)에 들어가 50년간 거문고로 마음을 수양하여 30여 곡을 작곡함.
한국>신라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예술인>음악인
-
옥봉(玉峯)@권위 - 권위(權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정탁(鄭琢)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했고, 해미(海美)ㆍ강진(康津)의 현감(縣監)과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옥봉(玉峯) - 박우(朴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가들의 미움을 받았으나 소신을 굽히지 않았으며, 지방관을 지낼 때 선정(善政)을 베풀어 포상을 받음.
1476~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옥봉(玉峯)@백광훈 - 백광훈(白光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해미(海美). 박순(朴淳)ㆍ양응정(梁應鼎)ㆍ노수신(盧守愼)에게서 수학함. 당시(唐詩)의 시풍(詩風)을 주장하여 최경창(崔慶昌)ㆍ이달(李達)과 함께 삼당시인(三唐詩人)이라 불리고, 이산해(李山海)ㆍ최립(崔笠) 등과 더불어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7~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
-
옥봉시집(玉峯詩集) - 옥봉집(玉峯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인 백광훈(白光勳)의 시문집. 3권. 목판본. 임진왜란으로 산일된 유고를 아들 백진남(白振南)이 수집 편차하여 전라 감사(全羅監司) 윤안성(尹安性)의 도움을 받아 1608년(광해군 즉위)에 간행함.
16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옥봉유고(玉峯遺稿) - 옥봉집(玉峯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인 백광훈(白光勳)의 시문집. 3권. 목판본. 임진왜란으로 산일된 유고를 아들 백진남(白振南)이 수집 편차하여 전라 감사(全羅監司) 윤안성(尹安性)의 도움을 받아 1608년(광해군 즉위)에 간행함.
16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옥부(玉父) - 홍염(洪炎)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 홍붕(洪朋)ㆍ홍추(洪芻)와 아우 홍우(洪羽) 등과 함께 시문에 능하여 ‘사홍(四洪)’으로 불림. 저작랑(著作郞)ㆍ비서 소감(秘書少監) 등을 지내고, 저서로 《서도집(西渡集)》 등이 있음.
1067~113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옥비(玉妃)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옥사(玉師) - 순암(珣巖)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옥산(玉山)@인동 - 인동(仁同)
경상도 남서부에 있던 고을 이름. 성주(星州)ㆍ개령(開寧)과 접해 있음. 적개공신(敵愾功臣) 장말손(張末孫) 등을 배출하였으며, 길재(吉再)를 배향한 오산서원(吳山書院)과 장현광(張顯光)을 배향한 동락서원(東洛書院)이 있음. 현재는 경상북도 구미시(龜尾市)에 속함.
경상도>인동 , 지명>행정지명
-
옥산(玉山)@이옥산 - 이옥산(李玉山)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손자이며, 복성정(福城正) 이영(李穎)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안양부수(安陽副守)로 봉해졌으나, 뒤에 왕자인 안양군(安陽君)의 호를 피하여 고영(高瀛)으로 고침.
1455~151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옥산(玉山)@이우 - 이우(李瑀)@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이(李珥)의 아우. 시(詩)ㆍ서(書)ㆍ화(畫)ㆍ금(琴)을 잘하여 ‘사절(四絶)’이라 불림.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의 화풍을 따르고, 특히 화훼(花卉)와 초충(草蟲)을 잘 그림.
1542~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옥산(玉山)@경산 - 경산(慶山)
경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변진(弁辰)의 압량소국(押梁小國)을 102년(신라 파사왕 23)에 압량(押梁)이라 하였다가, 940년(태조 23)에 장산군(獐山郡)으로 고치고 충선왕(忠宣王) 때 경산(慶山)으로 개칭함.
경상도>경산 , 지명>행정지명
-
옥산(玉山) - 왕응신(汪應辰)
중국 송(宋)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거쳐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역임함. 주자(朱子)가 선인(善人)의 종주라고 칭함.
1118~117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옥산군(玉山君)@장계 - 장계(張桂)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인동장씨(仁同張氏)의 시조. 1305년(충렬왕 31)에 진사(進士)가 되고,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문신
-
옥산군(玉山君) - 이제(李躋)@이농의아들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맏아들로, 세종부터 성종까지 내리 여섯 조정을 섬겼으며, 옥산군(玉山君)에 봉해짐.
1429~14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옥산장씨(玉山張氏) - 인동장씨(仁同張氏)
고려 태사(太師)를 지낸 장정필(張貞弼)을 도시조로 하며,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오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계통과 충렬왕 때 옥산군(玉山君)에 봉해진 장계(張桂)를 시조로 하는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인동 , 인명>집단>성씨
-
옥새(玉塞) - 옥문관(玉門關)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인 B.C.2세기 말 감숙성(甘肅省) 돈황현(敦煌縣) 만리장성(萬里長城) 서쪽 끝에 설치한 관문. 북도(北道)의 출발점으로, 남도(南道)의 출발점인 양관(陽關)과 함께 서역(西域)으로 통하는 중요한 관문.
중국>전한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옥서(玉署) - 홍문관(弘文館)
조선 세조(世祖) 때 설치한 궁중의 경서(經書)ㆍ사적(史籍)의 관리, 문한(文翰)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사헌부(司憲府)ㆍ사간원(司諫院)과 함께 삼사(三司)라고 불림.
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청
-
옥섬(玉蟾) - 백옥섬(白玉蟾)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도사. 무이산(武夷山)에서 도(道)를 배워 태일궁(太一宮)에 거주하고 도교(道敎) 남종(南宗) 오조(五祖)의 하나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옥성(玉成) - 김대기(金大器)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정철(鄭澈)의 문인으로 정홍명(鄭弘明) 형제 및 조홍립(曺弘立) 등과 교유함.
1557~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
-
옥성(玉成)@변옥성 - 변옥성(卞玉成)
조선 중중(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부사용(副司勇) 변치원(卞致元)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유학
-
옥성군(玉城君) - 고경(高慶)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음. 간의동지(諫議同知)를 지낸 고용현(高用賢)의 아버지.
1276~134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옥성부원군(玉城府院君) - 장만(張晩)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591년(선조 2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팔도 도원수(八道都元帥)ㆍ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냄. 1624년(인조 2)에 이괄(李适)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됨. 저서로 《낙서집(洛西集)》이 있음.
1566~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옥수(玉壽) - 정유길(鄭惟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영의정(領議政) 정광필(鄭光弼)의 손자. 우의정(右議政)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고, 시문(詩文)과 서예 등에 뛰어나 임당체(林塘體)라는 평을 받음.
1515~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옥수(玉樹) -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마지막 임금인 후주(後主)가 지은 노래. 궁중연회에서 지은 장귀비(張貴妃)와 공귀빈(孔貴嬪)의 자색을 찬미한 노래로, 가사가 방탕하고 곡이 지나치게 구슬퍼서 망국지음(亡國之音)으로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옥수가(玉樹歌) -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마지막 임금인 후주(後主)가 지은 노래. 궁중연회에서 지은 장귀비(張貴妃)와 공귀빈(孔貴嬪)의 자색을 찬미한 노래로, 가사가 방탕하고 곡이 지나치게 구슬퍼서 망국지음(亡國之音)으로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옥숭(玉崇) - 황옥숭(黃玉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유학 황보곤(黃輔坤)의 아버지로, 한성 판관(漢城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옥아(玉兒) - 반비(潘妃)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 동혼후(東昏侯)의 비(妃). 용모는 아름다웠으나 사치스럽고 무절제하여 나라를 망하게 함. 전족(纏足)으로 황금의 연꽃 위를 걸었다는 일화가 전해지며, 이로써 전족을 금련(金蓮)이라 부르게 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옥암(玉巖) - 서사호(徐師昊)
중국 명(明) 나라의 도사.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황제의 명으로 고려 산천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옥약(沃若) - 황계옥(黃季沃)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덕산(德山).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낸 황필(黃㻶)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을 지냄. 조광조(趙光祖)를 모함하는 상소를 올림.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덕산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옥여(沃汝)@조언 - 조언(趙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조응경(趙應卿)의 아들이자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전사한 조종도(趙宗道)의 아버지. 송인수(宋麟壽)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음보로 준원전 참봉(濬源殿參奉)을 지냄.
1517~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옥여(沃汝) - 김석옥(金錫沃)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부령(扶寧)으로,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김직손(金直孫)의 아들. 곧은 행실로 인망이 높아 김안국(金安國)이 그를 군자(君子)라 하여 조정에 천거함.
1477~153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학자
-
옥여(沃汝)@조서 - 조서(曺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의릉 참봉(義陵參奉)을 지낸 조은손(曺銀孫)의 아들로, 문신인 송사침(宋士琛)ㆍ노수신(盧守愼)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