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온문(溫文) - 덕종(德宗)@조선
조선 세조(世祖)의 아들. 1455년(세종 27) 도원군(桃源君)에 봉해지고 1455년(세조 1)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 1471년(성종 2) 덕종으로 추존(追尊)됨.
1438~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온보(溫甫) - 김선(金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원주 목사(原州牧使)를 지낸 김태경(金泰卿)의 아들. 대사성(大司成)ㆍ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온사마(溫司馬) - 사마광(司馬光)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구법당(舊法黨)의 영수로, 왕안석(王安石) 일파의 신법(新法)을 폐지하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함.
1019~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온산백(溫山伯) - 표인려(表仁呂)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신창표씨(新昌表氏)의 중시조. 합문지후(閤門祗候)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충숙왕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온산백(溫山伯)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온성(溫城) - 온성(穩城)
함경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우리나라 최북단의 고을로, 서ㆍ북ㆍ동쪽에 두만강(豆滿江)을 국경으로 하여 중국 길림성(吉林省)과 마주하고 있음.
함경도>온성 , 지명>행정지명
-
온성정씨(溫城鄭氏) - 온양정씨(溫陽鄭氏)
고려시대의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 호부 상서(戶部尙書) 정보천(鄭普天)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충청도>온양 , 인명>집단>성씨
-
온수(溫水) - 온양(溫陽)
충청남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 대표적인 온천지로, 조선 세조(世祖)가 자주 온천욕을 즐겼는데, 어느 날 신천(神泉)에서 찬물이 솟아오르자 길조라 여겨 ‘신정(神井)’이란 이름을 하사하고 그 자리에 비를 세웠다고 함. 지금은 충청남도 아산시(牙山市)에 속함.
충청도>온양 , 지명>행정지명
-
온숙(溫叔) - 정우(鄭㝢)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관직은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이르렀으며, 정몽주(鄭夢周)와 교유하였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온양부원군(溫陽府院君) - 정순붕(鄭順朋)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을사사화 때 소윤(小尹)으로서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적극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까지 올랐으나, 선조(宣祖) 때 관작이 모두 추탈(追奪)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온왕(溫王) - 온조왕(溫祚王)
백제 제1대 국왕. 재위 B.C.18~A.D.28. 고구려(高句麗) 시조 동명성왕(東明聖王)의 셋째 아들로, 백제를 건국하고 재위 9년에 마한(馬韓)을 멸망시킴.
?~28 한국>백제 , 충청도>천안 , 인명>왕실>국왕
-
온왕국(溫王國) - 백제(百濟)
고대의 삼국 가운데 온조왕(溫祚王)이 기원전 18년에 한반도 남서부에 세운 국가. 온조왕부터 의자왕(義慈王)까지 31대 678년간 존속.
B.C.18~A.D.660 한국>백제 , 시간>국명
-
온자(溫子) - 온정균(溫庭筠)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과거장에서 여덟 번 팔짱을 끼니 팔운시(八韻詩)가 완성되었기에 온팔차(溫八叉)라 불림. 염시(艶詩)를 많이 지었으며, 사(詞)와 악부(樂府)에도 뛰어남. 당시 이상은(李商隱)과 함께 온이(溫李)로 병칭됨.
812~8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온재(韞齋) - 김진옥(金鎭玉)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승지(承旨)를 지낸 김만균(金萬均)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음보(蔭補)로 기용된 뒤 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대보단(大報壇)을 건의(建議)하여 설치됨.
1659~17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온정(溫井) - 온양(溫陽)
충청남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 대표적인 온천지로, 조선 세조(世祖)가 자주 온천욕을 즐겼는데, 어느 날 신천(神泉)에서 찬물이 솟아오르자 길조라 여겨 ‘신정(神井)’이란 이름을 하사하고 그 자리에 비를 세웠다고 함. 지금은 충청남도 아산시(牙山市)에 속함.
충청도>온양 , 지명>행정지명
-
온정(溫靖) - 유인기(柳仁奇)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지도첨의사사(知都僉議司事)를 지낸 유승(柳陞)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온조(溫祚) - 온조왕(溫祚王)
백제 제1대 국왕. 재위 B.C.18~A.D.28. 고구려(高句麗) 시조 동명성왕(東明聖王)의 셋째 아들로, 백제를 건국하고 재위 9년에 마한(馬韓)을 멸망시킴.
?~28 한국>백제 , 충청도>천안 , 인명>왕실>국왕
-
온주(溫州)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온중(溫仲) - 조련(趙璉)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조인규(趙仁規)의 아들이며, 조선의 개국공신인 조준(趙浚)의 할아버지. 충숙왕 때 찬성사(贊成事)를 지냄.
?~1322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온지(溫之)@김관 - 김관(金琯)
고려 우왕(禑王)~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조부로, 벼슬하지 않고 집안에서 평생 부모를 섬겼으며, 후에 공조 참판(工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온지(溫之) - 윤번(尹璠)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윤승례(尹承禮)의 아들이며, 세조(世祖) 비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아버지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384~14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온진(蘊珍) - 홍한(洪瀚)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홍귀해(洪貴海)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라 하여 장형(杖刑)을 당한 뒤 유배 도중에 죽음.
1451~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온진정(蘊眞亭) - 신공제(申公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씀.
1469~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온진정주인(薀眞亭主人) - 신경윤(申景潤)
조선 전기의 유학. 윤근수(尹根壽)가 차운한 〈차태헌운봉증온진정주인(次苔軒韻奉贈薀眞亭主人)〉이라는 시(詩)가 《월정집(月汀集)》에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온창(溫昌) - 온양(溫陽)
충청남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 대표적인 온천지로, 조선 세조(世祖)가 자주 온천욕을 즐겼는데, 어느 날 신천(神泉)에서 찬물이 솟아오르자 길조라 여겨 ‘신정(神井)’이란 이름을 하사하고 그 자리에 비를 세웠다고 함. 지금은 충청남도 아산시(牙山市)에 속함.
충청도>온양 , 지명>행정지명
-
온창백(溫昌伯) - 표인려(表仁呂)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신창표씨(新昌表氏)의 중시조. 합문지후(閤門祗候)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충숙왕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온산백(溫山伯)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온처사(溫處士) - 온조(溫造)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온길(溫佶)의 아들로, 흥원군(興元軍)을 평정한 공로로 산남서도 절도사(山南西道節度使)가 되었으며,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766~83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온천부원군(溫泉府院君) - 방언휘(方彦暉)
고려 후기의 문신. 충목왕(忠穆王)의 장인이며 방순(方恂)의 아버지로, 직제학(直提學)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온침(溫寢) - 단경왕후(端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비(妃). 본관은 거창(居昌).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 신수근(愼守勤)의 딸로, 중종반정(中宗反正) 직후 폐위(廢位)되었다가 영조(英祖) 때 복위(復位)됨.
1487~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온팔차(溫八叉) - 온정균(溫庭筠)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과거장에서 여덟 번 팔짱을 끼니 팔운시(八韻詩)가 완성되었기에 온팔차(溫八叉)라 불림. 염시(艶詩)를 많이 지었으며, 사(詞)와 악부(樂府)에도 뛰어남. 당시 이상은(李商隱)과 함께 온이(溫李)로 병칭됨.
812~8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올출(兀朮) - 완안종필(完顔宗弼)
중국 금(金) 나라 태조(太祖)의 넷째 아들. 태사도원수(太師都元帥) 등을 지냈으며, 군사를 이끌고 장강(長江)을 건너 악비(岳飛)ㆍ한세충(韓世忠) 등 송(宋) 나라의 명장들과 사투를 벌였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공을 세음.
?~1148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옹(滃) - 이옹(李滃)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며, 회원군(會原君) 이쟁(李崢)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옹(邕) - 허옹(許邕)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성품이 강직하여 과거에 부정 합격한 감찰대부(監察大夫) 최안도(崔安道)의 아들 최경(崔璟)을 탄핵하고, 그의 첩장(牒狀)에 서명하기를 거부함.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이색(李穡)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옹(雍)@정옹 - 정옹(鄭雍)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지평(持平) 정종주(鄭宗周)의 아버지. 1417년(태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집현전 응교(集賢殿應敎)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옹(雍) - 이옹(李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승사랑(承仕郞) 이극인(李克仁)의 아들로,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옹(顒)@박옹 - 박옹(朴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장단 부사(長湍府使)를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옹(顒) - 김옹(金顒)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전력(展力) 김삼산(金三山)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옹문(雍門) - 옹문주(雍門周)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악공. 거문고의 명인(名人)으로, 언설(言說)에도 능하여 맹상군(孟嘗君)이 그의 말을 듣고 눈물을 흘리고 거문고 연주를 듣고서 구슬픈 마음을 가누지 못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
-
옹문자(雍門子) - 옹문주(雍門周)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악공. 거문고의 명인(名人)으로, 언설(言說)에도 능하여 맹상군(孟嘗君)이 그의 말을 듣고 눈물을 흘리고 거문고 연주를 듣고서 구슬픈 마음을 가누지 못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
-
옹문자주(雍門子周) - 옹문주(雍門周)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악공. 거문고의 명인(名人)으로, 언설(言說)에도 능하여 맹상군(孟嘗君)이 그의 말을 듣고 눈물을 흘리고 거문고 연주를 듣고서 구슬픈 마음을 가누지 못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
-
옹배(甕醅)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옹백(雍伯) - 양옹백(楊雍伯)
중국 전한(前漢)의 효자. 낙양(洛陽) 출신으로, 물이 귀한 무종산(無終山)에서 음료를 제공하는 선행을 쌓은 끝에 선인(仙人)에게 돌멩이를 받아 남전(藍田)에 뿌렸더니 모두 옥(玉)으로 자라났으며, 그 옥을 캐어 아름다운 아내를 얻었다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옹성(瓮城) - 동복(同福)
전라도 화순(和順) 지역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옹성(甕城) - 동복(同福)
전라도 화순(和順) 지역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옹손(翁孫) - 조충국(趙充國)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장군. 무제를 도와 흉노의 정벌에 많은 공을 세워 기린각(麒麟閣)에 초상이 걸림.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옹숙(翁叔) - 김일제(金日磾)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소제(昭帝) 때의 문신. 흉노(匈奴) 출신으로, 무제의 유명(遺命)을 받고 상홍양(桑弘羊)과 함께 어린 황제 소제를 보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옹자(翁子) - 주매신(朱買臣)
중국 전한(前漢) 무제(漢武帝) 때의 문신. 엄조(嚴助)의 추천으로 무제에게 《춘추(春秋)》를 강설하게 되어 관직에 오름. 회계 태수(會稽太守)가 되어 고향에 돌아가 헤어진 아내와 그의 남편을 도와주었는데 옛 아내가 부끄러워 자살했다고 함.
?~B.C.10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옹재(雍齋) - 안숭선(安崇善)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안경공(安景恭)의 손자. 1420년(세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ㆍ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냄.
1392~1452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옹정(瓮井) - 김태복(金泰福)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부안(扶安). 창락도 찰방(昌樂道察訪) 김광(金光)의 아들로, 1585년(선조 1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영광성(靈光城)을 지킴.
155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유학
-
옹집(雍緝) - 박옹집(朴雍緝)
조선 전기의 유학.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만시(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곤양 , 인명>문사>유학
-
옹천(甕泉) - 김석홍(金錫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화를 입은 기묘당인(己卯黨人) 중의 한 명.
1493~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옹천(甕遷) - 옹진(甕津)
황해도 남서부 옹진반도(甕津半島)에 있는 고을 이름. 황해(黃海)의 해안선을 서남쪽에 끼고 있어 예로부터 많은 전란을 겪어 오랫동안 수군진영(水軍鎭營) 등 국방의 요충지가 많았음.
황해도>옹진 , 지명>행정지명
-
옹희(雍熙)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와(媧) - 여와(女媧)
중국 고대 전설상의 여신(女神). 인수사신(人首蛇身)의 형상을 지녔으며, 오색(五色)의 돌을 다듬어 하늘을 깁고 자라의 발을 잘라 사방을 받쳤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와도헌(臥陶軒) - 이인로(李仁老)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원(慶源).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 등과 교유하고,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등을 지냄. 시문(詩文)뿐만 아니라 초서(草書)ㆍ예서(隸書)에도 능함.
1152~122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와룡(臥龍)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와운자(臥雲子) - 김택룡(金澤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조목(趙穆)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이황(李滉)의 문하생들과 교유함.
1547~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와유당(臥遊堂) - 박진경(朴晉慶)
조선 선조(宣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정구(鄭逑)와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영숭전 참봉(永崇殿參奉)을 지내고, 병자호란 때 최현(崔晛)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킴. 남강서원(南岡書院)에 배향됨.
1581~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와주(瓦注)@관동와주 - 관동와주(關東瓦注)@안축
고려 후기의 문신인 안축(安軸)이 충혜왕(忠惠王) 때 강릉도 존무사(江陵道存撫使)로 나아가 지은 시문집(詩文集). 1364년(공민왕 13)에 사위 정양생(鄭良生)이 청주(淸州)에서 간행했으며, 충군애민(忠君愛民)의 내용을 담고 있음.
136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문헌>서명
-
와주(瓦注) - 안경공(安景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냄. 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誾)의 죄를 감해줄 것을 요청했다가 탄핵을 받음.
1347~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와주집(瓦注集) - 관동와주(關東瓦注)@안축
고려 후기의 문신인 안축(安軸)이 충혜왕(忠惠王) 때 강릉도 존무사(江陵道存撫使)로 나아가 지은 시문집(詩文集). 1364년(공민왕 13)에 사위 정양생(鄭良生)이 청주(淸州)에서 간행했으며, 충군애민(忠君愛民)의 내용을 담고 있음.
136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문헌>서명
-
와활태(窩濶台) - 태종(太宗)@원
몽고 제국의 제2대 칸이며,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 재위 1229~1241. 태조(太祖)로 추존된 칭기즈칸의 셋째 아들로, 몽고 제국의 영토를 서유럽까지 확장시켰으며 몽고 제국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함.
1185~1241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와황(媧皇) - 여와(女媧)
중국 고대 전설상의 여신(女神). 인수사신(人首蛇身)의 형상을 지녔으며, 오색(五色)의 돌을 다듬어 하늘을 깁고 자라의 발을 잘라 사방을 받쳤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완(完) - 복완(伏完)
중국 후한(後漢) 때의 외척. 헌제(獻帝)의 비(妃) 복황후(伏皇后)의 아버지로, 조조(曹操)를 죽이려고 모의를 꾀하다 발각되어 죽음. 시중(侍中)을 지냄.
?~20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완(完)@이완 - 이완(李完)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하(李河)의 아들이며, 숙부인 이황(李滉)의 문인. 영천 교관(永川敎官)으로 재직시 임진란에 창의(倡義)하고, 조목(趙穆)과 함께 이산서당(伊山書堂)에서 〈성학십도(聖學十圖)〉를 강론함.
1512~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완(岏) - 봉성군(鳳城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여섯 번째 서자. 희빈홍씨(熙嬪洪氏)의 소생. 인종(仁宗) 때 경기 관찰사 김명윤(金明胤)의 무고로, 계림군(桂林君) 이유(李瑠)와 함께 반역을 꾀한다 하여 유배되었다가 명종(明宗) 때 사사됨.
?~15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완(浣) - 정완(鄭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예조(禮曹)ㆍ이조(吏曹)의 정랑(正郞)을 지내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현풍(玄風)에 부처됨.
1473~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완(玩) - 성완(成玩)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성희문(成希文)의 아버지로,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완(琓) - 신완(申琓)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으로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세자였던 경종(景宗)을 시해하려 했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음.
1646~17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완(琬) - 이완(李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월성군(月城君) 이철견(李鐵堅)의 손자이며, 이성정(李成楨)의 첫째 아들로, 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완^도(阮^陶) - 도^완(陶^阮)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시인 도잠(陶潛)과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 완적(阮籍)을 함께 부르는 말. 시속(時俗)을 벗어나 은둔한 사람을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완^유(阮^劉) - 유^완(劉^阮)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 때의 서생(書生)인 유신(劉晨)과 완조(阮肇)를 함께 부르는 말. 두 사람이 약을 캐러 천태산(天台山)에 들어갔다가 선경(仙境)에서 살다 온 고사로 인해 선경에서 노닌 사람을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완가(阮家) - 완적(阮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며, 노장(老莊)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냄.
21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완계(浣溪) - 김희년(金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자용(金自鎔)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門人).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복권되어 통례(通禮)를 지냄.
1534~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완계자(浣溪子) - 김희년(金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자용(金自鎔)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門人).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복권되어 통례(通禮)를 지냄.
1534~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완구(玩龜) - 안증(安嶒)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성리학의 이론을 깊이 터득하고 후일에는 실학사상에 심취함. 세자시강원 사서(世子侍講院司書)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이후 낙향하여 평생 학문에 전념함.
1494~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완구자(完丘子) - 양사언(楊士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주(淸州). 회양(淮陽)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 시(詩)ㆍ서(書)에 능하여, 안평대군(安平大君)ㆍ김구(金絿)ㆍ한호(韓濩)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림.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완구자(宛丘子) - 장뢰(張耒)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시문(詩文)에 능하고, 저서로 《양한결의(兩漢決疑》ㆍ《시설(詩說)》등이 있음.
1052~111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완구후(宛丘侯) - 전손사(顓孫師)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송(宋) 나라 이후 공문십철(孔門十哲)로 성묘(聖廟)에 종향(從享)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완금(完金) - 금(金)
여진족(女眞族)인 완안부(完顔部)의 추장 아골타(阿骨打)가 세운 중국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9대 120년간 존속.
1115~1234 중국>금 , 중국 , 시간>국명
-
완남(完南) - 이후원(李厚源)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책록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사론(斥邪論)을 주장하였으며 효종(孝宗)의 북벌정책(北伐政策)을 보필함.
1598~166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남군(完南府院君) - 이후원(李厚源)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책록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사론(斥邪論)을 주장하였으며 효종(孝宗)의 북벌정책(北伐政策)을 보필함.
1598~166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남부원군(完南府院君) - 이후원(李厚源)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책록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사론(斥邪論)을 주장하였으며 효종(孝宗)의 북벌정책(北伐政策)을 보필함.
1598~166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녕군(完寧君) - 이사명(李師命)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대사헌(大司憲) 이민적(李敏迪)의 큰아들.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에 가담한 공으로 보사공신(保社功臣)에 책록되었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사사됨.
1647~168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완당(阮堂) - 김정희(金正喜)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서화가(書畫家).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참판(兵曹參判)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추사체(秋史體)를 대성한 명필로 예서(隸書)ㆍ행서(行書)에 능하며, 그림과 금석학(金石學) 등에도 조예가 깊음.
1786~18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예산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완릉(宛陵) - 매요신(梅堯臣)
중국 송(宋) 나라의 대표적 시인ㆍ문신. 당시(唐詩)의 섬세하고 교묘한 폐풍을 버리고 고문운동(古文運動)과 관련된 시 형식을 개척하여 새로운 송시(宋詩)의 개조(開祖)가 됨.
1002~106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완릉후(宛陵候) - 제갈근(諸葛瑾)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 제갈각(諸葛恪)의 아버지이자 제갈량(諸葛亮)의 형. 손권(孫權)에게 신임을 얻고, 촉(蜀) 나라에 사신으로도 많이 활동했으며 예주목(豫州牧) 등을 지냄.
174~24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완림군(完林君) - 이재원(李載元)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정응(李晸應)의 아들로, 이창응(李昌應)에게 출계함. 교련국(敎鍊局)에 배치되어 근대식 군부의 기초를 마련하고, 갑신정변(甲申政變) 때 영의정(領議政)에 추대되었으며, 사후(死後)에 완림군(完林君)에 봉해짐.
1831~1891 한국>근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완백(完伯) - 민진후(閔鎭厚)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아들이며, 숙종 비(妃)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오빠이자 좌의정을 지낸 민진원(閔鎭遠)의 형.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ㆍ예조 판서(禮曹判書)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냄.
1659~172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완벽(完璧) - 화씨벽(和氏璧)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변화(卞和)가 형산(荊山)에서 발견한 옥돌을 가공하여 얻은 보옥(寶玉)으로, 인재(人才)를 가리키는 말. 문왕(文王)만이 그 진가를 인정했으며, 진(秦) 나라 소양왕(昭襄王)이 15개의 성(城)과 맞바꾸려다가 인상여(藺相如)로 인해 실패했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완산(完山) - 이긍익(李肯翊)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광사(李匡師)의 아들. 가학(家學)을 따라 양명학(陽明學)을 익혔으며, 저서로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이 있음.
1736~180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완산군(完山君)@최재 - 최재(崔宰)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선부 전서(選部典書)를 지낸 최득평(崔得枰)의 아들로 성품이 강직함. 전리 판서(典理判書)ㆍ개성 윤(開城尹)을 지낸 뒤, 벼슬을 사퇴하고 낙향함.
1303~137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완산군(完山君)@이천우 - 이천우(李天祐)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서형(庶兄)인 이원계(李元桂)의 아들로, 이성계의 휘하에서 왜구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우고, 조선 개국 후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완산군(完山君)@이원계 - 이원계(李元桂)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무신. 조선 태조(太祖)의 이복형(異腹兄). 홍건적(紅巾賊)을 격퇴하여 공신에 책록되고, 황산(荒山) 싸움에서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왜구를 격퇴하였으며,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에 참여하여 회군공신(回軍功臣)에 책록됨.
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완산군(完山君) - 배정(裵挺)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찬성사(贊成事)를 지내고 수첨의정승(守僉議政丞)으로 치사(致仕)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완산군(完山君)@이축 - 이축(李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안악 군수(安岳郡守) 시절 한준(韓準)ㆍ박충간(朴忠侃)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이 되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38~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산군(完山君)@최아 - 최아(崔阿)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완산백(完山伯) - 유습(柳濕)
고려 후기~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고려 말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을 지낸 유탁(柳濯)의 아들로, 전주유씨(全州柳氏)의 시조. 조선 건국 후 이조 전서(吏曹典書)ㆍ중군 도총제(中軍都摠制) 등을 지냄.
1367~143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산부령(完山副令) - 이복윤(李福胤)
조선 전기의 종친.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자 이엄(李儼)의 아들로, 완산부령(完山副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환조 - 환조(桓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 도조(度祖) 이춘(李椿)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공을 세워 삭방도 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됨. 태조가 등극하자 환왕(桓王)으로, 태종(太宗) 때 다시 환조(桓祖)로 추존됨.
1315~1360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태조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