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최군옥 - 최군옥(崔群玉)
고려시대의 문신.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충공파(文忠公派)의 시조. 삼중대광(三重大匡)으로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이욱 - 이욱(李郁)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사공신(靖社功臣) 이후원(李厚源)의 아버지로 봉산 군수(鳳山郡守) 등을 지냄.
1558~161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 - 이천우(李天祐)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서형(庶兄)인 이원계(李元桂)의 아들로, 이성계의 휘하에서 왜구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우고, 조선 개국 후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이축 - 이축(李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안악 군수(安岳郡守) 시절 한준(韓準)ㆍ박충간(朴忠侃)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이 되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38~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산유씨(完山柳氏) - 전주유씨(全州柳氏)
문화유씨(文化柳氏)에서 분적(分籍)된 계통으로, 유차달(柳車達)을 시조로 삼고 고려 말에 완산백(完山伯)에 추봉된 유습(柳濕)을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완산이씨(完山李氏) - 전주이씨(全州李氏)
신라 때 사공(司空)을 지낸 이한(李翰)을 시조로 하는 성씨. 조선시대의 국성(國姓).
한국>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완산최씨(完山崔氏) - 전주최씨(全州崔氏)
고려시대의 인물인 최순작(崔純爵)ㆍ최군옥(崔群玉)ㆍ최균(崔均)ㆍ최아(崔阿)를 각각의 시조로 삼아, 동본이면서도 계보를 달리하는 네 계통을 아울러 일컫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완생(阮牲) - 완적(阮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며, 노장(老莊)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냄.
21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완선(阮宣) - 완적(阮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며, 노장(老莊)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냄.
21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완선군(完善君) - 이의전(李義傳)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원익(李元翼)의 장남으로,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인조를 호종하고 완선군(完善君)에 봉해졌으며, 봉조하(奉朝賀)에 들음.
1568~164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완성군(完城君)@영성대군 - 영성대군(永城大君)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형. 환조(桓祖) 이자춘(李子春)과 의혜왕후(懿惠王后) 사이의 장남.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길재(吉再)ㆍ정몽주(鄭夢周) 등과 교유하며 경리(經理)를 강론(講論)함.
1333~1392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영흥 , 인명>왕실>종친
-
완성군(完城君) - 설장수(偰長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한 후 공양왕(恭讓王) 옹립에 공을 세움. 정몽주(鄭夢周)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조선 개국 후 복직되어 여러 차례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옴.
1341~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성군(完城君)@이백유 - 이백유(李伯由)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정도전(鄭道傳)의 일파로 지목되어 관작과 공신의 칭호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성군(莞城君) - 이귀정(李貴丁)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으로,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최명길 - 최명길(崔鳴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병자호란 때 주화론(主和論)을 주장하며 전란 후 피폐한 정국 안정에 힘씀.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6~164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 이백유(李伯由)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정도전(鄭道傳)의 일파로 지목되어 관작과 공신의 칭호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소(翫所)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완안(完顔) - 금(金)
여진족(女眞族)인 완안부(完顔部)의 추장 아골타(阿骨打)가 세운 중국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9대 120년간 존속.
1115~1234 중국>금 , 중국 , 시간>국명
-
완안국(完顔國) - 금(金)
여진족(女眞族)인 완안부(完顔部)의 추장 아골타(阿骨打)가 세운 중국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9대 120년간 존속.
1115~1234 중국>금 , 중국 , 시간>국명
-
완안량(完顔亮) - 해릉왕(海陵王)
중국 금(金) 나라 제4대 왕. 재위 1149~1161. 태조(太祖)의 장남인 완안종간(完顔宗幹)의 아들로, 사촌인 희종(熙宗)을 시해하고 제위(帝位)에 올랐으며, 중국 통일을 위해 남송(南宋)을 공격하였다가 실패하고 부하에게 시해됨.
1122~1161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연(鍊) - 김련(金鍊)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화평(化平). 찬성사(贊成事) 김지숙(金之淑)의 아들로,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냄. 행동이 법도에 어긋나지 않아 장자(長者)로 칭송받음.
?~127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연(鍊)@심연 - 심연(沈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우참찬(右參贊) 심광언(沈光彦)의 아들. 양천 현감(陽川縣監)ㆍ여산 군수(礪山郡守) 등을 지내며 선정(善政)을 베풀어 여러 차례 포상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연(𤦷) - 왕연(王𤦷)
고려 후기의 종친. 경화옹주(敬和翁主)의 아버지이며, 당성부원군(唐城府院君) 홍빈(洪彬)의 장인.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연각(烟閣) - 능연각(凌煙閣)
중국 장안(長安)에 있던 전각 이름. 당(唐) 태종(太宗) 때 두여회(杜如晦)ㆍ위징(魏徵)ㆍ방현령(房玄齡) 등 공신(功臣) 24명의 초상을 걸어두었던 곳으로, 기린각(麒麟閣)과 함께 공신각(功臣閣)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연감(淵鑒) - 월남장로(月南長老)
고려 후기의 승려. 묘경상인(妙瓊上人)의 백부(伯父)이자 스승.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연강(蓮江) - 효령대군(孝寧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의 소생으로,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였고, 세종ㆍ문종ㆍ단종ㆍ세조ㆍ예종ㆍ성종으로부터 극진한 존경과 대우를 받았으며, 많은 불사(佛事)를 주관하여 불교의 보호와 진흥에 공헌함.
1396~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연강수(連江守) - 이의손(李義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정종(正宗)의 증손으로, 연강수(連江守)에 봉해짐. 안처겸(安處謙)의 무고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연경(延慶)@정연경 - 정연경(鄭延慶)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정희량(鄭希良)의 아버지. 전라도 도사(全羅道都事)ㆍ철원 부사(鐵原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연경(延慶) - 이연경(李延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홍문관 교리(弘門館校理)로 재직할 때 조광조(趙光祖)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연경(燕京)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연경(蓮經)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불교 대승경전(大乘經典)의 한 가지. 천태종(天台宗)의 근본 경전으로, 모든 경전 중에서 가장 존귀하게 여겨짐. 기원 전후에 서북 인도에서 만들어졌으며, 회삼귀일사상(會三歸一思想)을 주요 내용으로 28개의 품(品)으로 구성됨. 구마라습(鳩摩羅什)의 한역본이 가장 널리 보급됨.
고대 , 기타지역 , 문헌>서명
-
연경(衍卿) - 임득번(林得蕃)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학식이 높은 선비로 이름이 높았고, 역천사(嶧川祠)에 향사(享祀)됨.
?~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
-
연경(鍊卿) - 김수(金粹)
조선 전기의 유학. 진사(進士) 김경운(金慶雲)의 아버지로,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연경곡산군(延慶谷山君) - 남경우(南景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특별한 재능이 없으면서 관품이 높아 평판이 좋지 않았음. 봉조하(奉朝賀)로 치사(致仕)함.
?~14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연경궁주(延慶宮主)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연경당(燕敬堂) - 이구(李構)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세준(李世俊)의 아들로, 관직에 진출하여 선정(善政)을 베풀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파직된 후 낙향하여 후진 양성에 힘씀.
1484~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연경원주(延慶院主)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연경재(硏經齋) - 정약전(丁若銓)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진주 목사(晉州牧使) 정재원(丁載遠)의 아들이며 정약용(丁若鏞)의 형으로, 신유사옥(辛酉邪獄) 때 흑산도(黑山島)로 유배되어 《자산어보(玆山魚譜)》를 지음.
1758~18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연계(漣溪)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연계(蓮溪) - 김섬(金贍)
고려 후기의 문신. 문하주서(門下注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연계(蓮溪)@김첨 - 김첨(金瞻)@1354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내란 음모 혐의로 유배되었다가 복직되었고, 조선 초기에 도교(道敎) 부흥을 위해 노력함.
1354~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연계권옹(漣溪倦翁)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연곡(延谷) - 권성익(權聖翊)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중심으로 그 변화에 대한 의견을 밝힘.
1735~182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학자
-
연곡(淵谷) - 이원화(李元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였으며, 목사(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연광(鍊光) - 김연광(金鍊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로, 심적당(心適堂) 김이상(金履祥)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회양 부사(淮陽府使)로서 왜적의 침범을 당하게 되자, 절개를 지켜 도망하지 않고 적에게 참살당함.
1524~15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연광부수(延光副守) - 이영수(李永壽)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손자이며,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연광정(延光正) - 이영수(李永壽)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손자이며,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연국공(燕國公)@풍도 - 풍도(馮道)
중국 당(唐)~오대십국(五代十國) 때의 문신ㆍ학자. 유교경전(儒敎經典)을 최초로 조판ㆍ인쇄하는 등 대학자로 존경받았으나, 다섯 왕조에서 열한 명의 황제를 모셨다 하여 충절을 의심받기도 함.
882~954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연국공(燕國公) - 장열(張說)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허국공(許國公) 소정(蘇頲)과 더불어 연허대수필(燕許大手筆)이라 칭해졌으며, 국가의 큰 편찬 사업을 대부분 주관함.
667~73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연국군(燕國君) - 태조(太祖)@남북조(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전연(前燕)의 제1대 왕. 재위 337~348. 모용외(毛容廆)의 아들이자 모용각(慕容恪)의 아버지. 337년 연왕(燕王)이라 칭하고 조양(朝陽)에 도읍하였고, 342년 고구려를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함.
297~34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연군(延君) - 대덕(戴德)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학자. 박사(博士)를 지냈으며, 유향(劉向)이 엮은 《예기(禮記)》 214편을 줄여 《대대례(大戴禮)》 85편을 저술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연년(延年)@이연년 - 이연년(李延年)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의 문신. 무제의 총희(寵姬)인 이연(李妍)의 오빠로, 음악을 잘하여 협율도위(協律都尉)가 됨. 《교사가(郊祀歌)》19수(首)를 지음.
?~B.C.9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연년(延年) - 안연지(顔延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지내고, 유교(儒敎)와 불교(佛敎)에 통달하여 삼세인과(三世因果)의 설을 주장함. 문장에 뛰어나 사영운(謝靈運)과 함께 ‘안사(顔謝)’로 불림.
384~4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연년(延年)@석연년 - 석연년(石延年)
중국 송(宋) 진종(眞宗) 때의 문신ㆍ문인. 기상과 절개에 심취하여 세상사에 등한하였으며, 문필이 강건하고 시에 능하여 소순흠(蘇舜欽)ㆍ매요신(梅堯臣) 등과 함께 이름을 떨침.
994~104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연년(延年)@두연년 - 두연년(杜延年)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어 곽광(霍光)과 함께 국정을 조율하여 현사(賢士)로 칭송됨. 공신으로 기린각(麒麟閣)에 화상이 걸림.
?~B.C.5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녕부원군(延寧府院君) - 이주(李澍)@1534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명종 때 성균관(成均館)의 유생(儒生)으로서 보우(普雨)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림. 아들 이광정(李光庭)의 공으로 영의정에 추증됨.
1534~158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연단(燕丹) - 태자단(太子丹)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마지막 태자. 진(秦) 시황(始皇)이 육국(六國)을 병합할 야욕이 있음을 알고 자객(刺客) 형가(荊軻)를 시켜 시황(始皇)을 암살하려다 실패함.
?~B.C.22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연담(蓮潭) - 이세인(李世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이항(李沆)의 아버지. 부제학(副提學)ㆍ황해 감사(黃海監司)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며, 곧은 성품으로 사림의 명망을 얻었음.
1452~1516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연당(蓮塘) - 하우명(河友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을 지낸 하연(河演)의 아들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역임하였으며, 효행으로 정려(旌閭)됨.
14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연덕(延德) - 원혜왕후(元惠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4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세 자매가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문종(文宗)ㆍ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ㆍ효사왕후(孝思王后) 등을 낳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연덕궁주(延德宮主) - 명의태후(明懿太后)
고려 제15대 숙종(肅宗)의 비(妃). 본관은 정주(貞州).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유홍(柳洪)의 딸로, 예종(睿宗)을 비롯하여 7남 4녀를 낳음.
?~111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연덕궁주(延德宮主)@인예태후 - 인예태후(仁睿太后)
고려 제11대 문종(文宗)의 비(妃). 본관은 인주(仁州). 이자연(李子淵)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세 자매 모두 문종의 비가 됨. 순종(順宗)ㆍ선종(宣宗)ㆍ숙종(肅宗) 등 10남 2녀를 둠.
?~109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연덕대군(延德大君) - 왕진(王瑱)
고려 후기의 종친. 조인규(趙仁規)의 첫째 아들인 조서(趙瑞)의 사위. 《가정집(稼亭集)》의 〈조정숙공사당기(趙貞肅公祠堂記)〉에 그와 관련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연도(燕都)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연도사(延道士) - 연세홍(延世弘)
조선 전기의 도사. 중종(中宗) 때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김구(金絿)와 왕래했던 도사로, 《자암집(自菴集)》에 그와 수창(酬唱)한 〈차금봉연도사압사수(次錦峯延道士押四首)〉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도사
-
연동(連仝) - 이연동(李連仝)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신곡수(薪谷守) 이부정(李富丁)의 아들이며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이억상(李億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연동자(鍊東子) - 양거(楊琚)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 때의 문신. 강서(江西) 태화(泰和) 사람으로 병부 주사(兵部主事)를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연량(淵亮) - 하연(河演)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불교의 일곱 종파를 선(禪)ㆍ교(敎) 양종으로 통합하고, 혁파된 사원의 토지와 노비를 국가에 환수하게 하였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문종(文宗)의 묘정에 배향됨.
1376~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연려술(燃藜述)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조선 정조(正祖) 때의 학자인 이긍익(李肯翊)이 편찬한 야사집(野史集). 34권. 조선 태조(太祖)부터 숙종(肅宗) 때까지 각 왕대의 주요한 사건을 기록하고, 전례(典禮)ㆍ문예(文藝)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의 편목(篇目)을 추가하여 그 연혁을 기재함.
191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연려실(燃藜室) - 이긍익(李肯翊)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광사(李匡師)의 아들. 가학(家學)을 따라 양명학(陽明學)을 익혔으며, 저서로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이 있음.
1736~180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연려실전고(燃藜室典故)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조선 정조(正祖) 때의 학자인 이긍익(李肯翊)이 편찬한 야사집(野史集). 34권. 조선 태조(太祖)부터 숙종(肅宗) 때까지 각 왕대의 주요한 사건을 기록하고, 전례(典禮)ㆍ문예(文藝)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의 편목(篇目)을 추가하여 그 연혁을 기재함.
191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연령(延齡)@허연령 - 허연령(許延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하양(河陽). 단종(端宗) 복위를 모의한 허조(許慥)의 아들로, 거사가 실패하자 형제인 허구령(許九齡)과 함께 아버지의 죄에 연좌되어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문사>유학
-
연령(延齡) - 노연령(魯延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노인산(魯仁山)의 아들로, 경성 교수(鏡城敎授)를 역임했고 임형수(林亨秀)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연례(燕禮)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연록(延祿) - 남연록(南延祿)
조선 후기의 유학.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생으로, 풍악서당(豐岳書堂)을 병산(屛山)으로 이건(移建)할 때 일을 담당함. 유성룡의 《서애집(西厓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연루(燕樓) - 연자루(燕子樓)
경상도 김해(金海)의 부성(府城) 복판을 흐르던 호계(虎溪) 위에 있었던 누각. 조선 전기에 김일손(金馹孫)이 세웠으며, 근처에 청심루(淸心樓)와 함허정(涵虛亭)이 있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유적>건물>누정
-
연릉(延陵) - 계찰(季札)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공자(公子). 각 제후국을 사신으로 순방하면서 예학을 논하는 등 박학하고 통명한 식견을 선보이며 현인으로 명성을 떨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연릉계자(延陵季子) - 계찰(季札)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공자(公子). 각 제후국을 사신으로 순방하면서 예학을 논하는 등 박학하고 통명한 식견을 선보이며 현인으로 명성을 떨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연릉군(延陵君) - 이호민(李好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明) 나라의 군대를 불러오는 데 기여함. 적서(嫡庶)의 구별 없이 장자를 옹립하자는 입장론(立長論)을 주장함.
1553~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연릉부원군(延陵府院君) - 이호민(李好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明) 나라의 군대를 불러오는 데 기여함. 적서(嫡庶)의 구별 없이 장자를 옹립하자는 입장론(立長論)을 주장함.
1553~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연말(沿沫) - 표연말(表沿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행장(行狀)을 미화하였다는 등의 죄명으로 경원(慶源)으로 유배가던 도중 죽었으며,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당했다가 뒤에 신원됨.
1449~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연명(延命) - 보현(普賢)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은 보살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왼쪽의 문수(文殊)와 함께 협시보살(脇侍菩薩)로서 석가의 중생 제도(衆生濟度)를 도움.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연명(淵明)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연명(然明) - 종명(鬷明)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대부. 외모가 매우 못생겼으나 훌륭한 재능을 지니고 있어 진(晉) 나라의 대부 양설힐(羊舌肹)이 그의 목소리만 듣고도 종명임을 간파했다는 고사가 전해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연명집(淵明集) - 도연명집(陶淵明集)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의 시문집(詩文集). 귀거래사(歸去來辭)ㆍ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ㆍ음주이십수(飮酒二十首) 등 많은 명작이 실려 있음. 8권
중국 , 문헌>서명
-
연무(淵武) - 환조(桓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 도조(度祖) 이춘(李椿)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공을 세워 삭방도 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됨. 태조가 등극하자 환왕(桓王)으로, 태종(太宗) 때 다시 환조(桓祖)로 추존됨.
1315~1360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연방(蓮坊)@이준경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연방(蓮坊) - 이구(李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ㆍ학자.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주기설(主氣說)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연방노인(蓮坊老人)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연보(淵甫) - 방회(方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영규율수(瀛奎律髓)》 등을 편찬함.
1227~130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연복군(延福君) - 장말손(張末孫)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해주 목사(海州牧使)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467년(세조 12)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공로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녹훈되고, 권율(權慄)ㆍ조극치(曺克治)ㆍ채신보(蔡申保) 등과 교유함.
1431~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봉(蓮峯) - 윤흥종(尹興宗)
조선 전기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정형(李廷馨)의 《지퇴당집(知退堂集)》에 옷감을 보내 준 그에게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연봉서원(延鳳書院) - 천곡서원(川谷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건립된 서원. 1558년(명종 13) 창건되고, 1573년(선조 6)에 사액되었으며, 숙정자(叔程子)ㆍ주자(朱子)ㆍ김굉필(金宏弼)ㆍ이언적(李彦迪)ㆍ정구(鄭逑)ㆍ장현광(張顯光) 등을 배향함.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연부(延府)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연부(鍊夫) - 이철견(李鐵堅)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공조 참판(工曹參判) 이연손(李延孫)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등을 지냄.
1435~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연빙당(淵氷堂) - 신석조(辛碩祖)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426년(세종 8)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개성 유수(開城留守) 등을 지냄. 저서로 《연빙당집(淵氷堂集)》이 있음.
1407~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연사(淵師)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연사(練祀) - 연제(練祭)
상례(喪禮)의 일종으로, 소상(小祥)을 앞당겨 치루는 것을 말함. 아버지가 생존해 있는데 어머니가 먼저 죽었을 경우, 1년 만에 지내는 소상을 11개월 만에 지냄.
법제>의례>가례
-
연사(蓮寺) - 연대사(蓮臺寺)
경상도 안동(安東) 청량산(淸涼山)에 있는 사찰. 통일신라시대 김생(金生)이 친필로 쓴 불경(佛經)이 많이 소장되어 있었으며, 이황(李滉)이 즐겨 찾은 장소로 이름남.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찰
-
연사(蓮社) - 백련사(白蓮社)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혜원(慧遠)이 여러 승도(僧徒) 및 명유(名儒)들과 함께 여산(廬山)의 동림사(東林寺)에서 정토왕생을 위한 염불수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한 신행결사(信行結社). 동림사 안에 백련(白蓮)을 많이 심었었으므로 백련사라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