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연삭(連朔) - 태천(泰川)
평안북도 남서쪽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영변(寧邊), 북쪽으로 삭주(朔州)를 접하고 있음.
평안도>태천 , 지명>행정지명
-
연산(燕山)@문의 - 문의(文義)
충청도 중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동쪽은 회인(懷仁), 남쪽은 회덕(懷德), 북쪽은 청주(淸州)와 접해 있으며, 송인수(宋麟壽) 등을 배향한 노봉서원(魯峯書院)이 있음. 현재는 충청북도 청주시(淸州市)에 속함.
충청도>문의 , 지명>행정지명
-
연산(燕山)@연연산 - 연연산(燕然山)
몽골 지역에 있는 산 이름.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인 두헌(竇憲)이 흉노(匈奴)를 격파하고 나서 이곳에 올라 공적비를 세움.
기타지역 , 지명>자연지명
-
연산(燕山)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연산군(延山君) - 김준손(金浚孫)
조선 전기의 문신. 서녀(庶女)가 구수영(具壽永)의 서자인 구인손(具麟孫)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연산부원군(燕山府院君) - 설장수(偰長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한 후 공양왕(恭讓王) 옹립에 공을 세움. 정몽주(鄭夢周)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조선 개국 후 복직되어 여러 차례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옴.
1341~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산수(連山守) - 이사창(李嗣昌)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으로, 봉릉 부수(奉陵副守) 이만년(李萬年)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연산주(燕山主)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연상(煙湘) - 박지원(朴趾源)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 청(淸) 나라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북학파(北學派)의 영수로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실학을 강조했으며, 자유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여러 편의 한문소설(漢文小說)을 발표함.
1737~18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연상인(衍上人) - 의연(義衍)
조선 선조(宣祖) 때의 승려. 정여립(鄭汝立)의 모사(謀士)로 도사 지함두(池涵斗) 등과 함께 기축옥사(己丑獄死)를 일으킴.
?~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운봉 , 인명>종교인>승려
-
연생(衍生) - 유연생(柳衍生)
조선 세종(世宗) 때의 유학. 기생 예성화(芮城花)를 빼앗기자 김보중(金寶重)ㆍ양여공(梁汝恭) 등을 반역죄로 무고하여 죽게 하고, 자신도 결국 난언죄(亂言罪)로 처형당함.
?~143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유학
-
연생당(戀生堂) - 홍여방(洪汝方)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길민(洪吉旼)의 아들.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43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연선도인(蓮船道人) - 영관(靈觀)
조선 연산군(燕山君)~선조(宣祖) 때의 승려. 휴정(休靜)ㆍ법융(法融)의 스승으로, 신총(信聰)에게 불경을 배우고 위봉(威鳳)에게 참선을 배웠으며,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통달함.
1485~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인명>종교인>승려
-
연성(延城)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연성(延城)@연풍 - 연풍(延豊)
충청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소백산맥(小白山脈) 기슭에 자리잡은 분지(盆地)로, 조선시대 중요한 군사적 지역이었음.
충청도>연풍 , 지명>행정지명
-
연성(淵聖) - 흠종(欽宗)
중국 송(宋) 나라 제9대 황제. 재위 1125~1127. 휘종(徽宗)의 맏아들. 금(金) 나라 군사의 침공을 받아 휘종과 함께 잡혀가 만주의 유배지에서 죽음.
1100~1161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연성(蓮城) - 안산(安山)
경기도 남서부 서해안에 인접해 있는 고을 이름.
경기도>안산 , 지명>행정지명
-
연성(連城) - 화씨벽(和氏璧)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변화(卞和)가 형산(荊山)에서 발견한 옥돌을 가공하여 얻은 보옥(寶玉)으로, 인재(人才)를 가리키는 말. 문왕(文王)만이 그 진가를 인정했으며, 진(秦) 나라 소양왕(昭襄王)이 15개의 성(城)과 맞바꾸려다가 인상여(藺相如)로 인해 실패했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연성군(延城君)@이곤 - 이곤(李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인문(李仁文)의 아들로,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1506년(중종 1)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었으나 1519년(중종 14)에 삭록됨. 철원 부사(鐵原府使)ㆍ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지냄.
1462~152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성군(延城君)@이석형 - 이석형(李石亨)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회림(李懷林)의 아들이며, 김반(金泮)의 문인.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역대병요(歷代兵要)》ㆍ《치평요람(治平要覽)》등을 편찬함.
1415~14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성군(延城君)@박원형 - 박원형(朴元亨)
조선 세종(世宗)~예종(睿宗)의 문신. 세조(世祖) 때 좌익공신(佐翼功臣), 예종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함.
1411~14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성군(延城君) - 김로(金輅)@조선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의 한 사람으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ㆍ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를 지냄.
1355~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성군(燕城君) - 김준손(金俊孫)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 후에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에 책록됨. 연기김씨(燕岐金氏)의 시조.
1446~152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연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성군(蓮城君) - 이적(李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장남. 1469년(예종 1) 6세에 연성군에 봉해지고, 중종 때 종1품 가덕대부(嘉德大夫)가 되어 문소전(文昭殿)ㆍ연은전(延恩殿)ㆍ영경전(永慶殿)과 종친부 제조를 지냄.
1464~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연성군(蓮城君) - 김정경(金定卿)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정종(定宗)의 부마인 김한(金澣)의 아버지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개성부 유후(開城府留後) 등을 지냄.
1345~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연성벽(連城璧) - 화씨벽(和氏璧)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변화(卞和)가 형산(荊山)에서 발견한 옥돌을 가공하여 얻은 보옥(寶玉)으로, 인재(人才)를 가리키는 말. 문왕(文王)만이 그 진가를 인정했으며, 진(秦) 나라 소양왕(昭襄王)이 15개의 성(城)과 맞바꾸려다가 인상여(藺相如)로 인해 실패했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이정화 - 이정화(李廷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기(李巙)의 아들로, 충좌위 부사용(忠佐衛副司勇)을 지냈으며, 아들인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의 공으로 인해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추봉됨.
1520~155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무신
-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이석형 - 이석형(李石亨)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회림(李懷林)의 아들이며, 김반(金泮)의 문인.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역대병요(歷代兵要)》ㆍ《치평요람(治平要覽)》등을 편찬함.
1415~14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이말정 - 이말정(李末丁)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백겸(李伯謙)의 아들. 예빈시 소윤(禮賓寺少尹) 등을 지내고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추증되었으며, 문장(文章)에 능했음.
1395~14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이회림 - 이회림(李懷林)
조선 태조(太祖)~문종(文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석형(李石亨)의 아버지. 대호군(大護軍)을 역임했으며, 좌의정(左議政)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추증(追贈)됨.
?~145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 박원형(朴元亨)
조선 세종(世宗)~예종(睿宗)의 문신. 세조(世祖) 때 좌익공신(佐翼功臣), 예종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함.
1411~14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성위(延城尉) - 김희(金禧)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 김안로(金安老)의 아들로 효혜공주(孝惠公主)와 혼인함. 작서(灼鼠)의 변(變)을 일으킴.
?~153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왕실>인척
-
연성이씨(延城李氏) - 연안이씨(延安李氏)
중국 당(唐) 나라 장수로 신라에 귀화하여 연안후(延安侯)에 봉해진 이무(李茂)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황해도>연안 , 인명>집단>성씨
-
연성정씨(延城鄭氏) - 연일정씨(延日鄭氏)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때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낸 정종은(鄭宗殷)을 도시조(都始祖)로 하는 성씨. 지주사공파(知奏事公派)와 감무공파(監務公派)로 나뉨.
한국>신라 , 경상도>영일 , 인명>집단>성씨
-
연손(延孫) - 이연손(李延孫)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승(李昇)의 아들이며, 윤번(尹璠)의 사위. 세조가 즉위하자 상호군(上護軍)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공조 참판(工曹參判) 등을 지냄.
?~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연손(演孫) - 송연손(宋演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불우헌(不憂軒) 정극인(丁克仁)의 문인으로, 중종의 잠저(潛邸) 시절에 사부(師傅)를 지냄. 신광한(申光漢)이 지은 신도비명(神道碑銘)이 있음.
1460~150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관인>문신
-
연수(延壽)@도연수 - 도연수(陶延壽)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때의 무신. 진 태위(晉太尉)를 지낸 장사공(長沙公) 도간(陶侃)의 5세손으로 작위를 세습 받음. 4세손인 도잠(陶潛)과 동시대에 살면서 교유하고, 자의참군(咨議參軍)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연수(延壽)@초연수 - 초연수(焦延壽)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학자. 소황령(小黃令)을 지냄. 맹희(孟喜)에게 《역(易)》을 배워 경방(京房)을 가르치고, 《역림(易林)》ㆍ《역림변점(易林變占)》을 저술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연수(延壽) - 이연수(李延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맏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연수(延壽)@배연수 - 배연수(裵延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장기(長鬐). 배세침(裵世忱)의 아버지로, 효행으로 인하여 참봉(參奉)에 제수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연수(延壽)@설연수 - 설연수(偰延壽)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귀화한 경주설씨(慶州偰氏)의 시조인 설손(偰孫)의 셋째 아들로, 벼슬이 추재(樞宰)에 이름.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연수(延壽)@조연수 - 조연수(趙延壽)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등을 지냈으며 충숙왕의 미움을 사 섬으로 유배됨.
1278~1325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연수(延壽)@김영수 - 김연수(金延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종서(金宗瑞)의 외손이며, 청백리(淸白吏)로 이름이 남.
?~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연수(衍水) - 태자하(太子河)
중국 요양시(遼陽市)에 있는 요하(遼河)의 지류. 요산(遼山)에서 발원하여 서남쪽으로 흘러 요하와 만남. 원명은 연수(衍水)로,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태자 단(丹)이 형가(荊軻)를 시켜 진시황(秦始皇)을 암살하려다 발각되자 피신하여 숨었던 곳이라 하여 ‘태자하(太子河)’로 불림.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연숙(淵叔) - 유숙(柳潚)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예조 참의ㆍ대사간ㆍ부제학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계부(季父) 유몽인(柳夢寅)의 죄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고산(高山)의 삼현영당(三賢影堂)에 제향됨.
1564~16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연숙(連叔) - 유경중(游敬仲)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연숙(鍊叔) - 김용석(金用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동문수학하였음.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태백산(太白山)으로 들어갔음.
1453~152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연시(燕市) - 북경(北京)
중국의 수도. 하북성(河北省) 중앙부에 있으며, 화북(華北)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 요(遼) 나라, 금(金) 나라, 원(元) 나라, 명(明) 나라, 청(淸) 나라의 도읍지였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연아(延兒) - 김희(金禧)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 김안로(金安老)의 아들로 효혜공주(孝惠公主)와 혼인함. 작서(灼鼠)의 변(變)을 일으킴.
?~153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왕실>인척
-
연안군(延安君)@김로 - 김로(金輅)@조선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의 한 사람으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ㆍ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를 지냄.
1355~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안군(延安君)@이엄 - 이엄(李儼)@고려
고려 충혜왕(忠惠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혜왕의 폐신(嬖臣)으로,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등을 지내고,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을 호종한 공으로 일등공신(一等功臣)에 책록됨.
?~134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안군(延安君)@이숙기 - 이숙기(李淑琦)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시애(李施愛)의 난(亂)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29~148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연안군(延安君) - 아랄첩목아(阿剌帖木兒)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이효신(李孝臣)의 장남. 원(元) 나라 조정에서 벼슬하여 연안군(延安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연안군(延安君)@왕고 - 왕고(王暠)
고려 충렬왕(忠烈王)의 손자. 충숙왕(忠肅王) 때 독로화(禿魯花)로서 원(元) 나라에 머무름. 충숙왕ㆍ충혜왕(忠惠王) 때 고려 왕위를 도모했으나 실패함.
?~134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연안군왕(延安郡王) - 철종(哲宗)@송
중국 송(宋) 나라 제7대 황제. 재위 1085~1100. 신종(神宗)의 여섯 번째 아들. 사마광(司馬光) 등 구당(舊黨)을 축출하고 장돈(章惇) 등을 중용하여 왕안석(王安石)의 변법(變法)을 다시 시행함.
1076~1100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연안부원군(延安府院君) - 김감(金勘)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원신(金元臣)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에 봉해짐.
1466~150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연암(淵庵) - 우성전(禹性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이었다가 이발(李潑)과의 갈등으로 인해 남인(南人)의 거두가 됨.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많은 전공을 세우고, 해염(海鹽)과 식량을 조달하여 난민을 구제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연암(燕巖) - 박지원(朴趾源)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 청(淸) 나라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북학파(北學派)의 영수로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실학을 강조했으며, 자유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여러 편의 한문소설(漢文小說)을 발표함.
1737~18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연양군(延陽君)@이시백 - 이시백(李時白)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었고,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1~166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양군(延陽君) - 이후백(李後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와 양관 제학(兩館提學)을 지냈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덕망이 높아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음.
1520~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연양부원군(延陽府院君) - 이시백(李時白)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었고,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1~166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언(延偃) - 안연언(安延偃)
중국 당(唐) 나라의 무인(武人). 이란계 사람으로, 안녹산(安祿山)의 아버지, 혹은 양아버지라고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연연(淵淵)@최부 - 최부(崔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진사(進士) 최택(崔澤)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죽임을 당함. 저서에 《금남표해록(錦南漂海錄)》이 있음.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연연(淵淵) - 정연(鄭淵)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정홍(鄭洪)의 아들이며,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장인으로, 음보(蔭補)로 벼슬에 오름. 장령(掌令)이 되었을 때 태종이 철원에 가려는 것을 간하다가 진산(珍山)에 유배됨.
1389~14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연영선생(淵潁先生) - 오내(吳萊)
중국 원(元) 나라의 시인. 지방관의 추천을 받아 춘시(春試)에 응시하였으나 급제하지 못하고‚ 이후 심뇨산(深裊山)에 은거하며 독서와 저술에 전념함. 저서로는 제자인 송렴(宋濂)이 펴낸 《연영오선생집(淵潁吳先生集)》과 《맹자제자열전(孟子弟子列傳)》등이 있음.
1297~1340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연영전(延英殿) - 집현전(集賢殿)
고려와 조선 초기의 학문 연구기관. 고려 인종(仁宗) 때 당(唐) 나라의 제도를 받아들여 설치하고, 조선시대에 들어와 1399년(정종 1)에 고려 때의 것을 본떠 설치하여 교리(校理)ㆍ설서(說書)ㆍ정자(正字)를 두고 경서를 강론함. 특히 세종(世宗) 때 융성하여 유교주의국가 정립의 토대를 제공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연오(延吳) - 계찰(季札)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공자(公子). 각 제후국을 사신으로 순방하면서 예학을 논하는 등 박학하고 통명한 식견을 선보이며 현인으로 명성을 떨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연옹(蓮翁) - 이후백(李後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와 양관 제학(兩館提學)을 지냈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덕망이 높아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음.
1520~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연왕(燕王)@태조 - 태조(太祖)@남북조(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전연(前燕)의 제1대 왕. 재위 337~348. 모용외(毛容廆)의 아들이자 모용각(慕容恪)의 아버지. 337년 연왕(燕王)이라 칭하고 조양(朝陽)에 도읍하였고, 342년 고구려를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함.
297~34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연왕(燕王)@노관 - 노관(盧綰)
중국 전한(前漢) 초의 제후국인 연(燕) 나라의 왕. 한(漢)이 연 나라를 점령하자 흉노(匈奴)로 망명하였고, 이어서 위만(衛滿)이 고조선(古朝鮮)으로 망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연왕(燕王)@성조 - 성조(成祖)
중국 명(明) 나라 제3대 황제. 재위 1402~1424. 태조 주원장(朱元璋)의 넷째 아들로, 조카인 혜제(惠帝))에게서 황위를 찬탈하고 수도를 북경(北京)으로 옮김. 여러 차례 대규모 원정(遠征)을 행하여 영토를 확장하였으며, 대내적으로 주자학(朱子學)을 국가이념으로 삼음.
1360~142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연왕(燕王)@소왕 - 소왕(昭王)@춘추전국(연)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연(燕) 나라의 제후. 재위 B.C.312~B.C.279. 곽외(郭隗)와 악의(樂毅)를 등용하여 부국강병을 꾀했으며, 연 나라를 멸망시키려 한 제(齊) 나라와 전쟁을 일으켜 제 나라의 국력을 약화시킴.
?~B.C.2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연우(延優) - 산상왕(山上王)
고구려 제10대 왕. 재위 197~227. 신대왕(新大王)의 아들이자 고국천왕(故國川王)의 동생으로, 고국천왕의 비(妃) 우씨(于氏)에 의해 왕위에 오름. 한(漢) 나라 하요(夏瑤)의 투항을 받아들이고, 환도성(丸都城)으로 수도를 옮김.
?~227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연원(連源) - 심연원(沈連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녹훈되고,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로 《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491~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원군(延原君)@이숭원 - 이숭원(李崇元)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보정(李補丁)의 아들로,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28~149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원군(延原君) - 이광정(李光庭)@1552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주(李澍)의 아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정묘호란 때 왕을 호종하여 강화(江華)에 들어갔다가 병사함.
1552~162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원록(淵源錄) - 양현연원록(兩賢淵源錄)
조선 전기의 무신ㆍ학자인 박영(朴英)의 유문(遺文)과 그의 스승 정붕(鄭鵬)의 《신당선생사적(新堂先生事蹟)》을 합하여 편찬한 책.
166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연원록(淵源錄) - 이락연원록(伊洛淵源錄)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가 편찬한 책. 14권. 주돈이(周敦頤) 이하 정호(程顥)ㆍ정이(程頤)의 교유 및 그의 제자(弟子) 46인의 언행을 수록함.
1173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연원부수(延源副守) - 이억수(李億壽)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손자이며,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연원부원군(延原府院君) - 이광정(李光庭)@1552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주(李澍)의 아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정묘호란 때 왕을 호종하여 강화(江華)에 들어갔다가 병사함.
1552~162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윤사(連尹奢) - 오사(伍奢)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 오자서(伍子胥)의 아버지. 초(楚) 평왕(平王)의 태자태부(太子太傅)로, 비무기(費無忌)가 태자를 참소(譖訴)하자 간(諫)하다가 피살됨.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연의(衍義) - 대학연의(大學衍義)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진덕수(眞德秀)가 지은 《대학(大學)》의 해설서. 6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편마다 고현(古賢)의 언행을 인용하고 이에 고증(考證)을 첨가하여 논설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연이(練而) - 배숙기(裵淑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1540년(중종 3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연일(延日) - 영일(迎日)
경상도 동부 동해에 연해 있는 고을 이름. 연오랑(延烏郞)ㆍ세오녀(細烏女) 설화가 전하는 일월지(日月池)와 오천서원(烏川書院) 등의 유적이 있음. 지금은 경상북도 포항시(浦項市)에 속함.
경상도>영일 , 지명>행정지명
-
연잉군(延礽君) - 영조(英祖)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1776.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蕩平策)과 균역법(均役法)을 추진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
1694~17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연재(淵齋) - 송병선(宋秉璿)
조선 후기~근대의 문인ㆍ순국지사.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9세손이며, 송병순(宋秉珣)의 형. 을사조약(乙巳條約)에 반대하는 운동을 하였고, 국권 피탈에 통분하여 자결함. 저서로 《근사속록(近思續錄)》ㆍ《무계만집(武溪謾輯)》ㆍ《연재집(淵齋集)》 등이 있음.
1836~1905 한국>근대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문인
-
연재(淵齋)@윤종의 - 윤종의(尹宗儀)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내고 병(兵)ㆍ농(農)ㆍ율력(律曆)ㆍ도상(圖象) 등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어 헌종(憲宗)의 부묘(祔廟)와 관련해 《방례고증(邦禮考證)》을 저술함.
1805~188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연정(連丁) - 이연정(李連丁)
조선 전기의 종친.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
1470~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왕실>종친
-
연제군(硯堤君) - 이작(李碏)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증손이며, 봉성군(蓬城君) 이항(李恒)의 아들이고 언보(彦輔) 이경충(李景忠)의 아버지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연제사(練祭祀) - 연제(練祭)
상례(喪禮)의 일종으로, 소상(小祥)을 앞당겨 치루는 것을 말함. 아버지가 생존해 있는데 어머니가 먼저 죽었을 경우, 1년 만에 지내는 소상을 11개월 만에 지냄.
법제>의례>가례
-
연조(延祖) - 김연조(金延祖)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김대현(金大賢)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등을 지냄.
158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연족(延族) - 허경종(許敬宗)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간신 이의부(李義府)와 함께 황후 왕씨를 폐위시키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황후에 책봉되는 데 기여함. 예부 상서(禮部尙書)ㆍ시중(侍中) 등을 지냄.
592~67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연종(衍宗) - 이연종(李衍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가리((加利). 이승휴(李承休)의 아들로, 감찰대부(監察大夫) 등을 역임하였으며, 부친의 문집인 《동안거사집(動安居士集)》을 초간(初刊)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연주(延州)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연주(延州)@영변 - 영변(寧邊)
평안도 남동부에 있는 군(郡). 구룡강(九龍江) 하류에 있어 군사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비옥한 평야가 있어 농산물이 많이 생산됨.
평안도>영변 , 지명>행정지명
-
연주(燕主)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연주(連州) - 개천(价川)
평안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시대에 조양진(朝陽鎭)으로 불렸으며, 1413년(태종 13)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침.
평안도>개천 , 지명>행정지명
-
연주(連珠) - 능성(綾城)
전라남도 화순(和順) 능주면(綾州面) 일대 지역의 옛 이름. 1632년(인조 10)에 능주(綾州)로 개칭함.
940~16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연주(漣州) - 연천(漣川)
경기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구석기ㆍ신석기 시대의 유물ㆍ유적이 대량 발굴됨.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연주(漣州)@개천 - 개천(价川)
평안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시대에 조양진(朝陽鎭)으로 불렸으며, 1413년(태종 13)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침.
평안도>개천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