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염(爓) - 이염(李爓)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충건(李忠楗)의 아들. 1544년(중종 39)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림학사(翰林學士)ㆍ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효수당함. 저서로 《정서류편(征西類編)》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염(琰) - 유염(柳琰)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문하평리(門下評理) 유혜손(柳惠蓀)의 아들. 조선 개국 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내고, 세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염(琰)@허염 - 허염(許琰)
고려 문종(文宗) 때의 문신. 김해허씨(金海許氏)의 시조. 가락국(駕洛國) 수로왕비(首露王妃)인 허황후(許皇后)의 35세손으로, 삼중대광(三重大匡)을 지내고 가락군(駕洛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염(琰)@이염 - 영응대군(永膺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덟째 아들. 본관은 전주(全州). 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 정충경(鄭忠敬)ㆍ송복원(宋復元)의 딸과 혼인하였으며, 《명황계감(明皇誡鑑)》의 가사를 한글로 번역하고, 글씨ㆍ그림ㆍ음률(音律)에 능함.
1434~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염(𥖝) - 정렴(鄭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유의(儒醫). 천문ㆍ지리ㆍ의서ㆍ복서(卜筮) 등에 두루 능통했고, 특히 약의 이치와 음률에 밝았음.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1505~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염^모(鹽^嫫) - 모^염(嫫^鹽)
중국 고대 헌원(軒轅)의 부인 모모(嫫母)와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선왕(宣王)의 부인 무염(無鹽)을 함께 부르는 말. 대표적인 추녀(醜女)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염계(冉溪) - 우계(愚溪)
중국 호남성(湖南省) 영주(永州)에 있는 시내 이름. 원래 이름은 ‘염계(冉溪)’인데, 당(唐) 나라 때 유종원(柳宗元)이 영주로 유배되었을 적에 ‘우계’로 개명(改名)하여 자신의 불우한 처지를 나타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염계(染溪) - 우계(愚溪)
중국 호남성(湖南省) 영주(永州)에 있는 시내 이름. 원래 이름은 ‘염계(冉溪)’인데, 당(唐) 나라 때 유종원(柳宗元)이 영주로 유배되었을 적에 ‘우계’로 개명(改名)하여 자신의 불우한 처지를 나타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염계(濂溪)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염계부자(濂溪夫子)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염곡성(廉曲城) - 염제신(廉悌臣)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공민왕의 비(妃)인 신비(愼妃)의 아버지. 어려서 원(元) 나라에 건너가 진종(晉宗)을 시종하여 상의사(尙衣使)가 되고, 귀국하여 삼사좌사(三司左使)ㆍ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지냄.
1304~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염공(閻公) - 염백서(閻伯嶼)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홍주 목사(洪州牧使)를 지낼 때 등왕각(滕王閣)을 수리한 뒤 연회를 열고 사위인 오자장(吳子長)에게 서문을 짓게 하여 자랑하려다가, 마침 그곳을 지나던 왕발(王勃)이 단숨에 써내려가자 글을 보고 감탄하였다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염난수(鹽難水)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염농(炎農) - 신농(神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帝王) 또는 신(神). 백성에게 농경을 가르쳤으며, 백초(百草)를 맛보고 약초를 찾아내 병을 치료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염덕(念德) - 범염덕(范念德)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유학자. 주자(朱子)의 문인. 범여규(范如圭)의 아들.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염라(閻羅) - 포증(包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개봉부 지사(開封府知事)ㆍ추밀부사(樞密副使)를 지내고, 공평무사(公平無私)한 정치를 펼쳐 ‘포청천(包靑天)’으로 널리 알려짐.
999~106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염라포로(閻羅包老) - 포증(包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개봉부 지사(開封府知事)ㆍ추밀부사(樞密副使)를 지내고, 공평무사(公平無私)한 정치를 펼쳐 ‘포청천(包靑天)’으로 널리 알려짐.
999~106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염백우(冉伯牛) - 염경(冉耕)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덕행(德行)에 뛰어났으며, 그가 불치병에 걸리자 공자가 와서 위문하고 탄식함.
B.C.55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염부(廉夫) - 진지(陳址)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승상(丞相) 진준경(陳俊卿)의 손자이며 진식(陳寔)의 아들로, 주희(朱熹)의 문인. 승사랑(承事郞)에 올랐으나 28세에 죽었으며 주희가 광명(壙銘)을 지어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염부(斂夫) - 등원성와(藤原醒窩)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 초기의 유학자로, 일본 근세 유학의 아버지. 7세 때 출가하여 선학(禪學)과 한학을 배움. 조선의 국사(國使)인 허성(許筬) 등과 교유하였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포로로 잡혀온 주자학자 강항(姜沆)을 만나 영향을 받음.
1561~1619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문사>학자
-
염불노(廉佛奴) - 염제신(廉悌臣)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공민왕의 비(妃)인 신비(愼妃)의 아버지. 어려서 원(元) 나라에 건너가 진종(晉宗)을 시종하여 상의사(尙衣使)가 되고, 귀국하여 삼사좌사(三司左使)ㆍ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지냄.
1304~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염성(念成) - 채염성(蔡念成)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에게 배우고 주희가 죽자 황간(黃幹)에게 배움. 연평서원(延平書院)에서 강학(講學)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염송(炎宋) - 송(宋)
중국의 통일 왕조. 조광윤(趙光胤)이 오대(五代) 후주(後周)의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국가. 개봉(開封)에 도읍했던 북송(北宋) 시대와 정강(靖康)의 변(變) 때 임안(臨安)으로 천도한 이후의 남송(南宋) 시대로 구분됨.
960~1277 중국>송 , 중국 , 시간>국명
-
염수와(念修窩) - 송무원(宋婺源)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증손이며, 통덕랑(通德郞) 송회석(宋晦錫)의 아들. 숙종이 황단(皇壇)에 친사(親祀)할 때 최석정(崔錫鼎)의 수상(首相) 임명을 반대하여 유배됨. 왕명으로 《송자대전(宋子大全)》의 간행을 주관함.
1677~173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염옹(濂翁)@탁광무 - 탁광무(卓光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맏아들로, 충혜왕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예의 판서(禮儀判書) 등을 지냄.
1330~14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염옹(濂翁)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염유(冉有) - 염구(冉求)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계강자(季康子)의 가신.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 정치방면에 탁월한 재능을 지님.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염의(廉義) - 정운경(鄭云敬)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정도전(鄭道傳)의 아버지. 복주목(福州牧)의 판관(判官)일 때 송사(訟事)를 잘 처리함. 검교밀직제학(檢校密直提學)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사퇴하고 영주(榮州)에 돌아와 죽음.
1305~136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염자(冉子) - 염구(冉求)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계강자(季康子)의 가신.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 정치방면에 탁월한 재능을 지님.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염정(念正) - 탁염정(卓念正)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중랑장(中郞將)을 지낸 탁원익(卓元翼)의 아들로, 동정직(同正職)의 영(令)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염정(濂亭) - 탁광무(卓光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맏아들로, 충혜왕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예의 판서(禮儀判書) 등을 지냄.
1330~14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염제(炎帝) - 신농(神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帝王) 또는 신(神). 백성에게 농경을 가르쳤으며, 백초(百草)를 맛보고 약초를 찾아내 병을 치료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염조(念祖)@성염조 - 성염조(成念祖)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성엄(成揜)의 아들로,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ㆍ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398~14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염조(念祖) - 범염조(范念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관료. 범여규(范如圭)의 아들로, 경술(經術)을 연구하고 실용적인 학문을 추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염조(炎祚) - 송(宋)@남북조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남조(南朝) 최초의 왕조. 동진(東晉) 말기에 유유(劉裕)가 진(晉) 나라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나라로, 8대 60년간 존속.
420~47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염주(鹽州)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염주노수(鹽州老守) - 신응시(辛應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와 교유하고, 주자학(朱子學)에 조예가 깊음.
1532~158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염주지(鹽州志) - 연안지(延安志)
조선 선조(宣祖) 때 연안도호부사(延安都護府使)인 윤두수(尹斗壽)가 편찬한 읍지. 〈연안지서(延安志序)〉를 비롯한 관련 자료들이 《오음유고(梧陰遺稿)》에 전함.
1580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염중(念中) - 조가여(趙可與)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 때의 문신ㆍ학자. 염운사(鹽運使) 등을 지내고, 일부에서는 《고수부담(孤樹裒談)》의 저자로 알려짐.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염참(髥參) - 치초(郗超)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치음(郗愔)의 아들로, 모반(謀反)을 꾀하던 환온(桓溫)의 막하(幕下)가 되어 여러 가지 일을 획책함. 성품이 은일(隱逸)을 좋아하여 대규(戴逵)를 위해 섬계(剡溪)에다 집을 지어주었다 하며, 승려인 지둔(支遁)과 친교함.
336~3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엽(曄)@이수오의아버지 - 이엽(李曄)@이수오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진사(進士) 이수오(李秀塢)의 아버지. 의흥위 중부장(義興衛中部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엽(曄) - 윤엽(尹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극신(尹克新)의 아들이며,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낸 윤돈(尹暾)의 형으로, 서천 군수(舒川郡守) 등을 지냄.
1546~16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엽(曄)@정엽 - 정엽(鄭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 황주 판관(黃州判官)으로서 왜군을 격퇴한 공으로 중화 부사(中和府使)가 됨. 대사성(大司成)으로서 타직(他職)을 겸하는 예가 정엽으로부터 비롯됨.
1563~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엽(曄)@이구의손자 - 이엽(李曄)@이구의손자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손자이며, 음죽 현감(陰竹縣監) 이강(李綱)의 맏아들인 이준인(李遵仁)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엽(曄)@허엽 - 허엽(許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허균(許筠)의 아버지로, 명종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원을 청하고 허자(許磁) 등의 무죄를 논하다가 파직됨. 선조 때 김효원(金孝元)과 함께 동인(東人)의 영수(領袖)가 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7~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엽(燁) - 권엽(權燁)
조선 전기의 문신. 《백담집(栢潭集)》에 구봉령(具鳳齡)이 지은 만사(輓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엽여(燁如) - 유회문(柳晦文)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대사간(大司諫) 유치명(柳致明)의 아버지이며, 유도원(柳道源)ㆍ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평생 경학을 연구하고 심성을 수양함.
1758~18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엽장군(獵將軍)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영(坽) - 김령(金坽)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성룡(柳成龍)의 막하로 자진하여 종군하였고,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장령(掌令)ㆍ집의(執義)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음.
1577~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嬰) - 두영(竇嬰)
중국 전한(前漢) 때의 외척ㆍ문신. 효문후(孝文后) 두씨(竇氏)의 조카로, 대장군(大將軍)을 거쳐 승상(丞相)에 이르러 천하에 권위를 떨쳤으나, 뒤에 효경후(孝景后)의 노염을 사서 기시(棄市)됨.
?~B.C.13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영(岭) - 금원군(錦原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아들. 어머니는 홍경주(洪景舟)의 딸인 희빈홍씨(熙嬪洪氏). 사옹원(司甕院)ㆍ종부시(宗簿寺) 등의 도제조를 지냄.
1513~156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영(嶸)@남영 - 남영(南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의관ㆍ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예석(南禮錫)의 아들.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벼슬하여 선조 때 어의(御醫)를 지냈으며, 광해군 때 음죽 현감(陰竹縣監) 등을 지냄.
1548~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문경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관인>문신
-
영(嶸) - 이영(李嶸)@1462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손자이며,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의 둘째 아들.
1462~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嶸)@1462 - 이영(李嶸)@1462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손자이며,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의 둘째 아들.
1462~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嶸)@1560 - 이영(李嶸)@1560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예문관 봉교(藝文館奉敎) 등을 지냈으며, 이이(李珥)ㆍ성혼(成渾)과 학문적 교유를 나눌 정도로 경전에 밝았음.
1560~15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榮) - 고영(顧榮)
중국 남북조시대 서진(西晉)의 문신. 사마예(司馬睿)의 군사(軍司)를 맡아 동진(東晉)을 중흥시킨 공신.
?~31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영(永)@한영 - 한영(韓永)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간의대부(諫議大夫) 한사기(韓謝奇)의 아들. 원(元) 나라에서 성장해 하남부총관(河南府摠管) 등을 지내고, 원 나라에 와 있던 충숙왕을 시종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1285~1336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영(永) - 곽영(郭永)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문제(文帝)의 황후인 문덕곽황후(文德郭皇后)의 아버지로, 관직은 태수(太守)에 이름.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영(永)@조영 - 조영(曺永)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조언형(曺彦亨)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영(泳)@성영 - 성영(成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세평(成世平)의 아들이자 성락(成洛)의 동생. 광해군이 즉위하자 정인홍(鄭仁弘)의 모함을 받아 파직됨. 선조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547~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영(泳)@유영 - 유영(柳泳)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임진왜란 때 성절사(聖節使)로 파견되었던 유몽정(柳夢鼎)의 아들.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영(泳)@채영 - 채영(蔡泳)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두문동(杜門洞) 72현 중 한 사람인 채귀하(蔡貴河)의 아들이자 필선(弼善)을 지낸 채륜(蔡倫)의 아버지로, 군자소감(軍資少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영(泳) - 권영(權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했고, 관직은 중추부 경력(中樞府經歷)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渶) - 이영(李渶)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온녕군(溫寧君) 이정(李裎)의 증손이고, 금천군(錦川君) 이변(李抃)의 아들이며, 화산군(花山君) 김주(金澍)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濘) - 이녕(李濘)
조선 후기의 종친. 1592년(선조 25)에 임해군(臨海君)과 순화군(順和君)이 왜적(倭賊)에게 잡혔을 때 선전관(宣傳官) 김극성(金克惺)과 함께 은(銀)과 명주 등을 가져옴.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濚) - 이영(李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고, 남천군(南川君) 이쟁(李崝)의 맏아들이며, 문성정(文城正) 이상(李湘)의 형.
1471~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瑛)@성영 - 성영(成瑛)
조선 전기의 문신. 삭녕 군수(朔寧郡守)를 지냄. 정유길(鄭惟吉)의 《임당유고(林塘遺稿)》에 수창(酬唱)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영(瑛)@노영 - 노영(盧瑛)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충목왕(忠穆王) 때 좌정승(左政丞)을 지낸 노책(盧頙)의 아들이며, 서원군(瑞原君) 노제(盧濟)의 동생.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영(瑛)@신영 - 신영(申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상촌(象村) 신흠(申欽)의 조부.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明賢)의 한 사람임.
1499~155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영(瑛)@이영 - 이영(李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명종 때 경연(經筵)에 참가하여 명(明) 나라가 우리나라의 사신 접대를 소홀히 함을 지적하고 북경(北京)과의 무역금지를 건의함.
1501~155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영(瑛) - 김영(金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영수(金永銖)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의 피해자를 신원(伸寃)하도록 상소함.
1475~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영(瑛)@송영 - 송영(宋瑛)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1485년(성종 16)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거친 후에 예조 참판(禮曹參判)에 오름.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영(瑛)@황영 - 황영(黃瑛)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낸 황예창(黃禮昌)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영(瑛)@윤영 - 윤영(尹瑛)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기상(尹起祥)의 아들로, 상의원 직장(尙衣院直長) 등을 지냈으며, 아들 윤명은(尹鳴殷)이 귀하게 됨으로 인해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157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瑩) - 조영(趙瑩)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평양(平壤). 충렬왕(忠烈王) 때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낸 조인규(趙仁規)의 아버지로, 금자광록대부 추밀원부사(金紫光祿大夫樞密院副使)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문사>유학
-
영(瓔) - 화의군(和義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첫 번째 서자. 영빈강씨(令嬪姜氏)의 소생으로, 형 금성대군(錦城大君)이 모의한 단종복위(端宗復位) 사건에 연루되어 익산(益山)에 유배된 뒤 그곳에서 죽음.
14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영(穎) - 이영(李穎)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아들이며 이금산(李金山)ㆍ이옥산(李玉山)의 아버지로, 복성정(福城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영(穎)@박영 - 박영(朴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한 박경신(朴慶新)ㆍ박경인(朴慶因)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내고 형조 참의(刑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영(翎) - 이령(李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이인형(李仁亨)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이 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출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영(苓) - 기령(奇苓)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기대복(奇大復)의 아들이며, 이정(李楨)의 외사촌 동생.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충청 감사(忠淸監司)를 역임함.
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영(苓)@이령 - 이령(李苓)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의무(李宜茂)의 넷째 아들.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평해 군수(平海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영(英) - 탁영(卓英)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탁종성(卓宗成)의 아들로, 고종 때 사마시(司馬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영(英)@조선 - 박영(朴英)@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武科)에 급제했으나 학문에 전념함. 성리학(性理學)뿐만 아니라 역학(易學)ㆍ천문(天文)ㆍ의술(醫術)에도 조예가 깊었음.
1471~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영(英)@한영 - 한영(韓英)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양부원군(漢陽府院君) 한종유(韓宗愈)의 아버지로,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英)@고려 - 박영(朴英)@고려
고려시대의 문신. 신라 제54대 경명왕(景明王)의 다섯째 아들인 사벌왕(沙伐王) 박언창(朴彦昌)의 11세손으로, 부정(副正)을 지냄. 충주박씨(忠州朴氏)의 시조.
한국>고려시대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영(詠) - 박영(朴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부호군(副護軍) 박훈(朴塤)의 아들로, 1538년(중종 3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임당(林塘) 정유길(鄭惟吉)과 교유하였으며, 《임당유고(林塘遺稿)》에 관련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詠)@권영 - 권영(權詠)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미암집(眉巖集)》에 유희춘(柳希春)을 전별하는 자리에 참석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문사>유학
-
영(霙) - 강영(姜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구봉령(具鳳齡)과 교유했으며, 안기 찰방(安奇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영(領) - 이령(李領)
조선 전기의 처사(處士). 과거(科擧)에 실패한 뒤 전국을 돌며 산수(山水)를 유람하고 고승(高僧)을 찾아다니다 청주(淸州)의 파관산(葩串山)에 거주함.
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영(齡) - 권령(權齡)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제용감 판관(濟用監判官) 권실(權實)의 아들이자, 상주 목사(尙州牧使) 권박(權博)의 아버지로,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냈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영(齡)@김령 - 김령(金齡)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1474~154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문신
-
영(寧) - 민영(閔寧)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강성 부정(江城副正) 이견손(李堅孫)의 장인. 고성 현령(固城縣令)ㆍ삼척 도호부사(三陟都護府使) 등을 지냄.
1447~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영(寧)@이녕 - 이녕(李寧)@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넷째 아들이며, 군자감 주부(軍資監主簿) 김중행(金仲行)의 사위.
1418~14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영(瑩) - 최영(崔瑩)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동주(東州). 고려 말 외적의 소탕과 변방 수호에 수많은 공로를 세워 도형벽상공신(圖形壁上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 등에 책록됨.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으로 세력을 잃고 참형됨.
1316~1388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영^소(英^韶) - 소^영(韶^英)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이 만든 음악인 소소(簫韶)와 제곡(帝嚳)이 만든 음악인 육영(六英)을 함께 부르는 말.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영^저(嬰^杵) - 영^구(嬰^臼)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의인(義人)인 공손저구(公孫杵臼)와 정영(程嬰)을 함께 부르는 말. 도안가(屠岸賈)로부터 멸문당할 뻔한 조삭(趙朔)의 아이를 지켰던 두 의인을 말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영가(永嘉) - 안동(安東)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주(慶州)와 함께 경상좌도(慶尙左道)의 대읍(大邑)으로 정치ㆍ행정ㆍ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으며, 유교 문화의 본고장임.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
-
영가군(永嘉君)@권람 - 권람(權攬)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조 즉위의 기반을 마련함. 《국조보감(國朝寶鑑)》ㆍ《동국통감(東國通鑑)》 편찬에 참여함.
1416~14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가군(永嘉君)@권경 - 권경(權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김종서(金宗瑞)ㆍ황보인(皇甫仁) 등 원로대신을 숙청함.
1429~14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영가군(永嘉君)@권홍 - 권홍(權弘)@1360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권균(權鈞)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등을 지냄. 문학에 뛰어났으며, 전서ㆍ예서에 능하여 헌릉(獻陵)ㆍ문묘(文廟)ㆍ기자사(箕子祠)의 비문을 씀.
1360~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