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영릉(英陵) - 소헌왕후(昭憲王后)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비. 본관은 청송(靑松). 심온(沈溫)의 딸로, 1418년 세종이 즉위하자 왕후로 봉해짐. 심온이 대역(大逆)의 혐의를 받고 사사되자 폐비(廢妃)의 논의가 있었으나 내조의 공이 인정되어 일축됨.
1395~14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영릉(寧陵) - 효종(孝宗)@조선
조선 제17대 왕. 재위 1649~1659. 병자호란(丙子胡亂) 직후 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 나라의 볼모로 8년간 머묾. 즉위 후 송시열(宋時烈)을 중용하여 북벌계획을 수립하고, 대동법(大同法) 시행과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하는 등 경제시책에 업적을 남김.
1619~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릉왕(零陵王) - 공제(恭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11대 황제. 재위 418~420. 효무제(孝武帝)의 아들로, 형인 안제(安帝)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오름. 420년 송(宋) 무제(武帝) 유유(劉裕)에게 선위(禪位)하고 영릉왕(零陵王)이 되었다가 다음해 살해당함.
386~42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리군(永利君) - 야선불화(也先不花)
중국 원(元) 나라의 환관(宦官). 고려 사람으로 원(元) 나라에 가서 환관이 되었고, 벼슬이 중의대부(中議大夫) 중서사승(中瑞司丞)에 이르렀으며, 영리군(永利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ㅣ경상도>신녕 , 인명>관인>환관
-
영립(永立) - 유영립(柳永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임진왜란 때 왜장에게 뇌물을 바치고 탈출한 일로 국위를 손상시켰다는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으나, 유성룡(柳成龍)의 변호로 복직된 뒤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냄.
1537~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매(嶺梅) - 유후조(柳厚祚)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유심춘(柳尋春)의 아들로, 고종 때 남인(南人)을 우대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정책으로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1798~187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영명(令明) - 방덕(龐德)
중국 삼국시대 위(衛) 나라의 장수. 조조(曹操)에게 귀부하여 장수가 되어 싸우다가 관우(關羽)에게 죽임을 당함.
?~21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영명(永明) - 진왕(秦王)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전조(前趙)의 제5대 황제. 재위 318~328. 고조(高祖)인 유연(劉淵)의 조카로, 즉위 후 국호를 ‘조(趙)’로 고치고 장안(長安)에 도읍하였으나, 후조(後趙)의 석륵(石勒)에게 피살됨.
?~32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명루(永明樓) - 부벽루(浮碧樓)
고구려(高句麗) 때 평안도 평양(平壤) 대동강(大同江) 가에 세워진 누각. 원래 영명루(永明樓)였는데 고려 예종(睿宗) 때 이안(李顔)에 의해 부벽루(浮碧樓)로 개명(改名)됨.
393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유적>건물>누정
-
영모(令謨) - 민영모(閔令謨)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한림학사(翰林學士) 민인균(閔仁鈞)의 조부(祖父)이고 복흥군(福興君) 민종유(閔宗儒)의 고조부(高祖父)로,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1115~119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영모당(永慕堂) - 안당(安瑭)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우의정ㆍ영중추부사 등을 지냄.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아들 안처겸(安處謙)ㆍ안처근(安處謹)과 함께 사사(賜死) 되었으나, 명종(明宗) 때 복관됨.
1461~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모전(永慕殿) - 선조(宣祖)@조선
조선 제14대 왕. 재위 1567~1608. 중종(中宗)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셋째 아들. 초기에는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黨爭)과 전란(戰亂) 속에서 보냄.
1552~16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목(英穆)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영묘(寧廟) - 효종(孝宗)@조선
조선 제17대 왕. 재위 1649~1659. 병자호란(丙子胡亂) 직후 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 나라의 볼모로 8년간 머묾. 즉위 후 송시열(宋時烈)을 중용하여 북벌계획을 수립하고, 대동법(大同法) 시행과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하는 등 경제시책에 업적을 남김.
1619~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묘(英廟) - 세종(世宗)@조선
조선 제4대 왕. 재위 1418~1450.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였으며, 육진(六鎭)을 개척하고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1397~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묘(英廟)@영조 - 영조(英祖)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1776.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蕩平策)과 균역법(均役法)을 추진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
1694~17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묘(英廟)@영종 - 영종(英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6대, 제8대 황제. 재위 1436~1449, 1457~1464. 선종(宣宗)의 장남. 인종(仁宗) 때의 정책을 계승하여 안정을 이루었지만 황태후 장씨(張氏)가 죽고 원로대신들이 실각하자 반대 세력에 의해 양위했다가 다시 복위함.
1427~146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무(甯武) - 영유(甯兪)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衛) 나라 성공(成公) 때의 대부. 나라에 도(道)가 있을 때는 지혜롭게 행동하고, 나라가 무도할 때는 어리석게 행동하여 공자(孔子)의 칭송을 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영무(英茂) - 이영무(李英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충절(李忠節)의 아버지. 평해군 훈도(平海郡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영무(英茂)@조영무 - 조영무(趙英茂)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조세진(趙世珍)의 아들. 조선 개국에 공을 세우고 제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봉해짐.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숙천(肅川)@양형 - 양형(梁泂)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눌재(訥齋) 양성지(梁誠之)의 손자이며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를 지낸 양찬(梁瓚)의 아들로, 숙천도호부사(肅川都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숙철정명(淑哲貞明) - 문정왕후(文定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지임(尹之任)의 딸.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明宗)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禪敎) 양종(兩宗)을 부활시키고, 도첩제(度牒制)를 다시 실시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숙첨(叔瞻) - 정숙첨(鄭叔瞻)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형부 상서를 지낸 정세유(鄭世猷)의 아들이며, 최우(崔瑀)의 장인. 아버지의 반역 모의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거란(契丹)의 침입 때 중군원수(中軍元帥)가 되었으며, 평장사(平章事)에 오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숙청문(肅淸門) - 숙정문(肅靖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서울 성곽의 사대문(四大門) 가운데 북쪽 성문. 경복궁(景福宮)의 주산(主山)인 백악산(白岳山) 동쪽 고개에 위치하며, 풍수설에 의해 항상 닫혀 있어서 이를 대신하여 창의문(彰義門)을 흔히 북문(北門)으로 부름.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숙춘(叔春)@김숙춘 - 김숙춘(金叔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김사원(金士元)의 아버지로, 흡곡 현령(歙谷縣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숙춘(叔春) - 유진동(柳辰仝)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ㆍ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역임했음. 문사(文詞)에 뛰어났으며, 죽화(竹畵)를 잘 그렸음.
1497~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숙통(叔通) - 숙손통(叔孫通)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문신. 한(漢) 고조(高祖) 때 조의(朝儀)를 제정하였으며, 혜제(惠帝) 때 종묘(宗廟) 등의 의법(儀法)을 정하고 태자 태부(太子太傅)를 지냈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평(叔平)@김탄행 - 김탄행(金坦行)
조선 후기의 문신.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의 손자이며 승지 김제겸(金濟謙)의 아들. 신임옥사(申壬獄事)로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사사되자 금산(錦山)에 유배되고, 영조(英祖) 즉위 후 풀려나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714~177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지 , 인명>관인>문신
-
숙평(叔平) - 심전(沈銓)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를 지낸 심달원(沈達源)의 아들로, 장악원 정(掌樂院正)ㆍ경기 감사(京畿監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숙평(叔平)@이준 - 이준(李埈)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흥양(興陽).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남인(南人) 세력을 결집하고 여론을 주도함.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의병을 모집하고 군량미를 조달함.
1560~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평(叔平)@어숙평 - 어숙평(魚叔平)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호조 판서(戶曹判書) 어계선(魚季瑄)의 아버지로, 충좌위 대호군(忠佐衛大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함종 , 인명>관인>문신
-
숙피(叔皮) - 반표(班彪)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ㆍ학자. 《한서(漢書)》를 쓰기 시작하여 아들 반고(班固)가 작업을 잇고 딸 반소(班昭)가 저술을 완성함.
3~5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하(叔夏) - 환이(桓伊)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음악가. 강주 자사(江州刺史)를 지내고, 음악의 이치에 통달하여 젓대를 잘 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숙한(叔翰) - 이번(李蕃)@1463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여주(驪州). 이언적(李彦迪)의 아버지로, 경주 교생(慶州校生)일 때 성종에게 글을 인정받아 궐내에 들어가 시부(詩賦)를 지어 바쳤으며,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성균관 유생(成均館儒生)으로 수학함.
1463~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숙함(叔咸) - 송덕상(宋德相)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교관 송무원(宋婺源)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현손. 정조 때 산림(山林)의 중심인물로 천거되어 활약하였으나, 홍국영(洪國榮)의 실각 후 정감록 사건에 연루되어 노론벽파(老論辟派)로 몰려 죽음.
?~178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행(叔行) - 유계문(柳季聞)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원종공신(原從功臣) 유관(柳寬)의 아들이고,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낸 유권(柳睠)의 아버지. 서예에 능해서 왕명으로 태종의 명복을 빌기 위한 《금자법화경(金字法華經)》을 씀.
1383~14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숙향(叔向)@정규양 - 정규양(鄭葵陽)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오천(烏川). 이현일(李玄逸)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경사(經史)와 정치 등에 두루 통달함. 학행으로 천거되어 현릉 참봉(顯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사퇴하고 후진 양성에 힘씀.
1667~17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숙향(叔向) - 양설힐(羊舌肹)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도공(悼公)~소공(昭公) 때의 대부. 외국(外國)에 사신 가서나, 외국의 빈객을 접대할 때 응대(應對)를 잘하기로 명성이 높았음. 공자가 유직(遺直)이라고 칭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헌(叔獻) - 신경원(申景瑗)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영의정(領議政) 신경진(申景禛)의 종제(從弟). 이괄(李适)의 난 때 반군을 무찔러 진무공신(振武功臣)으로 평녕군(平寧君)에 봉해짐.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사도 부원수(四道副元帥)가 되어 항거했음.
1581~164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숙헌(叔獻)@이경 - 이경(李璥)@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이만영(李萬榮)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진주 목사(晉州牧使)로 있다가 병사함.
1538~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숙헌(叔獻)@이이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헌(肅憲)@강귀손 - 강귀손(姜龜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강희맹(姜希孟)의 아들.
1450~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숙헌(肅憲) - 강중진(康仲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류(杖流)됨.
1459~152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숙헌(肅憲)@신영희 - 신영희(辛永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영산(靈山).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으나 직산(稷山)에 은둔하여 학문에 정진함.
1442~151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직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숙헌(肅憲)@이준 - 이준(李準)@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이첨(李爾瞻)ㆍ정인홍(鄭仁弘)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유폐하는 등 정사를 어지럽히자 벼슬을 버리고 은퇴함.
1545~162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숙헌(肅獻) - 정만석(鄭晩錫)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홍경래(洪景來)의 난 때 관서위무사(關西慰撫使)로 파견되고, 평안 감사(平安監司)가 되어 홍경래 관련 죄인들의 문초를 담당함.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758~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숙현(叔賢) - 탁정위(卓廷位)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탁영(卓英)의 둘째 아들로,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숙형(叔亨)@홍석복 - 홍석복(洪碩福)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군수 홍사원(洪士源)의 아들이며 기묘명유(己卯名儒) 홍순복(洪順福)의 아우로, 1534년(중종 2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숙형(叔亨) - 조응공(趙應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선조(宣祖) 때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조원(趙瑗)의 생부로,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임천 , 인명>관인>문신
-
숙형(叔衡) - 진유경(秦有經)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기(豊基). 진호(秦浩)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숙형(淑亨) - 송숙형(宋淑亨)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훈련원 참군(訓鍊院參軍)을 지내고, 김일손(金馹孫)과 함께 김해 향약(金海鄕約)을 제정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숙홍(叔洪) - 허회(許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허변(許汴)의 아우이며, 허직(許稷)의 아버지로,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숙화(叔和) - 두무(杜撫)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 때의 문신ㆍ학자. 경백(敬伯) 등과 함께 설한(薛漢)에게 수학하고 《한시장구(韓詩章句)》를 편정하였으며, 공거령(公車令) 등을 지냄. 후에 낙향하여 1천여 명의 제자를 배출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황(淑璜) - 이숙황(李淑璜)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예빈 소윤(禮賓少尹) 이말정(李末丁)의 아들이며 이형례(李亨禮)의 아버지. 1468년(세조 14)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숙황제(肅皇帝)@세종 - 세종(世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2대 황제. 재위 1521~1566. 흥헌왕(興獻王) 주유원(朱裕元)의 맏아들로, 재임 중 도교에 심취하여 엄숭(嚴嵩) 등의 난정을 초래함.
1507~1566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숙황제(肅皇帝) - 순조(純祖)
조선 제23대 국왕. 재위 1800~1834. 형인 문효세자(文孝世子)가 일찍 죽어 1800년(정조 24) 왕세자에 책봉되고 즉위했으나, 홍경래(洪景來)의 난과 외척세력의 견제로 아들 효명세자(孝明世子)에게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시킴.
1790~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숙회(叔晦)@권위 - 권위(權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정탁(鄭琢)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했고, 해미(海美)ㆍ강진(康津)의 현감(縣監)과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숙회(叔晦) - 심환(沈煥)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심학(心學)을 주장한 육구연(陸九淵)의 문인.
1139~119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숙후(叔厚) - 배숙후(裵叔厚)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감찰(監察)을 지낸 배진(裵縉)의 아들로, 이조 정랑(吏曹正郎)ㆍ오수 찰방(鰲樹察訪)을 지냄.
?~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숙후(肅侯) - 신비(辛毗)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건의관(建議官). 문제(文帝) 때에 시중(侍中)이 되었으며 직간(直諫)을 좋아했음. 견거절함(牽裾折檻)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숙흠(叔欽) - 기효근(奇孝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고흥군(高興君) 기대유(奇大有)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남해 현령(南海縣令)으로 전함ㆍ무기를 수리하고, 원균(元均)을 따라 사천(泗川)에서 싸워 공을 세움.
1542~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ㅣ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무신
-
숙흥야매잠해(夙興夜寐箴解) - 숙흥야매잠주해(夙興夜寐箴註解)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노수신(盧守愼)이 중국 송(宋) 나라 진백(陳栢)의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주해한 책.
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도 , 문헌>서명
-
숙희(叔喜) - 이중경(李重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영부(李英符)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 여러 요직을 두루 지냄.
1517~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순(峋) - 이순(李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세조(世祖) 때 승문원 참교(承文院參校)를 지낸 이지(李墀)의 손자이자,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낸 이명규(李名珪)의 아버지. 의영고 영(義盈庫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순(循)@설순 - 설순(偰循)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설경수(偰慶壽)의 아들로, 1431년(세종 13)에 왕명으로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편수했으며, 저서에 윤회(尹淮)와 함께 저술한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가 있음.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14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循) - 이순(李循)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순(恂)@김순 - 김순(金恂)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방경(金方慶)의 넷째 아들. 1312년(충선왕 4)에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으며,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오름. 성격이 관후(寬厚)하고 예서(隷書)를 잘 썼으며, 거문고와 퉁소를 즐김.
1258~132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순(恂)@안순 - 안순(安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영흥 부사(永興府使) 안방경(安方慶)의 아버지로, 전함사 별좌(典艦司別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순(恂) - 왕순(王恂)
고려 제21대 희종(熙宗)의 손자. 아버지는 경원공(慶原公) 왕조(王祚)로, 원종(元宗)의 딸 함녕궁주(咸寧宮主)과 결혼하였고, 1279년(충렬왕 5) 일본 정벌에 쓸 전함(戰艦)을 감독함.
?~128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순(恂)@이순 - 계성군(桂城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첫 번째 서자. 숙의(淑儀) 하씨(河氏)의 소생으로, 총명하고 영특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78~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순(恂)@방순 - 방순(方恂)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방언휘(方彦暉)의 아들로, 관찰사(觀察使)와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순(恂)@채순 - 채순(蔡恂)
조선 전기의 유학.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낸 채정서(蔡呈瑞)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문사>유학
-
순(恂)@한순 - 한순(韓恂)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한백륜(韓伯倫)의 아들이자 안순왕후(安順王后)의 동생으로,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냈으나, 방자한 행동과 음란한 행위로 사림의 지탄을 받음.
?~155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恂)@권순 - 권순(權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영의정 권철(權轍)의 아들. 파주(坡州)ㆍ여주(驪州)의 목사牧使) 등을 제수받았으나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체직되었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이룸.
1536~160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관인>문신
-
순(恂)@사마순 - 사마순(司馬恂)
중국 명(明) 나라 경종(景宗) 때의 문신. 1450년(조선 세종 32) 한림원 시강(翰林院侍講) 예겸(倪謙)과 함께 경종의 즉위를 알리고자 조선에 와서 정인지(鄭麟趾) 등과 학문적 교류를 나눔.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揗) - 이순(李揗)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손자이며,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의 매제(妹弟)로, 덕성군(德城君) 이민(李敏)의 후사가 되었다가 파양(破養)됨.
1448~150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순(洵) - 김순(金洵)
조선 전기의 문신. 명천 현감(明川縣監)을 지냈으며, 임형수(林亨秀)와 칠보산(七寶山)을 유람한 내용이《금호유고(錦湖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명천 , 인명>관인>문신
-
순(洵)@정순 - 정순(鄭洵)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로, 김제 군수(金堤郡守)를 지낸 정자숙(鄭自淑)의 아들. 광주 목사(光州牧使)ㆍ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를 지냄.
1456~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순(洵)@유순 - 유순(柳洵)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에 봉해짐. 시부(詩賦)에 뛰어나 《연주시격(聯珠詩格)》을 한글로 번역하고, 의학ㆍ지리학에도 조예가 깊음.
1441~151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洵)@양순 - 양순(梁洵)
통일신라 신문왕(神文王) 때의 문신. 제주양씨(濟州梁氏)의 중시조(中始祖).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순(淳) - 구순(具淳)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구희경(具希璟)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통진 현감(行通津縣監)을 지냄.
1507~155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순(淳)@함순 - 함순(咸淳)
고려 후기의 문신ㆍ문인.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낸 함유일(咸有一)의 아들. 문헌공도(文憲公徒) 출신으로, 급제 후 최충헌(崔忠獻) 정권에서 한직에 머무르다가, 이인로(李仁老) 등과 강좌칠현(江左七賢)을 조직하여 시주(詩酒)를 일삼고 청담(淸談)을 즐김.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순(淳)@고순 - 고순(高淳)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인. 본관은 제주(濟州). 남효온(南孝溫), 신영희(辛永禧) 등과 교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문사>문인
-
순(淳)@유순 - 유순(柳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밀직사사(密直司使) 유언침(柳彦琛)의 아들로,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냈음.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순(淳)@1530 - 이순(李淳)@153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철성(鐵城). 이언명(李彦明)의 아들이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모장(召募將)으로 의병을 모집하여 왜적과 싸움.
1530~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
-
순(淳)@1442 - 이순(李淳)@1442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셋째 아들이며, 덕림군(德林君) 이자(李孜)의 아버지.
1442~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순(淳)@박순 - 박순(朴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충주(忠州).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내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교유하였으나, 서인(西人)으로 지목되어 탄핵을 받고 영평(永平) 백운산(白雲山)에 은거함.
1523~158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영평 , 인명>관인>문신
-
순(焞) - 강순(姜焞)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금천(衿川). 소현세자빈(昭顯世子嬪)의 아버지 강석기(姜碩期)의 양부로,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순(珣)@곽순 - 곽순(郭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호조 좌랑ㆍ진보 현감(眞寶縣監)ㆍ봉상시 정ㆍ사간 등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조광조(趙光祖)의 신원을 상소함.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502~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순(珣)@윤순 - 윤순(尹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계겸(尹繼謙)의 아들로,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순(珣)@전순 - 전순(田珣)
고려 후기의 유학. 시에 뛰어나 이규보(李奎報)와 함께 시를 수창(酬唱)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순(珣)@우순 - 우순(禹珣)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엄흔(嚴昕) 등과 죽마계(竹馬契)를 만들어 서로 숙식을 함께 하며 교유했던 일이 《십성당집(十省堂集)》에 실려 있음.
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순(珣) - 왕순(王珣)@고려
고려 후기의 종친.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왕온(王昷)의 맏아들로,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사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순(珣)@배순 - 배순(裵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배임(裵任)의 아버지로, 전의감 겸 교수(典醫監兼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순(純)@강순 - 강순(康純)
조선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의주 목사(義州牧使)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남이(南怡)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됨. 순조(純祖) 때 복관(復官)됨.
1390~14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순(純)@윤순 - 윤순(尹純)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태상부 녹사(太常府錄事) 윤복원(尹復元)의 아들이며,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보(尹珤)의 아버지로, 감찰어사(監察御史)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순(純)@서순 - 서순(徐純)
고려 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판장작감사(判將作監事) 서균(徐鈞)의 아들로, 1170년(의종 24)의 무신란(武臣亂) 때 피살됨.
?~117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순(純)@조선전기 - 이순(李純)@조선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성혼(成渾)ㆍ이위빈(李渭濱)ㆍ김경삼(金景參)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순(純)@조순 - 조순(曺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보문각 태학사(寶文閣太學士)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순(純)@안순 - 안순(安純)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조선의 개국공신 안경공(安景恭)의 아들로, 판호조사(判戶曹事)ㆍ의정부 찬성사(議政府贊成事) 등을 지냈으며 국가 재정 관리에 뛰어나 명성을 얻음.
1371~144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