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순(純)@강순 - 강순(康純)
조선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의주 목사(義州牧使)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남이(南怡)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됨. 순조(純祖) 때 복관(復官)됨.
1390~14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순(純)@강순 - 강순(康純)
조선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의주 목사(義州牧使)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남이(南怡)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됨. 순조(純祖) 때 복관(復官)됨.
1390~14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순(純)@이형문의아들 - 이순(李純)@이형문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산(德山). 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학문으로 이름이 높아 김안국(金安國)ㆍ이황(李滉)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덕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純)@송순 - 송순(宋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냈으며, 면앙정가단(俛仰亭歌壇)의 창설자이자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선구자로서, 조선 시가문학(詩歌文學)에 크게 기여함.
1493~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순(純) - 민순(閔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驪興). 신광한(申光漢)ㆍ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향리에서 후진 교육에 힘씀.
151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舜)@조순 - 조순(趙舜)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조려(趙旅)의 손자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냄.
1467~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순(詢)@이승건의아들 - 이순(李詢)@이승건의아들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우봉(牛峰)으로, 예조 판서(禮曹判書) 이승건(李承健)의 아들이며 이지충(李之忠)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문사>유학
-
순(詢)@성순 - 성순(成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성세형(成世亨)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순(詢)@이호의아들 - 이순(李詢)@이호의아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종친. 세종(世宗)의 세 번째 서자인 의창군(義昌君) 이공(李玒)의 손자이며, 사산군(蛇山君) 이호(李灝)의 아들.
1465~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순(詢) - 구양순(歐陽詢)
중국 수(隨) 양제(煬帝)~당(唐)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당 고조(高祖)가 즉위한 후에 급사중(給事中)으로 발탁되고, 태자솔경령(太子率更令)ㆍ홍문관 학사(弘文館學士)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사람들로부터 해법(楷法)의 극칙(極則)이라 하여 칭송됨.
557~64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순(諄) - 이순(李諄)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증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순(錞) - 성순(成錞)
조선 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넷째 아들로, 학문을 연마하고 하홍도(河弘度)와 교류함.
1590~16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순(順)@김순 - 김순(金順)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김녕(金寧). 판도 판서(版圖判書) 김광저(金光儲)의 아들로, 고려 때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조선이 개국되자 벼슬에서 물러나 충북 옥천(沃川)에 정자를 짓고 망국의 한을 달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문신
-
순(順)@최순 - 최순(崔順)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화순(和順).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최제안(崔濟安)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문사>유학
-
순(順) - 기순(祁順)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476년(조선 성종 7) 조선에 사신으로 왔을 때 접반사(接伴使)로 나간 서거정(徐居正)과 시를 수창하고 서거정의 시재를 높이 평가함. 호부 낭중(戶部郞中)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원^고경(巡^遠^杲卿) - 장^허^고경(張^許^杲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인 장순(張巡)ㆍ허원(許遠)ㆍ안고경(顔杲卿)을 함께 부르는 말.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진압하다가 모두 죽임을 당함.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순가팔룡(荀家八龍) - 순씨팔룡(荀氏八龍)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인 순숙(荀淑)의 여덟 명의 아들, 순검(荀儉)ㆍ순곤(荀緄)ㆍ순정(荀靖)ㆍ순도(荀燾)ㆍ순왕(荀汪)ㆍ순상(荀爽)ㆍ순숙(荀肅)ㆍ순전(荀專)이 모두 훌륭했기 때문에 함께 부르는 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순강(鶉江) - 순자강(鶉子江)
전라남도 곡성(谷城)에 있는 강. 섬진강(蟾津江)의 상류로 자연 경관이 빼어남.
전라도>곡성 , 지명>자연지명
-
순갱노회(蓴羹鱸膾)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순거(舜擧)@김팔원 - 김팔원(金八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예조 좌랑(禮曹佐郞)ㆍ용궁 현감(龍宮縣監) 등을 지냄.
1524~158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순거(舜擧)@윤순거 - 윤순거(尹舜擧)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혼(成渾)의 외손자이자 윤황(尹煌)의 아들로, 백부인 윤수(尹燧)에게 출계함. 성문준(成文濬)ㆍ강항(姜沆)ㆍ김장생(金長生)에게 수학하였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1596~166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거(舜擧) - 유여해(兪汝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기창(兪起昌)의 아들로, 군기시 판관(軍器寺判官)을 지냄.
1461~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순경(舜卿)@목서흠 - 목서흠(睦敍欽)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목첨(睦詹)의 아들이며, 목겸선(睦兼善)의 아버지.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仁祖)를 남한산성에서 호종(護從)함.
1572~165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
-
순경(舜卿)@조치우 - 조치우(曺致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군수(郡守) 조말손(曺末孫)의 아들로,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청렴하고 효행이 뛰어나 왕으로부터 《소학(小學)》과 옥비(玉碑)를 하사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순경(舜卿)@이효독 - 이효독(李孝篤)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할머니가 종환(腫患)으로 고생할 때 먼저 지렁이 즙을 맛볼 정도로 효성이 지극했으며,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ㆍ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역임함.
145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순경(舜卿)@박여룡 - 박여룡(朴汝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면천(沔川)으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 때 행재소(行在所)를 호위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1605년(선조 38) 선무 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41~161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경(舜卿)@위시량 - 위시량(魏時亮)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목종(穆宗) 때의 문신ㆍ학자. 1567년 목종이 등극하였을 때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으로서 한림 검토(翰林檢討) 허국(許國)과 함께 반조(頒詔)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옴. 저서에 《대유학수(大儒學粹)》 등이 있음.
1529~159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경(舜卿) - 김효로(金孝盧)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김회(金淮)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54~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ㅣ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순경(舜卿)@황순경 - 황순경(黃舜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유학 황린(黃璘)의 아버지로, 자산 군수(慈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순경(舜卿)@홍영수 - 홍영수(洪永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고령 현감(高靈縣監)을 역임하였으며, 김일손(金馹孫)의 《탁영집(濯纓集)》 〈금란계록(金蘭契錄)〉에 이름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순경(荀卿) - 순황(荀況)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해 유자(儒者)들의 비판을 받았고, 강력한 예치주의(禮治主義)를 주장함.
B.C.298~B.C.23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순경(順卿)@김뉴 - 김뉴(金紐)@1527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손자. 민구령(閔九齡)의 문인(門人)으로 별제(別提)를 지냈으며, 합천(陜川)의 신천서원(新川書院)에 배향됨.
1527~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경(順卿)@이존오 - 이존오(李存吾)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우정언(右正言)이 되어 신돈(辛旽)의 횡포를 탄핵하다가 좌천되고, 공주(公州)의 석탄(石灘)에서 은거하던 중 울분으로 병이 나서 죽음. 정몽주(鄭夢周)ㆍ박상충(朴尙衷) 등과 교분이 두터웠음.
1341~137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순경(順卿) - 김맹화(金孟和)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관련 시편(詩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순경(順卿)@김제신 - 김제신(金悌臣)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연산군 때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하고,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김종직(金宗直)의 처형을 주장함.
1438~149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순경(順卿)@윤지화 - 윤지화(尹之和)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으로, 폐비 윤씨(廢妃尹氏)의 당질(堂姪).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내고, 당시 문장으로 유명한 눌재(訥齋) 박상(朴祥)ㆍ하천(霞川) 고운(高雲) 등과 시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순경(順徑) - 심순경(沈順徑)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송(靑松).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을 역임하였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청성군(靑城君)에 봉해지고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62~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순경자(荀卿子) - 순황(荀況)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해 유자(儒者)들의 비판을 받았고, 강력한 예치주의(禮治主義)를 주장함.
B.C.298~B.C.23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순계(順季) - 탁순계(卓順季)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성균관 진사(成均館進士) 탁문상(卓文尙)의 넷째 아들이며, 탁순창(卓順昌)ㆍ탁순달(卓順達)ㆍ탁순맹(卓順孟)의 동생.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순계군(順溪君) - 안세복(安世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70년(선조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풍저창 직장(豊儲倉直長)을 지내고, 순계군(順溪君)에 봉해짐.
1541~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충청도>예산 , 인명>관인>문신
-
순고(舜皐) - 김순고(金舜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김승주(金承霔)의 후손으로, 수군의 전비(戰備)에 관심이 높아 최초로 전선(戰船)의 수미에 포(砲)를 비치하게 함.
1489~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순공(純公) - 정호(程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 정향(程珦)의 아들로, 아우 정이(程頤)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 나라 이학(理學)의 기초를 마련함.
1032~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공(郇公) - 위척(韋陟)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문사(文辭)에 능해 순공(郇公)에 봉해짐. 오채전(五采牋)에 서찰(書札)을 쓸 때, 시첩(侍妾)에게 대신 쓰게 하고 자신은 서명(署名)만 한 데서 오운체(五雲體)가 유래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순공(順公) - 동암(同菴)
고려 후기의 승려. 경기도 여주(驪州) 신륵사(神勒寺) 대장각(大藏閣)의 공사를 감독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종교인>승려
-
순공오운체(郇公五雲體) - 오운체(五雲體)
아름다운 서체(書體)를 뜻함.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인 위척(韋陟)이 서찰(書札)을 쓸 때 시첩(侍妾)에게 쓰도록 모두 맡기고 자신은 서명(署名)만 하였는데, 그렇게 스스로 쓴 이름이 오색 구름처럼 아름답다고 자칭한 데서 온 말임.
중국>당 , 중국 , 사상>기법>방법
-
순국공(郇國公) - 위척(韋陟)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문사(文辭)에 능해 순공(郇公)에 봉해짐. 오채전(五采牋)에 서찰(書札)을 쓸 때, 시첩(侍妾)에게 대신 쓰게 하고 자신은 서명(署名)만 한 데서 오운체(五雲體)가 유래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순년(順年) - 송순년(宋順年)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계사(宋繼祀)의 아들이며, 헌납(獻納) 송여해(宋汝諧)의 아버지로, 1469년(예종 1) 추장시(秋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순녕군(順寧君) - 이경검(李景儉)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증손이며, 해풍군(海豊君) 이기(李耆)의 아들. 선조(宣祖) 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계축화옥(癸丑禍獄)에 연루되어 무림군(茂林君) 이선윤(李善胤)과 함께 원지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가 적소에서 죽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순달(順達) - 탁순달(卓順達)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성균관 진사(成均館進士) 탁문상(卓文尙)의 둘째 아들이고, 탁순창(卓順昌)의 동생이며, 탁순맹(卓順孟)ㆍ탁순계(卓順季)의 형.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순덕(醇德) - 국미록(麴美祿)
술의 다른 이름. 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崔演)이 지은 가전(假傳) 〈국수재전(麴秀才傳)〉의 주인공. 국매(麴酶)와 곡숙현 미씨(穀熟縣米氏) 사이에 태어나 임금의 총애를 얻어 황봉(黃封)의 호를 받았으나, 신하들의 무함(誣陷)으로 주천후(酒泉侯)에 봉해져 은둔함.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순덕(順德) - 정안왕후(定安王后)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비. 판예빈시사(判禮賓寺事) 김천서(金天瑞)의 딸로 정종이 즉위하면서 덕비(德妃)에 진봉(進封)되었고, 정종(定宗)이 태종(太宗)에게 전위하고 상왕(上王)이 되자 순덕왕대비(順德王大妃)의 존호를 가상(加上)받았음.
1355~141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순도(純道) - 이순도(李純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이황(李滉)의 손자로, 조목(趙穆) 등에게 수학하고 학문에 전심하였으나, 친상(親喪)의 거상중에 병으로 죽음.
1554~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
-
순동(順洞) - 이동(伊洞)
경상도 안동(安東) 천사(川沙)에 있는 고을 이름. 이황(李滉)이 제자인 이덕홍(李德弘)과 함께 자주 갔던 곳.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순량(純良) - 민순량(閔純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봉선전 참봉(奉先殿參奉) 민구(閔球)의 아들이며, 병조 참판(兵曹參判) 민준(閔濬)의 아버지로, 1528년(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개령 현감(開寧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순령군(荀令君) - 순욱(荀彧)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순가팔룡(荀家八龍) 중 한 명인 순곤(荀緄)의 아들로 조조(曹操)를 도와 패업을 이룩하였으나, 위왕(魏王)이 되려는 조조의 속셈을 반대하다가 미움을 사 자결함.
163~21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룡(荀龍)@순씨팔룡 - 순씨팔룡(荀氏八龍)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인 순숙(荀淑)의 여덟 명의 아들, 순검(荀儉)ㆍ순곤(荀緄)ㆍ순정(荀靖)ㆍ순도(荀燾)ㆍ순왕(荀汪)ㆍ순상(荀爽)ㆍ순숙(荀肅)ㆍ순전(荀專)이 모두 훌륭했기 때문에 함께 부르는 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순룡(荀龍) - 여상(余爽)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세상에 굽히지 않는 강직한 성품으로 정사를 돌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릉(淳陵) - 효원황후(孝元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추존(追尊) 왕비. 영제(靈帝)의 조모(祖母)이며 효원황(孝元皇)의 아내로, 영제가 즉위하자 효원후(孝元后)로 추존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순릉(純陵) - 경순왕후(敬順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조부인 도조(度祖) 이춘(李椿)의 비(妃).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문천 , 인명>왕실>왕비
-
순릉(順陵) - 공혜왕후(恭惠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비(妃). 본관은 청주(淸州)로, 영의정 한명회(韓明澮)의 딸.
1456~14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순릉(順陵)@혜종 - 혜종(惠宗)
고려 제2대 왕. 재위 943~945. 태조(太祖)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장화왕후(莊和王后). 지용(智勇)이 뛰어나 후백제(後百濟)를 칠 때 큰 공을 세웠으나, 즉위 후에는 왕권이 미약하여 왕규(王規)에게 암살 위협을 당하기도 함.
914~94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순리(笋鯉) - 설순빙리(雪筍冰鯉)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맹종(孟宗)이 눈 속에서 죽순(竹筍)을 구한 일과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왕상(王祥)이 얼음을 녹여 잉어를 얻은 일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지극한 효성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순리(筍鯉) - 설순빙리(雪筍冰鯉)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맹종(孟宗)이 눈 속에서 죽순(竹筍)을 구한 일과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왕상(王祥)이 얼음을 녹여 잉어를 얻은 일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지극한 효성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순맹(順孟) - 탁순맹(卓順孟)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성균관 진사(成均館進士) 탁문상(卓文尙)의 셋째 아들이고, 탁순창(卓順昌)ㆍ탁순달(卓順達)의 동생이며, 탁순계(卓順季)의 형.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순명(順命) - 김순명(金順命)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길통(金吉通)의 아들.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훈되었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냈으며, 청릉군(淸陵君)에 봉해짐.
143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묘(純廟) - 순조(純祖)
조선 제23대 국왕. 재위 1800~1834. 형인 문효세자(文孝世子)가 일찍 죽어 1800년(정조 24) 왕세자에 책봉되고 즉위했으나, 홍경래(洪景來)의 난과 외척세력의 견제로 아들 효명세자(孝明世子)에게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시킴.
1790~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순문(順門) - 심순문(沈順門)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성품이 강직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자주 직언하였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참수됨. 중종 때 복관(復官)됨.
1465~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순문약(荀文若) - 순욱(荀彧)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순가팔룡(荀家八龍) 중 한 명인 순곤(荀緄)의 아들로 조조(曹操)를 도와 패업을 이룩하였으나, 위왕(魏王)이 되려는 조조의 속셈을 반대하다가 미움을 사 자결함.
163~21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미(洵美) - 마수(馬燧)
중국 당(唐) 대종(代宗)~덕종(德宗) 때의 장수. 이영요(李靈耀)의 난을 평정하였음.
729~79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순민(舜民) - 이순민(李舜民)
조선 전기의 종친. 전중(殿中)을 지낸 윤홍언(尹弘彦)의 장인으로, 장림수(長臨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순민(舜民)@남순민 - 남순민(南舜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충청도 수군절도사 남효원(南孝元)의 아들. 독서를 즐겨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으며 역학(易學)에 정통했음.
1484~15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순보(淳父) - 범조우(范祖禹)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역사가. 사마광(司馬光)과 함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기술하고, 당(唐) 나라의 역사 비평서인 《당감(唐鑑)》을 저술함.
1041~10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보(淳甫) - 범조우(范祖禹)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역사가. 사마광(司馬光)과 함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기술하고, 당(唐) 나라의 역사 비평서인 《당감(唐鑑)》을 저술함.
1041~10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보(淳甫)@이교연 - 이교연(李皎然)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선(李旋)의 아들로,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의 주요 관직을 지냄.
1413~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보(淳甫)@이보정 - 이보정(李補丁)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백겸(李伯謙)의 아들로, 1420년(세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순보(醇甫) - 이순도(李純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이황(李滉)의 손자로, 조목(趙穆) 등에게 수학하고 학문에 전심하였으나, 친상(親喪)의 거상중에 병으로 죽음.
1554~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
-
순보(順甫)@유순보 - 유순보(柳順甫)
조선 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순보(順甫) - 조석문(曺錫文)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관찰사를 지낸 조항(曺沆)의 아들. 노사신(盧思愼)과 함께 《북정록(北征錄)》을 편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13~14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보(順甫)@신지제 - 신지제(申之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아주(鵝洲). 창원 부사(昌原府使)로 있을 때 명화적(明火賊)을 토평하고 민심을 안정시켜 그 공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순복(順福) - 홍순복(洪順福)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홍석복(洪碩福)의 형이고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 때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대궐문을 막고 저항하였다가 이듬해 이신(李信)의 밀고로 붙잡혀 사사됨.
1492~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순부(淳夫) - 범조우(范祖禹)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역사가. 사마광(司馬光)과 함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기술하고, 당(唐) 나라의 역사 비평서인 《당감(唐鑑)》을 저술함.
1041~10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부(淳夫)@정희량 - 정희량(鄭希良)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부사(府使) 정연경(鄭延慶)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 승문원(承文院)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 등을 지내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됨.
146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순부(淳夫)@완문질 - 완문질(阮文質)
베트남 여조(黎朝) 때의 문신. 명(明) 헌종(憲宗) 때 하절사(賀節使)로 중국을 방문해 조선의 사신(使臣) 홍귀달(洪貴達)과 교유함.
중국>명 , 기타지역 , 인명>관인>문신
-
순부(純夫)@최성지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부(純夫)@유숙 - 유숙(柳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 일당을 제거한 공으로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고,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충근절의찬화공신(忠勤節義贊化功臣)이 된 뒤 서령군(瑞寧君)에 봉해짐.
1324~136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덕산ㅣ전라도>영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부(純夫) - 양성지(梁誠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집현전(集賢殿)의 부수찬ㆍ교리를 거쳐 이조 판서(吏曹判書)ㆍ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고려사(高麗史)》ㆍ《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을 편찬함.
1415~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부(純父) - 홍숙(洪淑)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홍서주(洪敍疇)의 아버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추성정난공신(推誠定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작서지변(灼鼠之變)에 연루되어 삭직된 뒤 과천(果川)으로 추방됨.
1464~153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붕(順朋) - 정순붕(鄭順朋)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을사사화 때 소윤(小尹)으로서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적극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까지 올랐으나, 선조(宣祖) 때 관작이 모두 추탈(追奪)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비(順妃) - 순비허씨(順妃許氏)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의 제6비. 공암허씨(孔巖許氏)로 첨의중찬(僉議中贊) 허공(許珙)의 딸. 평양공(平陽公) 왕현(王眩)에게 출가하여 3남 4녀를 낳고 사별한 후, 충선왕에게 재가함. 충선왕과의 사이에는 자녀가 없음.
1271~133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순생(順生) - 조순생(趙順生)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개국공신(開國功臣) 조인옥(趙仁沃)의 손자로, 병조 참의(兵曹參議)를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일파로 몰려 죽음.
?~14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순생(順生)@이순생 - 이순생(李順生)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합천(陜川)으로,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이윤검(李允儉)의 아버지. 학문을 좋아했으나 벼슬하지 않고, 후에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문인
-
순서(舜瑞) - 어유봉(魚有鳳)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1722년(경종 2) 신임사화(申壬士禍) 때 김창협이 화를 당하자 유생들과 함께 변호하다가 파직됨. 세자시강원 찬선(世子侍講院贊善)을 지내고, 저서로 《기원집(杞園集)》 등이 있음.
1672~17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순석(順石) - 양순석(梁順石)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상호군(上護軍) 정효충(鄭孝忠)의 사위로,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순선(順善) - 유순선(柳順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호조 참판(戶曹參判) 유유(柳柔)의 아들이며, 유종선(柳從善)의 형으로,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ㆍ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16~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순선당(順善堂) - 운수(雲叟)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승려. 계룡산(鷄龍山) 가섭암(迦葉菴)을 중창(重創)했으며, 그 전말이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순성(蓴城) - 태안(泰安)
충청남도 태안반도(泰安半島)의 중간에 위치한 고을 이름.
충청도>태안 , 지명>행정지명
-
순성(順聖)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순성(順誠) - 김순성(金順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공조 참판(工曹參判) 김굉(金硡)의 아버지로, 평양 서윤(平壤庶尹)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순성군(順城君)@박이검 - 박이검(朴而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형 박이온(朴而溫)과 함께 공을 세워 순성군(順城君)의 작위(爵位)를 받았으며, 벼슬은 공조 판서(工曹判書)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성군(順城君)@이애 - 이개(李𧪚)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첫째 아들.
?~14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