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순성군(順城君) - 안원숭(安元崇)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정당문학(政堂文學)ㆍ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 요직(要職)을 지내고, 순성군(順城君)에 봉해짐.
130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순성군(順成君) - 이개(李𧪚)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첫째 아들.
?~14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순성령(順成令) - 이길(李佶)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단천부정(丹川副正) 이수곤(李壽鵾)의 첫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佐理功臣) - 좌리공신(佐理功臣)
조선 성종(成宗) 2년에 왕을 잘 보필하였다는 공으로 내린 훈호(勳號). 네 등급으로 나누어 신숙주(申叔舟)ㆍ한명회(韓明澮) 등 총 75명에게 내렸으나, 후에 훈구(勳舊) 세력들이 정치권력을 독점하는 부작용을 초래함.
1471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 - 좌리공신(佐理功臣)
조선 성종(成宗) 2년에 왕을 잘 보필하였다는 공으로 내린 훈호(勳號). 네 등급으로 나누어 신숙주(申叔舟)ㆍ한명회(韓明澮) 등 총 75명에게 내렸으나, 후에 훈구(勳舊) 세력들이 정치권력을 독점하는 부작용을 초래함.
1471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순성명량좌리공신(純誠明亮佐理功臣) - 좌리공신(佐理功臣)
조선 성종(成宗) 2년에 왕을 잘 보필하였다는 공으로 내린 훈호(勳號). 네 등급으로 나누어 신숙주(申叔舟)ㆍ한명회(韓明澮) 등 총 75명에게 내렸으나, 후에 훈구(勳舊) 세력들이 정치권력을 독점하는 부작용을 초래함.
1471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순성좌리공신(純誠佐理功臣) - 좌리공신(佐理功臣)
조선 성종(成宗) 2년에 왕을 잘 보필하였다는 공으로 내린 훈호(勳號). 네 등급으로 나누어 신숙주(申叔舟)ㆍ한명회(韓明澮) 등 총 75명에게 내렸으나, 후에 훈구(勳舊) 세력들이 정치권력을 독점하는 부작용을 초래함.
1471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순손(淳孫) - 이순도(李純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이황(李滉)의 손자로, 조목(趙穆) 등에게 수학하고 학문에 전심하였으나, 친상(親喪)의 거상중에 병으로 죽음.
1554~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
-
순손(順孫)@장순손 - 장순손(張順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485년(성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권신 김안로(金安老)의 일파가 되어 벼슬했다는 비난을 받음.
1453~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순손(順孫) - 민순손(閔順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통선랑(通善郞) 민화(閔和)의 아들로, 1447년(세종 29) 친시(親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인(舍人)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순손(順孫)@조순손 - 조순손(趙順孫)
중국 송(宋)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부 상서(吏部尙書)ㆍ참지정사(參知政事)를 역임했으며, 《사서찬소(四書纂疏)》를 지음.
1215~12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수(淳叟)@윤선좌 - 윤선좌(尹宣佐)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1322년(충숙왕 9)에 권한공(權漢功)ㆍ채홍철(蔡洪哲) 등이 왕을 폐하고 심왕 고(瀋王暠)를 대신 세우려 하자 그 계획을 좌절시킴.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내고, 문장이 뛰어나 당대 표전(表箋)을 많이 지음.
1265~134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순수(淳叟) - 유요부(劉堯夫)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육구연(陸九淵)의 제자. 주희(朱熹)를 만난 자리에서 육구연의 학문을 비난하다가 주희에게 비난받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순수(順壽) - 이순수(李順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유언(李幼彦)의 아들이며, 능평군(綾平君) 구희경(具希璟)의 사위로, 군기시 정(軍器寺正) 등을 지냄.
150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순숙팔룡(荀淑八龍) - 순씨팔룡(荀氏八龍)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인 순숙(荀淑)의 여덟 명의 아들, 순검(荀儉)ㆍ순곤(荀緄)ㆍ순정(荀靖)ㆍ순도(荀燾)ㆍ순왕(荀汪)ㆍ순상(荀爽)ㆍ순숙(荀肅)ㆍ순전(荀專)이 모두 훌륭했기 때문에 함께 부르는 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순신(舜臣) - 이순신(李舜臣)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로서 임진왜란 때 여러 해전에서 연전연승을 거두었으나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전사함.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시문(詩文)에도 능하여 《난중일기(亂中日記)》등의 저서를 남김.
1545~159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순안(順安)@榮川 - 영천(榮川)@경상도
경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안동(安東), 서쪽으로 풍기(豐基)와 접해 있음. 현재는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경상도>영천(榮川) , 지명>행정지명
-
순안(順安) - 순흥(順興)
경상도 영천(榮川)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초기에는 도호부(都護府)였으나, 세조(世祖) 때 부사(府使) 이보흠(李甫欽)이 단종복위사건에 연루되어 폐부됨.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지명>자연지명
-
순안공(順安公) - 왕종(王琮)
고려 원종(元宗)의 아들. 내시 양선(梁善) 등으로부터 어머니인 경창궁주(慶昌宮主)와 함께 맹인 중 종동(終同)을 시켜 충렬왕을 저주한다는 무고를 받고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순안후(順安侯) - 왕종(王琮)
고려 원종(元宗)의 아들. 내시 양선(梁善) 등으로부터 어머니인 경창궁주(慶昌宮主)와 함께 맹인 중 종동(終同)을 시켜 충렬왕을 저주한다는 무고를 받고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순암(順庵) - 안정복(安鼎福)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익(李瀷)의 문인으로, 실학(實學)을 연구하여 역사지리학(歷史地理學)을 세밀히 고증한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저술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암(順庵)@정윤희 - 정윤희(丁胤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좌찬성을 지낸 정응두(丁應斗)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인. 문장이 뛰어났고, 특히 사륙문(四六文)에 능하여 홍문관(弘文館)과 예문관(藝文館)의 서책을 많이 찬술하였음.
1531~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순암(順菴)@안정복 - 안정복(安鼎福)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익(李瀷)의 문인으로, 실학(實學)을 연구하여 역사지리학(歷史地理學)을 세밀히 고증한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저술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암(順菴) - 의선(義旋)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로, 무외국사(無畏國師)에게 법(法)을 받고 원(元) 나라에 건너가 천원(天源) 연성사(延聖寺)의 주지로 있으면서, 본국 영원사(瑩原寺)의 주지를 겸함.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종교인>승려
-
순양(純陽)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순양군(順陽君) - 안몽윤(安夢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임진왜란 때 왜군을 토벌하였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군량보급에 힘쓰고 서울 안현(鞍峴) 전투에서 공을 세워 순양군(順陽君)에 봉해짐.
1571~165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순양부원군(順陽府院君) - 안몽윤(安夢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임진왜란 때 왜군을 토벌하였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군량보급에 힘쓰고 서울 안현(鞍峴) 전투에서 공을 세워 순양군(順陽君)에 봉해짐.
1571~165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순양자(純陽子)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순양조사(純陽祖師)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순어(筍魚) - 설순빙리(雪筍冰鯉)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맹종(孟宗)이 눈 속에서 죽순(竹筍)을 구한 일과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왕상(王祥)이 얼음을 녹여 잉어를 얻은 일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지극한 효성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순여(恂如) - 사마순(司馬恂)
중국 명(明) 나라 경종(景宗) 때의 문신. 1450년(조선 세종 32) 한림원 시강(翰林院侍講) 예겸(倪謙)과 함께 경종의 즉위를 알리고자 조선에 와서 정인지(鄭麟趾) 등과 학문적 교류를 나눔.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영(舜英)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순왕(順王) - 순종(順宗)@고려
고려 제12대 국왕. 재위 1083~1083. 1054년(문종 8) 왕태자(王太子)에 책봉되고, 문종(文宗)이 죽자 즉위하나 그해에 죽음.
1046~108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순요(荀瑤) - 지백(智伯)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경(卿). 조양자(趙襄子)를 공격하려다가, 조(趙)ㆍ한(韓)ㆍ위(魏)의 연합군에게 멸망당함.
?~B.C.45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순우(純祐) - 정순우(鄭純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강서 현령(江西縣令)을 지낸 정한룡(鄭漢龍)의 아들.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천안 군수(天安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순우(荀虞) - 순언(荀偃)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난서(欒書)와 함께 여공(厲公)을 시해하고 망명해 있던 도공(悼公)을 영립(迎立)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순우녀(淳于女) - 제영(緹縈)
중국 후한(後漢) 때의 효녀. 태창공(太倉公) 순우의(淳于意)의 딸로, 아버지가 죄를 짓자 자신을 관비(官婢)로 삼고 아버지의 죄를 없애 줄 것을 상서(上書)하여 문제(文帝)가 면죄해 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순원(順源) - 유순원(柳順源)
조전 전기의 문신. 《모재집(慕齋集)》에 〈유생원순원자진림정(柳生員順源子晉林亭)〉 등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순원군(順原君) - 이개(李𧪚)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첫째 아들.
?~14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순원위(淳原尉) - 조의정(趙義貞)
조선 제11대 중중(中宗)의 부마. 본관은 순창(淳昌). 부사(府使)를 지낸 조침(趙琛)의 아들로, 숙의이씨(淑儀李氏)의 소생인 효정옹주(孝靜翁主)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왕실>인척
-
순원현경(順元顯敬) - 신덕왕후(神德王后)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계비(繼妃). 본관은 신천(信川). 상산부원군(象山府院君) 강윤성(康允成)의 딸로, 태조가 즉위하자 현비(顯妃)에 책봉됨.
?~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포천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순은(醇隱) - 신덕린(申德隣)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서화가. 본관은 고령(高靈). 해서(楷書)ㆍ초서(草書)ㆍ예서(隷書)에 능하며, 특히 예서의 한 종류인 팔분체(八分體)의 필체가 독특하여 당시 사람들이 덕린체(德隣體)라고 부름.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 등과 교유하고, 고려 멸망 후 광주(光州)에서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순의(循義) - 전순의(全循義)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의관(醫官). 1445년(세종 27) 세종의 명에 따라 《의방유취(醫方類聚)》의 편찬에 참여했으며, 1460년(세조 6년) 세조의 명으로 《식료찬요(食療撰要)》를 편찬함. 전의감 정(典醫監正)ㆍ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안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관인>문신
-
순의(舜儀) - 악소봉(樂韶鳳)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 시강학사(侍講學士)를 지냈으며 송렴(宋濂) 등과 함께 《홍무정운(洪武正韻)》을 편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의(順義) - 김순의(金順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제(金堤). 태재(泰齋) 유방선(柳方善)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유학
-
순익(舜翼) - 유순익(柳舜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궁궐 호위를 완화시키는 임무를 수행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청천군(菁川君)에 봉해짐.
1559~163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인(純仁)@탁순인 - 탁순인(卓純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훈도(訓導)를 지낸 탁연(卓淵)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순인(純仁)@정순인 - 정순인(鄭純仁)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청도 군수(淸道郡守) 정찬우(鄭纘禹)의 아들이며, 진사(進士) 정경(鄭褧)의 아버지로,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순인(純仁) - 범순인(范純仁)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사마광(司馬光)과 같은 보수파였지만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 중 일부 합리적인 것은 수용하는 등 유연한 자세를 견지함.
102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인(純仁)@이순인 - 이순인(李純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이이(李珥) 등과 교유하였으며, 특히 문장에 뛰어나 당시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림. 광해군(光海君)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자(荀子)@순황 - 순황(荀況)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해 유자(儒者)들의 비판을 받았고, 강력한 예치주의(禮治主義)를 주장함.
B.C.298~B.C.23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순작(純爵) - 최순작(崔純爵)
고려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평장사(平章事)를 지내고 완산백(完山伯)에 봉해졌음.
?~1108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순재(純齋)@김홍업 - 김홍업(金弘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임진왜란이 일어나 의병을 모집하는 박광전(朴光前)을 찾아간 사실이《죽천집(竹川集)》에 전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순재(純齋) - 순조(純祖)
조선 제23대 국왕. 재위 1800~1834. 형인 문효세자(文孝世子)가 일찍 죽어 1800년(정조 24) 왕세자에 책봉되고 즉위했으나, 홍경래(洪景來)의 난과 외척세력의 견제로 아들 효명세자(孝明世子)에게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시킴.
1790~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순정(順丁) - 이순정(李順丁)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순정(順政) - 순흥(順興)
경상도 영천(榮川)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초기에는 도호부(都護府)였으나, 세조(世祖) 때 부사(府使) 이보흠(李甫欽)이 단종복위사건에 연루되어 폐부됨.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지명>자연지명
-
순정(順汀) - 유순정(柳順汀)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해 정국공신(靖國功臣) 청천부원군(菁川府院君)에 봉해짐. 경오왜변(庚午倭變) 때 병사를 총괄하고 삼포(三浦)의 난을 평정함.
1459~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정(順貞) - 김순정(金順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공조 참판(工曹參判) 김양진(金楊震)의 아들로, 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순정군(順正君) - 왕숙(王璹)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종친. 현종(顯宗)의 11대손으로, 원(元) 나라 궁정의 세력을 믿고 많은 불법을 저질렀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순정대군(順正大君) - 왕숙(王璹)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종친. 현종(顯宗)의 11대손으로, 원(元) 나라 궁정의 세력을 믿고 많은 불법을 저질렀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순조(順祖)@성순조 - 성순조(成順祖)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성엄(成揜)의 아들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순조(順祖)@원순조 - 원순조(元順祖)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음서(蔭敍)로 충순위(忠順衛)가 되었고 보공장군(保功將軍)에 이르렀으나,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치사하고 물러남.
1469~153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순조(順祖)@설순조 - 설순조(薛順祖)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상주 목사(尙州牧使)ㆍ성주 목사(星州牧使)ㆍ김해 부사(金海府使)ㆍ 등을 지냄.
14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순조(順祖)@손순조 - 손순조(孫順祖)
조선 전기의 문신. 평강 훈도(平康訓導)를 지냈으며, 홍유손(洪裕孫)의 《소총유고(篠䕺遺稿)》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관인>문신
-
순종(純宗) - 순조(純祖)
조선 제23대 국왕. 재위 1800~1834. 형인 문효세자(文孝世子)가 일찍 죽어 1800년(정조 24) 왕세자에 책봉되고 즉위했으나, 홍경래(洪景來)의 난과 외척세력의 견제로 아들 효명세자(孝明世子)에게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시킴.
1790~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순주(順州) - 순천(順川)
평안남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안국사(安國寺)ㆍ자모산성(慈母山城)ㆍ이성(泥城) 등의 사적이 있음.
평안도>순천 , 지명>행정지명
-
순중(純中) - 김자수(金自粹)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대사성(大司成)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내다가 고려가 망하자 안동에 은거하던 중 자결함. 문하에 박흥생(朴興生)ㆍ박흥거(朴興居) 등이 있음.
1350~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순중(純仲) - 유순선(柳順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호조 참판(戶曹參判) 유유(柳柔)의 아들이며, 유종선(柳從善)의 형으로,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ㆍ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16~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순증(順曾) - 이순증(李順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이귀손(李龜孫)의 아들로, 1520년(중종 15년)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익산 군수(益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순지(恂之) - 권오상(權五常)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처형된 권오복(權五福)의 동생으로, 좌부승지(左副承旨) 권문해(權文海)의 조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순지(淳之) - 신복순(申復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 신숙주(申叔舟)의 손자이며, 고양부원군(高陽府院君) 신준(申浚)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원종일등공신(原從一等功臣)에 책봉되어 2품직에 오름.
1464~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지(詢之)@유조순 - 유조순(柳祖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우(柳藕)의 아들이고, 유조인(柳祖訒)의 형으로, 현령(縣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박응순(朴應順)ㆍ박응복(朴應福) 형제를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순지(詢之) - 유영순(柳永詢)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배천 군수(白川郡守) 유연(柳埏)의 아들.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와중에 아버지와 형을 잃고 정유재란 때 복수군(復讐軍)을 조직하기도 함.
1552~16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순지(諄之) - 이순(李諄)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증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순지(醇之) - 김백순(金伯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희천(熙川). 경학에 밝아 정사룡(鄭士龍)ㆍ박세호(朴世豪) 등과 함께 사유(師儒)에 뽑힘.
1494~1548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희천 , 인명>관인>문신
-
순지(順之)@강사안 - 강사안(姜士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강온(姜溫)의 아들로, 강호(姜滸)에게 출계(出系)함. 예문관 봉교(藝文館奉敎)ㆍ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순지(順之)@정역 - 정역(鄭易)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장인. 이방원(李芳遠)과 함께 문과에 급제하여 친밀하고, 호조 판서(戶曹判書)ㆍ대제학(大提學)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순지(順之) - 안처순(安處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낸 안기(安璣)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이행(李荇)과 함께 연루되었으나 화를 면함. 성균관 학관(成均館學官)ㆍ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등을 지냄.
1492~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순지(順之)@허승 - 허승(許升)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를 따라 공부하였으나 끝내 선학(禪學)에 탐닉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순지(順之)@민순손 - 민순손(閔順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통선랑(通善郞) 민화(閔和)의 아들로, 1447년(세종 29) 친시(親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인(舍人)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순지(順之)@익양군 - 익양군(益陽君)
조선 제11대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 어머니는 숙의홍씨(淑儀洪氏).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어 종부시(宗簿寺) 등의 제조(提調)와 종친부의 유사당상(有司堂上)을 겸임함.
1488~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순창(淳昌)@설순조 - 설순조(薛順祖)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상주 목사(尙州牧使)ㆍ성주 목사(星州牧使)ㆍ김해 부사(金海府使)ㆍ 등을 지냄.
14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순창(順昌) - 탁순창(卓順昌)
조선 선조(宣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성균관 진사(成均館進士) 탁문상(卓文尙)의 맏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수직(壽職)으로 훈련대장(訓鍊大將)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순창부원군(淳昌府院君) - 백안불화(伯顔不花)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인물. 조공탁(趙公卓)의 아들로, 원(元) 나라에서 환관을 지내고 태부태경(太府太卿)을 역임하였으며, 고려에서 순창부원군(淳昌府院君)에 봉작됨.
?~135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ㅣ경기도>수원 , 인명>관인>환관
-
순천군(順天君)@김수홍 - 김수홍(金粹洪)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천(順天). 선공감 정(繕工監正)을 지낸 김약균(金若鈞)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순천군(順天君) - 김승주(金承霔)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고려 말 왜구의 격퇴와 조선 태종(太宗)의 즉위에 공을 세움.
1354~142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순천군(順天君)@채홍철 - 채홍철(蔡洪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권한공(權漢功)과 함께 원(元) 나라에 청원서를 올려 심왕(瀋王) 고(暠)를 왕으로 추대하려 함. 불교ㆍ의약ㆍ음악 등에 조예가 깊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2~134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천군(順川君) - 이관(李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ㆍ학자. 세종(世宗)의 아들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증손이며, 희안군(喜安君) 이집(李輯)의 아들. 이중호(李仲虎)에게 수학하였으며, 평상시의 언행과 부모의 상례를 《소학(小學)》ㆍ《가례(家禮)》에 따라 행하여 성리학적 생활태도의 수립을 선도함.
1518~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순천도정(順川都正) - 이관(李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ㆍ학자. 세종(世宗)의 아들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증손이며, 희안군(喜安君) 이집(李輯)의 아들. 이중호(李仲虎)에게 수학하였으며, 평상시의 언행과 부모의 상례를 《소학(小學)》ㆍ《가례(家禮)》에 따라 행하여 성리학적 생활태도의 수립을 선도함.
1518~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순천부수(順川副守) - 이관(李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ㆍ학자. 세종(世宗)의 아들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증손이며, 희안군(喜安君) 이집(李輯)의 아들. 이중호(李仲虎)에게 수학하였으며, 평상시의 언행과 부모의 상례를 《소학(小學)》ㆍ《가례(家禮)》에 따라 행하여 성리학적 생활태도의 수립을 선도함.
1518~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순천부원군(順天府院君) - 김류(金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으로, 송익필(宋翼弼)의 문인.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였고, 이귀(李貴) 등과 함께 인조반정(仁祖反正)을 주도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시문(詩文)과 서법(書法)에 뛰어남.
1571~164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천팔마비(順天八馬碑) - 팔마비(八馬碑)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전라도 순천(順天)에 세운 비석. 승평 부사(昇平府使) 최석(崔碩)이 중앙으로 돌아갈 때 고을에서 관례상 바치던 여덟 필의 말을 거절하고 그 폐단을 없애자, 그의 청렴함을 기려 세움.
130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유적>기타유적
-
순초(順初) - 김제갑(金悌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영원산성(領原山城)에서 순절(殉節)함.
1525~15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순충(純冲) - 박순충(朴純冲)
고려 인종(仁宗)~의종(毅宗) 때의 문신. 서리(胥吏) 출신으로 내시(內侍)에 임명되었다가 여러 관직을 거쳐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치사하였음.
?~1162 한국>고려전기 , 인명>관인>문신
-
순충(順忠) - 김선궁(金宣弓)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태조(太祖)가 선궁(宣弓)이란 이름을 하사함.
922~?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순치(順治) - 홍순치(洪順治)
조선 전기의 아전. 본관은 남양(南陽). 홍유손(洪裕孫)의 아버지로, 남양 서리(南陽胥吏)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아전
-
순치(順致) - 홍순치(洪順治)
조선 전기의 아전. 본관은 남양(南陽). 홍유손(洪裕孫)의 아버지로, 남양 서리(南陽胥吏)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아전
-
순팔(舜八) - 이재원(李載元)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정응(李晸應)의 아들로, 이창응(李昌應)에게 출계함. 교련국(敎鍊局)에 배치되어 근대식 군부의 기초를 마련하고, 갑신정변(甲申政變) 때 영의정(領議政)에 추대되었으며, 사후(死後)에 완림군(完林君)에 봉해짐.
1831~1891 한국>근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순평(順平)@고약해 - 고약해(高若海)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대사헌(大司憲)ㆍ형조 참판(刑曹參判)ㆍ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지냄.
1377~14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순평(順平) - 익양군(益陽君)
조선 제11대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 어머니는 숙의홍씨(淑儀洪氏).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어 종부시(宗簿寺) 등의 제조(提調)와 종친부의 유사당상(有司堂上)을 겸임함.
1488~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