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숭지(崇之) - 유숭지(劉崇之)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병부 낭중(兵部郞中)ㆍ호부 낭중(戶部郎中) 등을 역임함.
1154~121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숭질(崇質)@문숭질 - 문숭질(文崇質)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감천(甘泉). 문손무(文孫武)의 아들이자, 문걸(文傑)의 아버지. 부위(副尉)를 지냈으며, 호조 참의(戶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숭질(崇質) - 박숭질(朴崇質)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부윤(府尹) 박훤(朴萱)의 아들로, 1502년(연산군 8) 좌의정에 이르렀으나 일부러 낙마하여 등청하지 않다가 면직되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재등용됨.
?~150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슬한(瑟僩) - 박민헌(朴民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을 공부하였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상호군(上護軍) 등을 지냄.
151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슬한당(瑟僩堂) - 박민헌(朴民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을 공부하였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상호군(上護軍) 등을 지냄.
151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슬한재(瑟僩齋) - 박민헌(朴民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을 공부하였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상호군(上護軍) 등을 지냄.
151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습(濕) - 유습(柳濕)
고려 후기~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고려 말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을 지낸 유탁(柳濯)의 아들로, 전주유씨(全州柳氏)의 시조. 조선 건국 후 이조 전서(吏曹典書)ㆍ중군 도총제(中軍都摠制) 등을 지냄.
1367~143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습등(襲燈) - 지한(智閑)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위산(僞山) 영우(靈祐)의 제자로, 향엄상수(香嚴上樹)ㆍ향엄적빈(香嚴赤貧)ㆍ향엄격죽(香嚴擊竹) 등의 선종(禪宗) 화두(話頭)와 관련한 일화를 남겼음.
?~898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습미(襲美) - 피일휴(皮一休)
중국 당(唐) 나라 의종(懿宗) 때의 문신ㆍ문인.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하다가 벼슬하여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내고, 황소(黃巢)의 난에 참가하여 난리 속에서 죽음. 육귀몽(陸龜蒙)과 시를 창화(唱和)함.
834?~88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습씨지(習氏池) - 습가지(習家池)
중국 호북성(湖北省) 양양(襄陽)에 있는 못 이름. 토호(土豪)인 습씨(習氏)의 원지(園池)로, 진(晉) 나라 때 산간(山簡)이 양양 태수로 있으면서 이곳의 빼어난 경치를 사랑하여 술을 즐겨 마시던 곳으로 유명함.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습원(習園) - 습가지(習家池)
중국 호북성(湖北省) 양양(襄陽)에 있는 못 이름. 토호(土豪)인 습씨(習氏)의 원지(園池)로, 진(晉) 나라 때 산간(山簡)이 양양 태수로 있으면서 이곳의 빼어난 경치를 사랑하여 술을 즐겨 마시던 곳으로 유명함.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습재(習齋)@권벽 - 권벽(權擘)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시문(詩文)이 뛰어나 명(明) 나라에 오가는 외교 문서를 전담하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20~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습재(習齋) - 민순(閔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驪興). 신광한(申光漢)ㆍ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향리에서 후진 교육에 힘씀.
151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습정(習靜) - 민순(閔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驪興). 신광한(申光漢)ㆍ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향리에서 후진 교육에 힘씀.
151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습정(習靜)@이정귀 - 이정귀(李廷龜)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 이계(李𡹘)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명(明) 나라에 원병을 청하고, 대제학(大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신흠(申欽)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4대 문장가로 불림.
1564~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습정(習靜)@송방조 - 송방조(宋邦祚)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임진왜란 때 충청도 영동(永同)에서 의병을 모집함. 평안도 병마평사(平安道兵馬評事)로 있을 때 용천관(龍川館)에서 급사함.
1567~161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습정재(習靜齋) - 민순(閔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驪興). 신광한(申光漢)ㆍ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향리에서 후진 교육에 힘씀.
151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습지(習之) - 안민학(安敏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경(經)ㆍ사(史)ㆍ백가(百家)를 섭렵함. 이이(李珥)ㆍ정철(鄭澈) 등과 교유하고, 임진왜란 때는 소모사(召募使)로 활동하였으며, 만년에는 학문에 전념함.
1542~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습지(習之)@이중열 - 이중열(李中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유희춘(柳希春)ㆍ노수신(盧守愼)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된 이휘(李輝)를 변호하다가 파직되어 이듬해 갑산(甲山)에 유배된 뒤 사사(賜死)됨.
1518~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습지(習之)@이고 - 이고(李翺)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학자. 한유(韓愈)의 제자로, 중서사인(中書舍人) 등을 지냄. 스승과 달리 불교사상을 채택하여 심성(心性) 문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보이고, 저서에 《복성서(復性書)》와 《이문공집(李文公集)》이 있음.
772~84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습지(習池) - 습가지(習家池)
중국 호북성(湖北省) 양양(襄陽)에 있는 못 이름. 토호(土豪)인 습씨(習氏)의 원지(園池)로, 진(晉) 나라 때 산간(山簡)이 양양 태수로 있으면서 이곳의 빼어난 경치를 사랑하여 술을 즐겨 마시던 곳으로 유명함.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승(勝) - 성승(成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삼문(成三問)의 아버지로 도총관(都摠管)을 지냄.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도모하다가 사육신(死六臣)과 함께 죽임을 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승(勝)@이승 - 이승(李勝)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도안(道安)으로, 첨정(僉正) 이인우(李仁佑)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안 , 인명>문사>유학
-
승(昇)@이승 - 이승(李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연손(李延孫)의 아버지. 전농판관(典農判官)을 지내고,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승(昇)@강승 - 강승(姜昇)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봉서사(鳳棲祠)에 배향됨.
1430~150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문사>학자
-
승(昇) - 왕승(王昇)
고려 후기의 종친. 조선 건국 후 왕씨 일족이 유폐될 때, 건국의 공으로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승(昇)@전승 - 전승(全昇)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천안(天安). 충렬왕~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인 전신(全信)의 아버지로, 병조 상서(兵曹尙書) 등을 지냄.
?~130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관인>문신
-
승(昇)@권승 - 권승(權昇)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어모장군(禦侮將軍) 권확(權確)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가산을 털어 관군(官軍)을 도운 공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의 품계를 받았으나, 변함없이 검소한 생활을 함.
1537~159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승(陞) - 유승(柳陞)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화군(文化君) 유인기(柳仁奇)와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낸 유돈(柳墩)의 아버지.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ㆍ도첨의참리(都僉議參理)를 지냈으며, 저서로 《신의(新儀)》가 있음.
1248~1298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승간(承侃) - 박승간(朴承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1540년(중종 3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승감(承堪) - 여승감(呂承堪)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승개(承漑) - 전승개(田承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산(禮山)으로, 고령 현감(高靈縣監)을 지낸 전실(田實)의 아들.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승건(承乾) - 혜종(惠宗)
고려 제2대 왕. 재위 943~945. 태조(太祖)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장화왕후(莊和王后). 지용(智勇)이 뛰어나 후백제(後百濟)를 칠 때 큰 공을 세웠으나, 즉위 후에는 왕권이 미약하여 왕규(王規)에게 암살 위협을 당하기도 함.
914~94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승건(承健) - 박승건(朴承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진사(進士) 박형(朴珩)의 아들. 선조(宣祖)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형으로, 찰방(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승건(承健)@이승건 - 이승건(李承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峰)으로, 이기(李圻)의 아들.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 등을 지냄.
1452~150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승경(升卿)@이원진 - 이원진(李元鎭)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광해군(光海君)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에 반대하여 이원익(李元翼) 등과 귀양갔다가 인조반정 후 풀려남. 효종(孝宗) 때 제주 목사(濟州牧使)로 하멜 등 표류한 네덜란드인들을 서울로 압송하고, 《탐라지(耽羅志)》를 편수함.
1594~166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승경(升卿) - 이지(李墀)@이원의아들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아들로, 승문원 참교(承文院參校)를 지냄.
14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승경(升卿)@김승경 - 김승경(金升卿)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신민(金新民)의 아들로,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좌되어 부관참시(剖棺斬屍)의 추형(追刑)을 당하였음.
1430~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승경(承卿) - 원순조(元順祖)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음서(蔭敍)로 충순위(忠順衛)가 되었고 보공장군(保功將軍)에 이르렀으나,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치사하고 물러남.
1469~153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승경(承慶)@윤승경 - 윤승경(尹承慶)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예빈시 별좌(禮賓寺別坐) 윤홍언(尹弘彦)의 아들이며 좌참찬(左參贊) 윤승길(尹承吉)의 형으로, 종부시 정(宗簿寺正)ㆍ춘추관 편수관(春秋館編修官)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승경(承慶) - 심승경(沈承慶)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좌명공신(佐命功臣) 심귀령(沈龜齡)의 아버지로, 전농시 사(典農寺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승경(承慶)@함승경 - 함승경(咸承慶)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함부림(咸傅霖)의 아버지로, 검교 중추원학사(檢校中樞院學士)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승경(承敬) - 김승경(金承敬)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선산(善山). 부사(府使) 김정신(金鼎臣)의 아버지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
-
승교(承敎) - 배승교(裵承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 배숙기(裵淑綺)의 아버지로, 전연사 봉사(典涓司奉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승권(承權) - 한승권(韓承權)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청원위(淸原尉) 한경록(韓景祿)의 아버지. 안변 부사(安邊府使)ㆍ춘천 부사(春川府使) 등을 지냄. 1545년(명종 즉위년)에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승길(承吉) - 윤승길(尹承吉)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홍언(尹弘彦)의 아들이며,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의 장인.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 등 많은 공을 세우고,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승단(升旦) - 유승단(兪升旦)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몽고(蒙古)의 침략을 피하기 위해 강화(江華)로 천도하려는 최우(崔瑀)의 계획에 반대함. 경사(經史)에 조예가 깊고 불전(佛典)에도 능통했음.
1168~123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문신
-
승달(承達) - 공승달(孔承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원(昌原). 중종(中宗) 때 정언(正言)과 좌랑(佐郞) 등을 지낸 공상린(孔祥麟)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유학
-
승도(承渡) - 이승도(李承渡)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원(西原). 의곡(義谷) 이방직(李邦直)의 아들로, 삼사 좌윤(三司左尹)을 지냄. 공민왕(恭愍王)으로부터 이름에 대한 어찰(御札)을 받았으며, 권근(權近)이 지은 명찬(名讚)이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승두(升斗)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승람(勝覽)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조선 성종(成宗) 때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에 우리나라 문사(文士)들의 시문(詩文)을 첨가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官撰地理書). 50권.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대성.
14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승려(承呂) - 이승려(李承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이온(李蒕)의 셋째 아들이고, 이승소(李承召)ㆍ이승주(李承周)의 아우로, 현감(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승례(承禮) - 윤승례(尹承禮)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군(鈴平君) 윤척(尹陟)의 다섯째 아들이며, 세조비(世祖妃)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조부로,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승로(承老)@최승로 - 최승로(崔承老)
고려 태조(太祖)~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학문이 뛰어나 일찍이 문병(文柄)으로서 문장과 학문계통의 관직생활을 함. 성종 때 시무(時務) 28조를 올려 국가체재 정비에 공헌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927~989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승로(承老) - 조승로(曺承老)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시정(寺正)을 지낸 조숙(曺淑)의 아버지로, 사맹(司猛)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승류(承柳) - 윤승류(尹承柳)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세종(世宗)의 부마(駙馬)인 윤사로(尹師路)의 손자이며, 성종(成宗)의 부마인 윤섭(尹爕)의 아버지로, 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역임함.
1475~150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승륜(承倫) - 박승륜(朴承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진사(進士) 박형(朴珩)의 아들. 선조(宣祖)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승리(承李) - 박승리(朴承李)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 풍산 만호(豐山萬戶) 박원지(朴元智)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승명(承命) - 안승명(安承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을 지낸 안용(安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승문(承文) - 백승문(白承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대구(大邱). 백양규(白良圭)의 아버지로, 군위 훈도(軍尉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승문(承文)@박승문 - 박승문(朴承文)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 선조(宣祖)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박승임(朴承任)의 형.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승방(承芳) - 양계종(楊繼宗)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고 청렴하여 중관(中官) 및 제신(諸臣) 들의 탐오와 비리를 지적하였으므로 고관들의 미움을 받았으며, 좌첨도어사(左僉都御史) 등을 역임함.
?~148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승백(升伯) - 고천준(顧天埈)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1602년(조선 선조 35) 한림원 시강(翰林院侍講)으로서 황태자 책립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행인사 행인(行人司行人) 최정건(崔廷健)과 함께 조선에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승범(承范) - 이도종(李道宗)
중국 당(唐) 나라의 종친. 고조(高祖)의 당질(堂侄)로, 17세부터 태종(太宗) 이세민(李世民)을 도와 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태상경(太常卿) 등을 역임함.
600~65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승변(僧辯) - 왕승변(王僧辯)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무신. 후경(侯景)의 난을 평정하고 뒤에 영녕군공(永寧郡公)에 봉해짐.
?~55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승복(承復) - 정승복(鄭承復)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정내(鄭鼐)의 아들로, 중종 때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에 뽑혔으며,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전공(戰功)을 세워 함흥 판관(咸興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승상(升商) - 이승상(李升商)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달충(李達衷)의 손자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함.
?~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승상(承常) - 이승상(李承常)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장양부정(長陽副正) 이주(李儔)의 아들이자 이조 참판(吏曹參判) 이식(李拭)의 아버지로, 1528(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죽산 현감(竹山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승서(承緖)@윤승서 - 윤승서(尹承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윤홍언(尹弘彦)의 셋째 아들로, 교하 현감(交河縣監)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승서(承緖) - 신승서(申承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신흠(申欽)의 아버지. 1558년(명종 1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구례 현감(求禮縣監)ㆍ개성부 도사(開城府都事) 등을 지냄.
1531~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승석(承碩) - 김승석(金承碩)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청주 목사(淸州牧使) 김흠(金欽)의 아버지이고, 동래 부사(東萊府使) 송상현(宋象賢)의 장인. 전력부위(展力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승선(僧選) - 승과(僧科)
고려 광종(光宗) 9년에 시작되어 조선 전기까지 승려에게 실시한 과거(科擧). 1565년(명종 20) 도첩제(度牒制)가 폐지되면서 승과도 혁파됨.
958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승선(承先) - 채승선(蔡承先)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강(平康). 대사헌(大司憲) 채침(蔡忱)의 아들. 이른 나이에 시험에서 여러 번 수석을 했지만 과거를 포기하고 시주(詩酒)로 여생을 즐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승선(承善)@유승선 - 유승선(柳承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음 현감(江陰縣監)을 지낸 유정(柳貞)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승선(承善) - 신승선(愼承善)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연산군의 장인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을 주관함.
1436~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승선암(昇仙巖) - 승선암(乘仙巖)
황해도 해주(海州) 수양산(首陽山)에 있는 바위 이름.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찾아가 시를 읊은 곳임.
황해도>해주 , 지명>자연지명
-
승선원(承宣院) - 승정원(承政院)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 국왕과 밀착되어 중추적인 정치기구의 역할을 하였으며, 승선원(承宣院)ㆍ비서감(秘書監)ㆍ비서원(秘書院)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07년에 폐지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법제>관청
-
승선원일기(承宣院日記)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시대에 승정원(承政院)에서 매일 취급한 문서(文書)와 사건을 기록한 일기. 원래 조선 개국 초부터 일기가 있었으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소실되어 1623년(인조 1)부터 1894년(고종 31)까지 270여 년간의 일기만이 현존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문헌>서명
-
승성자(乘成子) - 정경세(鄭經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대제학(大提學)을 지냄.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음.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승세(承世) - 윤승세(尹承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영의정 윤필상(尹弼商)의 손자이고, 호조 참의(戶曹參議) 윤간(尹侃)의 맏아들이며, 영원위(鈴原尉) 윤내(尹鼐)의 아버지로, 선산 부사(善山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승소(承召) - 이승소(李承召)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편찬함. 당대의 문장가로 예악(禮樂)ㆍ음양(陰陽)ㆍ율력(律曆) 등 여러 방면에 조예가 깊음.
1422~148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승손(承孫)@1474 - 이승손(李承孫)@1474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손자이며, 모양군(牟陽君) 이직(李稙)의 아들.
1474~151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승손(承孫)@1394 - 이승손(李承孫)@1394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세종(世宗) 때 북변(北邊)의 이만주(李滿住)를 정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 세조 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의정부 우찬성(議政府右贊成) 등을 역임함.
1394~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승수(僧秀) - 신수(神秀)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북종선(北宗禪)의 조사(祖師). 동산사(東山寺)의 오조(五祖) 홍인(弘忍) 선사(禪師)에게 수학하고, 무후(武后)ㆍ중종(中宗)ㆍ예종(睿宗) 3대에 걸쳐 국사(國師)를 지냄. 낙양(洛陽)의 천공사(天空寺)에서 입적함.
605~706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승수(承洙) - 문승수(文承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개령(開寧). 문세욱(文世郁)의 아들로, 1573년(선조 6) 식년시에 급제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152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승수(承須) - 이승수(李承須)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산(陽山). 진사(進士) 이강(李絳)의 아들로, 1516년(중종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승숙(承肅) - 조승숙(趙承肅)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안(咸安).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감무(監務)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고향에 은거하여 후진양성에 전념함.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의 한 사람.
1357~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승순(承舜) - 한승순(韓承舜)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한서귀(韓瑞龜)의 아버지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등을 지냄.
?~144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승순(承順) - 유승순(柳承順)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인 유성원(柳誠源)의 형이자,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낸 유계분(柳桂芬)의 아버지로, 참의(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승순(承順)@윤승순 - 윤승순(尹承順)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무신. 윤척(尹陟)의 아들로, 공민왕 때 신돈(辛旽)을 살해하려던 일이 누설되어 유배됨. 창왕(昌王) 때 권근(權近)과 함께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 등을 지냄.
?~139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승시(僧試) - 승과(僧科)
고려 광종(光宗) 9년에 시작되어 조선 전기까지 승려에게 실시한 과거(科擧). 1565년(명종 20) 도첩제(度牒制)가 폐지되면서 승과도 혁파됨.
958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승시(勝始) - 공감(孔戡)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공잠보(孔岑父)의 아들로, 공자(孔子)의 38대 손(孫). 대리평사(大理評事)를 지냈으며, 사훈원외랑(司勳員外郞)에 추증되었음. 한유(韓愈)가 지은 묘지(墓誌)가 있음.
754~81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승약(承爚) - 박승약(朴承爚)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밀원부원군(密原府院君) 박건(朴楗)의 아들로, 한림(翰林)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승언(承彦)@박승언 - 박승언(朴承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30년(중종 2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황해도(黃海道) 평산(平山)에 우거(寓居)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승언(承彦) - 이승언(李承彦)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한성부 참군(漢城府參軍)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승왕(僧王) - 보우(普雨)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금강산 마하연암(摩訶衍庵)에서 참선(參禪)하고 경학(經學)을 연구했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신임을 얻어 봉은사(奉恩寺) 주지(主持)가 됨. 선교 양종(禪敎兩宗)을 부활시켰으며, 도첩제(度牒制)에 의한 승과(僧科)를 설치함.
1509~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종교인>승려
-
승요(僧繇) - 장승요(張僧繇)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문신ㆍ화가. 우군 장군(右軍將軍)ㆍ오흥 태수(吳興太守) 등을 지내고, 산수(山水)와 불화(佛畵)에 뛰어남. 절의 단청으로 그린 용에 눈동자를 그리자 용이 하늘로 올라갔다는 ‘화룡점정(畫龍點睛)’의 고사가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승용(承用) - 김승용(金承用)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상락군(上洛君) 김후(金厚)의 아버지로, 내부령(內府令)을 지냄. 1328년(충숙왕 16)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죽음. 청렴하기로 유명함.
?~132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승원(承元) - 이승원(李承元)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천 도호부사(利川都護府使)를 지낸 이유온(李有溫)의 아버지. 선전관(宣傳官)ㆍ공조 낭관(工曹郞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관인>문신
-
승원(承元)@박승원 - 박승원(朴承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박건(朴乾)의 아들이며 박하담(朴河淡)ㆍ박하청(朴河淸)ㆍ박하징(朴河澄)의 아버지로, 충순위 부사직(忠順衛副司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