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승원(承源) - 정승원(鄭承源)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를 지낸 정해(鄭諧)의 아버지로, 예문관 응교(藝文館應敎)ㆍ지제고(知制誥)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승원제(昇元帝) - 열조(烈祖)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남당(南唐)의 초대 황제. 재위 937~943. 오(吳)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실권자였던 서온(徐溫)의 양자로, 예제(睿帝)를 몰아내고 양위 받아 황제로 즉위함. 화북(華北)의 오대(五代) 왕조에 대해서도 대등함을 주장함.
888~943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승유(僧孺) - 우승유(牛僧孺)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 때의 문신. 고공원외랑(考功員外郞) 등을 지내고, 목종의 신임을 받아 재상이 됨. 이종민(李宗閔)과 붕당(朋黨)을 만들어 이덕유(李德裕) 일파와 정쟁을 벌임.
779~84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승은(承恩) - 이승은(李承恩)
조선 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승의공주(承懿公主) -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고려 제31대 공민왕(恭愍王)의 정비(正妃). 원(元) 나라의 황족(皇族)인 위왕(魏王)의 딸.
?~1365 한국>고려후기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승인(承仁) - 박승인(朴承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진사(進士) 박형(朴珩)의 아들. 선조(宣祖)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승인순성신의왕태후(承仁順聖神懿王太后) - 신의왕후(神懿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正妃). 본관은 안변(安邊).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한경(韓卿)의 딸로 조선이 개국되기 전에 죽었으며, 소생은 정종(定宗)을 비롯한 6남 2녀임.
1337~139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승인순성신의왕후(承仁順聖神懿王后) - 신의왕후(神懿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正妃). 본관은 안변(安邊).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한경(韓卿)의 딸로 조선이 개국되기 전에 죽었으며, 소생은 정종(定宗)을 비롯한 6남 2녀임.
1337~139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승임(承任) - 박승임(朴承任)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심학(心學)과 성리학(性理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영주(榮州)의 구산정사(龜山精舍)에 제향됨.
1517~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승자통(勝字筒) - 승자총통(勝字銃筒)
조선 전기에 만든 휴대용 소화기(小火器). 《기효신서(紀效新書)》에 기재된 쾌창(快槍)의 일종으로, 고려 말에 전래되어 일본에서 조총이 전래되기 전까지 주로 사용됨. 오늘날 전해지는 것은 1583년(선조 16) 김지(金墀)가 만든 이후의 것임.
한국>조선전기 , 물품>기타용품>무기
-
승전(僧傳) -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고려 고종(高宗) 때의 승려인 각훈(覺訓)이 편찬한 여러 고승(高僧)들의 전기. 완본(完本)이 전하지 않아 정확한 권수와 간행 연대를 알 수 없음.
1215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승정(承禎) - 사마승정(司馬承禎)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ㆍ학자. 반사정(潘師正)에게 벽곡도인술(辟穀導引術)을 전수받았으며, 《도덕경(道德經)》의 정본(定本)을 만듦.
647~735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승정(承貞) - 한승정(韓承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사무(韓士武)의 아들이며 이심원(李深源)의 문인(門人)으로,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냄. 동문인 김안로(金安老)가 세도를 부리자 절교하고 탄핵하여 미움을 받음.
1478~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승제(升濟) - 공손도(公孫度)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 연왕(燕王) 때의 문신. 요동 태수(遼東太守)를 지내며 요동후(遼東侯)라 자칭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승제(承制) - 박승제(朴承制)
고려 후기의 문인. 김구용(金九容)의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승조(承祖) - 문승조(文承祖)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내의시랑(內議侍郞)을 지낸 문주백(文周伯)의 아들로, 대사마(大司馬)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승조(承祖)@정승원 - 정승조(鄭承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1494년(성종 25)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감찰(監察)을 지냈으며,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장류(杖流)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승조(承藻) - 신승조(申承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신숙주(申叔舟)의 형인 신중주(申仲舟)의 손자이며, 부사(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승종(承宗)@유승종 - 유승종(兪承宗)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으로 가는 명 나라 책사(冊使) 이종성(李宗城)을 수행하여 조선에 왔으며, 접반사(接伴使)인 이항복(李恒福)과 가깝게 지냄. 시문(詩文)에 능하고 서법(書法)에도 뛰어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승종(承宗)@안승종 - 안승종(安承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어모장군(禦侮將軍) 안건(安建)의 아들. 1525년(중종 20)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예천(醴泉)에 은거하며 이황(李滉)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엄(淹) - 강엄(江淹)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의 문신ㆍ문인. 송(宋)ㆍ남제(南齊)ㆍ양(梁)의 3왕조를 섬기는 동안 양(梁)에서는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를 지냈으며, 문학을 즐기고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통달함.
444~5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엄(淹)@우엄 - 우엄(禹淹)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종부시 정(宗簿寺正)을 지낸 우세신(禹世臣)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엄(渰)@구엄 - 구엄(具渰)
조선 전기의 유학. 호음(湖陰) 정사룡(鄭士龍)과 망년(忘年)의 지기(知己)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엄(渰) - 유엄(柳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1507년(중종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금부도사(禁府都事)로 조광조(趙光祖)에게 사약(賜藥)을 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엄답한(俺答汗) - 엄답(俺答)
16세기 말 몽고 토묵특부(土默特部)의 수령(首領). 1530년경부터 10여 년간 해마다 중국 명(明) 나라의 북쪽 국경에 침입함.
1507~1582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엄로(嚴老)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엄뢰(嚴瀨) - 엄릉뢰(嚴陵瀨)
중국 절강성(浙江省)에 있는 여울. 후한(後漢)의 엄광(嚴光)이 은거하여 농사를 지으면서 낚시질하던 곳.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엄릉(嚴陵)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엄릉방씨(嚴陵方氏) - 방각(方慤)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로 《예기해의(禮記解義)》20권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엄릉산(嚴陵山) - 부춘산(富春山)
중국 절강성(浙江省) 동려현(桐廬縣) 서쪽에 위치한 산.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隱子)인 엄광(嚴光)이 숨어 살았던 곳으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엄리대수(奄利大水)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엄부(嚴富) - 연부(年富)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 때의 문신. 호부 상서(戶部尙書) 등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엄사기(嚴祠記) - 엄선생사당기(嚴先生祠堂記)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범중엄(范仲淹)이 지은 기문(記文). 범중엄이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인 엄광(嚴光)이 태어난 엄주(嚴州)의 태수(太守)가 되자 그를 기려 사당을 세우고 지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엄산(弇山) - 왕세정(王世貞)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젊을 때부터 문명이 높아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명대 후기 고문사파(古文辭派)의 지도자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526~159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엄산씨(弇山氏) - 왕세정(王世貞)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젊을 때부터 문명이 높아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명대 후기 고문사파(古文辭派)의 지도자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526~159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엄생뢰(嚴生瀨) - 엄릉뢰(嚴陵瀨)
중국 절강성(浙江省)에 있는 여울. 후한(後漢)의 엄광(嚴光)이 은거하여 농사를 지으면서 낚시질하던 곳.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엄자(嚴子)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엄주(弇州) - 왕세정(王世貞)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젊을 때부터 문명이 높아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명대 후기 고문사파(古文辭派)의 지도자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526~159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엄주산인(弇州山人) - 왕세정(王世貞)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젊을 때부터 문명이 높아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명대 후기 고문사파(古文辭派)의 지도자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526~159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엄지(渰之) - 유엄(柳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1507년(중종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금부도사(禁府都事)로 조광조(趙光祖)에게 사약(賜藥)을 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업원(鄴園) - 이지방(李之芳)
중국 청(淸) 나라 세조(世祖)~성조(聖祖) 때의 문신. 오삼계(吳三桂)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화전 태학사(文華殿太學士) 등을 지냄.
1622~1694 중국>청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업중칠자(鄴中七子) - 건안칠자(建安七子)
중국 후한(後漢) 헌제(獻帝) 때인 건안(建安) 연간에 시문(詩文)으로 이름을 떨친 일곱 명의 문학자. 조조(曹操)ㆍ조비(曹丕)ㆍ조식(曹植) 삼부자를 중심으로 모인 공융(孔融)ㆍ진림(陳琳)ㆍ왕찬(王粲)ㆍ서간(徐幹)ㆍ완우(阮瑀)ㆍ응창(鷹瑒)ㆍ유정(劉楨)을 이름.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업후(鄴侯)@이필 - 이필(李泌)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어려서 신동(神童)으로 이름을 떨치고, 신선술(神仙術)에 탐닉하였으며, 현종(玄宗)ㆍ숙종(肅宗)ㆍ대종(代宗)ㆍ덕종(德宗) 네 황제에 걸쳐 국가 대사에 막중한 영향력을 행사함.
?~78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업후(鄴侯) - 이승휴(李承休)@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덕종(德宗) 때 재상을 지낸 이필(李泌)의 아버지로, 2만여 권의 서책을 모아서 자손에게 물려주었다고 하며, 그의 서가(書架)를 ‘업가(鄴架)’라 일컬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勵) - 문려(文勵)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로, 정인홍(鄭仁弘)의 문인.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했으며,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왜적을 치는 데 공을 세워 선무 일등공신(宣武一等功臣)에 책록됨.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旅) - 조려(趙旅)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은자. 조안(趙安)의 아들.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으로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향리에 은거하면서 평생을 보냄.
1420~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여(欐) - 박려(朴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이자 손서(孫壻). 초명은 박량(朴樑)이었으나 이황이 고쳐 주었으며, 경기좌도 수운판관(京畿左道水運判官)을 지냈음.
1551~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여(璵) - 광평대군(廣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인 무안대군(撫安大君) 이방번(李芳蕃)의 후사가 되었으며, 학문에 힘써 사서삼경(四書三經) 등에 능통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25~14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여(畬)@1645 - 이여(李畬)@1645
조선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식(李植)의 손자로,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에 면직되었으며, 갑술환국(甲戌換局)에 적극 참여하여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발탁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함.
1645~17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畬)@1503 - 이여(李畬)@1503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인로(李仁老)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문학(文學) 등을 지내고 학문연구에 힘써 역학(易學)에 정통함. 형 이치(李菑)와 함께 진천(鎭川)에 거주하면서 풍속 교화에 힘씀.
1503~154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여(礪) - 홍려(洪礪)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의 두 번째 서녀(庶女)인 혜정옹주(惠靜翁主)와 혼인하였으나, 복성군(福城君)의 옥사(獄事) 때 죽음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왕실>인척
-
여(膂) - 이려(李膂)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사사(賜死)된 이주(李胄)의 아우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함.
1484~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여(袽) - 유여(柳袽)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풍원부원군(豐原府院君) 유성룡(柳成龍)의 아들이며,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인 유원지(柳元之)의 아버지로, 장수도 찰방(長水道察訪)을 지냈으며,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1578~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여^마(呂^馬) - 마^여(馬^呂)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재상인 사마광(司馬光)과 여공저(呂公著)를 함께 부르는 말. 북송(北宋) 원우(元祐) 연간의 명신(名臣)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여^이(呂^伊) - 위^신(渭^莘)
중국 은(殷) 나라 때 위수(渭水)에서 낚시하다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재상이 된 여상(呂尙)과, 신야(莘野)에서 농사짓다 탕(湯) 임금의 재상이 된 이윤(伊尹)을 함께 부르는 말. 초야에서 발탁되어 왕조의 기반을 다진 어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여^주(呂^朱) - 주^여(朱^呂)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을 함께 부르는 말. 송대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한 두 학자를 말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여가(呂家)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여가(汝嘉) - 김성장(金成章)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선조(先祖)인 동촌(桐村) 김린(金麟)이 은거했던 곳에 동백정(冬栢亭)을 세웠는데, 박광전(朴光前)이 쓴 〈동백정기(冬栢亭記)〉가 《죽천집(竹川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여가(與可) - 문동(文同)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화가. 시문과 글씨, 특히 죽화(竹畵)에 뛰어나 후세에 묵죽(墨竹)의 개조(開祖)로 추앙받음.
1018~1079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여가(驪歌) - 여구가(驪駒歌)
고별(告別)하는 내용이 담겨있는 일시(逸詩). 《한서(漢書)》〈왕식전(王式傳)〉에 관련 부분이 있고, 주(註)에 설명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여가장(女家莊) - 우가장(牛家庄)
중국 요동(遼東)에 있던 역참(驛站). 조선시대에 북경(北京)을 왕래할 때 경유하던 요동과 산해관(山海關) 사이의 16개 역참 중의 하나로, 해주위(海州衛)와 사령(沙嶺) 사이에 있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여각(汝恪) - 유여각(柳汝恪)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참찬(參贊) 유간(柳澗)의 아들로, 1613년(광해군 5)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東萊府使)ㆍ강계 부사(江界府使) 등을 지냄.
15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간(汝幹) - 문홍운(文弘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성광(醒狂) 문할(文劼)의 아들.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고, 1612년(광해군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77~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유학
-
여강(呂江) - 여강(驪江)
경기 여주(驪州)에서 여주 지역을 흐르는 한강(漢江)을 일컫는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원호(元豪)가 왜적을 격퇴한 곳.
경기도>여주 , 지명>자연지명
-
여강(廬江) - 여산(廬山)
경상도 안동(安東) 임하현(臨河縣)에 있는 고을 이름. 호계서원(虎溪書院)이 조선 선조(宣祖) 때 여강서원(廬江書院)이란 이름으로 창건된 곳.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여강(驪江)@여주 - 여주(驪州)
경기도 동남부의 고을 이름. 고구려 때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 부른 이후, 여러 명칭으로 바뀌어 불리다가 1468년(예종 1) 여주라 하고 목(牧)으로 승격함.
경기도>여주 , 지명>행정지명
-
여강군(驪江君)@민무구 - 민무구(閔無咎)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 민제(閔霽)의 맏아들이며, 태종비 원경왕후(元敬王后)의 동생. 동생 민무질(閔無疾) 등과 함께 태종의 외척이며, 정사(定社)ㆍ좌명(佐命)의 두 공신을 겸하였으나, 협유집권(挾幼執權)의 혐의로 참화를 당함.
?~141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강군(驪江君) - 이균(李勻)@김의정의사위
조선 전기의 문신. 잠암(潛庵) 김의정(金義貞)의 둘째 사위로, 여강군(驪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여강사(驪江寺) - 신륵사(神勒寺)
경기도 여주(驪州) 북내면(北內面)의 봉미산(鳳尾山)에 있는 사찰.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 조선 성종(成宗)때 영릉(英陵)의 원찰(願刹)이 되면서 보은사(報恩寺)로 불림.
한국>신라 , 경기도>여주 , 유적>건물>사찰
-
여강서원(廬江書院) - 호계서원(虎溪書院)@안동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1576년(선조 9)에 여강서원(廬江書院)으로 창건되고, 1676년(숙종 2)에 호계서원(虎溪書院)이라 사액되었으며, 이황(李滉)ㆍ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을 배향함.
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여강어부(驪江漁父) - 김구용(金九容)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우왕 때 삼사 좌윤(三司左尹)으로 이숭인(李崇仁)ㆍ정도전(鄭道傳) 등과 북원(北元)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竹州)로 귀양 감. 사장(詞章)에 뛰어나고, 특히 시(詩)로 유명함.
1338~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여강원(廬江院) - 호계서원(虎溪書院)@안동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1576년(선조 9)에 여강서원(廬江書院)으로 창건되고, 1676년(숙종 2)에 호계서원(虎溪書院)이라 사액되었으며, 이황(李滉)ㆍ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을 배향함.
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여강이씨(驪江李氏) - 여주이씨(驪州李氏)
고려 때의 인용교위(仁勇校尉) 이인덕(李仁德) 계통과, 중윤(中尹) 이은백(李殷伯) 계통과, 진사(進士) 이세정(李世貞) 계통 등 시조를 달리하는 세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집단>성씨
-
여개(汝愷) - 강여개(姜汝愷)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사옹원 정(司饔院正) 강윤권(姜允權)의 아들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건(汝乾) - 박인량(朴寅亮)@박진의아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조식(曺植)과 이황(李滉)에게 수학하였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름.
1546~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건(汝健) - 유극신(柳克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이항(李恒)의 문인인 유몽학(柳夢鶴)의 아들.
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여견(汝見) - 유중룡(柳仲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유춘(柳有春)의 아들이며, 오건(吳健)의 문인.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의병을 일으켜 김면(金沔)ㆍ곽재우(郭再祐)의 휘하에서 활약함.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지냄.
1558~163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여겸(汝兼) - 김남중(金南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손자이며,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사위. 선교랑(宣敎郞)에 올랐고, 1590년(선조 23)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이 인정되어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에 추록(追錄)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경(汝慶) - 김여경(金汝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서장관(書狀官)으로 떠날 때 정탁(鄭琢)이 지어준 시가 《약포집(藥圃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여경(礪卿) - 조빈(趙鑌)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배천(白川). 조양선(趙揚善)의 아들. 통훈대부(通訓大夫)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로, 시(詩)를 잘하여 조정에서 유명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여경(餘慶)@홍유손 - 홍유손(洪裕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김수온(金守溫)ㆍ김시습(金時習)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며 학문과 시율(詩律)을 논함. 무오사화 때 제주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1452~152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문인
-
여경(餘慶)@이여경 - 이여경(李餘慶)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를 지낸 이수원(李守元)의 아들로, 청도 군수(淸道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여경(餘慶) - 김현성(金玄成)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김해(金海).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두루 능하였으며, 숭인전비문(崇仁殿碑文) 등 서예 유작이 전해짐.
1542~16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여경(餘慶)@개로왕 - 개로왕(蓋鹵王)
백제의 제21대 왕. 재위 455~475. 비유왕(毗有王)의 맏아들이며, 문주왕(文周王)의 아버지. 북위(北魏)를 이용하여 고구려의 남하 정책을 저지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으며, 475년 고구려의 침입 때 붙잡혀 참수됨.
?~475 한국>백제 , 경기도>광주 , 인명>왕실>국왕
-
여경(麗京) - 개성(開城)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고려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고려의 수도.
경기도>개성 , 지명>행정지명
-
여계(汝啓) - 김극건(金克鍵)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영흥 부사(永興府使) 김효원(金孝元)의 아들로, 통천 군수(通川郡守)를 지냄.
1569~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여고(汝固) - 이식(李植)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인조반정 후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당대의 이름난 학자로서, 문장이 뛰어나 신흠(申欽)ㆍ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와 함께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로 불림.
1584~1647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고(汝皐) - 이재협(李在協)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병조 판서 이경호(李景祜)의 아들로,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친 후 정조 때 영의정 등을 지냄.
1731~179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여공(如公) - 각해(覺海)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검교시중(檢校侍中)을 지낸 이진(李瑱)의 둘째 아들이며,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형. 공주 반룡사(盤龍社)에 주석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여공(汝恭) - 김문기(金文起)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1456년(세조 2) 단종 복위(端宗復位) 모의에 가담하였다가 죽임을 당함.
1399~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문신
-
여공(汝恭)@양여공 - 양여공(梁汝恭)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1431년(세종 13) 유연생(柳衍生)의 무고(誣告)로 사형됨. 효성이 지극하고 시와 글씨에 능했음.
1378~143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여곽야인(藜藿野人) - 안응세(安應世)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단양군수(丹陽郡守)를 지낸 안중담(安仲聃)의 아들. 남효온(南孝溫)ㆍ김시습(金時習) 등과 교유하고 악부(樂府)에 뛰어났으나, 26세의 나이에 요절함.
1455~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유학
-
여관(汝寬) - 정여관(鄭汝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대제학(大提學) 정경세(鄭經世)의 아버지로, 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에 추증됨.
1531~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여괴(汝魁) - 정탁(鄭擢)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을 개국할 때 이성계(李成桂)의 추대를 제일 먼저 발의한 공로로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右議政)을 지냈음. 태종의 묘정(廟庭)에 배향(配享)됨.
1363~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여교(女敎) - 방씨여교(方氏女敎)
중국의 여성 수신서(修身書). 저자나 편찬 연대를 알 수 없으나, 후한(後漢)의 반소(班昭)가 지은 《여계(女誡)》의 영향을 받음. 조선 성종(成宗) 때 인수대비(仁粹大妃)가 《내훈(內訓)》을 편찬할 때 참고함.
중국 , 문헌>서명
-
여구(汝九)@강휘정 - 강휘정(姜徽鼎)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로, 한사(寒沙) 강대수(姜大遂)의 문인. 오건(吳健)의 위패를 봉안한 서계서원(西溪書院)의 사액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려 사액을 받음.
1634~167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여구(汝九) - 이기홍(李箕洪)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풍산군(豐山君) 이종린(李宗麟)의 후손이며, 송준길(宋浚吉)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사포서 별검(司圃署別檢)ㆍ집의(執義) 등을 지내고, 만년에 낙향하여 권상하(權尙夏)와 함께 경전(經傳)을 강론하였으며, 《정암집(靜庵集)》의 편찬에 참여함.
1641~17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풍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여구성(驪駒聲) - 여구가(驪駒歌)
고별(告別)하는 내용이 담겨있는 일시(逸詩). 《한서(漢書)》〈왕식전(王式傳)〉에 관련 부분이 있고, 주(註)에 설명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여국(麗國)@조선 - 조선(朝鮮)
우리나라 근세의 통일 왕조. 이성계(李成桂)가 신진 사대부(士大夫)의 추대를 받아 세운 나라로, 태조(太祖)에서 순종(純宗)까지 27대 519년간 존속.
1392~1910 한국>조선시대 , 시간>국명
-
여국(麗國) - 고구려(高句麗)
고대의 삼국 가운데 동명왕(東明王) 주몽(朱蒙)이 기원전 37년에 세운 국가. 기원(紀元) 전후 무렵에 졸본(卒本) 지방에서 일어나 한반도 북부와 만주(滿洲) 일대를 지배하였으며, 동명왕부터 보장왕(寶藏王)까지 28대 705년간 존속함.
B.C.37~A.D.668 한국>고구려 , 시간>국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