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여규(如圭) - 범여규(范如圭)
중국 송(宋) 고종(高宗) 때의 문신. 범염조(范念祖)와 범염덕(范念德)의 아버지로, 비서랑(秘書郞)을 지냈음.
1102~116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근산(女根山) - 여근곡(女根谷)
경상도 경주(慶州)에 있는 계곡 이름. 산의 모양에 따라 붙은 이름으로, 신라시대 선덕여왕(善德女王)이 백제(百濟)의 군대를 미리 막아낸 지역으로 유명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여금(餘金) - 신분(申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전의감 부정(典醫監副正)을 지냈으며, 전서(篆書)를 잘 썼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관인>문신
-
여금노인(餘金老人) - 신분(申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전의감 부정(典醫監副正)을 지냈으며, 전서(篆書)를 잘 썼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관인>문신
-
여금로(餘金老) - 신분(申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전의감 부정(典醫監副正)을 지냈으며, 전서(篆書)를 잘 썼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관인>문신
-
여금서옥(餘金書屋) - 신분(申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전의감 부정(典醫監副正)을 지냈으며, 전서(篆書)를 잘 썼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관인>문신
-
여긍(汝肯) - 심구(沈構)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심붕서(沈鵬瑞)의 아들이며, 심상점(沈尙漸)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여기(汝器) - 김위(金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이이(李珥)와 교유함. 임진왜란 때 병든 몸으로 어가를 호종하였고,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여기진(莒崎津) - 박다(博多)
일본 서해도(西海道) 구주(九州) 가운데 축전주(築前州)에 속한 거진(巨鎭) 이름. 대외교통의 요충지로, 신라의 충신 박제상(朴堤上)이 순국한 곳으로 전해짐.
일본 , 지명>행정지명
-
여길(與吉) - 육수성(陸樹聲)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저서에 《장수일초(長水日鈔)》ㆍ《육문정공집(陸文定公集)》ㆍ《다요기(茶寮記)》등이 있음.
1509~160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길보(呂吉甫) - 여혜경(呂惠卿)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왕안석(王安石)과 더불어 신법(新法)을 추진했으나 왕안석이 실각하자 그를 방해하다가 외방(外方)으로 쫓겨나고, 휘종 때 다시 폄척(貶斥)을 받고 죽음. 태자 중윤(太子中允) 등을 지냄.
1032~111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남(汝南)@허소 - 허소(許劭)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매월 초하루마다 인물평을 한 데서 유래한 '월단평(月旦評)' 고사의 장본인으로, 형 허건(許虔)과 함께 ‘평여이룡(平與二龍)’으로 불림. 조조(曹操)를 평하여 '청평(淸平)의 간적(姦賊), 난세(亂世)의 영웅(英雄)'이라 한 일로 유명함.
150~19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여남(汝南)@김익겸 - 김익겸(金益兼)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의 아버지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에서 항전하다 전황이 불리해지자 김상용(金尙容)ㆍ권순장(權順長)과 함께 자결함. 광원부원군(光源府院君)에 추봉됨.
1614~163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남강당(汝南講堂) - 여남서원(汝南書院)
조선시대에 경상도 영양(英陽)에 건립된 서원. 영양남씨(英陽南氏) 후손들이 시조 남민(南敏)을 봉사하던 사당인 향현사(鄕賢祠)를 여남강당(汝南講堂)으로 이름을 바뀌었다가, 1830년(순조 30)에 여남서원(汝南書院)으로 승격됨.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영해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여남왕(汝南王)@사마량 - 사마량(司馬亮)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 혜제(惠帝) 때의 왕족. 선제(宣帝) 사마의(司馬懿)의 아들로 태재(太宰) 등을 지냈으나, 혜제의 황후 가씨(賈氏)에게 죽임을 당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여남왕(汝南王) - 조윤양(趙允讓)
중국 송(宋) 나라 영종(英宗)의 생부(生父). 영종이 즉위하여 복안의왕(濮安懿王)으로 추숭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여남평(汝南評) - 월단평(月旦評)
인물에 대한 품평(品評)을 일컫는 말. 중국 후한(後漢) 때 여남(汝南)의 허소(許劭)와 허정(許靖)이 매월 초하루마다 마을 사람들의 인물을 평가했다는 데서 유래함.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여달(閭達) - 유리왕(瑠璃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 제2대 왕. 재위 B.C.19~A.D.18. 동명왕(東明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예씨(禮氏). 부여(扶餘)에서 아버지를 찾아 고구려로 와 태자로 책봉되어 동명왕이 사망하자 즉위함. 도읍을 졸본(卒本)에서 국내성(國內城)으로 옮겼으며, 선비(鮮卑)ㆍ부여의 공격을 막아내고 영토를 넓히는 데 힘씀.
?~18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여대사(如大師) - 각해(覺海)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검교시중(檢校侍中)을 지낸 이진(李瑱)의 둘째 아들이며,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형. 공주 반룡사(盤龍社)에 주석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여도(戾悼) - 창원군(昌原君)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두 번째 서자. 근빈(謹嬪) 박씨(朴氏)의 소생으로, 성격이 방탕(放蕩)하고 난폭하여 여러 차례 국문(鞫問)을 당함.
1457~14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여동래(呂東萊) - 여조겸(呂祖謙)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주희(朱熹)와 함께 북송(北宋) 도학자의 어록을 편집하여 《근사록(近思錄)》을 찬함.
1137~118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여동빈(呂洞賓)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여등(如登) - 유종선(柳從善)@조선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은사(隱士). 본관은 진주(晉州).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냈으나, 산에 은거한 뒤로 친구와 친척들도 그의 얼굴을 보기가 드물었다고 함. 조헌(趙憲)의 《조천기(朝天記)》에 파주 목사 시절의 행적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여람(輿覽)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조선 성종(成宗) 때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에 우리나라 문사(文士)들의 시문(詩文)을 첨가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官撰地理書). 50권.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대성.
14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여량(汝樑)@신여량 - 신여량(申汝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상호군(上護軍) 신한(申瀚)의 아들로, 한성 판관(漢城判官)ㆍ순천 군수(順川郡守)ㆍ내자시 첨정(內資寺僉正) 등을 지냄.
1505~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량(汝樑) - 박여량(朴汝樑)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졸재(拙齋) 노상(盧祥)의 문인. 정인홍(鄭仁弘)ㆍ정온(鄭蘊)ㆍ오장(吳長)ㆍ박이장(朴而章) 등과 교유하고, 지평(持平)ㆍ문학(文學) 등을 지냄.
1554~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여량(汝良)@양산준 - 양산준(梁山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병절교위(秉節校尉) 양응기(梁應箕)의 아들로, 예빈시 봉사(禮賓寺奉事)를 지냈으나 일찍 죽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여량(汝良) - 이사필(李師弼)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증석(李曾碩)의 아들이며 월연(月淵) 이태(李迨)의 아버지. 교위(校尉)를 지냈으며,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밀양(密陽)으로 퇴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여량(礪良) - 여산(礪山)
전라도 익산(益山)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정종(定宗) 때 여량(礪良)과 낭산(朗山)의 이름을 합쳐 여산이라 칭했고, 세종(世宗) 때 군(郡)으로 승격함.
전라도>여산 , 지명>행정지명
-
여량군(礪良君)@송현수 - 송현수(宋玹壽)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단종의 장인. 본관은 여산(礪山). 1457년(세조 3) 금성대군(錦城大君)이 사사된 뒤 주살(誅殺)됨.
?~14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여량군(礪良君) - 송거신(宋居信)
고려 말~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태종(太宗)이 잠저(潛邸) 시절 사냥에 나갔다가 위기에 빠지자 필사적으로 구출하였으며, 태종 즉위 후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9~144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송현수 - 송현수(宋玹壽)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단종의 장인. 본관은 여산(礪山). 1457년(세조 3) 금성대군(錦城大君)이 사사된 뒤 주살(誅殺)됨.
?~14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여량송씨(礪良宋氏) - 여산송씨(礪山宋氏)
고려 때 진사(進士)를 지내고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에 추증된 송유익(宋惟翊)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집단>성씨
-
여려(汝礪)@김여려 - 김여려(金汝礪)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강릉(江陵). 부사(府使) 김숙(金淑)의 아버지로, 1455년(세조 1) 원종공신(原從功臣) 3등에 녹훈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여려(汝礪) - 이상경(李商卿)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장수(長水). 이수림(李壽林)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문사>유학
-
여로(呂老) - 여이간(呂夷簡)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오랜 기간 재상(宰相)으로서 국정을 좌우하였으나 범중엄(范仲淹)ㆍ왕증(王曾) 등과 대립하다가 인종의 개혁 의지로 파면됨.
979~104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로(汝老) - 민여로(閔汝老)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재문(閔在文)의 아들로, 1642년(인조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장령(掌令)ㆍ목사(牧使) 등을 지냄.
1598~167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여로(驪老) - 김안국(金安國)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계승하고,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
1478~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룡(汝龍) - 박여룡(朴汝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면천(沔川)으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 때 행재소(行在所)를 호위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1605년(선조 38) 선무 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41~161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릉(廬陵)@구양수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여릉(廬陵) - 문천상(文天祥)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시인. 지방관으로 있을 때 천도를 반대하는 글을 올려 면직됨. 송 나라 멸망 후 옥중(獄中)에서 지은 〈정기가(正氣歌)〉로 유명함.
1236~1282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릉노쉬(廬陵老倅)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여릉송승상신국공문충렬선생전집(廬陵宋丞相信國公文忠烈先生全集) - 문산전집(文山全集)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이며 애국시인인 문천상(文天祥)의 시문집. 1552년 언무경(鄢懋卿)이 판각한 28권본 이래 여러 개의 판본이 전해짐. 송(宋)ㆍ원(元) 교체기의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비장하고 강개한 작품들이 대부분임.
1552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여림(汝霖)@송여림 - 송여림(宋汝霖)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낸 송요년(宋遙年)의 아들로, 양근 군수(楊根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여림(汝霖)@유여림 - 유여림(兪汝霖)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유기창(兪起昌)의 아들. 1504년(연산군 1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호조 판서(戶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저서로 《정당선생유고(政堂先生遺稿)》가 있음.
1476~153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여림(汝霖) - 손주(孫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과 함께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사류의 처벌에 가담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3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관인>문신
-
여립(汝立) - 정여립(鄭汝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동래(東萊). 1570년(선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지냄. 1589년(선조 22)에 재령 군수(載寧郡守) 박충간(朴忠侃)의 밀고로 난을 일으킬 계획이 발각되자 자결함.
1546~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여립(汝立)@이대건 - 이대건(李大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이시발(李時發)의 아버지로, 1573년(선조 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나 27세로 요절함.
1550~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여립(與立) - 갈수례(葛守禮)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좌도어사(左都御史)를 지내면서 당시 양박(楊博)과 함께 깨끗한 절조와 두터운 신망을 지닌 명신(名臣)으로 알려짐.
?~157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만(汝萬) - 신익전(申翊全)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영의정을 지낸 신흠(申欽)의 아들. 1636년(인조 14)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저서로 《동강유집(東江遺集)》이 있음.
1605~166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망(呂望)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여망(汝望) - 김의(金嶷)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십청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의 증손이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된 지평(持平) 김저(金䃴)의 손자.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여맥(驪貊) - 고구려(高句麗)
고대의 삼국 가운데 동명왕(東明王) 주몽(朱蒙)이 기원전 37년에 세운 국가. 기원(紀元) 전후 무렵에 졸본(卒本) 지방에서 일어나 한반도 북부와 만주(滿洲) 일대를 지배하였으며, 동명왕부터 보장왕(寶藏王)까지 28대 705년간 존속함.
B.C.37~A.D.668 한국>고구려 , 시간>국명
-
여명(汝明) - 범세동(范世東)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금성(錦城).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을 지내고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하다가 낙향하여 끝까지 절의(節義)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ㅣ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명보(汝明甫) - 범세동(范世東)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금성(錦城).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을 지내고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하다가 낙향하여 끝까지 절의(節義)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ㅣ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묵(汝默) - 신시행(申時行)
중국 명(明)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이부 상서(吏部尙書)ㆍ건극전 대학사(建極殿大學士) 등을 지냈음. 문장에 뛰어났으며, 저서에는 《사한당집(賜閑堂集)》이 있음.
1535~161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물(汝岉) - 김여물(金汝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찰방(察訪) 김훈(金壎)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충주(忠州)에서 왜적과 싸우다 순절함. 뒤에 영의정(領議政)으로 추증됨.
1548~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여미(汝美) - 유주(柳袾)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원주 목사(原州牧使)를 지낸 유운룡(柳雲龍)의 장남으로, 평릉 찰방(平陵察訪)을 지냄.
1560~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여미(汝美)@정선 - 정선(丁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정세명(丁世明)의 아들로 교감(校勘)을 지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되고, 이후 향리로 퇴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여발(汝發) - 최서림(崔瑞琳)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통덕랑(通德郞) 최윤성(崔胤聖)의 아들이며 김집(金集)의 문인. 1662년(현종 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공릉 참봉(恭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후진 교육에 힘씀.
1632~16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여발(汝發)@이여발 - 이여발(李汝發)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한천군(韓川君) 이의배(李義培)의 손자. 성품이 청렴하고 강직하였으며, 여러 도의 절도사(節度使)와 어영대장(御營大將) 등을 지냄.
1621~168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여방(汝方) - 홍여방(洪汝方)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길민(洪吉旼)의 아들.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43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여백공(呂伯恭) - 여조겸(呂祖謙)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주희(朱熹)와 함께 북송(北宋) 도학자의 어록을 편집하여 《근사록(近思錄)》을 찬함.
1137~118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여벌(汝橃) - 오여벌(吳汝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창(高敞). 오운(吳澐)의 아들이며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창원 부사(昌原府使) 등을 지냄. 저서로 《중국역대총론(中國歷代總論)》ㆍ《동국역대기사(東國歷代紀事)》 등이 있음.
1579~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보(慮甫) - 권우(權遇)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 말에 출사하고, 조선 건국 뒤에도 계속 등용되어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 등을 지내면서 정인지(鄭麟趾) 등 여러 문인을 양성함.
136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여보(呂父) - 정자급(丁子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를 지낸 정수곤(丁壽崑)의 아버지로, 승문원 부교리(承文院副校理)ㆍ소격서 영(昭格署令) 등을 지냄.
1423~14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여봉노인(茹峰老人)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부(汝孚) - 김여부(金汝孚)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아들로,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을 지냄. 인품이 경박하고, 권문(權門)에 빌붙어 진취(進取)에 급급하여 결국은 조정에서 축출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부자(呂夫子)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여빈(汝馪) - 이여빈(李汝馪)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우계(羽溪). 참봉(參奉) 이효신(李孝信)의 아들이며 한우(韓佑)의 문인.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위를 주장하는 정인홍(鄭仁弘)과 이이첨(李爾瞻)을 비판하는 상소문을 올림.
1556~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여사(餘沙) - 사월(沙月)
경상남도 진주(晉州)에 있는 마을 이름. 조선 초기의 문신인 하연(河演)의 출생지.
경상도>진주 , 지명>자연지명
-
여사(驪寺) - 신륵사(神勒寺)
경기도 여주(驪州) 북내면(北內面)의 봉미산(鳳尾山)에 있는 사찰.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 조선 성종(成宗)때 영릉(英陵)의 원찰(願刹)이 되면서 보은사(報恩寺)로 불림.
한국>신라 , 경기도>여주 , 유적>건물>사찰
-
여사(麗史) - 고려사(高麗史)
조선 세종(世宗) 때 김종서(金宗瑞)ㆍ정인지(鄭麟趾) 등이 교지(敎旨)를 받들어 편찬을 시작하여 문종(文宗) 때 완성된 고려시대에 관한 역사책. 총 139권.
145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여사인(呂舍人) - 여본중(呂本中)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 황정견(黃庭堅)과 진사도(陳師道)의 시풍을 계승했으며, 그가 작성한 〈강서시사종파도(江西詩社宗派圖)〉는 강서파(江西派)에 영향을 미쳐 송 나라 시의 새 기원을 열었음.
1084~114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여산(礪山)@심연 - 심연(沈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우참찬(右參贊) 심광언(沈光彦)의 아들. 양천 현감(陽川縣監)ㆍ여산 군수(礪山郡守) 등을 지내며 선정(善政)을 베풀어 여러 차례 포상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여산(閭山) - 의무려산(醫巫閭山)
중국 요령성(遼寧省)에 있는 산 이름. 순(舜) 임금이 십이산(十二山)을 봉할 때에 유주(幽州)의 진산(鎭山)으로 삼았고, 산세(山勢)가 6리를 덮으므로 육산(六山)이라고도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여산(驪山)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여산군(礪山君) - 송익손(宋益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처남 홍달손(洪達孫)을 따라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세조(世祖) 때 나주 목사(羅州牧使)로 여산군(礪山君)에 봉해짐.
1419~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여산군(礪山君)@송유익 - 송유익(宋惟翊)
고려 전기의 문신. 여산송씨(礪山宋氏)의 시조로,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에 오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여산군(麗山君)@김온 - 김온(金穩)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봉상대부(奉常大夫) 김황(金貺)의 아들로, 밀양 부사(密陽府使)ㆍ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냄.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5대조.
1348~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산군(麗山君) - 김승주(金承霔)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고려 말 왜구의 격퇴와 조선 태종(太宗)의 즉위에 공을 세움.
1354~142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여산부원군(礪山府院君) - 송거신(宋居信)
고려 말~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태종(太宗)이 잠저(潛邸) 시절 사냥에 나갔다가 위기에 빠지자 필사적으로 구출하였으며, 태종 즉위 후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9~144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여산부원군(驪山府院君) - 이행(李行)@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우왕(禑王) 때 탐라(耽羅)에 가서 성주(星主)의 아들 고봉례(高鳳禮)를 볼모로 데려옴. 조선 개국 후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52~14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여산사(廬山社) - 백련사(白蓮社)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혜원(慧遠)이 여러 승도(僧徒) 및 명유(名儒)들과 함께 여산(廬山)의 동림사(東林寺)에서 정토왕생을 위한 염불수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한 신행결사(信行結社). 동림사 안에 백련(白蓮)을 많이 심었었으므로 백련사라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여산정사(廬山精舍) - 백련사(白蓮社)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혜원(慧遠)이 여러 승도(僧徒) 및 명유(名儒)들과 함께 여산(廬山)의 동림사(東林寺)에서 정토왕생을 위한 염불수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한 신행결사(信行結社). 동림사 안에 백련(白蓮)을 많이 심었었으므로 백련사라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여석(汝晳) - 신여석(申汝晳)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신해(申垓)의 아들로, 성천 부사(成川府使) 등을 지냄.
1632~169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여석(礪石) - 김여석(金礪石)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참여하고, 명(明) 나라의 건주위(建州衛) 정벌 때 참여하여 공을 세움.
1445~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여선(呂仙)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여성(汝成)@김창집 - 김창집(金昌集)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들이자 김창협(金昌協)의 형. 노론(老論)의 대표 인물로,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냈으나, 경종의 후사로 연잉군(延礽君:영조)를 세웠다가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죽임을 당함.
1648~17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성(汝成) - 노수(盧遂)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노응세(盧應世)의 아들로, 김대유(金大有)에게 수학하고 이황(李滉)을 사사하였으며, 김응생(金應生)ㆍ정윤량(鄭允良) 등과 함께 영천(永川)에 임고서원(臨皐書院)을 창건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여성(汝省) - 이경증(李景曾)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권필(權韠)의 문인(門人)으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어사(御史)로서 식량조달을 담당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에는 병방승지(兵房承旨)로서 인조를 호종함.
1595~164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여성(汝誠) - 손여성(孫汝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으로, 손형(孫蘅)의 아들. 효성이 지극하였고,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ㆍ남원 부사(南原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여성(犂星) - 삼성(參星)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하나로, 서남방 신(申)의 위치에 있는 세 개의 큰 별. 옛날 고신씨(高辛氏)의 두 아들 알백(閼伯)과 실침(實沈)이 날마다 싸우므로, 임금이 알백을 상구(商丘)에 옮겨 이 별을 주장하게 함.
자연물>천체
-
여성(礪城) - 송익필(宋翼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판관(判官) 송사련(宋祀連)의 아들.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교제하며 성리학과 예학(禮學)에 통달하였고, 문장에 뛰어나 선조대(宣祖代)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렸으며, 김장생(金長生)ㆍ김집(金集) 등 많은 문하생을 배출함.
1534~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여성(礪城)@송인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여성(驪城) - 여주(驪州)
경기도 동남부의 고을 이름. 고구려 때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 부른 이후, 여러 명칭으로 바뀌어 불리다가 1468년(예종 1) 여주라 하고 목(牧)으로 승격함.
경기도>여주 , 지명>행정지명
-
여성(驪城) - 여주(驪州)
경기도 동남부의 고을 이름. 고구려 때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 부른 이후, 여러 명칭으로 바뀌어 불리다가 1468년(예종 1) 여주라 하고 목(牧)으로 승격함.
경기도>여주 , 지명>행정지명
-
여성군(礪城君)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여성군(驪城君)@이지완 - 이지완(李志完)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시문(詩文)에 능하여 1606년(선조 39) 중국 사신 주지번(朱之蕃)이 왔을 때 이호민(李好閔)ㆍ허균(許筠) 등과 접반함. 이이첨(李爾瞻)과 사돈을 맺고 권력을 탐해 사람들의 비난을 받음.
1575~161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성군(驪城君) - 민무질(閔無疾)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봉해졌으나, 형 민무구(閔無咎)와 연루된 옥사로 공신녹권(功臣錄券)이 환수되고 유배감.
?~141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