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여성군(驪城君)@이언적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성군(驪成君) - 민여익(閔汝翼)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개국을 도와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전결(田結)과 노비를 받았으며,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두루 역임했음.
1360~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성도위(礪城都尉)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여성위(礪城尉)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여송(如松) - 이여송(李如松)
중국 명(明) 나라 말기의 무신. 요동 총병(遼東總兵) 이성량(李成梁)의 맏아들로, 1592년 동정제독(東征提督)으로서 영하(寧夏)에서 일어난 발배(哱拜)의 난을 평정함. 임진왜란 때 원군으로 조선에 들어와 왜병을 격파해 전세를 역전시킴.
1549~15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여수(女宿) - 무녀성(婺女星)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하나의 별자리. 직녀성(織女星) 남쪽에 있는 여수(女宿)의 별칭으로 여신(女神)을 뜻하며, 흔히 귀부인을 찬양하는 용어로 쓰임.
자연물>천체
-
여수(汝修) - 김명석(金命錫)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이재(李栽)의 문인(門人). 문학으로 일가를 이루었고, 특히 시(詩)는 독보적 존재로 평가됨.
1675~176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학자
-
여수(汝受)@홍만종 - 홍만종(洪萬鍾)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홍주문(洪柱文) 의 아들로, 1666년(현종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여수(汝受)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수(汝守)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수(驪水) - 여강(驪江)
경기 여주(驪州)에서 여주 지역을 흐르는 한강(漢江)을 일컫는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원호(元豪)가 왜적을 격퇴한 곳.
경기도>여주 , 지명>자연지명
-
여숙(與叔) - 여대림(呂大臨)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철종(哲宗) 때 태학박사(太学博士)를 지냄. 육경(六經)에 통달하고, 특히 예기(禮記)에 밝음.
1040~109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여숙(與叔)@조광림 - 조광림(趙廣臨)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김일손(金馹孫)과 함께 동방급제(同榜及第)하고, 봉상시 봉사(奉常寺奉事)를 지냄.
1463~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순(汝順) - 김천명(金天命)
조선 전기의 유학. 김륭(金隆)이 지은 〈차한익부익지김여순증별운(次韓益夫益之金汝順贈別韻)〉이라는 시가 《물암집(勿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여순암(麗順庵) - 구존유(具存裕)
능성구씨(綾城具氏)의 시조. 고려에서 대광검교상장군(大匡檢校上將軍)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여승(汝承) - 이형윤(李炯胤)
조선 후기의 무신ㆍ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이후(李垕)의 아버지로, 봉래군(逢萊君)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부총관(五衛都摠府副摠管) 등을 지냄.
1593~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여승(汝昇) - 윤돈(尹暾)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明) 나라 장수들의 접반관(接伴官)으로 활약함. 광해군 때 산릉도감 제조(山陵都監提調)로서 선조의 능(陵)을 조성함.
1551~161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승(麗乘) - 고려사(高麗史)
조선 세종(世宗) 때 김종서(金宗瑞)ㆍ정인지(鄭麟趾) 등이 교지(敎旨)를 받들어 편찬을 시작하여 문종(文宗) 때 완성된 고려시대에 관한 역사책. 총 139권.
145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여시(汝時) - 최석정(崔錫鼎)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최명길(崔鳴吉)의 손자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내고 정치와 학문에 두루 능함. 저서로 《명곡집(明谷集)》이 전함.
1646~17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시강(呂侍講) - 여희철(呂希哲)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ㆍ문신. 호원(胡瑗)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 등에게서 학문을 배움. 사람됨이 대범하고 신중하여 만년(晩年)에 명성을 더욱 날림.
1039~111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식(汝式) - 조헌(趙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배천(白川).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옥천(沃川) 등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으나 금산(錦山) 전투에서 700명의 의병과 분전하다가 함께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관인>문신
-
여식(汝拭) - 신여식(申汝拭)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광주 부윤(廣州府尹)을 지낸 신준(申埈)의 아들로, 1648년(인조 26) 식년(式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냄.
16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신(呂脤)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여신(如神) - 이함장(李諴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부윤(府尹) 이사관(李士寬)의 아들이며,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이수남(李壽男)의 아버지. 1457년(세조 3) 중시(重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여신(汝信) - 민여신(閔汝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문천 군수(文川郡守) 민사용(閔思容)의 아들로, 1594년(선조 2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고산 찰방(高山察訪) 등을 지냄.
155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신(汝信)@성여신 - 성여신(成汝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조식(曺植)의 문인(門人)으로, 일찍부터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저서에 《부사집(浮査集)》이 있음.
1546~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여신(汝愼) - 최명창(崔命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부사과(副司果) 최철손(崔鐵孫)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ㆍ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466~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여씨(呂氏) - 여대균(呂大鈞)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여대방(呂大防)의 아우로, 장재(張載)에게 수학하고, 부연전운사(鄜延轉運使) 등을 지냄. 조선시대 향약의 기본이 된 여씨향약(呂氏鄕約)의 네 가지 강령을 제정함.
1031~108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씨(麗氏) - 고려(高麗)
왕건(王建)이 태봉(泰封)의 궁예(弓裔)를 추방하고 개성(開城)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태조(太祖)에서 공양왕(恭讓王)까지 34대 475년간 존속.
918~1392 한국>고려시대 , 시간>국명
-
여씨구약(呂氏舊約) - 여씨향약(呂氏鄕約)
중국 북송(北宋)의 여대충(呂大忠)ㆍ여대방(呂大防)ㆍ여대균(呂大勻)ㆍ여대림(呂大臨) 네 형제가 향촌을 교화ㆍ선도하기 위해 만든 자치적인 규약. 덕업상권(德業相勸)ㆍ과실상규(過失相規)ㆍ예속상교(禮俗相交)ㆍ환난상휼(患難相恤) 등 네 가지 강령으로 하며, 조선 후기에 실시된 향약의 모체가 됨.
중국>송 , 중국 , 법제>의례>향촌의례ㅣ문헌>서명
-
여씨약(呂氏約) - 여씨향약(呂氏鄕約)
중국 북송(北宋)의 여대충(呂大忠)ㆍ여대방(呂大防)ㆍ여대균(呂大勻)ㆍ여대림(呂大臨) 네 형제가 향촌을 교화ㆍ선도하기 위해 만든 자치적인 규약. 덕업상권(德業相勸)ㆍ과실상규(過失相規)ㆍ예속상교(禮俗相交)ㆍ환난상휼(患難相恤) 등 네 가지 강령으로 하며, 조선 후기에 실시된 향약의 모체가 됨.
중국>송 , 중국 , 법제>의례>향촌의례ㅣ문헌>서명
-
여약(呂約) - 여씨향약(呂氏鄕約)
중국 북송(北宋)의 여대충(呂大忠)ㆍ여대방(呂大防)ㆍ여대균(呂大勻)ㆍ여대림(呂大臨) 네 형제가 향촌을 교화ㆍ선도하기 위해 만든 자치적인 규약. 덕업상권(德業相勸)ㆍ과실상규(過失相規)ㆍ예속상교(禮俗相交)ㆍ환난상휼(患難相恤) 등 네 가지 강령으로 하며, 조선 후기에 실시된 향약의 모체가 됨.
중국>송 , 중국 , 법제>의례>향촌의례ㅣ문헌>서명
-
여양(驪陽) - 여주(驪州)
경기도 동남부의 고을 이름. 고구려 때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 부른 이후, 여러 명칭으로 바뀌어 불리다가 1468년(예종 1) 여주라 하고 목(牧)으로 승격함.
경기도>여주 , 지명>행정지명
-
여양(黎陽) - 단목사(端木賜)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재여(宰予)와 더불어 언어에 뛰어났으며, 노(魯) 나라와 위 나라에서 재상(宰相)을 지냄.
B.C.520?~B.C.45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여양군(呂陽君) - 이자겸(李子謙)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증손이며, 율원군(栗元君) 이종(李徖)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여양군(礪良君)@송선 - 송선(宋璿)
고려 후기의 문신. 민제(閔霽)의 장인이며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 송씨(宋氏)의 아버지로, 여양군(礪良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여양군(礪良君) - 송송례(宋松禮)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원종 때 문하성 직사(門下省直事)로서 홍규(洪奎)와 함께 권신 임유무(林惟茂)를 죽이고 왕정(王政)을 복고시켰으며, 찬성사 중찬(贊成事中贊) 등을 역임함.
?~128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여양군(驪陽君)@민인백 - 민인백(閔仁伯)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기축옥사(己丑獄事)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황주 목사(黃州牧使)로 임진강(臨津江)을 지킴.
1552~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양군(驪陽君) - 진총후(陳寵厚)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무신. 여양진씨(驪陽陳氏)의 시조로, 매호(梅湖) 진화(陳澕)의 증조부. 대장군(大將軍)으로서 이자겸(李資謙)의 난을 토평하는 데 공을 세움.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무신
-
여양군왕(汝陽郡王) - 이진(李璡)
중국 당(唐) 나라 영왕(甯王)의 맏아들. 활쏘기를 잘하였고, 하지장(賀知章)과 시주(詩酒)로 교유함. 술을 좋아하여 ‘주중팔선인(酒中八仙人)’ 중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짐.
?~75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여양부원군(礪良府院君) - 송서(宋瑞)
고려 공민왕(恭愍王)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분(宋玢)의 아들로, 조일신(趙日新)이 인사를 천단할 때 우정승(右政丞)을 지냄.
?~135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 민유중(閔維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숙종의 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아버지로 남인(南人)이 집권할 때 흥해(興海)로 유배되었다가, 남인이 실각하자 금위영(禁衛營)의 창설을 주도하여 병권과 재정권을 모두 관장함.
1630~168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여양왕(汝陽王) - 이진(李璡)
중국 당(唐) 나라 영왕(甯王)의 맏아들. 활쏘기를 잘하였고, 하지장(賀知章)과 시주(詩酒)로 교유함. 술을 좋아하여 ‘주중팔선인(酒中八仙人)’ 중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짐.
?~75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여언(汝言) - 석여언(席汝言)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1082년 77세 되던 해에 사마광(司馬光)ㆍ부필(富弼)ㆍ문언박(文彦博) 등과 함께 낙양 기영회(洛陽耆英會)를 조직하여 시를 읊음.
10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연(閭延)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여엽(汝曄) - 유근회(柳根晦)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방선(柳方善)의 후손이고 조호익(曺好益)의 문인으로, 효행으로써 알려짐.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여오후(蠡吾侯) - 효숭황(孝崇皇)
중국 후한(後漢)의 추존왕. 후한의 제11대 황제인 환제(桓帝)의 아버지로, 효숭황(孝崇皇)으로 추존(追尊)되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여옥(如玉) - 양찬(梁瓚)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남원(南原).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양구주(梁九疇)의 손자이며, 남원군(南原君) 양성지(梁誠之)의 아들. 동부승지(同副承旨)ㆍ영해 부사(寧海府使) 등을 지냄.
1443~149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여옥(汝沃)@송여옥 - 송여옥(宋汝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청성산(靑城山)에 은거한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을 찾아가 《시전(詩傳)》ㆍ《근사록(近思錄)》 등을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여옥(汝沃) - 윤개(尹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대윤(大尹) 일파를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左議政)에까지 올랐으나, 권세에 아부하였다는 사림(士林)의 비판을 받고 선조(宣祖) 초에 모든 훈작(勳爵)이 삭탈됨.
1494~15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여옥(汝玉) - 이정(李珽)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익하(李翊夏)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등을 지냄.
1659~169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여온(汝溫)@탁원직 - 탁원직(卓元直)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탁도민(卓道敏)의 둘째 아들로, 밀직제학(密直提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여온(汝溫) - 송겸(宋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1520년(중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장원(壯元)하여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ㆍ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옹(呂翁)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여와(麗窩) - 서견(徐甄)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안향(安珦)의 문인(門人)으로, 공양왕(恭讓王) 때 사헌장령(司憲掌令)을 지냈으나, 조선 개국 후에는 금천(衿川)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여와(黎渦) - 여천(黎倩)
중국 송(宋) 나라 때의 기녀(妓女). 귀향지에 돌아오는 호전(胡銓)과 운우지정(雲雨之情)의 관계를 맺음. 상담 호씨원(湘潭胡氏園)에서 그를 위해 지은 호전의 시가 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술인>기생
-
여와씨(女媧氏) - 여와(女媧)
중국 고대 전설상의 여신(女神). 인수사신(人首蛇身)의 형상을 지녔으며, 오색(五色)의 돌을 다듬어 하늘을 깁고 자라의 발을 잘라 사방을 받쳤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여완(汝完) - 성여완(成汝完)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서밀직(簽書密直)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고려가 망하자 포천(抱川)에 은거함.
1309~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여왕(女王) - 문덕곽황후(文德郭皇后)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 문제(文帝)의 황후. 태수(太守) 곽영(郭永)의 딸.
184~23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여왕(麗王)@태조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여왕(麗王) - 왕산악(王山岳)
고구려 양원왕(陽原王) 때의 국상(國相). 거문고의 대가. 552년(양원왕 8)에 진(晉) 나라에서 도입한 칠현금(七絃琴)을 개조하여 100여 악곡을 지어 연주함.
한국>고구려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여요(女堯) - 선인황후(宣仁皇后)
중국 송(宋) 나라 제5대 황제 영종(英宗)의 황후. 신종(神宗) 때에 황태후가 되었고, 철종(哲宗) 때에 태황태후가 되어서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여 사마광(司馬光)을 재상으로 삼고 왕안석(王安石)을 배척하는 정책을 폄.
1032~109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여요군공(余姚郡公) - 귀숭경(歸崇敬)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문신.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낸 귀등(歸登)의 아버지로,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냄. 저서로 《귀숭경집(歸崇敬集)》등이 있음.
712~79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용(汝容) - 강견(姜涀)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강항(姜沆)의 형이고 이이(李珥)의 문인. 정여립(鄭汝立) 사건 때 최영경(崔永慶)을 유령의 인물인 길삼봉(吉三峯)으로 무고하여 옥사(獄死)하게 함.
1554~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여용(汝用) - 김방려(金方礪)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이첨(李詹)ㆍ전녹생(田祿生)ㆍ몽주(鄭夢周) 등과 이인임(李仁任)의 친원정책을 배척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여우(如愚) - 박눌(朴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사직(司直)을 지낸 박소종(朴紹宗)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여우(汝友) - 배삼익(裵三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진사사(陳謝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황해도 관찰사로 구황(救荒)에 힘쓰다 병사함.
1534~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여우(汝愚) - 조여우(趙汝愚)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재상. 송 나라의 황족으로 주희(朱熹)의 친구. 영종 때 한탁주(韓侂冑)의 무고로 귀양 가서 죽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여우(汝雨) - 최여우(崔汝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이이(李珥)의 문인인 최준(崔濬)ㆍ최서(崔湑)ㆍ최전(崔澱)의 아버지로, 위원 군수(渭原郡守) 등을 지냄.
1535~157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여우(汝雨)@송여우 - 송여우(宋汝雨)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송미년(宋眉年)의 아들로, 세상에 명성을 구하지 않고 초야에서 유유자적하며 지냄.
1460~152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
-
여원(汝源) - 송여원(宋汝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청성산(靑城山)에 은거한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을 찾아가 동생 송여옥(宋汝沃)과 함께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여원(驪原) - 여주(驪州)
경기도 동남부의 고을 이름. 고구려 때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 부른 이후, 여러 명칭으로 바뀌어 불리다가 1468년(예종 1) 여주라 하고 목(牧)으로 승격함.
경기도>여주 , 지명>행정지명
-
여원군(礪元君) - 송연손(宋演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불우헌(不憂軒) 정극인(丁克仁)의 문인으로, 중종의 잠저(潛邸) 시절에 사부(師傅)를 지냄. 신광한(申光漢)이 지은 신도비명(神道碑銘)이 있음.
1460~150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관인>문신
-
여원군(礪原君) - 송연손(宋演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불우헌(不憂軒) 정극인(丁克仁)의 문인으로, 중종의 잠저(潛邸) 시절에 사부(師傅)를 지냄. 신광한(申光漢)이 지은 신도비명(神道碑銘)이 있음.
1460~150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관인>문신
-
여원군(驪原君) - 민제인(閔齊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전적(典籍)을 지낸 민귀손(閔龜孫)의 아들. 윤원형(尹元衡)에게 의부(依付)해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윤임(尹任) 등을 제거하는 데 앞장섬.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원명(呂原明) - 여희철(呂希哲)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ㆍ문신. 호원(胡瑗)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 등에게서 학문을 배움. 사람됨이 대범하고 신중하여 만년(晩年)에 명성을 더욱 날림.
1039~111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유(汝唯) - 이노(李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종도(趙宗道)와 함께 창의(倡義)하고 김성일(金誠一)의 종사관(從事官)으로도 활약함. 정언(正言) 등을 지냄.
1544~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여유(汝由) - 문홍규(文弘逵)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손자이며, 성광(醒狂) 문할(文劼)의 아들.
1582~16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여유(與猶) - 정약용(丁若鏞)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형원(柳馨遠)ㆍ이익(李瀷)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實學)을 집대성함. 주자(朱子) 성리학(性理學)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
1762~18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유당(與猶堂) - 정약용(丁若鏞)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형원(柳馨遠)ㆍ이익(李瀷)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實學)을 집대성함. 주자(朱子) 성리학(性理學)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
1762~18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윤(汝允) - 최명룡(崔命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ㆍ서화가. 본관은 전주(全州). 학자 권극중(權克中)의 스승으로 역학과 수학에 정통하며, 그림에도 뛰어나 작품 〈선인무악도(仙人舞樂圖)〉 등이 전함.
1567~16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
-
여윤(汝潤) - 변성온(卞成溫)
조선 후기의 문인. 본관은 밀양(密陽).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문인(門人)으로, 장성(長城)에 필암서원(筆巖書院)의 건립을 주도함.
152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문사>문인
-
여윤(呂胤) - 정자급(丁子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를 지낸 정수곤(丁壽崑)의 아버지로, 승문원 부교리(承文院副校理)ㆍ소격서 영(昭格署令) 등을 지냄.
1423~14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여은정(麗隱亭) - 이사지(李思之)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벽진(碧珍). 도원수(都元帥) 이희경(李希慶)의 아들로, 낭장(郞將)을 지냄.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절개를 지킴으로써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 한 사람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여음로(汝陰老) - 왕질(王銍)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학자. 저서로 《운계집(雲溪集)》ㆍ《묵기(默記)》ㆍ《사륙화(四六話)》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여음후(汝陰侯) - 하후영(夏侯嬰)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 때의 공신. 원래는 말을 관리하는 천역(賤役)에 종사하였으나, 소하(蕭何)ㆍ번쾌(樊噲)와 함께 유방(劉邦)을 도와 한(漢) 나라를 건국하는 데 큰 공을 세움. 개국 후 태복(太僕)을 지내고 여음후(汝陰侯)에 봉해짐.
?~B.C.17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여응(汝膺) - 구찬록(具贊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퇴계(退溪)가 그 학문에 뜻이 있음을 칭찬함. 벼슬은 감정(監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여응(汝膺)@김태복 - 김태복(金泰福)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부안(扶安). 창락도 찰방(昌樂道察訪) 김광(金光)의 아들로, 1585년(선조 1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영광성(靈光城)을 지킴.
155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유학
-
여의(與義) - 진여의(陳與義)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시에 뛰어나 도연명(陶淵明)ㆍ유종원(柳宗元) 등과 비견됨.
1090~113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여의보주(如意寶珠) - 여의주(如意珠)
용왕(龍王)의 뇌 속에서 나온 구슬. 사람이 이 구슬을 가지면 독(毒)이 해칠 수 없고,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으며, 중생의 소원을 성취시켜 주는 부처의 공덕(功德)이 있다고 전함.
물품>기타물품
-
여이(汝以) - 최천건(崔天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판서 등을 지냄. 유영경(柳永慶)과 결탁한 일로 정인홍(鄭仁弘) 등의 모함을 받아 삭직되었다가 복관되었으나, 후에 김제남(金悌男)의 일파로 몰려 온양에 안치되었다가 죽음.
1568~16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이(與夷)@상공 - 상공(殤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재위 B.C.720~B.C.710. 대부 화독(華督)에게 시해됨.
?~B.C.71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여이(與夷) - 영공(靈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제후. 재위 B.C.606~B.C.605. 재위 1년 만에 공자(公子)인 귀생(歸生)에게 시해당함.
?~B.C.60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여익(汝益)@권말경 - 권말경(權末卿)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이 차운(次韻)한 시가 《송암집(松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여익(汝益) - 조우인(曺友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광해군(光海君)을 풍자하는 시를 지어 투옥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풀려나 우부승지(右副承旨) 등을 지냄. 시ㆍ글씨ㆍ그림에 능했음.
1561~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여익(汝益)@오윤겸 - 오윤겸(吳允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성혼(成渾)의 문인. 일본에 가서 임진왜란 때 잡혀갔던 포로 150여 명을 쇄환하고, 하극사(賀極使)로 명(明) 나라를 다녀옴.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559~163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익(汝翼) - 강문우(姜文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교서관 교리(校書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여익(汝翼)@송여익 - 송여익(宋汝翼)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송순년(宋順年)의 아들로, 1472년(성종 3)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나 과거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의약(醫藥)에 조예가 깊고 부(富)를 축적하여 빈민을 구제함.
1454~152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
-
여익(汝翼)@이령 - 이령(李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이인형(李仁亨)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이 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출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여익(汝翼)@김진상 - 김진상(金鎭商)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신임옥사(辛壬獄事) 때 유배되었으나 영조 즉위 후 다시 등용되고, 병신처분(丙申處分) 뒤 윤선거(尹宣擧)의 서원과 문집목판의 훼철을 주장함.
1684~175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