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여익(汝翼)@민여익 - 민여익(閔汝翼)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개국을 도와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전결(田結)과 노비를 받았으며,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두루 역임했음.
1360~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인(汝仁)@박선장 - 박선장(朴善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무안(務安). 남몽오(南夢鰲)의 문인으로, 예안 현감(禮安縣監)ㆍ경상 도사(慶尙都事) 등을 지냄.
1555~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인(汝仁)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여일(汝一) - 탁운간(卓雲幹)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계현(卓繼賢)의 둘째 아들로, 후사(後嗣)가 없어 형 탁운한(卓雲翰)의 넷째 아들인 탁정오(卓挺五)를 입양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여일(汝一)@이경신 - 이경신(李敬身)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권(李勸)의 아들로, 봉사(奉事) 이매(李勱)에게 출계함. 동부승지(同副承旨) 이성신(李省身)의 아우이며 이치신(李致身)의 형.
1585~165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여임(汝任)@민여임 - 민여임(閔汝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명(明) 나라 장수의 접반관(接伴官)을 지냄.
1559~162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임(汝任) - 이광진(李光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驪興).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좌부승지(左副承旨) 등을 지낸 후 귀향하여 학문에 전념함.
1513~15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자(呂子) - 여조겸(呂祖謙)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주희(朱熹)와 함께 북송(北宋) 도학자의 어록을 편집하여 《근사록(近思錄)》을 찬함.
1137~118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여자약(呂子約) - 여조검(呂祖儉)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 간신 한탁주(韓侂冑)가 조여우(趙汝愚)를 역적으로 무고하자 이를 구원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소주(韶州)로 귀양감.
?~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장(汝張) - 심세강(沈世綱)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6대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여장(汝章)@권필 - 권필(權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정철(鄭澈)의 문인으로,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야인으로 일생을 살면서 많은 작품을 남김.
1569~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
-
여장(汝章) - 탁운한(卓雲翰)
조선 순조(純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계현(卓繼賢)의 맏아들로, 1827년(순조 27)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1790~?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곽산 , 인명>문사>유학
-
여장(汝長) - 하자종(河自宗)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영의정 하연(河演)의 아버지로, 고려 말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으로 절개를 지키다가 조선 태종(太宗) 때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내고 세종 때 판청주목사(判淸州牧事) 등을 역임함.
?~14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여절(汝節) - 한방기(韓邦奇)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남병부상서(南兵部尙書) 등을 지냄.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ㆍ악률(樂律)ㆍ병법(兵法) 등에 능통하였으며, 저서로 《홍범도해(洪範圖解)》ㆍ《역학계몽의견(易學啓蒙意見)》 등이 있음
1479~155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점(與點) - 이여점(李與點)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아우 이사점(李思點)과 함께 두 형제의 명자(名字)에 대한 설이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여정(呂政)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여정(汝挺) - 신여정(申汝挺)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광주 부윤(廣州府尹)을 지낸 신준(申埈)의 아들로, 1635년(인조 1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양성 현감(陽城縣監)을 지냈으며, 영국공신(寧國公臣)에 책록됨.
1615~165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정(汝靜) - 조연(趙涓)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선이 건국되자 왕을 호위하고,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됨.
1374~142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정(汝鼎) - 김여정(金汝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사재감 정(司宰監正) 김현도(金玄度)의 아버지로,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여정(驢井) - 해선(海禪)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지은 〈서허주해선자권(書虛舟海禪者卷)〉과 〈서여정해선자권(書驢井海禪者卷)〉이라는 시(詩)가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여제(汝濟) - 이즙(李楫)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맏아들이며, 이백(李柏)ㆍ이건(李楗)ㆍ이역(李櫟)ㆍ이노(李櫓)ㆍ이박(李樸)ㆍ이량(李樑)의 형.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충훈부 경력(忠勳府經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여조(呂祖)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여조(麗朝) - 고려(高麗)
왕건(王建)이 태봉(泰封)의 궁예(弓裔)를 추방하고 개성(開城)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태조(太祖)에서 공양왕(恭讓王)까지 34대 475년간 존속.
918~1392 한국>고려시대 , 시간>국명
-
여조(麗祖)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여종(汝宗) - 김자중(金自重)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낸 김덕망(金德望)의 아들로, 1618년(광해군 1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여종(汝悰) - 신여종(申汝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신거(申據)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여좌(閭左) - 진의귀(陳義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제학(集賢殿提學)ㆍ형조 전서(刑曹典書)를 지냄. 퇴촌(退村) 김열(金閱)의 장인. 김열의 증손 김은경(金殷卿)이 진의귀와 김열의 시를 함께 엮어 《빙옥난고(氷玉亂稿)》를 편찬함.
?~1424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여주(汝柱)@신여주 - 신여주(申汝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상호군(上護軍) 신한(申瀚)의 아들로, 선공감 첨정(繕工監僉正)ㆍ가평 군수(加平郡守) 등을 지냄.
1502~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주(汝柱) - 박여주(朴汝柱)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우의정을 지낸 박숭질(朴崇質)의 손자로, 1543년(중종 38)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여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을 지냄.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주(汝舟) - 최여주(崔汝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의 문인으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ㆍ성주 목사(星州牧使) 등을 지내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1502~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주(汝舟)@유여주 - 유여주(兪汝舟)
조선 전기의 유학. 중종(中宗) 때 현량과(賢良科)에 추천을 받았으나 급제하지 못하고,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비인(庇仁)에 은거하여 임벽당(林碧堂)을 짓고 독서와 서예로 일생을 마침.
148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비인 , 인명>문사>유학
-
여주(麗主)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여주군(驪州君) - 민형남(閔馨男)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찬성(左贊成) 민효증(閔孝曾)의 증손이며, 풍저창 수(豊儲倉守) 민복(閔福)의 아들로,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613년(광해군 5) 익사(翼社)ㆍ형난(亨難)의 두 공신에 책록(策錄)됨.
1564~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주민씨(驪州閔氏) - 여흥민씨(驪興閔氏)
고려 때 상의봉어(尙衣奉御)를 지낸 민칭도(閔稱道)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집단>성씨
-
여중(勵仲) - 유순익(柳舜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궁궐 호위를 완화시키는 임무를 수행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청천군(菁川君)에 봉해짐.
1559~163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중(汝中) - 강덕룡(姜德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강심(姜深)의 아들.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과 정기룡(鄭起龍)을 도와 공을 세워 함창 현령(咸昌縣令) 등을 지내고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60~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여중(汝重) - 김여중(金汝重)
조선 전기의 유학. 어려서는 이후백(李後白)ㆍ박순(朴淳)에게 배웠고, 장성해서는 박광전(朴光前)에게 배움. 임진왜란 때 금산(錦山)과 무주(茂朱)의 전투에 참여하였고,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을 따라 많은 공을 세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유학
-
여중요순(女中堯舜) - 선인황후(宣仁皇后)
중국 송(宋) 나라 제5대 황제 영종(英宗)의 황후. 신종(神宗) 때에 황태후가 되었고, 철종(哲宗) 때에 태황태후가 되어서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여 사마광(司馬光)을 재상으로 삼고 왕안석(王安石)을 배척하는 정책을 폄.
1032~109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여즙(汝楫) - 신여즙(申汝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신충(申冲)의 아들로, 첨정(僉正)을 역임함.
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여지(汝止) - 안제(安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이황(李滉)ㆍ구봉령(具鳳齡)의 문인(門人). 충청 도사(忠淸都事)ㆍ용궁 현감(龍宮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운 공(功)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음.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지(汝止)@안여지 - 안여지(安汝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임억령(林億齡)ㆍ나세찬(羅世纘) 등과 교유함. 《석천시집(石川詩集)》과 《송재유고(松齋遺稿)》에 증시(贈詩)ㆍ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여지(汝知) - 김여지(金汝知)
고려 창왕(昌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밀직 제학(密直提學) 김도(金濤)의 아들이며 김자지(金自知)의 동생. 1389년(창왕 1) 문과에 장원급제하고 사헌 규정(司憲糾正)에 제수되었으며, 조선 건국 후 우헌납(右獻納)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370~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여지(與之) - 최여지(崔與之)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참지정사(參知政事)ㆍ우승상(右丞相)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고, 관문전 태학사(關文殿太學士)로 치사(致仕)함. 저서에는 《국파집(菊坡集)》이 있음.
1158~123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지(輿地)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조선 성종(成宗) 때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에 우리나라 문사(文士)들의 시문(詩文)을 첨가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官撰地理書). 50권.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대성.
14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여지(輿志)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조선 성종(成宗) 때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에 우리나라 문사(文士)들의 시문(詩文)을 첨가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官撰地理書). 50권.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대성.
14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여지(輿誌)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조선 성종(成宗) 때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에 우리나라 문사(文士)들의 시문(詩文)을 첨가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官撰地理書). 50권.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대성.
14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여지노인(茹芝老人)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지람(輿地覽)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조선 성종(成宗) 때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에 우리나라 문사(文士)들의 시문(詩文)을 첨가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官撰地理書). 50권.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대성.
14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여지승람(輿地勝覽)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조선 성종(成宗) 때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에 우리나라 문사(文士)들의 시문(詩文)을 첨가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官撰地理書). 50권.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대성.
14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여지지(輿地志)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조선 성종(成宗) 때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에 우리나라 문사(文士)들의 시문(詩文)을 첨가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官撰地理書). 50권.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대성.
14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여지지(輿地誌)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조선 성종(成宗) 때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에 우리나라 문사(文士)들의 시문(詩文)을 첨가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官撰地理書). 50권.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대성.
14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여지희(麗之姬) - 여희(驪姬)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헌공(獻公)의 후궁(後宮). 서방 여(麗) 나라 국경지기의 딸이었으나 헌공에게 약탈된 후 총애를 받고 후궁이 됨. 태자 신생(申生)을 죽이고 아들 해제(奚齊)를 후계자로 세우는 등 나라를 혼란에 빠뜨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여직(汝直) - 문홍달(文弘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집의(執義)을 지낸 문려(文勵)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를 지냄.
1572~15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여직(汝直)@이정백 - 이정백(李庭柏)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문인인 이정회(李庭檜)의 동생.
155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여직(女直) - 여진(女眞)
10세기 이후 중국 만주(滿洲) 지역과 한반도 동북쪽에 거주하던 퉁구스계의 민족. 발해(渤海)가 멸망한 후 거란족(契丹族)의 요(遼) 나라에 속하였다가, 11세기말에 완안부(完顔部)를 중심으로 세력을 통합하여 금(金) 나라를 세움.
중국 , 인명>집단>종족
-
여진(呂秦)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여진(汝珍) - 허백기(許伯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명종 때 진위사(陳慰使)의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여진(汝眞) - 심세진(沈世縝)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사복시 정(司僕寺正)에 추증(追贈)된 심위(沈渭)의 아들로, 참의(參議)를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여진(汝震) - 이괵(李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임진왜란 때 부제학(副提學)으로서 의주(義州)에 왕을 호종하고,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51~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차(汝車) - 허적(許積)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남인(南人)으로 제1ㆍ2차 예송(禮訟)에서 서인(西人)과 대결했으며, 제2차 예송에서 승리하여 집권한 뒤 탁남(濁南)의 영수가 됨. 아들 허견(許堅)의 역모사건에 연좌되어 사사되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신원됨.
1610~168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여찬(汝贊) - 김자남(金自南)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낸 김덕망(金德望)의 아들로, 원주 진관 병마절제사(原州鎭管兵馬節制使)ㆍ예빈시 정(禮賓寺正) 등을 지냄.
160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여창(汝昌)@양여창 - 양여창(梁汝昌)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별시위(別侍衛)를 지낸 양덕부(梁德符)의 아들.
1434~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여창(汝昌) - 정여창(鄭汝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가서 죽음.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함.
1450~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천군(驪川君) - 민여익(閔汝翼)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개국을 도와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전결(田結)과 노비를 받았으며,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두루 역임했음.
1360~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천군(驪川君)@이몽가 - 이몽가(李蒙哥)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행(李行)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405~148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천부원군(驪川府院君)@민형남 - 민형남(閔馨男)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찬성(左贊成) 민효증(閔孝曾)의 증손이며, 풍저창 수(豊儲倉守) 민복(閔福)의 아들로,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613년(광해군 5) 익사(翼社)ㆍ형난(亨難)의 두 공신에 책록(策錄)됨.
1564~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천부원군(驪川府院君) - 민여익(閔汝翼)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개국을 도와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전결(田結)과 노비를 받았으며,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두루 역임했음.
1360~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천위(驪川尉) - 민자방(閔子芳)
조선 제6대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여흥(驪興). 현령(縣令)을 지낸 민종원(閔宗元)의 아들로, 성종의 다섯째 딸인 경숙옹주(敬淑翁主)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왕실>인척
-
여철(汝哲) - 신여철(申汝哲)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신해(申垓)의 아들.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때 서인(西人) 편에 서서 활동했으며,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634~170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여첨(汝瞻) - 유태두(柳泰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경지(柳瓊枝)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여충(汝忠) - 황우한(黃佑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삼사(三司)의 요직을 두루 지내고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옴. 호조 참판(戶曹參判)ㆍ병조 참판(兵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41~160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치(呂雉) - 여후(呂后)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황후. 고조가 죽자 여씨정권(呂氏政權)을 수립하여 횡포를 일삼음.
B.C.241~B.C.1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여태후(呂太后) - 여후(呂后)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황후. 고조가 죽자 여씨정권(呂氏政權)을 수립하여 횡포를 일삼음.
B.C.241~B.C.1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여택(汝宅) - 주맹헌(周孟獻)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인. 본관은 상주(尙州)로, 주세붕(周世鵬)의 현손이자, 주진원(周震元)의 아들. 허목(許穆)ㆍ조임도(趙任道)에게 수학하고 학문에 힘썼으며, 덕연서원(德淵書院)을 중건하여 사액(賜額)을 받음.
1617~17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문인
-
여패(汝珮) - 안수(安璲)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처명(安處明)의 아들로, 1549(명종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여평(驪平) - 민효증(閔孝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경연(經筵)의 필요성 등을 건의하고, 사창(社倉)을 설치하여 민폐(民弊)를 줄일 것을 주장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8~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평군(驪平君) - 민효증(閔孝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경연(經筵)의 필요성 등을 건의하고, 사창(社倉)을 설치하여 민폐(民弊)를 줄일 것을 주장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8~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평부원군(驪平府院君) - 민효증(閔孝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경연(經筵)의 필요성 등을 건의하고, 사창(社倉)을 설치하여 민폐(民弊)를 줄일 것을 주장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8~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필(汝佖) - 이여필(李汝佖)
조선 전기의 유학. 우봉 현령(牛峯縣令) 민계량(閔季良)의 셋째 사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여필(汝弼)@한여필 - 한여필(韓汝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 한효윤(韓孝胤)의 아버지이며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장인. 음보(蔭補)로 빙고 별제(氷庫別提)가 되고, 문천 군수(文川郡守) 등을 지냄.
1505~157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여필(汝弼) - 장필(張弼)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남안지부(南安知府) 등을 역임했으며, 시문에 능했고 초서(草書)에 뛰어나 서웅(書雄)으로 칭해짐.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여필(汝弼)@윤여필 - 윤여필(尹汝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보(尹甫)의 아들이며, 중종 계비(繼妃) 장경왕후(章敬王后)의 아버지로,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466~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여필(與弼) - 오여필(吳與弼)
중국 명(明) 나라 때의 은자. 명(明) 영종(英宗)이 불러 좌유덕(左諭德)의 벼슬을 제수했지만 사양하고 낙향(落鄕)하였으며, 천문(天文)ㆍ병법(兵法)ㆍ음양(陰陽) 등에 통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여하(汝河) - 홍여하(洪汝河)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로, 홍호(洪鎬)의 아들. 이후원(李厚源)을 논박한 상소로 인해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고향에서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남인(南人) 집권 후에 사간(司諫) 등을 지냄. 특히 주자학(朱子學)에 밝았음.
1621~167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여학(汝學) - 성여학(成汝學)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공주 판관(公州判官) 을 지낸 성언기(成彦器)의 아들로,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냄. 이수광(李晬光)ㆍ심종직(沈宗直)ㆍ김현성(金玄成) 등과 교유하고, 시를 잘 지음.
15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함(汝涵) - 이정(李瀞)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 조식(曹植)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 때 창의함.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으며, 사후에 대각사(大覺祠)에 배향됨.
1541~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여항(汝恒) - 유여항(柳汝恒)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참찬(參贊) 유간(柳澗)의 아들.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괄(李适)의 난(亂) 후 고문으로 죽음.
1581~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해(汝諧) - 이순신(李舜臣)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로서 임진왜란 때 여러 해전에서 연전연승을 거두었으나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전사함.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시문(詩文)에도 능하여 《난중일기(亂中日記)》등의 저서를 남김.
1545~159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여해(汝諧)@정여해 - 정여해(鄭汝諧)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삭주 교수(朔州敎授)ㆍ지평(持平)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여해(汝諧)@윤여해 - 윤여해(尹汝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보(尹甫)의 아들이며, 윤여필(尹汝弼)의 아우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등을 역임함.
1480~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여해(汝諧)@유여해 - 유여해(兪汝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기창(兪起昌)의 아들로, 군기시 판관(軍器寺判官)을 지냄.
1461~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여해(汝諧)@봉여해 - 봉여해(奉汝諧)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음(河陰). 뛰어난 학문과 덕으로 사옹원 별좌(司饔院別座) 등을 지냈으나, 1456년(세조 2)에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모의한 죄로 처형됨.
1419~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관인>문신
-
여해(汝諧)@송여해 - 송여해(宋汝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음직(蔭職)으로 참봉(參奉)이 되고 안동 부사(安東府使)로 나아가 선정을 베풂.
1452~15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여해(閭諧) - 유리왕(瑠璃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 제2대 왕. 재위 B.C.19~A.D.18. 동명왕(東明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예씨(禮氏). 부여(扶餘)에서 아버지를 찾아 고구려로 와 태자로 책봉되어 동명왕이 사망하자 즉위함. 도읍을 졸본(卒本)에서 국내성(國內城)으로 옮겼으며, 선비(鮮卑)ㆍ부여의 공격을 막아내고 영토를 넓히는 데 힘씀.
?~18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여행(汝行) - 오종도(吳宗道)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수병을 이끌고 와서 공적을 세웠으며, 1593년(선조 26)에 거제(巨濟)를 지키기 위해 진주(晉州)를 지나가면서 의병장 김천일(金千鎰)을 위해 쓴 제문(祭文)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여헌(旅軒) - 장현광(張顯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1576년(선조 9)에 재능과 행실이 드러나 조정에 천거된 이후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대부분 나아가지 않고, 평생 학문에 몰두하여 경학(經學)에 일가를 이룸.
1554~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헌(汝憲) - 유사규(柳思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된 유순익(柳舜翼)의 아버지로, 1562년(명종 17)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참지(兵曹參知)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534~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헌(汝獻) - 황여헌(黃汝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장수(長水).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으로,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낸 황관(黃瓘)의 아들이며 황맹현(黃孟獻)의 아우. 문장과 글씨에 능하며, 〈죽지사(竹枝詞)〉라는 작품은 명(明) 나라에서도 격찬을 받음.
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여헌(黎獻) - 박여헌(朴黎獻)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사옹원 직장(司饔院直長)을 지냄.
1530~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여헌공(呂獻公) - 여공저(呂公著)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문식과 덕행으로 직언을 마다하지 않았으며, 재상으로서 왕을 보필하여 어진 정사를 펼침.
1018~108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