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여헌선생문집(旅軒先生文集) - 여헌집(旅軒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장현광(張顯光)의 문집. 1642년(인조 20) 아들 장응일(張應一)이 목판으로 간행함.
164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여현(汝顯) - 안광종(安光宗)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안전(安琠)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적을 만나 아버지를 보호하다 같이 해를 입었는데, 이 사실이 알려져 정려(旌閭)가 내려짐.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여형공(呂滎公) - 여희철(呂希哲)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ㆍ문신. 호원(胡瑗)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 등에게서 학문을 배움. 사람됨이 대범하고 신중하여 만년(晩年)에 명성을 더욱 날림.
1039~111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형양(呂滎陽) - 여희철(呂希哲)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ㆍ문신. 호원(胡瑗)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 등에게서 학문을 배움. 사람됨이 대범하고 신중하여 만년(晩年)에 명성을 더욱 날림.
1039~111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호(廬湖) - 여산(廬山)
경상도 안동(安東) 임하현(臨河縣)에 있는 고을 이름. 호계서원(虎溪書院)이 조선 선조(宣祖) 때 여강서원(廬江書院)이란 이름으로 창건된 곳.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여호(汝豪) - 조정(趙挺)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된 조충수(趙忠秀)의 아들이자 공신 조진(趙振)의 동생. 임진왜란 때 세자를 호종(扈從)한 공으로 우의정(右議政)에 이르렀으나 인조반정 후 대간의 탄핵을 받음.
1551~162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호(驪湖) - 김양행(金亮行)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민우수(閔愚洙)의 문인으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성리학과 예학에 조예가 깊고, 이우신(李友信)ㆍ민치복(閔致福)ㆍ박준원(朴準源) 등을 배출함.
1715~177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화(汝和) - 최석정(崔錫鼎)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최명길(崔鳴吉)의 손자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내고 정치와 학문에 두루 능함. 저서로 《명곡집(明谷集)》이 전함.
1646~17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여황나씨(艅艎羅氏) - 나주나씨(羅州羅氏)
중국 예장(豫章)에서 동래(東來)하여 고려 때 감문위 상장군(監門衛上將軍)을 지낸 나부(羅富)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집단>성씨
-
여회(如晦)@두여회 - 두여회(杜如晦)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문학관(文學館) 18학사의 한 사람으로, 방현령(房玄齡)에게 그 재능을 인정받음. 태종(太宗) 즉위 후 태자좌서자(太子左庶子)ㆍ병부 상서(兵部尙書)ㆍ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등의 요직을 맡은 명신(名臣)임.
585~63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회(如晦)@성세명 - 성세명(成世明)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임(成任)의 아들로,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를 수찬하고,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냄.
1447~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여회(如晦) - 손경(孫曔)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의정부 우참찬 손중돈(孫仲暾)의 아들로, 충의위(忠義衛) 현신교위(顯信校尉)를 지냄.
1492~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여회(如晦)@백옥섬 - 백옥섬(白玉蟾)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도사. 무이산(武夷山)에서 도(道)를 배워 태일궁(太一宮)에 거주하고 도교(道敎) 남종(南宗) 오조(五祖)의 하나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여회(汝晦)@윤엽 - 윤엽(尹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극신(尹克新)의 아들이며,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낸 윤돈(尹暾)의 형으로, 서천 군수(舒川郡守) 등을 지냄.
1546~16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여회(汝晦) - 이혜(李寭)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온계(溫溪) 이해(李瀣)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조카로 일찍 부모님을 여의고 퇴계(退溪)에게서 교육을 받아 음보로 좌랑(佐郞)을 지냄.
1543~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여회(汝會) - 윤명운(尹明運)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비경(尹飛卿)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송시열을 변호한 죄로 해미(海美)에 유배되었다가 갑술옥사(甲戌獄事) 때 풀려 나옴. 광흥창 수(廣興倉守) 등을 지냄.
1642~17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여회사상(如晦使相) - 성세명(成世明)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임(成任)의 아들로,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를 수찬하고,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냄.
1447~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여후(汝厚) - 최상중(崔尙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최영(崔穎)의 아들이며, 유희춘(柳希春)의 문인. 임진왜란 때 도원수 권율(權慄)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보필하고,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등을 지냄.
1551~16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여휘(汝輝) - 윤관(尹瓘)
고려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무신. 별무반(別武班)을 창설하고 예종 때 구성(九城)을 쌓아 침범하는 여진(女眞)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111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여흥(余興) - 김여흥(金余興)
고려 후기의 문신. 청도김씨(淸道金氏)의 시조인 김지대(金之岱)의 아버지. 시중(侍中)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여흥(驪興) - 이덕림(李德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전리 총랑(典理摠郞)을 지낸 이달존(李達尊)의 아들로, 여흥 군사(驪興郡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여흥(驪興) - 여주(驪州)
경기도 동남부의 고을 이름. 고구려 때 골내근현(骨乃斤縣)이라 부른 이후, 여러 명칭으로 바뀌어 불리다가 1468년(예종 1) 여주라 하고 목(牧)으로 승격함.
경기도>여주 , 지명>행정지명
-
여흥강(驪興江) - 여강(驪江)
경기 여주(驪州)에서 여주 지역을 흐르는 한강(漢江)을 일컫는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원호(元豪)가 왜적을 격퇴한 곳.
경기도>여주 , 지명>자연지명
-
여흥군(驪興君)@민현 - 민현(閔玹)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대제학 첨의정승(大提學僉議政丞) 민지(閔漬)의 손자이며, 호조 판서(戶曹判書) 민여익(閔汝翼)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여흥군(驪興君)@민지 - 민지(閔漬)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66년(원종 7)에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지후(祗候)가 되었고, 충선왕 때 첨의정승(僉議政丞)에 이르러 사직하였음. 충숙왕 때 다시 수정승(守政丞)이 되고 여흥군(驪興君)에 봉하여졌음.
1248~132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흥군(驪興君) - 민무질(閔無疾)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봉해졌으나, 형 민무구(閔無咎)와 연루된 옥사로 공신녹권(功臣錄券)이 환수되고 유배감.
?~141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흥군(驪興君)@민변 - 민변(閔抃)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진현관 대제학(進賢館大提學)을 지낸 민적(閔頔)의 아들이며, 급암(及菴) 민사평(閔思平)의 동생.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흥군(驪興君)@민사평 - 민사평(閔思平)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찬성사 민적(閔頔)의 아들이며, 정승 김륜(金倫)의 사위. 이제현(李齊賢)ㆍ정자후(鄭子厚) 등과 함께 문명(文名)이 높았으며, 《동문선(東文選)》에 그의 시 9수가 전함.
1295~13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흥군(驪興君)@민여익 - 민여익(閔汝翼)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개국을 도와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전결(田結)과 노비를 받았으며,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두루 역임했음.
1360~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흥군(驪興君)@민적 - 민적(閔頔)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충렬왕(忠烈王)이 국선(國仙)이라 불렀으며, 대사헌(大司憲)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온 뒤 여흥군(驪興君)에 봉해졌음.
1269~133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흥백(驪興伯)@민건 - 민건(閔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족친(族親)이며 부사과(副司果) 민예달(閔禮達)의 아버지.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지냄.
?~14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왕실>인척ㅣ인명>관인>문신
-
여흥백(驪興伯) - 민제(閔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조선 태종의 장인. 고려 말에 여러 요직을 거치고 조선 개국 후 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ㆍ좌정승(左政丞)을 지냄.
1339~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 - 민유중(閔維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숙종의 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아버지로 남인(南人)이 집권할 때 흥해(興海)로 유배되었다가, 남인이 실각하자 금위영(禁衛營)의 창설을 주도하여 병권과 재정권을 모두 관장함.
1630~168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민제 - 민제(閔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조선 태종의 장인. 고려 말에 여러 요직을 거치고 조선 개국 후 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ㆍ좌정승(左政丞)을 지냄.
1339~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민지 - 민지(閔漬)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66년(원종 7)에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지후(祗候)가 되었고, 충선왕 때 첨의정승(僉議政丞)에 이르러 사직하였음. 충숙왕 때 다시 수정승(守政丞)이 되고 여흥군(驪興君)에 봉하여졌음.
1248~132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 - 이상의(李尙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임진왜란 때 광해군(光海君)을 호위한 위성공신(衛聖功臣)으로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에 봉해짐. 인조반정으로 훈공이 삭탈되고 품계도 강등되어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로 좌천됨.
1560~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여흥왕(驪興王) - 우왕(禑王)
고려 제32대 국왕. 재위 1374~1388. 수시중(守侍中) 이인임(李仁任)의 후원으로 즉위했다가 이인임이 실각한 후 정치적 기반을 잃고 이성계(李成桂)에게 쫓겨나 유배되었다가 죽음.
1365~138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여흥이씨(驪興李氏) - 여주이씨(驪州李氏)
고려 때의 인용교위(仁勇校尉) 이인덕(李仁德) 계통과, 중윤(中尹) 이은백(李殷伯) 계통과, 진사(進士) 이세정(李世貞) 계통 등 시조를 달리하는 세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집단>성씨
-
여희(麗姬) - 여희(驪姬)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헌공(獻公)의 후궁(後宮). 서방 여(麗) 나라 국경지기의 딸이었으나 헌공에게 약탈된 후 총애를 받고 후궁이 됨. 태자 신생(申生)을 죽이고 아들 해제(奚齊)를 후계자로 세우는 등 나라를 혼란에 빠뜨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여희고(余希古) - 여정(余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범중엄(范仲淹)이 귀양갈 때 상서(上書)하여 다투다가 파직당함. 구양수(歐陽修)ㆍ왕소(王素)ㆍ채양(蔡襄)과 함께 사간(四諫)으로 일컬어짐.
1000~106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역(易) - 정역(鄭易)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장인. 이방원(李芳遠)과 함께 문과에 급제하여 친밀하고, 호조 판서(戶曹判書)ㆍ대제학(大提學)ㆍ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역(櫟)@성력 - 성력(成櫟)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성문준(成文濬)의 아들로,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등을 지냄.
1580~16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역(櫟) - 이역(李櫟)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넷째 아들이고, 이즙(李楫)ㆍ이백(李柏)ㆍ이건(李楗)의 아우이며 이노(李櫓)ㆍ이박(李樸)ㆍ이량(李樑)의 형.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공조 좌랑(工曹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역(櫟)@최력 - 최력(崔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평소에 《근사록(近思錄)》ㆍ《성리대전(性理大全)》을 읽고,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함.
1522~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역(繹) - 김역(金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창(咸昌). 중종(中宗) 때의 진사(進士) 김극형(金克亨)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역강의(易講義) - 역의(易義)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진양(陳襄)이 지은 역학서(易學書).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역고(射姑) - 장공(莊公)@춘추전국(曹)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조(曹) 나라의 제후. 환공(桓公)의 아들.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역곤(逆髡) - 신돈(辛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僧侶).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師傅)로서 국정을 맡음.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
?~13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종교인>승려
-
역괄(逆适) - 이괄(李适)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ㆍ역적. 본관은 고성(固城). 인조 반정(仁祖反正) 때 큰 공을 세웠으나 논공에 대해 불만을 품고 난을 일으킴. 서울을 무혈점령했으나 안현(鞍峴) 싸움에 참패한 뒤 부하에게 죽임을 당함.
1587~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역돈(逆旽) - 신돈(辛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僧侶).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師傅)로서 국정을 맡음.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
?~13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종교인>승려
-
역동(易東) - 우탁(禹倬)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학자. 영해 사록(寧海司錄)이 되어 요신(妖神)의 사당(祠堂)을 철폐하고, 충선왕(忠宣王)의 잘못을 극간한 뒤 향리로 물러나 후진교육에 전념함.
1263~134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역동(易東) - 정역동(丁易東)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 송 나라 때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를 지냈으나 원 나라 때는 벼슬을 하지 않고 물러나 생도(生徒)들을 가르침. 저서에 《역상의(易象義)》등이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역동선생(易東先生) - 우탁(禹倬)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학자. 영해 사록(寧海司錄)이 되어 요신(妖神)의 사당(祠堂)을 철폐하고, 충선왕(忠宣王)의 잘못을 극간한 뒤 향리로 물러나 후진교육에 전념함.
1263~134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역동원(易東院) - 역동서원(易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예안(禮安)에 건립한 서원. 1568년(선조 1) 건립되어 1684년(숙종 10) 사액(賜額)을 받았으며, 우탁(禹倬)ㆍ박충좌(朴忠佐)를 배향함. 현재 안동(安東) 송천동(松川洞)에 있음.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역락(亦樂) - 조통(趙通)
고려 명종(明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고공낭중(考功郞中)으로 금(金) 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구류되었다가 풀려남. 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 등과 해좌칠현(海左七賢)으로 불리고, 경사(經史)와 백가(百家)에 모두 뛰어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역락서재(亦樂書齋) - 역락재(亦樂齋)
경상도 안동(安東)에 위치한 도산서원(陶山書院) 안에 있는 건물 이름. 정사성(鄭士誠)의 아버지인 정두(鄭枓)가 아들을 이황(李滉)에게 제자로 맡길 때 지어준 것으로 전함.
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역량(逆亮) - 해릉왕(海陵王)
중국 금(金) 나라 제4대 왕. 재위 1149~1161. 태조(太祖)의 장남인 완안종간(完顔宗幹)의 아들로, 사촌인 희종(熙宗)을 시해하고 제위(帝位)에 올랐으며, 중국 통일을 위해 남송(南宋)을 공격하였다가 실패하고 부하에게 시해됨.
1122~1161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역련진반(亦憐眞班) - 덕녕공주(德寧公主)
고려 제28대 충혜왕(忠惠王)의 비. 중국 원(元) 나라 진서 무정왕(鎭西武靖王) 초팔(焦八)의 딸이며, 제29대 충목왕(忠穆王)의 어머니임. 충혜왕이 죽고 충목왕이 8세에 즉위하자 국정을 맡음.
?~1375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역변혹(易辨惑) - 역학변혹(易學辨惑)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소백온(邵伯溫)이 지은 역학서(易學書).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역봉(櫟峯) - 이개립(李介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해(李𥩲)의 아들. 박승임(朴承任)ㆍ김성일(金誠一)의 문인으로, 효행(孝行)과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군량을 조달함.
1546~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역봉선생(櫟峯先生) - 이개립(李介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해(李𥩲)의 아들. 박승임(朴承任)ㆍ김성일(金誠一)의 문인으로, 효행(孝行)과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군량을 조달함.
1546~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역산(曆山) - 수양산(首陽山)@중국
중국 산서성(山西省) 서남쪽에 있는 산 이름. 고죽국(孤竹國)의 백이(伯夷)ㆍ숙제(叔齊) 형제가 절의(節義)를 지키다가 굶어 죽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역서(易書) - 역경(易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인 점서(占書). 팔괘(八卦)와 육십사괘(六十四卦),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이루어져 있음. 팔괘를 복희(伏羲)가 지었다는 데는 의견이 대부분 일치하지만 나머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분분함.
중국 , 문헌>서명
-
역석(易釋) - 경서석의(經書釋義)
조선 전기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삼경(三經)과 사서(四書)를 주석(註釋)한 책. 임진왜란 때 일실(逸失)되었으나, 광해군(光海君) 때 전사본(傳寫本)을 수집하여 간행함. 8권 2책. 목판본(木版本).
160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역수(櫟叟)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역암(易庵) - 성사달(成士達)
고려 충렬왕(忠烈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민왕(恭愍王)을 호종하여 추충협익공신(推忠協翊功臣)에 책록되고, 김용(金鏞)의 반란을 평정하여 일등공신이 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역암(櫟庵)@송익지 - 송익지(宋益祉)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그의 당호(堂號)에 대한 제시(題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역암(櫟庵) - 민기문(閔起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권신 김안로(金安老)를 비방하다 덕산에 장류되었고, 봉성군(鳳城君)의 옥사에 연루되어 임천(林川)에 부처됨. 선조 때 대사성(大司成)ㆍ좌승지(左承旨)를 역임함.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역암(櫟菴) - 민기문(閔起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권신 김안로(金安老)를 비방하다 덕산에 장류되었고, 봉성군(鳳城君)의 옥사에 연루되어 임천(林川)에 부처됨. 선조 때 대사성(大司成)ㆍ좌승지(左承旨)를 역임함.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역양(嶧陽) - 정유명(鄭惟明)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로, 정온(鄭蘊)의 아버지. 갈천(葛川) 임훈(林薰)의 문인으로 1573년(선조 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임진왜란 때 의병장 김면(金沔)을 도와 공을 세움.
1539~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유학
-
역양(嶧陽)@문경호 - 문경호(文景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정인홍(鄭仁弘)의 문인. 임진왜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으로 활동하였으나, 김천 찰방(金泉察訪)으로 있을 때 스승을 배반했다 하여 삭탈관직을 당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역양(歷陽) - 영흥(永興)@지명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정평(定平), 남쪽으로 고원(高原)ㆍ문천(文川)과 접해 있으며, 동쪽은 동해의 영흥만에 면해 있음. 조선 태조(太祖)가 태어난 선원전(璿源殿)이 있음.
함경도>영흥 , 지명>행정지명
-
역양대군(歷陽大君) - 영응대군(永膺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덟째 아들. 본관은 전주(全州). 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 정충경(鄭忠敬)ㆍ송복원(宋復元)의 딸과 혼인하였으며, 《명황계감(明皇誡鑑)》의 가사를 한글로 번역하고, 글씨ㆍ그림ㆍ음률(音律)에 능함.
1434~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역양선생(嶧陽先生) - 정유명(鄭惟明)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로, 정온(鄭蘊)의 아버지. 갈천(葛川) 임훈(林薰)의 문인으로 1573년(선조 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임진왜란 때 의병장 김면(金沔)을 도와 공을 세움.
1539~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유학
-
역옹(櫟翁)@최자 - 최자(崔滋)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우복야(右僕射)를 지낸 최민(崔敏)의 아들. 문장이 뛰어나 이규보(李奎報)의 후계자로 추천되고, 수태사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守太師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를 지냄.
1188~1260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역옹(櫟翁)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역전(易傳) - 초자역전(譙子易傳)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학자인 초정(譙定)의 저술.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역전헌(櫟全軒) - 송익지(宋益祉)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그의 당호(堂號)에 대한 제시(題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역정(賊鄭) - 정여립(鄭汝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동래(東萊). 1570년(선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지냄. 1589년(선조 22)에 재령 군수(載寧郡守) 박충간(朴忠侃)의 밀고로 난을 일으킬 계획이 발각되자 자결함.
1546~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역주(易註) - 역주(易注)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우번(虞翻)이 지은 《역경(易經)》의 주석서. 9권.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역지(易之) - 장역지(張易之)
중국 당(唐)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의 총신. 동생 장창종(張昌宗)과 함께 국정을 농단하다가 측천무후가 죽자 승상 장간지(張柬之)에게 죽임을 당함.
?~70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역진(逆珒) - 임해군(臨海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첫째 서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포로가 되었다가 석방됨. 동생 광해군(光海君)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4~160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역천(櫟泉) - 송명흠(宋明欽)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송준길(宋浚吉)의 현손이자 이재(李縡)의 문인. 옥과 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내고, 경연관(經筵官)이 되어 정치 문제를 논하다가 파직된 뒤 사후에 복관됨.
1705~176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역천사우(嶧川祠宇) - 역천사(嶧川祠)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안의(安義)에 건립한 서원. 정유명(鄭惟明)ㆍ임득번(林得蕃)을 제향함.
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역통(易通) - 통서(通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돈이(周敦頤)가 지은 책. 《태극도설(太極圖說)》과 표리(表裏)를 이루어 윤리적인 면이 강조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역행(力行) - 왕역행(王力行)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역헌(櫟軒) - 이경장(李敬長)@이혼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혼(李渾)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기수(宋麒壽)의 《추파집(秋坡集)》에 그의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82~156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역훤(逆萱) - 견훤(甄萱)
후백제(後百濟)의 시조. 재위 892~935. 본래 성은 이씨(李氏)였으나 뒤에 견씨(甄氏)라 함.
867~936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ㅣ전라도>광산 , 인명>왕실>국왕
-
연(㬫) - 김연(金㬫)
고려 후기의 문신. 정포(鄭誧)의 《설곡집(雪谷集)》에 대서(代書)한 시(詩)가 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연(埏)@유연 - 유연(柳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낸 유영순(柳永詢)의 아버지. 배천 군수(白川郡守)ㆍ함흥 판관(咸興判官)을 지내고, 후에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연(埏) - 김연(金埏)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수겸(金守謙)의 아들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역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연(堜) - 임련(林堜)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임서(林㥠)의 아들이자, 임담(林墰)의 형으로, 승정원 우승지(承政院右承旨)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연(堧) - 박연(朴堧)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음률가(音律家). 세종 때 율관(律管)을 만들어 편경(編磬)을 제작하는 등 조선 초기 음악 정비에 많은 공헌을 함. 왕산악(王山岳)ㆍ우륵(于勒)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악성(樂聖)으로 일컬어짐.
1378~14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연(延)@이연 - 이연(李延)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사재 주부(司宰主簿) 등을 지냈으며, 지극한 효성에 대한 일화가 남효온(南孝溫)의 《추강냉화(秋江冷話)》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연(延) - 경연(慶延)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효행으로 천거되어 이산 현감(尼山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연(沇) - 권연(權沇)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인 권경유(權景裕)의 아들. 아버지와 함께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사형당함.
?~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연(涓) - 조연(趙涓)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선이 건국되자 왕을 호위하고,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됨.
1374~142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淵)@양연 - 양연(梁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양성지(梁誠之)의 손자로, 대사헌(大司憲)일 때 왕의 밀지를 받아 김안로(金安老)ㆍ채무택(蔡無擇)ㆍ허항(許沆) 등을 탄핵하여 처형시킴. 훈구파(勳舊派)의 중심인물로 사림파(士林派)를 배척함.
?~154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연(淵)@한연 - 한연(韓淵)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청군(西淸君) 한삼덕(韓參德)의 아들. 임진왜란 때 의주(義州)로 파천(播遷)하는 선조를 호종하여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공조 정랑(工曹正郞)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연(淵)@정연 - 정연(鄭淵)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정홍(鄭洪)의 아들이며,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장인으로, 음보(蔭補)로 벼슬에 오름. 장령(掌令)이 되었을 때 태종이 철원에 가려는 것을 간하다가 진산(珍山)에 유배됨.
1389~14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