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직(養直) - 소상(蘇庠)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학자. 소식(蘇軾)이 그를 이백(李白)에 비유할 만큼 시(詩)로 명성을 떨침. 고종(高宗) 때 여러 차례 부름을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여산(廬山)에 은거함.
1065~114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양직(養直)@이양직 - 이양직(李養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峯). 감찰규정(監察糾正)을 역임하였으며, 이곡(李穀)의 《가정집(稼亭集)》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양진(揚震) - 양진(楊震)
중국 후한(後漢) 안제(安帝) 때의 문신. 아들 양병(楊秉), 손자 양사(楊賜), 증손자 양표(楊彪) 등 4세(世)에 걸쳐 태위(太尉)가 배출된 집안으로 유명함.
54~12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진(楊津) - 광진(廣津)
조선시대 경기도 양주(楊州) 67리 지점인 한강변에 설치된 나루. 서울과 강남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 경관이 수려해 문인들이 즐겨 찾음. 현재는 서울시 광진구에 속함.
경기도>양주 , 지명>자연지명
-
양진(楊震)@김양진 - 김양진(金楊震)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역학(易學)ㆍ음양(陰陽) 및 복서(卜筮)에 통달하였으며, 이행(李荇)ㆍ정희량(鄭希良)ㆍ권달수(權達手) 등과 교유가 깊었음.
1467~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진당(養眞堂)@남치형 - 남치형(南致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양(英陽)으로, 공보(公輔) 남신신(南藎臣)의 아들.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동생 남치리(南致利)와 함께 평생 강학(講學)에 힘씀.
1540~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양진당(養眞堂)@김사중 - 김사중(金士重)
조선 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양진당(養眞堂) - 강시(姜蓍)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조선이 건국될 때 직첩(職牒)을 회수당하고 유배됨.
1339~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양진재(養眞齋)@김시회 - 김시회(金時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헌납(獻納) 김충갑(金忠甲)의 아들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했으며, 부평 부사(富平府使)를 지냄.
1542~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양진재(養眞齋) - 김륵(金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집사(安集使)로 영남에 가서 민심을 수습하였고,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강릉으로 유배됨.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진재(養眞齋)@김우홍 - 김우홍(金禹洪)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그의 행장(行狀)이 실려 있음.
1459~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문사>학자
-
양진정(楊津正) - 이신(李信)@이석근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셋째 아들인 익안대군(益安大君) 이방의(李芳毅)의 손자이며, 익평부원군(益平府院君) 이석근(李石根)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양처(梁妻) - 맹광(孟光)
중국 후한(後漢) 때의 열녀(烈女). 양홍(梁鴻)의 아내로,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 치마를 입는 등 검소하였으며, 남편을 지성으로 섬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열녀
-
양처사(梁處士) - 양산축(梁山軸)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본관은 제주(濟州).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넷째 아들.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진주 남쪽 삼향포(三鄕浦)에서 왜적을 만나 일가가 모두 순절함.
1571~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효자
-
양천공(陽川公) - 허시(許時)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개성 윤(開城尹) 허교(許喬)의 장남이자 문신 허응(許應)의 형.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양천군(陽川君) - 허응(許應)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가담하여 시폐(時弊) 혁신과 전제(田制) 개혁을 주장하고, 조선 개국 후 배불정책(排佛政策)과 과부의 개가(改嫁) 금지 등을 주장함.
?~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양천군(陽川君)@허자 - 허자(許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원(許瑗)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이기(李芑) 등과 함께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496~155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천군(陽川君)@허종 - 허종(許琮)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손(許蓀)의 아들이며 허침(許琛)의 형.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국방과 문예에 큰 공을 남기고, 의학(醫學)에도 조예가 깊었음. 우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34~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천문(梁千文) - 천자문(千字文)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주흥사(周興嗣)가 글을 짓고 동진(東晉) 왕희지(王羲之)의 필적 중에서 해당 글자를 모아 만들었다는, 천(千) 자로 이루어진 사언고시(四言古詩).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 - 허손(許蓀)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좌의정 허침(許琛)의 아버지로, 재령 군수(載寧郡守)를 지내고 보조공신(補祚功臣)에 추록되었으며,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허종 - 허종(許琮)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손(許蓀)의 아들이며 허침(許琛)의 형.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국방과 문예에 큰 공을 남기고, 의학(醫學)에도 조예가 깊었음. 우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34~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강구만 - 강구만(姜九萬)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946년(광종 15)에 문과에 급제한 후 서경 유수(西京留守) 등을 지냈으며,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양천자(陽川子) - 허봉(許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양천(陽川).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의 선봉이 되어 심의겸(沈義謙) 등 서인(西人)들과 대립하고, 이이(李珥)의 과실을 탄핵하였다가 갑산(甲山)에 유배됨. 후에 금강산에서 병사(病死)함.
1551~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양천정(陽川正) - 이성(李誠)
조선 전기의 종친. 파림군(坡林君) 이주(李珘)의 아들이며, 독송정(獨松亭) 김개(金鎧)의 둘째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양천허씨(楊川許氏) - 양천허씨(陽川許氏)
고려 태조(太祖) 때 공암촌주(孔巖村主)를 받은 허선문(許宣文)을 시조로 하는 성씨. 원래 수로왕(首露王)의 후예이나, 이때 이르러 양천을 관향(貫鄕)으로 삼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집단>성씨
-
양청(襄淸) - 허광(許礦)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허종(許琮)의 아들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강릉 부사(江陵府使)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청(養淸) - 유우(柳藕)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스승 김굉필(金宏弼)이 죽자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과 교육에 전심함. 《주역(周易)》에 정밀하고, 천문ㆍ복서(卜筮)ㆍ음률ㆍ서화에도 정통함.
1473~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양초산집(楊椒山集) - 초산집(椒山集)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양계성(楊繼盛)의 문집. 3권 1책.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양촌(楊村) - 정엄(鄭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정만종(鄭萬鍾)의 아들.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여산 군수(礪山郡守)ㆍ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냈으며, 《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30~15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양촌(陽村)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촌문집(陽村文集) - 양촌집(陽村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근(權近)의 시문집. 40권 10책. 목판본. 초간본은 세종(世宗) 초년에 아들 권도(權蹈)가 편찬하였으나 간행자와 간행연대는 불분명함. 〈응제시(應制詩)〉ㆍ〈동국사략론(東國史略論)〉ㆍ〈동현사략(東賢事略)〉 등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양촌선생문집(陽村先生文集) - 양촌집(陽村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근(權近)의 시문집. 40권 10책. 목판본. 초간본은 세종(世宗) 초년에 아들 권도(權蹈)가 편찬하였으나 간행자와 간행연대는 불분명함. 〈응제시(應制詩)〉ㆍ〈동국사략론(東國史略論)〉ㆍ〈동현사략(東賢事略)〉 등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양촌자(陽村子)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총병(楊總兵) - 양소훈(楊紹勳)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요동광녕진수총병관(遼東廣寧鎭守總兵官)으로 아우 양소신(楊紹新)과 함께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총병(楊總兵)@양원 - 양원(楊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부총병(副總兵)으로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하였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성(南原城) 전투에서 이복남(李福男)ㆍ오응정(吳應井) 등의 군사와 연합하여 왜적과 맞서 싸움.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추(陽秋) - 춘추(春秋)
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공자(孔子)가 쓴 최초의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오경(五經)의 하나로, B.C.722년부터 B.C.479년까지 노(魯) 나라의 주요 사건들을 기록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양춘(陽春) - 유양춘(柳陽春)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유수창(柳壽昌)의 아들로 청송 부사(靑松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양충(㔦忠) - 이양충(李㔦忠)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양충(亮沖) - 황양충(黃亮沖)
고려 후기의 향리. 창원(昌原)에 정착하여 호장(戶長)을 지냄으로써 창원황씨(昌原黃氏) 호장공파(戶長公派)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아전
-
양충(養冲) - 이언호(李彦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유청(李惟淸)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하였으며, 글씨에 능하여 전서(篆書)와 팔분체(八分體)를 잘 썼음.
1477~151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양충장(楊忠壯) - 양조(楊照)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무신. 요동총병관(遼東總兵官) 등을 지내고, 달자(韃子)와 싸우다 전사했는데, 허봉(許篈)의 《조천기(朝天記)》에 그 전말이 자세함.
1524~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태자(楊太子) - 양용(楊勇)
중국 수(隋) 나라의 태자. 문제(文帝)의 아들로, 황태자에 봉해졌으나, 후에 양제(煬帝)가 된 아우 양광(楊廣)의 방해로 폐서인(廢庶人)이 되었으며, 문제의 병이 위독할 때 양광의 조서(詔書) 위조로 인해 사사됨.
?~604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양태진(楊太眞)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양태후(楊太后) - 공성인열양황후(恭聖仁烈楊皇后)
중국 송(宋) 나라의 제13대 영종(寧宗)의 비(妃). 의남매 사이인 양차산(楊次山)ㆍ예부 시랑(禮部侍郎) 사미원(史彌遠)과 결탁하여 권력을 잡아 이종(理宗)을 세우고 태후(太后)가 됨.
1162~123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양통로(楊通老) - 양즙(楊楫)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강서운판(江西運判) 등을 지냄. 양방(楊方)ㆍ양간(楊簡)과 함께 삼양(三楊)으로 불림. 저서에 《열당문집(悅堂文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파(陽坡) - 홍언박(洪彦博)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과거를 주관하여 이색(李穡)ㆍ박실(朴實) 등을 뽑고, 기철(奇轍) 일파를 숙청하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왕을 호종하는 등 세 차례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흥왕사(興王寺)의 난 때 피살됨.
1309~136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파(陽坡)@유관현 - 유관현(柳觀鉉)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학자 유도원(柳道源)의 생부로,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냄. 외직(外職)에 있을 때 선정을 베풀어 《목민심서(牧民心書)》에 치적이 기록되었으며, 저서로 《양파집(陽坡集)》이 있음.
1692~17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양파(陽坡)@정태화 - 정태화(鄭太和)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효종(孝宗)의 부마인 정재륜(鄭載崙)의 생부. 뛰어난 문재(文才)와 바른 처신으로 주요 관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領議政) 재임시 예송(禮訟) 논쟁, 대동법(大同法) 시행 등의 국무를 처결함.
1602~16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양파집(陽坡集) - 양파선생실기(陽坡先生實紀)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홍언박(洪彦博)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04년(순조 4) 후손 홍석(洪奭)이 실기(實紀)를 편찬하고‚ 1811년 방손 홍병철(洪秉喆)이 증보하여 다시 간행함.
180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양평(羊平) - 공양평(公羊平)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학자. 아버지 공양고(公羊高)가《춘추(春秋)》에 대해 전술(傳述)한 것을 이어받아 가학(家學)으로 전승함. 후대에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으로 완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양평(襄平)@권감 - 권감(權瑊)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남이(南怡)를 제거하고 예종(睿宗)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된 뒤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냈음.
1423~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평(襄平)@이철견 - 이철견(李鐵堅)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공조 참판(工曹參判) 이연손(李延孫)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등을 지냄.
1435~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평(襄平)@이양생 - 이양생(李陽生)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오(李晤)의 아버지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사종(李嗣宗)의 할아버지.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전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계성군(鷄城君)에 봉해짐.
1423~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평(襄平)@한계순 - 한계순(韓繼純)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함경 감사(咸鏡監司) 한혜(韓惠의 아들.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리는 데 공을 세워 익대공신(翼戴功臣)에 책록되고,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31~14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평(襄平)@오자치 - 오자치(吳自治)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나주(羅州). 1467년(세조 13)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영정(影幀)을 하사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평(襄平)@황효원 - 황효원(黃孝源)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황사간(黃士幹)의 아들. 성격이 각박하여 수령(守令)을 종처럼 대하고 처첩(妻妾)으로 인한 소송(訴訟)이 그치지 않았으며, 재화를 탐하여 화가옹(貨家翁)이라 불림.
1414~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평(襄平) - 윤사흔(尹士昕)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의 동생으로,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 등을 지냄.
?~14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양평(襄平)@조익청 - 조익청(曺益淸)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공민왕이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시종(侍從)한 공으로 수종공신(隨從功臣)에 책록됨.
?~135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평(陽平) - 양천(陽川)
경기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의 서울시 양천구(陽川區) 가양동(加陽洞) 일대를 말하며, 개화산(開花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었음.
경기도>양천 , 지명>행정지명
-
양평공(陽平公) - 부융(苻融)
중국 남북조시대 전진(前秦)의 대신. 부견(苻堅)의 막내아우로, 비수(淝水)에서 진(晉) 나라 군사와 싸우다가 죽음.
?~38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양평군(襄平君) - 만손(萬孫)
조선 전기의 양인. 연산군(燕山君)의 아들 양평군(襄平君)이라 자칭(自稱)하였으나 국가를 속인 죄로 처형됨. 중종(中宗) 때 동요로 회자(膾炙)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양인
-
양포(楊浦)@최전 - 최전(崔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해주(海州). 최여우(崔汝雨)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 신동(神童)으로 불리며 시문(詩文)ㆍ그림ㆍ글씨에 뛰어나고 음악에도 천부적 재질을 발휘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568~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
-
양표(楊彪)@양준 - 양준(楊浚)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양필(良弼)@노선경 - 노선경(盧善卿)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도염서 승(都染署丞) 노갑생(盧甲生)의 아들. 함양 군수(咸陽郡守)ㆍ공조 정랑(工曹正郞)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학문 연구와 후진 교육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양필(良弼) - 조응세(趙應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 평양부 서윤(平壤府庶尹)을 지낸 조준(趙俊)의 아들로, 1534년(중종 2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양필(良弼)@이양필 - 이양필(李良弼)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낸 이영(李瑛)의 아버지.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를 지내고, 후에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추증됨.
1458~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무신
-
양필(良弼)@도양필 - 도양필(都良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팔거(八莒). 증산 훈도(甑山訓導) 도영강(都永康)의 아들이며, 오건(吳健)의 외숙부.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오건에게 《역(易)》을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양하(兩河) - 왕차옹(王次翁)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진회(秦檜)와 결탁하여 금군(金軍)과의 화친을 강력히 주장하고, 한세충(韓世忠)ㆍ장준(張浚)ㆍ악비(岳飛) 등을 모함하여 탄핵함. 저서에 《양하집(兩河集)》이 있음.
1079~114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한(梁漢) - 양자징(梁子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제주(濟州). 양산보(梁山甫)의 아들이며, 김인후(金麟厚)의 사위이자 문인(門人)으로, 석성 현감(石城縣監) 등을 지내고, 필암서원(筆巖書院)에 제향됨.
1523~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양항(襄恒) - 이종(李徖)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3남인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차남으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됨.
1432~14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양행(亮行) - 김양행(金亮行)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민우수(閔愚洙)의 문인으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성리학과 예학에 조예가 깊고, 이우신(李友信)ㆍ민치복(閔致福)ㆍ박준원(朴準源) 등을 배출함.
1715~177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허(養虛) - 송대빈(宋大斌)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중이던 1593년(조선 선조 26)에 제독(提督) 이여송(李如松) 휘하의 유격장군(遊擊將軍)으로 이천(二千)의 병마(兵馬)를 이끌고 조선에 왔다가 이듬해 정월에 돌아감.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헌(兩獻) - 유보(劉輔)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둘째 아들. 시호는 헌(獻). 《경씨역(京氏易)》ㆍ《효경(孝經)》ㆍ《논어(論語)》 및 《도참(圖讖)》을 해설하고, 《오경론(五經論)》을 지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양헌(襄憲) - 이원(李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손자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 때 협력하여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국기를 다지고 제도를 확립하는 데 공헌함.
1368~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현(揚玄) - 태현경(太玄經)
중국 한(漢) 나라의 사상가 양웅(揚雄)이 《주역(周易)》을 본떠 지은 책. 10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양혜(梁惠) - 혜왕(惠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제후. 잦은 전쟁으로 국력이 피폐해지자 수도를 대량(大梁)으로 옮기고 국호를 ‘양(梁)’으로 고쳤으며, 요(堯)ㆍ순(舜)의 인의정치(仁義政治)를 표방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혜(襄惠)@성달생 - 성달생(成達生)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성석용(成石瑢)의 아들. 조선 태종(太宗) 때 처음으로 실시된 무과에서 장원급제하고, 병마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ㆍ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지냈으며, 문필(文筆)에도 능함.
1376~144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양혜(襄惠) - 한백륜(韓伯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종(睿宗)의 국구(國舅). 본관은 청주(淸州)로, 안순왕후(安順王后)와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한순(韓恂)의 아버지. 남이(南怡)의 옥사를 처리한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27~147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양혜왕(梁惠王) - 혜왕(惠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제후. 잦은 전쟁으로 국력이 피폐해지자 수도를 대량(大梁)으로 옮기고 국호를 ‘양(梁)’으로 고쳤으며, 요(堯)ㆍ순(舜)의 인의정치(仁義政治)를 표방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호(襄胡)@이효성 - 이효성(李孝誠)
조선 전기의 종친.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진성대군(晉城大君)의 집을 시위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활을 잘 쏘고 무예에 뛰어남.
1445~151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양호(襄胡)@심응 - 심응(沈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좌의정(左議政) 심정(沈貞)의 아버지로 풍산군(豊山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양호(襄胡) - 김백겸(金伯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광성군(光城君) 김혁(金革)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구성군(龜城君) 이준(李浚)의 군관으로 출정하여 공을 세움.
1429~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양호(陽虎) - 양화(陽貨)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가신(家臣). 계평자(季平子)를 섬기다가 그가 죽은 후 권력을 장악하여 전횡하였으며, 삼환(三桓)을 제거하려다 실패한 후 제(齊) 나라를 거쳐 진(晉) 나라로 도망쳐 조둔(趙盾)에게 의지하고, 조간자(趙簡子)의 모사(謀士)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양호(養浩) - 최희맹(崔希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참의(吏曹參議) 최해(崔瀣)의 아들로,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수찬(修撰)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양호(養浩)@장양호 - 장양호(張養浩)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한림 직학사(翰林直學士)ㆍ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관잠서(官箴書)인 《삼사충고(三事忠告)》등의 저술을 남김. 중국 문학사에서 원대(元代) 산곡(散曲)의 대표 작가로 꼽힘.
1269~1329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양호공(襄胡公) - 이효성(李孝誠)
조선 전기의 종친.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진성대군(晉城大君)의 집을 시위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활을 잘 쏘고 무예에 뛰어남.
1445~151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양호당(養浩堂) - 우현보(禹玄寶)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의 시체를 거둬 장례를 치렀다가 탄핵을 받음. 조선 개국 후 2차 왕자의 난을 이방원(李芳遠)에게 알려준 공으로 공신에 책록됨.
1333~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화(楊花)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양화진(楊花津) - 양화도(楊花渡)
서울과 경기도 금천(衿川)에 걸쳐 있던 나루 이름. 서울에서 강화(江華)로 통하는 교통의 요지였으며, 한강 조운(漕運)의 중심 지역 중 하나로서, 현재 서울 마포구(麻浦區)에 속함.
경기도>금천ㅣ서울 , 지명>행정지명
-
양황제(讓皇帝) - 영왕(寧王)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현종(玄宗)의 형. 처음에 황태자(皇太子)가 되었다가 뒤에 영(寧) 땅의 왕(王)으로 봉해짐. 아들은 ‘주중팔선인(酒中八仙人)’ 중의 한 사람으로 알려진 이진(李璡).
?~741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양황후(楊皇后) - 공성인열양황후(恭聖仁烈楊皇后)
중국 송(宋) 나라의 제13대 영종(寧宗)의 비(妃). 의남매 사이인 양차산(楊次山)ㆍ예부 시랑(禮部侍郎) 사미원(史彌遠)과 결탁하여 권력을 잡아 이종(理宗)을 세우고 태후(太后)가 됨.
1162~123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양회(楊回) - 서왕모(西王母)
중국 고대 전설상의 선녀. 《산해경(山海經)》에서는 곤륜산(崑崙山)에 사는, 사람 얼굴에 표범 꼬리와 호랑이 이빨을 가진 신인(神人)이라고 하였으나, 일반적으로 불사약(不死藥)을 가지고 있는 선녀로 전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양효(良孝)@김영렬 - 김영렬(金英烈)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의성(義城).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4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효(良孝)@박간 - 박간(朴幹)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은산부원군(銀山府院君) 박영균(朴永均)의 아버지로,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양효(良孝) - 권호(權鎬)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손자이며, 현복군(玄福君) 권렴(權廉)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양효(良孝)@안맹담 - 안맹담(安孟耼)
조선 세종(世宗)의 부마ㆍ서예가. 본관은 죽산(竹山). 함길도 관찰사(咸吉道觀察使) 안망지(安望之)의 아들로, 세종의 딸 정의공주(貞懿公主)와 혼인함. 초서(草書)를 잘 쓰고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며, 음률(音律)ㆍ약물(藥物)에도 밝음.
1415~14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인척
-
양효(襄孝) - 권공(權恭)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태종(太宗)의 딸 숙근옹주(淑謹翁主)와 결혼하여 화천군(花川君)에 책봉됨.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양효공(良孝公) - 안맹담(安孟耼)
조선 세종(世宗)의 부마ㆍ서예가. 본관은 죽산(竹山). 함길도 관찰사(咸吉道觀察使) 안망지(安望之)의 아들로, 세종의 딸 정의공주(貞懿公主)와 혼인함. 초서(草書)를 잘 쓰고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며, 음률(音律)ㆍ약물(藥物)에도 밝음.
1415~14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인척
-
양효왕(梁孝王) - 유무(劉武)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의 둘째 아들. 양원(梁園)이라는 동산을 꾸미고 사마상여(司馬相如) 등 사방의 문장 호걸들을 초청하여 풍류를 즐겼으나, 율태자(栗太子)가 폐위된 후 원앙(袁盎) 등의 반대로 태자가 되지 못하자 후에 원앙 등을 죽임.
?~B.C.41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후(楊后) - 공성인열양황후(恭聖仁烈楊皇后)
중국 송(宋) 나라의 제13대 영종(寧宗)의 비(妃). 의남매 사이인 양차산(楊次山)ㆍ예부 시랑(禮部侍郎) 사미원(史彌遠)과 결탁하여 권력을 잡아 이종(理宗)을 세우고 태후(太后)가 됨.
1162~123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