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후(煬后) - 양제(煬帝)
중국 수(隋)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604~618. 문제(文帝)의 둘째 아들로 형과 아버지를 살해하고 즉위함. 만리장성을 수축하고,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대패함.
569~618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후(穰侯)@황감 - 황감(黃甘)
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崔演)의 〈국수재전(麴秀才傳)〉에 등장하는 가상의 인물.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양후(穰侯) - 위염(魏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외척이자 공신. 어린 소왕(昭王)을 대신해 정사를 돌보며 국토를 넓힌 후, 소왕이 범수(范睢)를 등용하자 관직을 떠나 봉읍(封邑)으로 돌아가 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양후(良厚) - 이백유(李伯由)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정도전(鄭道傳)의 일파로 지목되어 관작과 공신의 칭호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후(襄厚) - 이종무(李從茂)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1400년(정종 2) 상장군으로 제2차 왕자의 난에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녹훈되었고, 1419년(세종 1)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하여 찬성사(贊成事)에 올랐음.
1360~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무신
-
양희(良僖) - 회안대군(懷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넷째 아들.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의 소생으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정도전(鄭道傳) 일파를 제거하는 데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킨 후 실패하여 토산(兎山)에 유배됨.
1364~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양희(襄僖) - 이흥상(李興商)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의금부 진무(義禁府鎭撫)로서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공을 세움.
?~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희지(梁羲之) - 양희지(梁希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서자로 참봉(參奉)을 지냄. 문장에 능했으나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양희지(楊熙祉) - 양희지(楊熙止)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 문장에 뛰어나고 재주가 있었으나 임사홍(任士洪)ㆍ유자광(柳子光)ㆍ노공필(盧公弼) 등과 친하여 그 출처(出處)에 비난을 받기도 함.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양희지(楊稀枝) - 양희지(楊熙止)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 문장에 뛰어나고 재주가 있었으나 임사홍(任士洪)ㆍ유자광(柳子光)ㆍ노공필(盧公弼) 등과 친하여 그 출처(出處)에 비난을 받기도 함.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어(圉) - 공어(孔圉)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大夫). 인물됨이 총명하면서도 배우기를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아 시호(諡號)가 문(文)이 되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어(魚) - 공리(孔鯉)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아들이며, 공급(孔伋)의 아버지. 송(宋) 나라 때 문묘(文廟)에 종사됨.
B.C.532~B.C.48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어(𤥽) - 한남군(漢南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넷째 서자. 단종(端宗)을 봉양한 죄로 사사된 혜빈양씨(惠嬪楊氏)의 소생으로, 세조(世祖) 즉위 후 단종복위를 모의한 것이 발각되어 함양(咸陽)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429~14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어^맹(語^孟) - 논^맹(論^孟)
사서(四書)의 하나인 《논어(論語)》와 《맹자(孟子)》를 함께 부르는 말. 유교(儒敎)의 경전(經典)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어격고(於格高) - 어적현(禦敵峴)
전라도 무주(茂朱)에 있는 고개 이름. 구봉령(具鳳齡)이 읊은 칠언절구가 《백담집(栢潭集)》에 전함.
전라도>무주 , 지명>자연지명
-
어경유(魚景游) - 어운해(魚雲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좌참찬(左參贊) 어계선(魚季瑄)의 아들. 1564년(명종 1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과천 현감(果川縣監)ㆍ평창 군수(平昌郡守) 등을 지냄.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친분이 깊음.
1536~158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어계(漁溪) - 조려(趙旅)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은자. 조안(趙安)의 아들.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으로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향리에 은거하면서 평생을 보냄.
1420~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어계선생집(漁溪先生集) - 어계집(漁溪集)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은자인 조려(趙旅)의 시문집. 3권 2책. 목판본. 초간본은 1516년(중종 11) 후손 조적(趙績)이 원집 1권을 편집, 간행함. 1742년(영조 18)에 9대손 조영석(趙榮祏)이 조야(趙埜)와 함께 목판으로 중간하고, 1901년에 후손 조석규(趙錫奎)가 속집(續集)을 간행함.
151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어계은자(漁溪隱者) - 조려(趙旅)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은자. 조안(趙安)의 아들.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으로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향리에 은거하면서 평생을 보냄.
1420~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어계처사(漁溪處士) - 조려(趙旅)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은자. 조안(趙安)의 아들.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으로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향리에 은거하면서 평생을 보냄.
1420~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어구(禦寇) - 열어구(列禦寇)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사상가. 도가(道家)를 확립시킨 인물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실존하였는지는 확실치 않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어두(魚頭) - 노종도(魯宗道)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명신인 여희철(呂希哲)의 외할아버지로, 정직함으로 인해서 노직(魯直)이라 불리기도 하고 어두참정(魚頭參政)이라 불리기도 함.
966~10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어두참정(魚頭參政) - 노종도(魯宗道)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명신인 여희철(呂希哲)의 외할아버지로, 정직함으로 인해서 노직(魯直)이라 불리기도 하고 어두참정(魚頭參政)이라 불리기도 함.
966~10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어록(語錄)@주자어록 - 주자어록(朱子語錄)
중국 송(南)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도전(李道傳)이 주희(朱熹)와 문답한 문하생 33명의 대화 기록을 모아 엮은 책. 45권. 1215년에 지주(池州)에서 간행하였으며, 황간(黃榦)이 서문(序文)을 씀.
121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어록유요(語錄類要) - 주자대전(朱子大全)
중국 송(宋) 나라의 성리학자인 주희(朱熹)의 문집. 목판본. 본편 100권, 별집 11권, 속집 10권. 주희의 모든 학설과 학자들의 질의(質疑)에 대해 회답한 편지, 시(詩)ㆍ기(記)ㆍ명(銘)ㆍ비문(碑文)ㆍ묘지(墓誌) 등을 엮음.
116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어류(語類) - 주자어류(朱子語類)
중국 송(宋) 나라 도종(度宗) 때의 학자인 여정덕(黎靖德)이 이전까지 각각 따로 간행된 주희(朱熹)의 어록(語錄)과 어류(語類)를 집대성하여 정리한 책. 140권. 1270년에 처음 간행됨.
127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어류소분(語類小分) - 주자어류소분(朱子語類小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이 《주자어류(朱子語類)》를 유형별로 분류한 책. 1679년(숙종 5) 거제(巨濟)에 유배되었을 때 손자인 송주석(宋疇錫)과 함께 정리하고 산삭(刪削)하여 완성함.
167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제 , 문헌>서명
-
어부곡(漁父曲) - 어부사(漁父辭)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시인인 굴원(屈原)이 지은 사(辭). 은자(隱者)인 어부와 굴원의 문답체로 구성되었으며, 세상의 오탁(汚濁)에 물들지 않으려는 굴원의 의지가 표현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어사대(御史臺) - 사헌부(司憲府)
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 풍속의 교정, 백관(百官)에 대한 규찰과 탄핵, 서경(署經) 등을 담당한 관청.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어사도성(御事都省) - 상서도성(尙書都省)
고려의 중앙 행정기구인 상서성(尙書省)을 구성하는 기구로, 정무 집행기관인 상서육부(尙書六部)의 상급 관부. 995년(성종 14) 어사도성(御事都省)을 개칭한 것으로, 국가행사의 주관, 공문의 발송 등의 기능을 함.
995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어사육관(御事六官) - 상서육부(尙書六部)
고려의 중앙 행정기구인 상서성(尙書省)을 구성하는 기구로, 상서도성(尙書都省)의 하급 관부. 995년 어사육관(御事六官)을 개칭한 것으로, 이부(吏部)ㆍ병부(兵部)ㆍ호부(戶部)ㆍ형부(刑部)ㆍ예부(禮部)ㆍ공부(工部)를 두어, 정무를 집행하는 기능을 함.
995 한국>고려전기 , 법제>제도
-
어선진(魚先進) - 어득강(魚得江)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문명(文名)이 있고 특히 해학(諧謔)에 능함.
1470~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어성(漁城) - 신담(申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참판에 증직된 신영원(申永源)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주 부윤(全州府尹)으로 의병 2천여 명을 모집해 왜군에 대항함. 군자감 정(軍資監正)ㆍ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냄.
1519~159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어수(於漱) - 태조왕(太祖王)
고구려 제6대 왕. 재위 53~146. 유리왕(瑠璃王)의 손자로, 영토확장 및 중앙집권적 형태의 체제 정비를 통해 국가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이때부터 계루부(桂婁部)의 왕위계승이 확립됨.
47~165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어수(漁叟) - 이세장(李世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목(李穆)의 아들. 명종 때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수관(編修官)을 겸하였고, 호조 참의(戶曹參義)ㆍ호분위 대호군(虎賁衛大護軍) 등을 지냈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97~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어수(漁水) - 용지하(龍池河)
중국 계주(薊州)의 주성(州城) 남쪽에 있는 하천 이름. 노가령(蘆家嶺)의 어귀 사려하(舍黎河)에서 발원하여 옥전(玉田)을 거쳐 백룡항(白龍港)으로 흘러들어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어수왕(於漱王) - 태조왕(太祖王)
고구려 제6대 왕. 재위 53~146. 유리왕(瑠璃王)의 손자로, 영토확장 및 중앙집권적 형태의 체제 정비를 통해 국가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이때부터 계루부(桂婁部)의 왕위계승이 확립됨.
47~165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어순(魚筍) - 설순빙리(雪筍冰鯉)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맹종(孟宗)이 눈 속에서 죽순(竹筍)을 구한 일과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왕상(王祥)이 얼음을 녹여 잉어를 얻은 일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지극한 효성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어양(漁陽) - 계주(薊州)
중국 하북성(河北省) 천진(天津)에 있던 고을 이름.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도읍지이자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킨 곳으로, 우리나라 사신이 북경(北京)으로 연행(燕行)을 갈 때 지나야 하는 지역 중 하나.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어옹(漁翁) - 권중규(權仲規)
조선 세조(世祖) 때의 은자.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한 뒤 고령(高靈) 유천(鍮泉)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어우당(於于堂) - 유몽인(柳夢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 유탱(柳樘)의 아들. 한때 성혼(成渾)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를 담당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인조 때 무고로 인해 반역죄로 처형됨. 저서로 《어우야담(於于野談)》 등이 있음.
1559~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어우동(於于同) - 어을우동(於乙宇同)
조선 성종(成宗) 때 양반가의 여자로서 행동이 문란하여 사회의 물의를 일으킨 인물. 지승문(知承文) 박씨의 딸이며, 종실 태강수(泰江守) 이동(李仝)의 아내. 행실이 방탕하여 여러 조관 및 유생들과 관계하여 풍속을 어지럽힌 죄로 사형당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어은(漁隱)@양사형 - 양사형(楊士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노진(盧禛)ㆍ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영광 군수(靈光郡守)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군량을 조달하고 윤두수(尹斗壽)를 보좌하였으며 죽은 뒤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추록됨.
1547~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어은(漁隱)@김한생 - 김한생(金漢生)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온양 군수(溫陽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서거정(徐居正)의 《사가문집(四佳文集)》에 그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어은(漁隱) - 민제(閔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조선 태종의 장인. 고려 말에 여러 요직을 거치고 조선 개국 후 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ㆍ좌정승(左政丞)을 지냄.
1339~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어은(漁隱)@염흥방 - 염흥방(廉興邦)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의 아들. 지신사(知申事)로서 홍건적을 격파하는 공을 세웠으나, 비행을 일삼으며 국정을 문란하게 하여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에 의해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어은(漁隱)@조려 - 조려(趙旅)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은자. 조안(趙安)의 아들.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으로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향리에 은거하면서 평생을 보냄.
1420~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어은(漁隱)@정희검 - 정희검(鄭希儉)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로, 부사(府使) 정연경(鄭延慶)의 아들이며 정희량(鄭希良)의 아우. 연산군의 정치가 혼란해지자 과거(科擧)를 단념한 채 시와 술을 즐기며 호(號)를 계양어은(桂陽漁隱)이라 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어은(漁隱)@임내신 - 임내신(任鼐臣)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편찬에 참여함. 예조 참의(禮曹參議)ㆍ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를 지냄.
1512~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어은(漁隱)@정중건 - 정중건(鄭仲虔)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일손(金馹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어을매(於乙買) - 덕원(德源)
함경도 문천(文川)ㆍ원산(元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태조(太祖)의 4대 선조인 목조(穆祖)ㆍ익조(翼祖)ㆍ도조(度祖)ㆍ환조(桓祖)의 고향이라 하여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켜 부사(府使)를 두고 다스림.
함경도>덕원 , 지명>행정지명
-
어적산인(漁適散人) - 유중룡(柳仲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유춘(柳有春)의 아들이며, 오건(吳健)의 문인.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의병을 일으켜 김면(金沔)ㆍ곽재우(郭再祐)의 휘하에서 활약함.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지냄.
1558~163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어정(魚鄭) - 정주(鄭注)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 때의 문신. 환관 왕수징(王守澄)의 추천으로 관로에 나서고, 태화(太和) 연간에는 재상에 올랐으나 천성이 교활함. 문종이 왕수징을 제거하는 것을 돕고, 환관 세력을 일소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여 죽임을 당함.
?~83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어중(漁仲) - 정초(鄭樵)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추밀원 편수관(樞密院編修官) 등을 지내고, 천문ㆍ지리ㆍ방서 등에 박식하여 《통지(通志)》를 저술함.
1104~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어초사(漁樵史) - 전겸익(錢謙益)
중국 명(明)~청(淸) 나라의 문신ㆍ문인. 명 나라가 망하자 청조(淸朝)의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이 되어 《명사(明史)》편찬에 참여함. 사후 건륭제(乾隆帝)로부터 불충지신(不忠之臣)으로 비난받아 저서의 판목(版木)이 모두 불태워짐.
1582~1664 중국>청ㅣ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어초은자(漁樵隱者) - 윤효정(尹孝貞)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해남(海南). 윤경(尹耕)의 아들로, 1501년(연산군 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와 갑자사화(甲子士禍) 이후로 숨어 살며 ‘어초은자(漁樵隱者)’라 자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어촌(漁村)@공부 - 공부(孔俯)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소격전 제조(昭格殿提調)로서 중국에 가서 도교 의식을 배워오고, 검교 한성부 윤(檢校漢城府尹) 등을 지냈으나, 천추사(千秋使)로 중국에 갔다가 돌아오지 못하고 죽음.
?~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어촌(漁村) - 심언광(沈彦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주로 언관(言官)을 지내며 심정(沈貞) 등 권간들의 횡포를 탄핵하고, 일찍이 김안로(金安老)를 추천한 바 있으나 훗날 그에 대해 비판함.
1487~154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어하(漁河) - 용지하(龍池河)
중국 계주(薊州)의 주성(州城) 남쪽에 있는 하천 이름. 노가령(蘆家嶺)의 어귀 사려하(舍黎河)에서 발원하여 옥전(玉田)을 거쳐 백룡항(白龍港)으로 흘러들어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억(億) - 강억(姜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중종실록(中宗實錄)》기주관(記注官) 등을 지냄.
1498~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억(億)@정억 - 정억(鄭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찰방(察訪)을 지낸 정윤석(鄭崙石)의 아들로, 수운판관(水運判官) 등을 지냄.
1487~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억(憶) - 권억(權憶)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종(中宗) 때 좌승지(左承旨)를 지낸 권기(權祺)의 아버지로, 광흥창 수(廣興倉守)를 지내고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억(抑)@성억 - 성억(成抑)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석인(成石因)의 아들이며 성녕대군(誠寧大君)의 장인. 태종으로부터 공신(功臣)의 예우를 받았으며, 중추원사(中樞院使) 등을 지냄.
1386~144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억년(億年) - 이억년(李億年)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넷째 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억령(億齡) - 오억령(吳億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義州)에 호종하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가 탄핵을 받아 낙향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52~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동복 , 인명>관인>문신
-
억령(億齡)@임억령 - 임억령(林億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박상(朴祥)의 문인.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동생 임백령(任百齡)이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일에 가담하자 해남(海南)으로 내려가 은거함.
1496~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억명(億命)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억상(億祥) - 이억상(李億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영창부수(永昌副守) 이연동(李連仝)의 아들로,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억손(億孫) - 이억손(李億孫)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다섯째 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억수(億壽) - 이억수(李億壽)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손자이며,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억수(億壽)@신억수 - 신억수(申億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신의충(申義忠)의 아버지이자, 신각(申恪)의 조부로, 1513년(중종 8)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문원 교감(承文院校勘)을 지냄.
?~152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억수(億水) - 하억수(河億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응림(河應臨)의 아버지로,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억숭(抑崇) - 고항(高閌)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비서성 정자(秘書省正字)ㆍ국자사업(國子司業)ㆍ예부 시랑(禮部侍郎) 등을 지냄. 양시(楊時)ㆍ호안국(胡安國)의 문하에서 수학함.
1097~115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억암(抑庵) - 양영(楊榮)
중국 명(明) 나라 혜제(惠帝)~영종(英宗) 때의 문신. 성조(成祖)의 북정(北征)에 여러 차례 참여하고, 네 황제를 섬기면서 정사를 잘 보좌하여 양우(楊寓)ㆍ양부(楊溥)와 함께 ‘삼양(三楊)’이라 일컬어짐.
1371~144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억암(抑菴) - 왕직(王直)
중국 명(明) 나라 성종(成宗)~영종(英宗) 때의 문신. 20여 년간 한림(翰林)에 있으면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왕영(王英)과 이름을 나란히 함.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내고, 저서에 《억암집(抑菴集)》이 있음.
1379~146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억재(億載) - 이억재(李億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청기군(靑杞君) 이표(李彪)의 아들이며 이원익(李元翼)의 아버지. 문학을 좋아하고 오성(五聲)과 율려(律呂)에 능통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억천(億千) - 이억천(李億千)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증손이며, 동음수(洞陰守) 이성손(李盛孫)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억편(抑篇) - 억(抑)
고대 중국의 유교 경전인 《시경(詩經)》〈대아(大雅)〉 〈탕지십(蕩之什)〉의 한 편명(篇名).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제후인 무공(武公)이 지은 시로서, 악공(樂工)으로 하여금 곁에서 날마다 읊게 하여 스스로를 경계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편명
-
언(堰)@한언 - 한언(韓堰)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 한명회(韓明澮)의 조카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며, 민반(閔泮)과 함께 《왕비세보(王妃世譜)》를 편찬함. 1492년(성종 23) 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갔다가 그곳에서 죽음.
1448~149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언(堰) - 이언(李堰)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대사헌(大司憲) 이은(李垠)의 아들.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전주 부윤(全州府尹) 등을 지냄.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언(堰)@조언 - 조언(趙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조응경(趙應卿)의 아들이자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전사한 조종도(趙宗道)의 아버지. 송인수(宋麟壽)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음보로 준원전 참봉(濬源殿參奉)을 지냄.
1517~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언(彦)@박언 - 박언(朴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전적(典籍) 박성건(朴成乾)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언(彦) - 신언(申彦)
고려 후기의 문신. 현감(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稿)》에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언(漹) - 김언(金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희맹(姜希孟)의 외손자.
149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언(焉) - 노언(盧焉)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풍천(豐川). 노흥길(盧興吉)의 아들로, 사정(司正)을 지냈으며, 아들 노숙동(盧叔仝)의 존귀함으로 인해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무신
-
언각(彦慤) - 정언각(鄭彦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정희검(鄭希儉)의 아들이며 정척(鄭惕)의 아버지. 정미사화(丁未士禍)의 발단이 된 전라도 양재역(良才驛) 벽서(壁書) 사건의 고변자로서 후에 윤원형(尹元衡)의 정권 장악에 기여함.
1498~155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언거(彦琚) - 김언거(金彦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김정(金禎)의 아들로,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우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언건(彦健) - 김언건(金彦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영동(永同). 온성 판관(穩城判官) 김각(金覺)의 아버지로, 감찰에 증직되고 연악서원(淵嶽書院)에 제향됨.
1511~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언겸(彦謙)@김언겸 - 김언겸(金彦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병절교위(秉節校尉) 김인손(金仁孫)의 아들. 아들 김현성(金玄成)까지 2대에 걸쳐 대과에 급제함. 원주 목사(原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언겸(彦謙)@우언겸 - 우언겸(禹彦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여 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낸 우성전(禹性傳)의 생부. 1537년(중종 3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ㆍ안동 판관(安東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언겸(彦謙) - 손창(孫昌)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문과에 급제하여 호조 정랑(戶曹正郞) 등을 역임하였고, 유호인(兪好仁)과 도의(道義)로 사귐.
1438~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언겸(彦謙)@소세양 - 소세양(蘇世讓)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종(仁宗) 때 윤임(尹任) 일파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가 명종 때 재등용되어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문명(文名)이 높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송설체(松雪體)를 잘 씀.
1486~156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언경(彦卿)@성세준 - 성세준(成世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성세정(成世貞)의 형이며 성운(成運)의 아버지.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언경(彦卿)@조언경 - 조언경(曺彦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조계은(曹繼殷)의 아들. 1515년(중종 10)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吏曹佐郞)이 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언경(彦卿)@정광세 - 정광세(鄭光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을 지낸 정난손(鄭蘭孫)의 아들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지냄.
?~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언경(彦卿)@장세필 - 장세필(張世弼)
조선 전기의 유학. 가난한 살림에도 반드시 술과 고기를 갖추어 어머니를 섬긴 인물로,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음이 《추강집(秋江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유학
-
언경(彦卿) - 안사언(安士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안자흠(安子欽)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에 문과(文科)급제하여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경(彦卿)@최보한 - 최보한(崔輔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최윤명(崔潤明)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대윤(大尹) 무리를 제거하는 데 앞장서서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수산군(隨山君)에 봉해짐.
?~15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언경(彦卿)@노언경 - 노언경(盧彦卿)
조선 전기의 유학. 승려 설옥(雪玉)이 그를 통해 고경명(高敬命)에게 시축(詩軸)에 제(題)를 써 줄 것을 부탁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언경(彦庚) - 김언경(金彦庚)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명(明) 나라의 건주위(建州衛) 정벌 때 참가하여 공을 세웠음.
1433~150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