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언경(彦慶) - 심언경(沈彦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예조 좌랑 심준(沈濬)의 아들로, 1529년(중종 24) 동생 심언광(沈彦光)과 함께 김안로(金安老)의 용서를 주청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언경(彦憬) - 이언경(李彦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계장(李繼長)의 아들로,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언경(彦經) - 남언경(南彦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반박하고 양명학(陽明學) 체계를 완성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언계(彦桂) - 박언계(朴彦桂)
조선 전기의 문인.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정여창(鄭汝昌)ㆍ박한주(朴漢柱)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언계(彦繼) - 변명윤(邊明胤)
조선 전기의 문신. 간재(艮齋) 최연(崔演)과 교유하였으며, 동지부사(同知副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언고(彦高) - 오격(吳激)
중국 송(宋)~금(金) 나라의 문신ㆍ서화가. 건주(建州) 사람으로 문명이 높고 서화(書畵)에 능했음. 고려에 사신으로 와서 〈계림서사(鷄林書事)〉 등의 작품을 남김.
1090~1142 중국>금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관(彦寬) - 하억수(河億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응림(河應臨)의 아버지로,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괄(彦适) - 이언괄(李彦适)
조선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여주(驪州)로, 이언적(李彦迪)의 아우. 학행으로 천거되어 송라도 찰방(松蘿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형 이언적이 윤원형(尹元衡)의 일파에게 몰려 유배되자 상소문을 지어 윤원형의 전횡을 규탄함.
1494~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언광(彦光)@홍언광 - 홍언광(洪彦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형(洪泂)의 아들.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백형(伯兄) 홍언필(洪彦弼)과 함께 진도(珍島)로 유배(流配)되었다가 풀려났으며, 도총부 경력(都摠府經歷) 등을 역임함.
1484~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광(彦光)@심언광 - 심언광(沈彦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주로 언관(言官)을 지내며 심정(沈貞) 등 권간들의 횡포를 탄핵하고, 일찍이 김안로(金安老)를 추천한 바 있으나 훗날 그에 대해 비판함.
1487~154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광(彦光) - 하순(賀循)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원제(元帝) 때의 문신ㆍ학자. 예학(禮學)과 경학(經學)에 뛰어나 당대의 유종(儒宗)이 되었으며,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등을 역임함.
260~31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언광(彦洸) - 안선무(安善武)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충좌위 호군(忠佐衛護軍)을 지낸 안인(安禋)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언구(彦久)@김광운 - 김광운(金光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담양 부사(潭陽府使)를 지낸 김경헌(金景憲)의 아들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을 따라 강화도(江華島)에 이르러 전공(戰功)을 세우고 군중(軍中)에서 죽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언구(彦久) - 윤춘년(尹春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안인(尹安仁)의 아들로, 윤원형(尹元衡)의 세력에 가담하여 대윤(大尹) 일파와 윤원로(尹元老) 제거에 앞장서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1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국(彦國)@홍언국 - 홍언국(洪彦國)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넷째 아들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언국(彦國) - 이안충(李安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창년(李昌年)의 아들로, 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언규(彦規) - 황헌(黃憲)@조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우주(紆州).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추록되고 좌의정을 지냈으나, 윤원형(尹元衡)의 심복인 부제학 진복창(陳復昌)의 탄핵을 받고 삭훈(削勳)ㆍ탈작(奪爵)됨.
1502~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언근(彦根) - 김언근(金彦根)
조선 정조(正祖) 때의 유학. 1784년에 이진악(李鎭岳) 등과 함께 상소하여 덕흥서원(德興書院)의 사액을 청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언기(彥旗) - 민제(愍帝)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313~316. 효왕(孝王) 사마안(司馬晏)의 아들. 전조(前趙)의 무제(武帝)에게 끌려간 회제(懷帝)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지만, 즉위 4년 만에 진왕(秦王) 유요(劉曜)의 군대에 항복하여 서진(西晉)의 마지막 황제가 됨.
300~31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언기(彦器)@성언기 - 성언기(成彦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 성여학(成汝學)의 아버지로, 공주 판관(公州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언기(彦器)@이주 - 이주(李珘)
조선 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형인 월산대군(月山大君) 이정(李婷)의 손자이며, 계림군(桂林君) 이류(李瑠)와 전성부정(全城副正) 이리(李璃)의 형으로, 파림군(坡林君)에 봉해짐.
1500~154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언기(彦器) - 신세호(辛世瑚)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502년(연산군 8)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온양 군수(溫陽郡守)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기(彦器)@권련 - 권련(權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1519년(중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언기(彦璣) - 김언기(金彦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도산(陶山) 근처에서 후진을 양성함. 이황이 죽은 후 여강(廬江)에 서원을 세우고, 백련사(白蓮寺)를 철거하는 등 숭유억불(崇儒抑佛)에 노력함.
1520~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언기(彦紀) - 남언기(南彦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선조(宣祖) 초 영의정 이탁(李鐸)의 천거로 동몽교관(童蒙敎官)ㆍ빙고별좌(氷庫別坐)에 임명됨.
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눌(彦訥) - 이언눌(李彦訥)
조선 전기의 유학.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의 죽마고우(竹馬故友).
150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언달(彦達) - 모용언달(慕容彦達)
중국의 경서(經書) 주소가(註疏家). 《예기(禮記)》에 관한 주소(註疏)가 진호(陳澔)의 《예기집설(禮記集說)》에 인용되어 있음.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언덕(彦德) - 하상지(何尙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 때의 문신. 학식과 덕망이 높아 문제에게 총애를 받았으며, 상서령(尙書令) 등을 지냄.
382~46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도(彦道) - 원탐(袁耽)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 왕이 그 재주 많음을 사랑하여 관직을 제수하였으나 요절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언량(彦良) - 장언량(張彦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풍덕(豊德). 정국 일등공신(靖國一等功臣) 하원군(河源君) 장정(張珽)의 아들로,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역임하였음.
1491~15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무신
-
언령(鶠齡) - 구언령(具鶠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능성(綾城). 구겸(具謙)의 아들이며,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의 동생으로, 《백담집(栢潭集)》에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언례(彦禮) - 윤사익(尹思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징(尹澂)의 아들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언로(彦老) - 김언로(金彦老)
조선 전기의 유학. 김세필(金世弼)의 《십청집(十淸集)》에 〈제김대년언로애경당(題金大年彦老愛敬堂)〉 2수가 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언룡(彦龍)@고운 - 고운(高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장흥(長興). 고맹영(高孟英)의 아버지이며,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할아버지. 형조 좌랑(刑曹佐郞)을 지낼 때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후에 예조 참판(禮曹參判)으로 추증됨. 호랑이 그림을 잘 그림.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언룡(彦龍) - 범운(范雲)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양(梁) 나라의 문신ㆍ문인. 양 나라 무제(武帝) 때 이부 상서(吏部尙書)ㆍ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를 지냄. 문장에 능하여 임방(任昉)ㆍ심약(沈約)ㆍ소연(蕭衍) 등과 더불어 경릉팔우(竟陵八友)라 일컬어짐.
451~50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언륜(彦倫)@박옹 - 박옹(朴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장단 부사(長湍府使)를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언륜(彦倫)@김충효 - 김충효(金忠孝)
조선 전기의 유학. 고경명(高敬命)의 《제봉집(霽峯集)》에 〈서하석상집고구취증김언륜(棲霞席上集古句醉贈金彦倫)〉이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언륜(彦倫) - 주옹(周顒)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제(齊) 나라의 문신. 공치규(孔稚圭)와 함께 종산(鍾山)에 은거하고 있었는데, 황제가 부르자 나아가 벼슬하다가 다시 돌아가려고 하니까 공치규가 북산이문(北山移文)을 지어 거절하였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륜(彦綸) - 권철경(權哲經)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권예(權輗)의 아버지. 1483년(성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김안국(金安國)의 추천을 받았으나 벼슬하지 않음.
?~15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언린(彥潾) - 최언린(崔彥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선조(宣祖) 때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최복남(崔福男)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언림(彥霖) - 이주(李澍)@1534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명종 때 성균관(成均館)의 유생(儒生)으로서 보우(普雨)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림. 아들 이광정(李光庭)의 공으로 영의정에 추증됨.
1534~158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언림(彦霖) - 양응필(梁應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을 제수받았으나 출사하지 않고, 경학(經學)에 몰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언명(彦明) - 최해(崔瀣)@조선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수찬(修撰) 최희맹(崔希孟)의 아버지로, 공조 정랑(工曹正郞)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언명(彦明)@이몽량 - 이몽량(李夢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명종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대사간(大司諫)으로서 학문에 의거한 도학(道學) 정치를 제창하였으며, 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1499~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언명(彦明)@윤돈 - 윤돈(尹焞)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학자. 정이(程頤)의 문인(門人)으로, 평생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저서에 《논어해(論語解)》ㆍ《화정집(和靖集)》 등이 있음.
1071~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언명(彦明)@권료 - 권료(權憭)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마전 군수(麻田郡守) 권념(權念)의 아들로, 결성 현감(結城縣監)을 지냈으며, 신용개(申用漑)의 《이락정집(二樂亭集)》에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455~150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결성 , 인명>관인>문신
-
언명(彦明)@최황 - 최황(崔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삼절당(三節堂) 최여주(崔汝舟)의 아들. 평난공신(平難功臣)ㆍ광국공신(光國功臣)에 녹훈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언명(彦明)@박승약 - 박승약(朴承爚)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밀원부원군(密原府院君) 박건(朴楗)의 아들로, 한림(翰林)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언명(彦明)@김광원 - 김광원(金光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가 사사(賜死)되자, 장흥(長興)에 돌아와 학문에만 전념함.
1478~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언명(彦明)@권승 - 권승(權昇)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어모장군(禦侮將軍) 권확(權確)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가산을 털어 관군(官軍)을 도운 공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의 품계를 받았으나, 변함없이 검소한 생활을 함.
1537~159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언명(彦明)@이언명 - 이언명(李彦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철성(鐵城)으로,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기묘명현(己卯名賢) 박훈(朴薰)의 사위이며 이순(李淳)의 아버지.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언명보(彦明父)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언무(彦茂) - 이언무(李彦茂)
조선 후기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재사당(再思堂) 이원(李黿)의 5세손으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효행이 뛰어나 효종(孝宗) 때에 정려(旌閭)가 세워짐.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언묵(彦默)@민사용 - 민사용(閔思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을 지낸 민제인(閔齊仁)의 아들. 문천 군수(文川郡守) 등을 지냈고, 좌참찬(左參贊)에 추증됨.
1515~157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언묵(彦默) - 경침(慶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낸 경세청(慶世淸)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85~152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언박(彦博)@홍언박 - 홍언박(洪彦博)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과거를 주관하여 이색(李穡)ㆍ박실(朴實) 등을 뽑고, 기철(奇轍) 일파를 숙청하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왕을 호종하는 등 세 차례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흥왕사(興王寺)의 난 때 피살됨.
1309~136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언박(彦博)@신중곤 - 신중곤(辛仲坤)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영월(寧越). 신내옥(辛乃沃)의 아버지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ㆍ어모장군(禦侮將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무신
-
언박(彦博) - 유보(柳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로 파직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호조(戶曹)와 공조(工曹)의 판서(判書)를 거쳐 우의정(右議政)을 역임함. 주계군(朱溪君) 이심원(李深源)의 사위.
?~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언박(彦博)@조언박 - 조언박(曺彦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조한필(曺漢弼)의 아들로,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박(彦博)@문언박 - 문언박(文彦博)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50년간 장상(將相)으로 있으면서 명성을 떨치고 서법(書法)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임.
1006~109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방(彦方) - 왕열(王烈)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문신. 진식(陳寔)에게 사사한 후 그 의행(義行)으로 벼슬하여 송사(訟事)를 잘 판결하였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방(彦邦) - 홍언방(洪彦邦)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둘째 아들로, 1502년(연산군 8)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언양 현감(彦陽縣監)ㆍ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언백(彦伯) - 김언백(金彦伯)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선무랑(宣務郞) 김수인(金壽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언보(彦寶) - 안당(安瑭)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우의정ㆍ영중추부사 등을 지냄.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아들 안처겸(安處謙)ㆍ안처근(安處謹)과 함께 사사(賜死) 되었으나, 명종(明宗) 때 복관됨.
1461~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보(彦父)@최해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언보(彦父) - 최표(崔彪)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원(元) 나라 제과(制科)에 급제하였으며,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함.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藁)》에 그의 당호(堂號)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언보(彦甫)@전성군 - 전성군(全城君)
조선 제11대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자. 귀인권씨(貴人權氏)의 소생으로, 어려서 죽어 소생이 없으므로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아들인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麒)가 후사를 이음.
1490~150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언보(彦甫) - 최한경(崔漢卿)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최문손(崔文孫)의 아들로,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언보(彦輔) - 악광(樂廣)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삼국시대 위(魏) 나라 하후현(夏侯玄)의 막료였던 악방(樂方)의 아들로, 명교(名敎)를 숭상하여 당대에 왕연(王衍)과 함께 중망을 받았으며, 왕융(王戎)의 천거로 수재(秀才)가 되고,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등을 역임함.
?~30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보(彦輔)@이경충 - 이경충(李景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군수(郡守) 이감(李鑑)의 아버지로, 남양도호부사(南陽都護府使) 등을 지냄.
1485~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언보(彦輔)@윤시걸 - 윤시걸(尹時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은(尹訔)의 아들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부(彦夫) - 서선(徐選)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서원(徐遠)의 아들이며, 원천석(元天錫)의 문인. 1415년(태종 15) 서얼의 차별대우를 진언했으며,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감. 우부대언(右副代言)ㆍ판한성부사(判漢城府使) 등을 지냄.
1367~14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언부(彦孚) - 박언부(朴彦孚)
고려 문종(文宗) 때의 문신. 최충(崔冲)과 함께 태사(太師)를 지낸 후 문하시중(門下侍中)ㆍ도평의사(都評議事)에 이르렀으며, 밀성부원군(密城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언부(彦溥) - 조효연(曺孝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치우(曺致虞)의 아들이며 이우(李堣)의 문인. 함안 군수(咸安郡守) 등을 지냈으며, 시문(詩文)에 능했음.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묘갈명(墓碣銘)을 씀.
1486~153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언빈(彦彬) - 김중문(金仲文)
조선 전기의 유학. 소수서원(紹修書院)의 유사(有司).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언사(偃師) - 단언사(段偃師)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 때의 문신. 단지현(段志玄)의 아버지로, 고조 이연(李淵)의 거병(擧兵)에 참여하여 영주 자사(郢州刺史)가 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상(彦庠) - 김언상(金彦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김굉필(金宏弼)의 아들. 음보(蔭補)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1480~154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서흥 , 인명>관인>문신
-
언상(彦祥) - 박언상(朴彦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의(文義). 유학 박훤(朴萱)의 아버지로, 교수(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문의 , 인명>관인>문신
-
언선(彥先) - 고등(高登)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자(朱子)가 지은 사당기(祠堂記)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언선(彦先) - 고영(顧榮)
중국 남북조시대 서진(西晉)의 문신. 사마예(司馬睿)의 군사(軍司)를 맡아 동진(東晉)을 중흥시킨 공신.
?~31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성(彦成) - 임운(林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경사(經史)를 비롯한 여러 학문에 뛰어나고, 형 임훈(林薰)과 함께 효행으로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517~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언성(彦盛) - 안경창(安慶昌)
조선 후기의 처사(處士). 천민 출신으로 어렸을 때 화장사(花庄寺)에서 공부하며 기이한 행적을 남기고,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ㆍ이이(李珥) 및 조식(曺植)ㆍ노사신(盧思愼) 등 당시 명유들과 교유하였다고 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언성(彦聖) - 김황(金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증손(金曾孫)의 아들로,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언성(彦誠)@윤언성 - 윤언성(尹彦誠)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임형(尹任衡)의 아들이며, 수심당(水心堂) 윤동로(尹東老)의 아버지로,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언성(彦誠)@윤지함 - 윤지함(尹之諴)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엽(尹燁)의 아들로, 영평위(鈴平尉) 윤섭(尹爕)에게 출계함. 윤엄(尹儼)의 아버지. 1546년 (명종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이조 참의(吏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ㅣ인명>왕실>인척
-
언성(彦誠)@채무택 - 채무택(蔡無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김안로(金安老)에게 빌붙어 많은 사람을 무고하고 신하들을 이간시켜 김안로ㆍ허항(許沆)과 함께 ‘정유삼흉(丁酉三兇)’으로 불렸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모의하다가 유배되어 사사됨.
?~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언성(彦誠)@심언성 - 심언성(沈彦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심관(沈灌)의 아들로, 참판(參判)ㆍ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언성(彦誠) - 이권(李勸)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부제학(副提學) 이해수(李海壽)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이해수와 함께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장악원 정(掌樂院正)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55~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언소(彦昭)@성자항 - 성자항(成子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성세명(成世明)의 손자이며,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 성근(成謹)의 아들.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를 거쳐 담양 부사(潭陽府使)를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소(彦昭) - 엄병(嚴昞)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의 아우.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언수(彦修) - 유자우(劉子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정강지변(靖康之變) 때 자결한 유갑(劉韐)의 아들로, 진강지부(鎭江知府)ㆍ참의사(參議事) 등을 지냈음. 주희(朱熹)의 스승.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언수(彦叟) - 윤광령(尹光齡)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내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비인(庇仁)으로 유배되었으며, 서용된 후 임천 군수(林川郡守)와 부정(副正) 등을 지냄.
1492~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수(彦秀)@권춘계 - 권춘계(權春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권석충(權錫忠)의 아들이며,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백인국(白仁國) 등과 교유함. 내시교관(內侍敎官)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언수(彦秀)@조언수 - 조언수(趙彦秀)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방좌(趙邦佐)의 아들이자 조사수(趙士秀)의 형으로, 명종(明宗) 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으로 책록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497~15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언수(彦秀) - 박운(朴蕓)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제자로,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여러 차례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35~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언수(彦秀)@박린 - 박린(朴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전리(田里)로 돌아가 은거함.
1490~154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언수(彦脩) - 임언수(林彦脩)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삼사우사(三司右使) 임성미(林成味)와 문하시중(門下侍中) 임견미(林堅味)의 아버지로, 문하시랑 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언숙(彦叔) - 김세량(金世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진해(鎭海)ㆍ청도(淸道)의 현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언숙(彦叔)@임적 - 임적(林頔)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유학 임수정(林秀亭)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유학
-
언숙(彦淑)@신언숙 - 신언숙(申彦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명종의 후궁인 숙의신씨(淑儀申氏)의 아버지로, 강서 현령(江西縣令) 등을 지냄.
1512~155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