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언숙(彦淑) - 이담(李湛)@1488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사천(泗川). 구암(龜巖) 이정(李楨)의 아버지로,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추증됨.
1488~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인명>문사>유학
-
언순(彦淳) - 이언순(李彦淳)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귀용(李龜容)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성품이 강직ㆍ근면하고, 국사에 남다른 관심을 두어 정사(正史)와 야사(野史)를 두루 섭렵함.
1774~18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언순(彦純) - 김명일(金明一)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김진(金璡)의 아들로 5형제가 모두 학행으로 뛰어나 일가를 이룸.
1534~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언순(彦純)@정유일 - 정유일(鄭惟一)@1525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충의위 어모장군(忠義衛禦侮將軍) 정황(鄭璜)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525~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언순(彦順) - 김혜손(金惠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공부하였으며,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군수(郡守)를 지냄.
?~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언술(彦述) - 유언술(兪彦述)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유복기(兪復基)의 아들. 직간(直諫)을 잘하여 영조에게 인정받았으며,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703~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승(彦升)@안창국 - 안창국(安昌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죽암(竹巖) 안전(安瑑)의 아들로, 금천도 찰방(金泉道察訪)을 지냈으나 얼마 후에 벼슬을 그만두고 초야에 은거함.
1542~15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언승(彦升)@임방 - 임방(任昉)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양(梁) 나라의 문신ㆍ문인. 무제(武帝) 때에 황문 시랑(黃門侍郞)과 신안 태수(新安 太守) 등을 지냈으며, 문장가로서 이름이 높았음.
460~50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언승(彦升) - 노분(盧昐)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이며,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노숙동(盧叔仝)의 아들. 손자 노진(盧禛)의 문집인 《옥계집(玉溪集)》에 묘갈기(墓碣記)가 실려 있음.
1437~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언승(彦昇)@홍언승 - 홍언승(洪彦昇)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맏아들로, 1495년(연산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현감(縣監)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언승(彦昇) - 노분(盧昐)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이며,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노숙동(盧叔仝)의 아들. 손자 노진(盧禛)의 문집인 《옥계집(玉溪集)》에 묘갈기(墓碣記)가 실려 있음.
1437~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언시(彦施) - 신준(申浚)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내면서 언로(言路)의 개방 등 시무십조(時務十條)를 진언하였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언시(彦時) - 변이중(邊以中)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황주(黃州).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조도사(調度使)로서 전공을 세우고, 화차(火車)를 제조하여 행주대첩(幸州大捷)에 크게 기여함.
1546~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언신(彦伸) - 송구(宋枸)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산(礪山). 생원(生員) 송호지(宋好智)의 아들이며, 사성(司成) 송승희(宋承禧)의 아버지로, 1534년(중종 2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언신(彦信) - 김기(金誋)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신동(金神童)의 아들로, 1549(명종 4)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에 급제하였으며,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언신(彦信)@박언신 - 박언신(朴彦信)
신라 제54대 경명왕(景明王)의 셋째 아들. 속함대군(速咸大君)에 봉해짐. 함양박씨(咸陽朴氏)의 시조.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함양ㅣ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자
-
언신(彦愼)@이감 - 이감(李戡)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우계(羽溪)로, 참판(參判) 이광식(李光軾)의 아들. 윤원형(尹元衡)ㆍ이량(李樑) 등과 결탁하여 기대승(奇大升)ㆍ허엽(許曄) 등 사림(士林)을 공격하는 데 가담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언신(彦愼)@박사눌 - 박사눌(朴思訥)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박성(朴惺)의 아버지로,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문사>유학
-
언신(彦愼) - 권율(權慄)@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명장. 본관은 안동(安東).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6세손이자 영의정을 지낸 권철(權轍)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행주대첩(幸州大捷)을 승리로 이끎.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으로 추봉됨.
1537~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언신(彦臣) - 성언신(成彦臣)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창산군(昌山君) 성사달(成士達)의 아버지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언신(彦辛) - 김언신(金彦辛)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1477년(성종 8)에 유자광(柳子光)의 사주를 받아 도승지(都承旨) 현석규(玄錫圭)를 탄핵하였다가 하옥되었고,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43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언신(言愼) - 송언신(宋言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축출됨. 저서로 《성학지남(聖學指南)》이 있음.
1542~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언실(彥實) - 정신(程信)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정민정(程敏政)의 아버지로, 몽고족 와랄부(瓦剌部)의 침입을 막아내고 남만(南蠻)을 정벌하는 데 공을 세움. 남경 병부상서(南京兵部尙書) 등을 지냄.
1417~147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실(彦實) - 임희무(林希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좌승지ㆍ밀양 군수 등을 지냄. 1552년(명종 7) 강익(姜翼)ㆍ정복현(鄭復顯) 등과 함께 함양(咸陽)에 정여창(鄭汝昌)을 배향한 남계서원(灆溪書院)을 세움.
1527~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언심(彦深)@성자택 - 성자택(成子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근(成謹)의 아들이며 성자항(成子沆)의 형으로, 왕자 교관(王子敎官)을 지냄. 1547년(명종 2) 윤임(尹任)의 당파(黨派)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사사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언심(彦深) - 강징(姜澂)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진주(晉州). 글씨에 능하여 중종(中宗)의 총애를 받음.
1466~153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언심(彦深)@김준 - 김준(金濬)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강릉(江陵). 김경제(金敬悌)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박승임(朴承任)이 그에게 차운한 시가 《소고집(嘯皐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언심(彦深)@어영준 - 어영준(魚泳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ㆍ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역임했음. 성품이 온화하고 강직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했음.
1483~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언양군(彦陽君)@김륜 - 김륜(金倫)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렬왕ㆍ충혜왕(忠惠王) 등을 시종해 원(元) 나라에 가 외교문제를 해결함.
127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언양군(彦陽君) - 김용휘(金湧輝)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언양(彦陽).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낸 김계보(金季甫)의 증조부. 예의 판서(禮儀判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무신
-
언양백(彦陽伯) - 김경직(金敬直)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이 배원(排元) 정책을 시행할 때 원수(元帥)로 임명되어 압록강 방면을 수비함. 화엄종사(華嚴宗師) 우운(友雲)의 형.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언양부원군(彦陽府院君) - 김경직(金敬直)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이 배원(排元) 정책을 시행할 때 원수(元帥)로 임명되어 압록강 방면을 수비함. 화엄종사(華嚴宗師) 우운(友雲)의 형.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언양부원군(彦陽府院君)@김륜 - 김륜(金倫)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렬왕ㆍ충혜왕(忠惠王) 등을 시종해 원(元) 나라에 가 외교문제를 해결함.
127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언옥(彥玉) - 권진(權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충의위 병절교위(忠義衛秉節校尉) 권겸(權謙)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언옥(彦玉) - 신현(申礥)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통판(通判)을 지냄. 유호인(兪好仁)의 《뇌계집(㵢谿集)》〈낙강범주시발(洛江泛舟詩跋)〉에 그와 관련한 기록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언용(彦容) - 신해(申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낸 신종옥(申從沃)의 아들. 청풍 군수(淸風郡守)를 지낼 때 머무른 청신당(淸神堂)에 관해 김안국(金安國)이 지은 기문(記文)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우(彦愚) - 이제신(李濟臣)@1510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안주(安宙)의 문인으로 약관(弱冠)에 국학(國學)에 들어가 김범(金範)ㆍ배신(裵紳) 등과 수학(修學)했으며, 임진왜란과 인종(仁宗)의 승하(昇遐)를 예언하고 산림에 은둔함.
1510~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언우(彦遇) - 김부필(金富弼)@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16~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언우(彦遇)@이제신 - 이제신(李濟臣)@1510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안주(安宙)의 문인으로 약관(弱冠)에 국학(國學)에 들어가 김범(金範)ㆍ배신(裵紳) 등과 수학(修學)했으며, 임진왜란과 인종(仁宗)의 승하(昇遐)를 예언하고 산림에 은둔함.
1510~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언우(彦遇)@유중영 - 유중영(柳仲郢)@조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아버지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로 이름을 떨침.
1515~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언욱(彦勖) - 김언욱(金彦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주(義州)로 파천(播遷)하는 선조(宣祖)를 호종하였음. 정철(鄭澈)ㆍ조헌(趙憲) 등과 교유함.
1545~159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언원(彦源) - 신호(申浩)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을 도와 견내량(見乃梁)ㆍ안골포(安骨浦) 등의 해전에서 공을 세워 통정대부가 되었고, 남원성(南原城) 전투에서 전사함.
1539~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부 , 인명>관인>무신
-
언원(彦遠) - 황언원(黃彦遠)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 근계(金溪) 사람으로 길수령(吉水令)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월(偃月) - 이임보(李林甫)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환관과 비빈들을 매수하여 현종(玄宗)의 총애를 얻어 양국충(楊國忠)과 더불어 정권을 전단함. 현명한 사람을 미워하고 능력 있는 사람을 질투하여, 구밀복검(口蜜腹劍)이란 고사가 유래함.
?~75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월당(偃月堂) - 이임보(李林甫)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환관과 비빈들을 매수하여 현종(玄宗)의 총애를 얻어 양국충(楊國忠)과 더불어 정권을 전단함. 현명한 사람을 미워하고 능력 있는 사람을 질투하여, 구밀복검(口蜜腹劍)이란 고사가 유래함.
?~75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언위(彦偉) - 원사용(元士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붕(元鵬)의 아들로,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하였으며, 영천 군수(永川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언위(彦威) - 습착치(習鑿齒)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 박학다문(博學多聞)하고 불교 이론에 밝아 승려 도안(道安)과 친교(親交)하였고, 촉(蜀)을 정통(正統)으로 하는 역사서 《한진춘추(漢晉春秋)》를 저술함.
31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언유(言游) - 언언(言偃)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 노 나라 무성(武城)에서 예악(禮樂)으로 고을을 잘 다스림. 자하(子夏)와 더불어 문학에 뛰어났고 예(禮)의 사상이 투철함.
B.C.506~B.C.4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언윤(彦潤) - 유덕종(柳德種)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선무랑(宣務郞) 유영석(柳永錫)의 아들로,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정랑(正郞) 등을 지냄.
153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언의(彦毅) - 정희홍(鄭希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수(鄭琇)의 아들로, 1526년(중종 2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목사(牧使) 등을 지냄.
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언의(彦毅)@오언의 - 오언의(吳彦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으로, 현감(縣監)을 지낸 오석복(吳碩福)의 아들. 이우(李堣)의 문인이며,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치적을 많이 쌓았음.
1494~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언이(彦而) - 박영준(朴永俊)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진위 현령(振威縣令)을 지낸 무숙(茂叔) 박조(朴稠)의 아들.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번갈아 지냈으며, 좌찬성(左贊成)에 오름.
1510~157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장(彦章)@손홍륜 - 손홍륜(孫弘綸)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집(河西集)》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언장(彦章) - 문걸(文傑)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문숭질(文崇質)의 아들로,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지냈음.
?~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언장(彦章)@서환 - 서환(徐煥)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희와 편지를 주고받으며 학문을 논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언장(彦章)@이의 - 이의(李漪)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셋째 형으로, 일찍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언적(彦迪)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언정(彦廷) - 이언정(李彦廷)
조선 전기의 종친. 의흥위 호군(義興衛護軍) 김봉서(金鳳瑞)의 셋째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언정(彦精) - 김연광(金鍊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로, 심적당(心適堂) 김이상(金履祥)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회양 부사(淮陽府使)로서 왜적의 침범을 당하게 되자, 절개를 지켜 도망하지 않고 적에게 참살당함.
1524~15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언정(彦鼎) - 기언정(奇彦鼎)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6대손이며, 덕창군(德昌君) 기정후(奇挺後)의 아들. 대사헌ㆍ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 《양선생왕복서(兩先生往復書)》를 중간(重刊)함.
1716~17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언주(彦冑) - 박소(朴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조광조 등 신진사류(新進士類)와 더불어 왕도정치(王道政治) 구현을 위하여 힘씀.
1493~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주(彦胄) - 박소(朴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조광조 등 신진사류(新進士類)와 더불어 왕도정치(王道政治) 구현을 위하여 힘씀.
1493~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중(彦仲) - 이영준(李英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안(鎭安)으로, 이인현(李仁賢)의 아버지.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라 도사(全羅都事)ㆍ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안 , 인명>관인>문신
-
언지(彦之)@심광언 - 심광언(沈光彦)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안성 군수(安城郡守)를 지낸 심빈(沈濱)의 아들. 지방관으로 나가서는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며, 법률에 밝아 형정(刑政)을 오랫동안 주관하며 송사를 바르게 처리함.
1490~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지(彦之)@백충언 - 백충언(白忠彦)
조선 후기의 무신ㆍ의병장. 임진왜란 때 영해(寧海)에서 의병을 모아 공을 세웠으며, 용양위 좌부장(龍驤衛左部將)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언지(彦之) - 김기남(金奇南)
조선 전기의 유학.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주세붕(周世鵬)이 보낸 시들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언지(彦之)@이효언 - 이효언(李孝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으로, 충주 판관(忠州判官)을 지낸 이봉손(李奉孫)의 아들. 이조 정랑(吏曹正郞)ㆍ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직(彦直) - 윤언직(尹彦直)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ㆍ서화가.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가 유배되자, 성균관의 유생들과 함께 항소했다가 이약수(李若水)ㆍ박세호(朴世豪)ㆍ김수성(金遂性)ㆍ황계옥(黃季沃) 등과 함께 투옥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유학
-
언진(彦珍) - 이류(李瑠)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형인 월산대군(月山大君) 이정(李婷)의 손자로, 성종의 첫 번째 서자인 계성군(桂城君) 이순(李恂)에게 출계함. 윤임(尹任)이 명종(明宗) 대신 왕으로 추대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아 거열형(車裂刑)을 당하였으나 선조(宣祖) 때 신원됨.
?~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언진(彦鎭) - 양산보(梁山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제주(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가 실각하자 귀향하여 소쇄원(瀟灑園)을 짓고 한평생 은거함.
1503~15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
-
언징(彦澄) - 길대연(吉大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야은(冶隱) 길재(吉再)의 증손으로, 참봉(參奉)을 지냄.
1483~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언창(彦暢) - 이언창(李彦暢)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감찰시승(監察侍丞)을 역임하였으며, 정도전(鄭道傳)의 《삼봉집(三峰集)》에 그의 호(號)에 대한 명문(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언청(彦淸)@윤언청 - 윤언청(尹彦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교위(校尉) 윤심(尹深)의 아들로, 별좌(別坐)를 지냈으며, 아들인 무성부원군(茂城府院君) 윤형(尹泂)이 귀하게 됨으로 인해 영의정(領議政) 송릉부원군(松陵府院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언청(彦淸)@장언청 - 장언청(張彦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유도원(柳道源)이 주석한 《퇴계선생문집고증(退溪先生文集攷證)》에 이름이 보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언청(彦淸) - 오결(吳潔)@조선전기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1536년(중종 31) 이조 참판(吏曹參判)으로 명 나라 사신의 영위사(迎慰使)가 되어 의주(義州)에 다녀왔으며,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역임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언충(彦冲)@이언충 - 이언충(李彦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충숙왕 때 하정사(賀正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오고,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충렬왕(忠烈王)에서 충혜왕(忠惠王)까지 네 왕을 섬기면서 총애를 받음.
1273~133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언충(彦冲) - 유자휘(劉子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스승으로, 저서에는 《병산집(屛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언충(彦忠) - 홍언충(洪彦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귀달(洪貴達)의 셋째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간언 상소를 올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73~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언침(彦忱) - 권순(權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영의정 권철(權轍)의 아들. 파주(坡州)ㆍ여주(驪州)의 목사牧使) 등을 제수받았으나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체직되었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이룸.
1536~160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강화 , 인명>관인>문신
-
언침(彦忱)@이언침 - 이언침(李彦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을사사화 직전에 민제인(閔齊仁) 등이 주관한 중학재(中學齋) 모임에서 윤원형(尹元衡) 일파의 회유와 협박에 굴하지 않았으며, 정미년(丁未年)에 서천(舒川)에 유배되어 죽음.
1507~154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언침(彦忱)@박언침 - 박언침(朴彦忱)
통일신라 제54대 경명왕(景明王)의 첫째 왕자. 밀양박씨(密陽朴氏)의 중조(中祖).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밀양 , 인명>왕실>왕자
-
언침(彦沈) - 최전(崔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해주(海州). 최여우(崔汝雨)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 신동(神童)으로 불리며 시문(詩文)ㆍ그림ㆍ글씨에 뛰어나고 음악에도 천부적 재질을 발휘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568~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
-
언침(彦琛)@김언침 - 김언침(金彦琛)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임진왜란 의병장 김천일(金千鎰)의 아버지로, 1534년(중종 2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문사>유학
-
언침(彦琛) - 유언침(柳彦琛)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유공권(柳公權)의 아들로,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언택(彦擇) - 박감(朴敢)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모재집(慕齋集》에 권은(權殷)ㆍ박수춘(朴壽椿) 등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字)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언통(彦通) - 신형(申泂)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신숙주(申叔舟)의 아들이자 신광한(申光漢)의 아버지로, 장령(掌令)ㆍ내자시 정(內資寺正)을 역임함.
14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언평(彦平)@황형 - 황형(黃衡)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창원(昌原). 경기 감사(京畿監司) 황기(黃琦)의 아버지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459~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무신
-
언평(彦平)@정지산 - 정지산(鄭之産)
조선 세종(世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은자. 본관은 진주(晉州). 목사(牧使)를 지낸 정효안(鄭孝安)의 아들로,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냄.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낙향하여 공주(公州)의 동혈(銅岤)에 은거하면서 충과 효를 몸소 실천함.
1423~146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언평(彦平)@김언평 - 김언평(金彦平)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청해군(靑海君) 이우(李堣)와 함께 정희량(鄭希良)의 문집인 《허암유집(虛庵遺集)》을 간행함.
?~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언평(彦平) - 윤원형(尹元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중종 계비(繼妃)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동생. 소윤(小尹)의 영수로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정미사화(丁未士禍)를 일으켜 대윤(大尹) 등 반대파를 숙청하고 공신에 책록됨. 영의정 등을 지냄.
?~15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언필(彦弼)@홍언필 - 홍언필(洪彦弼)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형(洪泂)의 아들이며, 홍섬(洪暹)의 아버지로,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인종(仁宗)의 묘정에 배향됨.
1476~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언필(彦弼)@김언필 - 김언필(金彦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1522년(중종 1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유학
-
언필(彦弼) - 이보(李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손자이며 안남군(安南君) 이수련(李壽鍊)의 장남.
1537~159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언행록(言行錄)@퇴계언행록 - 퇴계언행록(退溪言行錄)
조선 숙종(肅宗) 때 권두경(權斗經)이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언행을 수록하여 편찬한 책. 6권 3책. 1707년(숙종 33)에 8권 4책의 《퇴도선생언행통록(退陶先生言行通錄)》으로 편찬되고, 1732년(영조 8)에 《퇴계언행록(退溪言行錄)》으로 재편되어 간행됨.
170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언행록(言行錄)@송천언행록 - 송천언행록(松川言行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언행을 기록한 책. 문인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이 기록했으나 전하지 않으며, 손자 양만용(梁曼容)이 그 대략을 채록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언행차록(言行箚錄) - 퇴계언행록(退溪言行錄)
조선 숙종(肅宗) 때 권두경(權斗經)이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언행을 수록하여 편찬한 책. 6권 3책. 1707년(숙종 33)에 8권 4책의 《퇴도선생언행통록(退陶先生言行通錄)》으로 편찬되고, 1732년(영조 8)에 《퇴계언행록(退溪言行錄)》으로 재편되어 간행됨.
170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언형(彦亨) - 조언형(曺彦亨)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영(曺永)의 아들이며,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아버지.
1469~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언형(彦泂) - 최준(崔濬)@최여우의아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최전(崔澱)의 아우이며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찰방(察訪)을 지내고, 《창해우언(滄海寓言)》을 저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언호(彦浩) - 이언호(李彦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유청(李惟淸)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하였으며, 글씨에 능하여 전서(篆書)와 팔분체(八分體)를 잘 썼음.
1477~151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언호(彦湖) - 강린(姜潾)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부사맹(副司猛) 강이행(姜利行)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글씨에 능하여 중종의 총애를 받았던 강징(姜澂)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