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언홍(彦弘) - 김언홍(金彦弘)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정언(正言)을 지낸 김익(金釴)의 아버지로, 경력(經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언화(彦華) - 이장영(李長榮)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성균관 유생 시절에 관노(館奴)와 소란을 피운 군졸을 구타하였다가 의금부에 하옥됨. 후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 등을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언확(彦確) - 우상(禹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우인손(禹仁孫)의 아들. 춘추관 편수관(春秋館編修官)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07~156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언회(彦晦)@권춘란 - 권춘란(權春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권석충(權錫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사간(司諫) 등을 지냈으나, 모친상(母親喪)을 당하자 관직을 그만두고 산수(山水)를 벗삼아 유유자적함.
1539~16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언회(彦晦) - 경혼(慶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중종실록(中宗實錄)》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보우(普雨)를 중용하는 데 반대함.
1498~156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언후(彦厚) - 김충남(金忠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ㆍ문인. 본관은 광산(光山).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를 좇아 문학에 명성이 있었으며 향교를 중수하여 유학를 부흥시킴.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ㅣ인명>문사>문인
-
언휘(彦暉) - 방언휘(方彦暉)
고려 후기의 문신. 충목왕(忠穆王)의 장인이며 방순(方恂)의 아버지로, 직제학(直提學)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언휴(彦休) - 이조정(李竈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구례 현감(求禮縣監)을 지낸 이인(李寅)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증산 현령(甑山縣令) 등을 지냄.
1488~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언희(彦喜) - 김경언(金慶言)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김상(金湘)의 아들로, 1548년(명종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엄(儼)@윤엄 - 윤엄(尹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파평(坡平). 윤지함(尹之諴)의 아들로, 호조 좌랑(戶曹佐郞) 등을 지냄. 서화(書畵)에 능하고 필법(筆法)에 조예가 깊었으며, 감식안이 높아 고금 서화의 판별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들음.
1536~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엄(儼)@고려 - 이엄(李儼)@고려
고려 충혜왕(忠惠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혜왕의 폐신(嬖臣)으로,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등을 지내고,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을 호종한 공으로 일등공신(一等功臣)에 책록됨.
?~134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엄(儼) - 신엄(申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신승준(申承濬)의 아들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거쳐 청요직(淸要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엄(儼)@조선 - 이엄(李儼)@조선
조선 중중(中宗) 때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으로, 문장에 능함. 박상(朴祥)과 김정(金淨)의 처벌을 반대하고, 당파(黨派)에 붙어 정치에 관여하였다는 이유로 삭탈관직되었으나 다시 서용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엄(崦) - 서엄(徐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등을 역임함.
1529~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엄(揜) - 성엄(成揜)
조선 정종(定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성석인(成石因)의 아들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4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엄(淹)@정엄 - 정엄(鄭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정만종(鄭萬鍾)의 아들.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여산 군수(礪山郡守)ㆍ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냈으며, 《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30~15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의릉(義陵) - 의제(義帝)
중국 초(楚) 나라 황제. 초 회왕(懷王) 웅괴(熊槐)의 손자. 항우(項羽)에 의해 황제로 세워졌으나, 항우의 밀명(密命)을 받은 영포(英布)에게 침강(郴江)에서 살해됨.
?~B.C.205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의릉후(宜陵侯) - 식부궁(息夫躬)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제후 유운(劉雲)을 무고(誣告)하여 자살하게 만들고, 애제에게 거짓 진언을 하다가 왕가(王嘉)에 의해 저지 당함.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의묘(懿廟) - 덕종(德宗)@조선
조선 세조(世祖)의 아들. 1455년(세종 27) 도원군(桃源君)에 봉해지고 1455년(세조 1)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 1471년(성종 2) 덕종으로 추존(追尊)됨.
1438~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의묘(毅廟) - 의종(毅宗)@고려
고려 제18대 왕. 재위 1146~1170. 인종(仁宗)의 맏아들로, 무신들을 천대하다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 등에게 폐위당함. 김보당(金甫當)의 복위운동 실패 후 이의민(李義旼)에게 살해됨.
1127~117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의무(宜茂) - 이의무(李宜茂)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편찬에 참여하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홍주 목사(洪州牧使)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능하고 청빈하다는 평을 들음.
1449~150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의무(醫巫) - 의무려산(醫巫閭山)
중국 요령성(遼寧省)에 있는 산 이름. 순(舜) 임금이 십이산(十二山)을 봉할 때에 유주(幽州)의 진산(鎭山)으로 삼았고, 산세(山勢)가 6리를 덮으므로 육산(六山)이라고도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의무려(醫巫閭) - 의무려산(醫巫閭山)
중국 요령성(遼寧省)에 있는 산 이름. 순(舜) 임금이 십이산(十二山)을 봉할 때에 유주(幽州)의 진산(鎭山)으로 삼았고, 산세(山勢)가 6리를 덮으므로 육산(六山)이라고도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의무려(醫無閭) - 하흠(賀欽)
중국 명(明)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학자. 호과 급사중(戶科給事中)을 역임한 뒤 낙향하여 진헌장(陳獻章)에게 수학하며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저서에 《의려집(醫閭集)》이 있음.
1437~151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의무려동(醫無閭洞) - 의무려동(醫巫閭洞)
중국 요령성(遼寧省) 의무려산(醫巫閭山) 아래에 있는 신당인 북진묘(北鎭廟) 부근에 있는 골짜기.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의무려산(醫無閭山) - 의무려산(醫巫閭山)
중국 요령성(遼寧省)에 있는 산 이름. 순(舜) 임금이 십이산(十二山)을 봉할 때에 유주(幽州)의 진산(鎭山)으로 삼았고, 산세(山勢)가 6리를 덮으므로 육산(六山)이라고도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의무려집(醫無閭集) - 의려집(醫閭集)
중국 명(明) 나라 학자 하흠(賀欽)이 성화(成化) 연간에 벼슬을 그만두고 의무려산(醫無閭山) 아래에 퇴거하여 학문을 연구하면서 지은 책.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의무산(醫巫山) - 의무려산(醫巫閭山)
중국 요령성(遼寧省)에 있는 산 이름. 순(舜) 임금이 십이산(十二山)을 봉할 때에 유주(幽州)의 진산(鎭山)으로 삼았고, 산세(山勢)가 6리를 덮으므로 육산(六山)이라고도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의문(義文) - 김약온(金若溫)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양감(金良鑑)의 아들로, 이자겸(李資謙)과 인척이면서도 가까이하지 않음. 벼슬이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름.
1059~114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의민(懿愍) - 김제남(金悌男)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장인. 둘째 딸이 선조의 계비인 인목왕후(仁穆王后)가 됨. 광해군(光海君) 때 이이첨(李爾瞻) 등에 의해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추대하려 했다는 공격을 받아 사사되어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함.
1562~161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의민(懿愍)@봉성군 - 봉성군(鳳城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여섯 번째 서자. 희빈홍씨(熙嬪洪氏)의 소생. 인종(仁宗) 때 경기 관찰사 김명윤(金明胤)의 무고로, 계림군(桂林君) 이유(李瑠)와 함께 반역을 꾀한다 하여 유배되었다가 명종(明宗) 때 사사됨.
?~15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의민(毅愍) - 정희등(鄭希登)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종부시 첨정(宗簿寺僉正) 정구(鄭球)의 아들이며, 승지 정원(鄭源)의 조카. 사위로 삼으려는 김안로(金安老)의 청을 거절하여 사복시 첨정(司僕寺僉正) 등의 한직(閑職)에 있었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반대하다 유배 됨.
1506~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의민(義敏) - 최균(崔均)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전주최씨(全州崔氏) 일파(一派)의 시조. 내시 낭중(內侍郞中) 등을 지내고, 조위총(趙位寵)의 난을 진압하던 중 적장에게 살해됨. 아들 최보순(崔甫淳) 등의 현달로 상서 좌복야(尙書左僕射)에 추증됨.
?~117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의민(義旼) - 이의민(李義旼)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정선(旌善). 1170년(의종 24) 정중부(鄭仲夫)의 난에 가담하여 무반의 최고직인 상장군(上將軍)에까지 오름. 명종의 후원 아래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다 최충헌(崔忠獻) 일파에 의해 살해됨.
?~119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의민(義民) - 이감(李敢)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밀양 도호부사(密陽都護府使) 등을 지냈으며,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의방(義方) - 이의방(李義方)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중부(鄭仲夫)의 난에 가담하여 벽상공신(壁上功臣)에 오름. 위위경(衛尉卿)의 벼슬에 올라 딸을 태자비로 들이는 등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던 중 정중부의 아들 정균(鄭筠)에 의해 살해됨.
?~117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
-
의배(義培) - 이의배(李義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이 되고 한천군(韓川君)에 봉해짐.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청병(淸兵)과의 대전 중 전사하여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76~163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무신
-
의백(宜伯)@김의원 - 김의원(金義元)@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통훈대부(通訓大夫) 김호우(金好遇)의 아들이자 김효원(金孝元)의 동생.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선조를 호종하였고,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곤륙재집(困六齋集)》을 남김.
155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의백(宜伯) - 이의배(李義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한산(韓山).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이 되고 한천군(韓川君)에 봉해짐.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청병(淸兵)과의 대전 중 전사하여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76~163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무신
-
의백(毅伯)@정수홍 - 정수홍(鄭守弘)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가종(鄭可宗)의 아들로,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권근(權近)ㆍ하륜(河崙)ㆍ성석린(成石璘) 등과 교유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의백(毅伯) - 송희원(宋希遠)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임천 군수(林川郡守)를 지낸 송남수(宋柟壽)의 아들로, 율봉도 찰방(栗峯道察訪) 등을 지냄.
1565~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의백(義伯)@정개청 - 정개청(鄭介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전생서 주부(典牲署主簿)ㆍ곡성 현감(谷城縣監) 등을 지냈으며 예학(禮學)에 뛰어나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으나,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귀양가다 죽음. 저서로 《우득록(愚得錄)》이 있음.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의백(義伯) - 김극뉴(金克忸)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좌의정(左議政) 김국광(金國光)의 아들로,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을 지냄.
1436~149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연산 , 인명>관인>문신
-
의번(宜蕃) - 이의번(李宜蕃)
조선 전기의 문신. 정국공신(靖國功臣) 이함(李菡)의 아버지로, 이조 참의(吏曹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의보(儀甫) - 소신(蘇紳)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소송(蘇頌)의 아버지로, 한림 학사(翰林學士)ㆍ하양 지사(河陽知事) 등 내직과 외직을 두루 지냄.
999~104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의보(儀甫)@이기옥 - 이기옥(李璣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의(全義).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의 문인으로, 공릉 참봉(恭陵參奉) 등을 지내고, 장현광(張顯光)ㆍ김부륜(金富倫) 등과 교유를 맺고 학문을 강마함.
1566~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의보(義甫) - 정이청(鄭以淸)
조선 전기의 문신. 성균생원(成均生員) 정교(鄭僑)의 아들로 강계 교수(江界敎授)를 지냄.
1498~157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의봉(宜峯) - 남언기(南彦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선조(宣祖) 초 영의정 이탁(李鐸)의 천거로 동몽교관(童蒙敎官)ㆍ빙고별좌(氷庫別坐)에 임명됨.
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의부(義府) - 이의부(李義府)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간신. 허경종(許敬宗)과 함께 측천무후(則天武后)를 추종하여 고종(高宗)의 황후인 왕씨(王氏)를 폐하도록 함. 겉으로는 온유하지만 속으로는 음험하여 남들을 해쳤으므로, ‘소중도(笑中刀)’ 또는 ‘이묘(李猫)’라 일컬어짐.
614~66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의비(懿妃)@의혜왕후 - 의혜왕후(懿惠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어머니. 본관은 영흥(永興). 최한기(崔漢奇)의 딸로, 태조가 등극한 후 의비(懿妃)에 봉해지고, 태종(太宗) 때 의혜왕후로 추봉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왕실>왕비
-
의비최씨(懿妃崔氏) - 의혜왕후(懿惠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어머니. 본관은 영흥(永興). 최한기(崔漢奇)의 딸로, 태조가 등극한 후 의비(懿妃)에 봉해지고, 태종(太宗) 때 의혜왕후로 추봉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왕실>왕비
-
의산(宜山) - 의령(宜寧)
경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함안(咸安), 서쪽으로는 삼가(三嘉)에 접해 있음.
경상도>의령 , 지명>행정지명
-
의산(疑山) - 구의산(九疑山)
중국 호남성(湖南省) 영원현(寧遠縣) 남쪽에 있는 산 이름. 구봉(九峯)이 서로 비슷하여 구별하기 어려워 사람의 마음이 헤아리기 어려움을 비유함. 순(舜) 임금을 이곳에 장사지냈다고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의산(義山) - 이상은(李商隱)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ㆍ시인. 영호초(令狐楚)에게 변려문(騈儷文)을 배웠으며, 풍부한 전고(典故)와 화려한 자구(字句)를 구사하여 당대 수사주의문학(修辭主義文學)의 극치를 보여줌.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냄.
812~85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의산(醫山) - 의무려산(醫巫閭山)
중국 요령성(遼寧省)에 있는 산 이름. 순(舜) 임금이 십이산(十二山)을 봉할 때에 유주(幽州)의 진산(鎭山)으로 삼았고, 산세(山勢)가 6리를 덮으므로 육산(六山)이라고도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의산군(宜山君) - 남휘(南暉)
조선 태종(太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태종의 넷째 딸 정선공주(貞善公主)의 부마(駙馬)가 되어 의산군(宜山君)에 봉해짐.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의산군(宜山君)@남이 - 남이(南怡)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무신. 남휘(南暉)와 정선공주(貞善公主)의 소생이며, 권람(權攬)의 사위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고 건주위(建州衛) 여진(女眞)을 토벌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유자광(柳子光)의 무고에 의해 살해됨.
1441~14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의산부령(宜山副令) - 이인윤(李仁胤)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麒)의 손자이며 평릉부수(平陵副守) 이엄(李儼)의 아들로, 1617년(광해군 9)에 금산군(錦山君) 이성윤(李誠胤) 등과 함께 이이첨(李爾瞻)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림.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산부원군(宜山府院君) - 남재(南在)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 동생 남은(南誾)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51~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의산위(宜山尉) - 남휘(南暉)
조선 태종(太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태종의 넷째 딸 정선공주(貞善公主)의 부마(駙馬)가 되어 의산군(宜山君)에 봉해짐.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의상(義尙) - 탁의상(卓義尙)
조선 전기의 문신.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낸 탁광수(卓光守)의 둘째 아들로, 숙부인 탁철수(卓哲守)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음보(蔭補)로 현감(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의상(義想) - 의상(義湘)
신라 진평왕(眞平王)~성덕왕(聖德王) 때의 승려. 우리나라 화엄종(華嚴宗)의 개조(開祖). 중국 승려 지엄(智儼)의 제자이며, 제자들을 육성하고 사찰을 건립하는 등 실천수행을 근본으로 하여 화엄의 선양에 전념함. 대표작으로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가 있음.
625~70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의상(義相) - 의상(義湘)
신라 진평왕(眞平王)~성덕왕(聖德王) 때의 승려. 우리나라 화엄종(華嚴宗)의 개조(開祖). 중국 승려 지엄(智儼)의 제자이며, 제자들을 육성하고 사찰을 건립하는 등 실천수행을 근본으로 하여 화엄의 선양에 전념함. 대표작으로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가 있음.
625~70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의상대(義湘臺)@경기도 - 연주대(戀主臺)
통일신라 문무왕(文武王) 때 의상(義湘)이 경기도 과천(果川) 연주봉(戀主峯) 절벽 위에 세운 절. 677년(문무왕 17) 관악사(冠岳寺)와 함께 세워 의상대(義湘臺)라 이름 붙이고 그곳에서 좌선함.
677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과천 , 유적>건물>사찰
-
의상대(義相臺) - 의상대(義湘臺)
통일신라 문무왕(文武王) 때 강원도 양양(襄陽)에 건립한 누대 이름. 의상(義湘)이 낙산사(洛山寺)를 창건할 당시 좌선(坐禪)하던 곳에 세웠다 함. 지금의 건물은 1925년에 건립됨.
676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양양 , 유적>건물>누정
-
의상대사(義湘大師) - 의상(義湘)
신라 진평왕(眞平王)~성덕왕(聖德王) 때의 승려. 우리나라 화엄종(華嚴宗)의 개조(開祖). 중국 승려 지엄(智儼)의 제자이며, 제자들을 육성하고 사찰을 건립하는 등 실천수행을 근본으로 하여 화엄의 선양에 전념함. 대표작으로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가 있음.
625~70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의상율사(義相律師) - 의상(義湘)
신라 진평왕(眞平王)~성덕왕(聖德王) 때의 승려. 우리나라 화엄종(華嚴宗)의 개조(開祖). 중국 승려 지엄(智儼)의 제자이며, 제자들을 육성하고 사찰을 건립하는 등 실천수행을 근본으로 하여 화엄의 선양에 전념함. 대표작으로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가 있음.
625~70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의상인(衣上人) - 설의(雪衣)
조선 전기의 승려. 이이(李珥)의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증산인설의(贈山人雪衣)〉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의상조사(義湘祖師) - 의상(義湘)
신라 진평왕(眞平王)~성덕왕(聖德王) 때의 승려. 우리나라 화엄종(華嚴宗)의 개조(開祖). 중국 승려 지엄(智儼)의 제자이며, 제자들을 육성하고 사찰을 건립하는 등 실천수행을 근본으로 하여 화엄의 선양에 전념함. 대표작으로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가 있음.
625~70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의생(義生) - 조의생(曺義生)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고려가 망한 뒤 조선 태조(太祖)가 과거를 실시하였으나 이에 응하지 않고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충의를 지킨 태학생(太學生) 72명 중 한 사람.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의석(宜碩) - 이의석(李宜碩)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추(李抽)의 아들이며, 이의무(李宜茂)의 형으로, 홍주 통판(洪州通判)을 지냄. 파주(坡州)에 화석정(花石亭)을 지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의선(義璇) - 의선(義旋)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로, 무외국사(無畏國師)에게 법(法)을 받고 원(元) 나라에 건너가 천원(天源) 연성사(延聖寺)의 주지로 있으면서, 본국 영원사(瑩原寺)의 주지를 겸함.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종교인>승려
-
의성(宜城)@안경 - 안경(安慶)
중국 안휘성(安徽省) 남서부에 있는 도시 이름. 양자강(揚子江) 연안에 위치하여 예로부터 상업이 발달하였으며, 차(茶)와 임산물(林産物)의 집산지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의성(宜城)@의령 - 의령(宜寧)
경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함안(咸安), 서쪽으로는 삼가(三嘉)에 접해 있음.
경상도>의령 , 지명>행정지명
-
의성(宜城) - 덕원(德源)
함경도 문천(文川)ㆍ원산(元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태조(太祖)의 4대 선조인 목조(穆祖)ㆍ익조(翼祖)ㆍ도조(度祖)ㆍ환조(桓祖)의 고향이라 하여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켜 부사(府使)를 두고 다스림.
함경도>덕원 , 지명>행정지명
-
의성(懿聖) - 인순왕후(仁順王后)
조선 제13대 명종(明宗)의 정비(正妃). 명종 즉위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며, 명종이 죽고 선조(宣祖)가 즉위하자 잠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532~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의성(毅成) - 문주백(文周伯)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정간공(靖簡公) 문천강(文天降)의 아들로, 내의시랑(內議侍郞)ㆍ대사마(大司馬)ㆍ상주국 평장사(上柱國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의성(毅成)@문극순 - 문극순(文克純)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문공유(文公裕)의 아들이며, 문극겸(文克謙)의 아우. 의종 때 내사인(內舍人)이 되었다가 환관 정함(鄭諴)의 일로 인해 파직되고, 명종 때 내급사(內給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의성(誼城) - 이채(李寀)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맏아들로, 내자시 직장(內資寺直長) 이차궁(李次弓)의 딸과 혼인함. 학문을 좋아하여 경사(經史)에 통달함.
1411~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의성군(宜城君)@남지 - 남지(南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경문(南景文)의 아들이며,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사돈. 문종(文宗) 때 좌의정으로 황보인(皇甫仁) 등과 함께 단종(端宗) 보필에 관한 고명(顧命)을 받았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풍질(風疾)로 인해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의성군(宜城君)@남은 - 남은(南誾)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에 동조하여 조선 개국 후 일등개국공신으로 의성군(宜城君)에 봉해짐.
1354~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의성군(宜城君)@남좌시 - 남좌시(南佐時)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무신. 1381년 밀직부사(密直副使) 권현룡(權玄龍)과 함께 강릉도(江陵道)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함.
?~138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의성군(宜城君) - 남경우(南景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특별한 재능이 없으면서 관품이 높아 평판이 좋지 않았음. 봉조하(奉朝賀)로 치사(致仕)함.
?~14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의성군(宜城君)@남재 - 남재(南在)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 동생 남은(南誾)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51~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의성군(義城君) - 김석(金錫)@통일신라
신라 제56대 경순왕(敬順王)의 다섯째 아들.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져 의성김씨(義城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의성 , 인명>왕실>왕자
-
의성군(義城君)@김용비 - 김용비(金龍庇)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금오위 별장(金吾衛別將)을 지낸 김공우(金公祐)의 아들로, 태자 첨사(太子詹事)를 지냈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의성군(義城君)@김영렬 - 김영렬(金英烈)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의성(義城).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4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의성군(誼城君) - 이채(李寀)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맏아들로, 내자시 직장(內資寺直長) 이차궁(李次弓)의 딸과 혼인함. 학문을 좋아하여 경사(經史)에 통달함.
1411~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의성부정(義城副正) - 이강(李鋼)@이수계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들인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손자이며 계산군(桂山君) 이수계(李壽誡)의 둘째 아들. 또한 경력(經歷)을 지낸 한여필(韓汝弼)의 사위이며, 한백겸(韓百謙)의 고모부. 휴암(休菴) 백인걸(白仁傑)의 문하에서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성왕대비(懿聖王大妃) - 인순왕후(仁順王后)
조선 제13대 명종(明宗)의 정비(正妃). 명종 즉위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며, 명종이 죽고 선조(宣祖)가 즉위하자 잠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532~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의성왕후(懿成王后) - 의성왕후(義成王后)
신라 제53대 신덕왕(神德王)의 비. 성은 김(金). 헌강왕(憲康王)의 딸이며, 경명왕(景明王)ㆍ경애왕(景哀王)의 어머니.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비
-
의성왕후(懿聖王后) - 인순왕후(仁順王后)
조선 제13대 명종(明宗)의 정비(正妃). 명종 즉위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며, 명종이 죽고 선조(宣祖)가 즉위하자 잠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532~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의성위(宜城尉)@남치원 - 남치원(南致元)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의령(宜寧). 성종(成宗)의 넷째 딸 경순옹주(慶順翁主)를 맞아들여 의성위(宜城尉)에 봉해졌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
-
의성위(宜城尉) - 남섭원(南爕元)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의령(宜寧). 성종 때 우부승지를 지낸 남흔(南忻)의 아들로, 숙의김씨(淑儀金氏) 소생인 휘정옹주(徽靜翁主)와 혼인함. 경순옹주(慶順翁主)의 남편인 남치원(南致元)의 사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왕실>인척
-
의성전(懿聖殿) - 인순왕후(仁順王后)
조선 제13대 명종(明宗)의 정비(正妃). 명종 즉위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며, 명종이 죽고 선조(宣祖)가 즉위하자 잠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532~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의소(宜素) - 나의소(羅宜素)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1624년(인조 2)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158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의속헌(醫俗軒) - 박민헌(朴民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을 공부하였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상호군(上護軍) 등을 지냄.
151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의손(義孫)@홍의손 - 홍의손(洪義孫)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317년(충숙왕 4)에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원(元) 나라에서 감찰어사(監察御史)ㆍ좌사도사(左司都事) 등을 역임하였고, 외직으로 강서성 원외랑(江西省員外郞)으로 나가 임소에서 죽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의손(義孫) - 이의손(李義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정종(正宗)의 증손으로, 연강수(連江守)에 봉해짐. 안처겸(安處謙)의 무고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손(義孫)@정의손 - 정의손(鄭義孫)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