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의수(宜壽) - 이의수(李宜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손자이며,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수(猗叟) - 정난무(鄭蘭茂)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음보(蔭補)로 관계(官界)에 진출하여 밀양 부사(密陽府使)를 지냄. 수헌(睡軒) 권오복(權五福)의 고모부.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의숙(宜叔) - 권의숙(權宜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종형(從兄)으로 그가 죽자 권호문이 애도하는 시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의숙(義叔) - 김권(金權)@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김정국(金正國)의 친구로, 오랜만에 만난 그를 보고 지었다는 시가 《사재집(思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의순(義筍) - 금의순(琴義筍)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 금제순(琴悌筍)의 형으로,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의신(宜臣) - 윤의신(尹宜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린(尹麟)의 아들이며,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윤횡(尹宖)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의신(義臣) - 이의신(李義臣)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1549년(명종 4)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를 지냄. 박승임(朴承任)과 교유했는데, 그가 금산(錦山)으로 갈 때 수작한 시가 《소고집(嘯皐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의신군(義信君) - 이비(李備)
조선 후기의 종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청(淸) 나라에서 왕자를 인질로 요구하자, 어린 왕자 대신 자신의 아들인 원창군(原昌君) 이구(李玖)를 보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신군(義新君) - 이징원(李澄源)@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구순(具淳)의 장인이며, 의신군(義新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신도정(義信都正) - 이비(李備)
조선 후기의 종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청(淸) 나라에서 왕자를 인질로 요구하자, 어린 왕자 대신 자신의 아들인 원창군(原昌君) 이구(李玖)를 보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신부수(義信副守) - 이비(李備)
조선 후기의 종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청(淸) 나라에서 왕자를 인질로 요구하자, 어린 왕자 대신 자신의 아들인 원창군(原昌君) 이구(李玖)를 보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씨(猗氏) - 의돈(猗頓)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때의 부자(富者). 월(越) 나라 구천(句踐)의 신하인 범려(范蠡)에게 상술(商術)을 배운 뒤 의(猗) 지방에서 목축업으로 거부(巨富)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의안(義安) - 의안대군(義安大君)
조선 태조(太祖)의 이복동생. 태조를 도와 조선 건국에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태종(太宗) 때 외척인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처벌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림.
1348~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의안군(宜安君) - 의안대군(宜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소생으로, 배극렴(裵克廉)ㆍ조준(趙浚)ㆍ정도전(鄭道傳) 등의 요청으로 세자(世子)로 책봉되었으나,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피살됨.
138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의안군(義安君) - 의안대군(義安大君)
조선 태조(太祖)의 이복동생. 태조를 도와 조선 건국에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태종(太宗) 때 외척인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처벌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림.
1348~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의안백(義安伯) - 의안대군(義安大君)
조선 태조(太祖)의 이복동생. 태조를 도와 조선 건국에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태종(太宗) 때 외척인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처벌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림.
1348~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의암(毅菴) - 한백륜(韓伯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종(睿宗)의 국구(國舅). 본관은 청주(淸州)로, 안순왕후(安順王后)와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한순(韓恂)의 아버지. 남이(南怡)의 옥사를 처리한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27~147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의암(義菴) - 민회삼(閔懷參)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고부(姑夫)인 송현수(宋玹壽)가 권완(權完)과 모반하였다는 무고를 받자 이에 연루되어 제주도로 좌천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의암(義菴)@이이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의양후(義陽侯) - 부개자(傅介子)
중국 한(漢) 나라 소제(昭帝) 때의 무신. 준마감(駿馬監)이 되어 대완국(大宛國)에 사신(使臣)으로 다녀왔었고, 한 나라 사신을 공격해 오던 누란국(樓蘭國)의 왕을 죽이고 돌아와서 의양후(義陽侯)에 봉해짐.
?~B.C.6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의연(毅然) - 황의강(黃義剛)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임천(臨川) 사람으로 주자(朱子)의 문인(門人).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의열(毅烈) - 강민첨(姜民瞻)
고려 목종(穆宗)~현종(玄宗) 때의 문신. 현종 때 안찰사(按察使)로서 동여진(東女眞)을 격퇴하였으며, 1018년(현종 9) 거란(契丹)의 소배압(蕭排押)이 침략했을 때 강감찬(姜邯贊)의 부장(副將)으로 출전하여 격파하고, 개경(開京)까지 추격하여 크게 무찌름.
?~1021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의열(義烈)@고인후 - 고인후(高因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종군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금산(錦山) 전투에서 아버지와 함께 전사함.
1561~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의열(義烈) - 이개(李塏)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계주(李季疇)의 아들.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등에 공헌하였으나, 단종(端宗)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처형됨으로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이 됨.
1417~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의열정목(懿烈貞穆) - 인현왕후(仁顯王后)
조선 제19대 숙종(肅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여흥(驪興).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딸로, 희빈장씨(禧嬪張氏)의 무고로 6년간 폐서인이 되었다가 갑술환국(甲戌換局)을 거쳐 복위됨. 그 후 7년이 지나 병고에 시달린 끝에 35세로 죽음.
1667~17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의영(義榮) - 박의영(朴義榮)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조 참의(禮曹參議) 박미(朴楣)의 맏아들이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박광영(朴光榮)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박증영(朴增榮)의 형으로, 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냄.
1456~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의오병(義烏兵) - 왕도곤(汪道昆)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의오 현령(義烏縣令) 때 척계광(戚繼光)과 병사를 모집하여 왜구(倭寇)를 격파하고, 병부시랑(兵部侍郞) 등을 지냄. 문장에 뛰어나 이반룡(李攀龍)ㆍ왕세정(王世貞) 등과 함께 학문을 연마함.
1525~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의옹(毅翁) - 최경홍(崔景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찬성(贊成) 최숙생(崔淑生)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냄.
149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의왕(毅王) - 의종(毅宗)@고려
고려 제18대 왕. 재위 1146~1170. 인종(仁宗)의 맏아들로, 무신들을 천대하다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 등에게 폐위당함. 김보당(金甫當)의 복위운동 실패 후 이의민(李義旼)에게 살해됨.
1127~117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의원(義元)@조선후기 - 김의원(金義元)@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통훈대부(通訓大夫) 김호우(金好遇)의 아들이자 김효원(金孝元)의 동생.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선조를 호종하였고,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곤륙재집(困六齋集)》을 남김.
155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의원(義元)@조선전기 - 김의원(金義元)@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정황(丁熿)이 지은 〈제곡장김의원만(梯谷丈金義元挽)〉이라는 시가 《유헌집(游軒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의원황씨(義原黃氏) - 창원황씨(昌原黃氏)
고려 때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를 지낸 황석기(黃石奇), 시중(侍中)을 지낸 황충준(黃忠俊), 호장(戶長)을 지낸 황양충(黃亮沖)을 각 시조로 하는 세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집단>성씨
-
의윤(義胤) - 이의윤(李義胤)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祺)의 손자이며 평릉부수(平陵副守) 이엄(李儼)의 아들로, 성산부령(星山副令)에 봉해짐. 1617년(광해군 9)에 이이첨(李爾瞻)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림.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인성후(懿仁聖后) - 의인왕후(懿仁王后)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비. 본관은 반남(潘南). 반성부원군(潘城府院君) 박응순(朴應順)의 딸로, 1569년(선조 2) 왕비에 책봉됨.
1555~16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의장(毅長) - 박의장(朴毅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무안(務安). 박세렴(朴世廉)의 아들이며, 김언기(金彦璣)의 문인으로 경사(經史)에 밝음. 임진왜란 때 많은 공적을 세웠으며 경상수사(慶尙水使)에 이름. 정충사(貞忠祠)ㆍ구봉정사(九峯精舍)에 제향됨.
1555~16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무신
-
의재(毅齋) - 김제갑(金悌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영원산성(領原山城)에서 순절(殉節)함.
1525~15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의재(毅齋)@장헌세자 - 장헌세자(莊獻世子)
조선 제21대 영조(英祖)의 둘째 아들이자 22대 정조(正祖)의 아버지. 이복형 효장세자(孝章世子)가 요절하자 세자에 책봉되어 1749년(영조 25) 영조의 명을 받고 15세에 대리기무(代理機務)를 봄. 김한구(金漢耉) 일파의 모함을 받아 뒤주에 갇혀 죽음.
1735~17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의재(毅齋)@정성지 - 정성지(鄭性之)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냄.
1172~125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의전(懿殿) - 인성왕후(仁聖王后)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정비(正妃). 1524년(중종 19)에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고, 인종(仁宗)이 즉위하자 왕비가 됨.
1514~15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의전(義傳) - 이의전(李義傳)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원익(李元翼)의 장남으로,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인조를 호종하고 완선군(完善君)에 봉해졌으며, 봉조하(奉朝賀)에 들음.
1568~164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의절(儀節) - 가례의절(家禮儀節)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인 구준(丘濬)이 편찬한 책. 주희(朱憙)의 《가례(家禮)》에 대한 해설서.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의정(義貞)@유몽인 - 유몽인(柳夢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 유탱(柳樘)의 아들. 한때 성혼(成渾)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를 담당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인조 때 무고로 인해 반역죄로 처형됨. 저서로 《어우야담(於于野談)》 등이 있음.
1559~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의정(義貞)@김의정 - 김의정(金義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의 총애를 받자 김안로(金安老)에게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김안로가 처형된 후에 다시 등용됨.
1495~15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의정(義貞) - 조의정(趙義貞)
조선 제11대 중중(中宗)의 부마. 본관은 순창(淳昌). 부사(府使)를 지낸 조침(趙琛)의 아들로, 숙의이씨(淑儀李氏)의 소생인 효정옹주(孝靜翁主)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왕실>인척
-
의정(義貞)@윤의정 - 윤의정(尹義貞)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생원. 본관은 덕산(德山).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를 지낸 윤관(尹寬)의 아들로, 1573년(선조 6)의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유성룡(柳成龍)ㆍ정탁(鄭琢) 등과 교유함.
1525~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의종장효대왕(毅宗莊孝大王) - 의종(毅宗)@고려
고려 제18대 왕. 재위 1146~1170. 인종(仁宗)의 맏아들로, 무신들을 천대하다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 등에게 폐위당함. 김보당(金甫當)의 복위운동 실패 후 이의민(李義旼)에게 살해됨.
1127~117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의주(宜州) - 덕원(德源)
함경도 문천(文川)ㆍ원산(元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태조(太祖)의 4대 선조인 목조(穆祖)ㆍ익조(翼祖)ㆍ도조(度祖)ㆍ환조(桓祖)의 고향이라 하여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켜 부사(府使)를 두고 다스림.
함경도>덕원 , 지명>행정지명
-
의주읍성(義州邑城) - 의주성(義州城)
평안도 의주(義州)에 위치한 성곽. 1520년(중종 15) 확장 개축하고, 국경 방비와 중국 사신을 접견하는 장소로 알려짐.
평안도>의주 , 유적>시설>성,진,책
-
의죽도(礒竹島) - 울릉도(鬱陵島)
울진(蔚珍)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 지증왕(智證王)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 조선 숙종(肅宗) 때 안용복(安龍福)이 월경(越境)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伯耆島主)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
강원도>울진 , 지명>자연지명
-
의중(儀仲) - 장범(張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경상도 도사(慶尙道都事)ㆍ예조 정랑(禮曹正郞)ㆍ함안 군수(咸安郡守) 등을 역임했으며, 함안 군수 재임시에 금천서원(琴川書院)을 창건하여 흥학(興學)에 힘을 썼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문신
-
의중(宜中)@박의중 - 박의중(朴宜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이색(李穡)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음. 철령위(鐵嶺衛) 철폐를 이룩하고 추성보조공신(推誠補祚功臣)에 책록됨.
1337~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의중(宜中) - 심사순(沈思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화천군(花川君) 심정(沈貞)의 아들로, 부제학(副提學)을 역임함.
1496~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의중(宜仲)@이의건 - 이의건(李義健)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1564년(명종 19)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고 이항복(李恒福)의 추천으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이 되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명현(名賢)들과 교유함. 저서로 《동은집(峒隱集)》이 있고, 광주(廣州) 수곡서원(秀谷書院)ㆍ영평(永平) 옥병서원(玉屛書院)에 배향됨.
1533~16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문인
-
의중(宜仲) - 심사순(沈思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화천군(花川君) 심정(沈貞)의 아들로, 부제학(副提學)을 역임함.
1496~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의중(宜仲)@이의전 - 이의전(李義傳)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원익(李元翼)의 장남으로,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인조를 호종하고 완선군(完善君)에 봉해졌으며, 봉조하(奉朝賀)에 들음.
1568~164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의중(毅中) - 윤의중(尹毅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윤구(尹衢)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나, 정여립(鄭汝立)의 역모 사건으로 동인들이 축출될 때 이발(李潑)의 외숙이라는 이유로 파직됨.
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의중(毅仲) - 김홍윤(金弘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극핍(金克愊)의 아들.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가들을 탄핵하다 파직당하기로 함.
1499~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의중(義仲) - 남치리(南致利)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김언기(金彦璣)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이황(李滉) 문하의 안자(顔子)라고 불리며 1578년 정구(鄭逑)와 함께 유일(遺逸)에 천거됨.
1543~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의지(宜之)@안극가 - 안극가(安克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탐진(耽津)으로, 찰방(察訪) 안기(安沂)의 아들. 이정(李楨)의 문인으로, 삼가 현감(三嘉縣監) 등을 지냄. 호호정(浩浩亭)을 짓고 경전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씀.
1547~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의지(宜之)@건의 - 건의(蹇義)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오랫동안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내면서 다섯 명의 황제를 보좌하고, 명초(明初)에 전장제도(典章制度)의 수립과 확립에 기여함.
1363~143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의지(宜之)@나의소 - 나의소(羅宜素)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1624년(인조 2)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158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의지(宜之)@이의근 - 이의근(李義根)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금구(金溝). 영산 현감(靈山縣監) 등을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구 , 인명>관인>문신
-
의지(宜之) - 송명의(宋明誼)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냈으며, 고려의 국운이 쇠하자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의지(宜之)@송호의 - 송호의(宋好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지평(持平)ㆍ장령(掌令)을 역임하였으며, 이극돈(李克墩)의 추탈(追奪)을 주장하는 등 성품이 강직하였음.
?~151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의지(宜之)@한공의 - 한공의(韓公義)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악(韓渥)의 아들. 충혜왕의 신임을 받았으며, 공민왕 때 밀직부사(密直副使)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옴.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의지(義之)@김의지 - 김의지(金義之)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수원(水原). 용성김씨(龍城金氏)의 시조 김시보(金時輔)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유학
-
의지(義之)@이관의 - 이관의(李寬義)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학행으로 천거되어 율봉도 찰방(栗峯道察訪)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함.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ㆍ지리ㆍ기상ㆍ역학 등의 일반과학 분야에 전심하여 각기 일가를 이룸.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의지(義之)@이무방 - 이무방(李茂芳)
고려 충목왕(忠穆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양(光陽). 고려 때 주요 관직을 두루 지내고 찬화공신(贊化功臣) 등에 책록됨. 조선 개국 후 조준(趙浚)의 천거로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을 지냄.
131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의지(義之) - 심의(沈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풍산군(豊山君) 심응(沈膺)의 아들이고, 좌의정을 지낸 심정(沈貞)의 동생. 서경덕(徐敬德)ㆍ성세창(成世昌) 등과 깊이 교유함.
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의지(義持) - 의상(義湘)
신라 진평왕(眞平王)~성덕왕(聖德王) 때의 승려. 우리나라 화엄종(華嚴宗)의 개조(開祖). 중국 승려 지엄(智儼)의 제자이며, 제자들을 육성하고 사찰을 건립하는 등 실천수행을 근본으로 하여 화엄의 선양에 전념함. 대표작으로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가 있음.
625~70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의지(義智) - 종의지(宗義智)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대마도주(對馬島主)로서 임진왜란 때 풍신수길(豐臣秀吉)과 함께 군대를 이끌고 조선에 옴. 가신(家臣) 유천조신(柳川調信)의 보필로 풍신수길의 심복이 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의지(艤之) - 이의(李艤)
조선 성종(成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定宗)의 4세손으로, 백성수(栢城守) 이원(李源)의 아들. 1502년(연산군 8) 종친시예(宗親試藝)에 장원하는 등 학문에 뛰어나고 후진 양성에 힘씀.
1469~15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지(誼之) - 한치의(韓致義)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한확(韓確)의 아들로 성종의 외숙.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1440~147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의직(宜直) - 곽희온(郭希溫)
조선 전기의 유학. 성혼(成渾)과 교유하였으며 《우계집(牛溪集)》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의천(宜川) - 덕원(德源)
함경도 문천(文川)ㆍ원산(元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태조(太祖)의 4대 선조인 목조(穆祖)ㆍ익조(翼祖)ㆍ도조(度祖)ㆍ환조(桓祖)의 고향이라 하여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켜 부사(府使)를 두고 다스림.
함경도>덕원 , 지명>행정지명
-
의천군(義泉君) - 이승은(李承恩)
조선 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의천군(義泉君)@이인 - 이인(李仁)@1524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세 번째 서자인 완원군(完原君) 이수(李𢢝)의 손자이며, 이성군(伊城君) 이수강(李壽剛)의 아들.
1524~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의천부원군(宜川府院君) - 남유(南瑜)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남응룡(南應龍)의 아들.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나주 목사(羅州牧使)로서 이순신(李舜臣)을 도와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싸우다가 전사함.
?~159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당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의천부정(義泉副正) - 이인(李仁)@1524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세 번째 서자인 완원군(完原君) 이수(李𢢝)의 손자이며, 이성군(伊城君) 이수강(李壽剛)의 아들.
1524~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의천위(宜川尉) - 남섭원(南爕元)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의령(宜寧). 성종 때 우부승지를 지낸 남흔(南忻)의 아들로, 숙의김씨(淑儀金氏) 소생인 휘정옹주(徽靜翁主)와 혼인함. 경순옹주(慶順翁主)의 남편인 남치원(南致元)의 사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왕실>인척
-
의천정(義泉正) - 이승은(李承恩)
조선 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의춘(宜春)@의령 - 의령(宜寧)
경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함안(咸安), 서쪽으로는 삼가(三嘉)에 접해 있음.
경상도>의령 , 지명>행정지명
-
의춘(宜春) - 양산(梁山)
경상도 남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양산 , 지명>행정지명
-
의춘군(宜春君)@이우직 - 이우직(李友直)@1441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손자.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진도(珍島)로 귀양 가서 죽음.
1441~14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의춘군(宜春君) - 남계당(南季堂)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지(南輊)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과 제학(提學)을 역임하고 의춘군(宜春君)에 봉해졌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의춘군(宜春君)@남이흥 - 남이흥(南以興)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남유(南瑜)의 아들. 이괄(李适)의 난 때 장만(張晚)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정묘호란 때 안주성(安州城) 전투에서 분전하다가 자결함.
1576~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의춘남씨(宜春南氏) - 의령남씨(宜寧南氏)
중국 당(唐) 나라 사람으로 신라에 귀화한 남민(南敏)을 시조로 삼고,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의령군(宜寧君)에 봉해진 남군보(南君甫)를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집단>성씨
-
의춘부수(宜春副守) - 이경장(李敬長)@정세창의사위
조선 전기의 종친. 장연 현감(長淵縣監)을 지낸 정세창(鄭世昌)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춘부원군(宜春府院君) - 남이흥(南以興)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남유(南瑜)의 아들. 이괄(李适)의 난 때 장만(張晚)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정묘호란 때 안주성(安州城) 전투에서 분전하다가 자결함.
1576~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의춘자(宜春子) - 남곤(南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심정(沈貞) 등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킨 주역. 문장에 뛰어나고 글씨에도 능함.
1471~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의충(義忠) - 신의충(申義忠)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교감(校勘) 지낸 신억수(申億壽)의 아들이자, 신각(申恪)의 아버지로, 홍섬(洪暹)이 지은 만시(挽詩)가 《인재집(忍齋集)》에 실려 있음.
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의침법사(義砧法師) - 의침(義砧)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승려. 시승(詩僧)으로 두보(杜甫)의 시에 정통하였으며, 조위(曺偉)ㆍ유윤겸(柳允謙) 등과 함께 《분류두공부시(分類杜工部詩)》를 언해하여 편찬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의헌(懿獻) - 이정(李鋥)
조선 후기의 종친. 종종(中宗)의 여덟 째 아들인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장남이며, 선조(宣祖)의 형. 임진왜란 때 분의복수군(奮義復讐軍)에 가담하여 적극 활약하였음.
1545~159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의헌(毅憲) - 이광윤(李光輪)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여주(驪州). 문소전 참봉(文昭殿參奉)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조헌(趙憲) 등과 함께 금산(錦山) 전투에서 전사한 뒤 종용사(從容祠)에 배향됨.
1545~159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양 , 인명>문사>유학
-
의헌(義獻) - 기의헌(奇義獻)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정묘(丁卯)ㆍ병자(丙子)의 난(亂)에 의병을 일으켰고, 역학ㆍ의학에 밝음. 기우만(奇宇萬)이 작성한 묘갈명(墓碣銘)이 있음.
1587~165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의헌(義軒) - 홍탁(洪鐸)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외척. 인성군(麟城君) 홍선(洪詵)의 아들로, 충혜왕의 비인 화비(和妃)의 아버지. 경상도 진변사(慶尙道鎭邊使) 등을 지냈으나, 공민왕 때 사위 조일신(趙日新)이 반란을 일으켜 회원 현령(檜原縣令)으로 좌천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의현(宜顯) - 이의현(李宜顯)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으로,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의 아들. 정미환국(丁未換局) 때 파직되었으나 이인좌(李麟佐)의 무신란(戊申亂) 때 다시 기용되어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지냄. 노론(老論)의 영수로 추대되고, 저서로 《도곡집(陶谷集)》이 있음.
1669~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의황제(懿皇帝) - 목종(穆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3대 황제. 재위 1567~1572. 여러 차례 침범한 몽고의 엄답(俺答)을 방어하고, 재초(齋醮)를 파하며 궁궐 건축을 줄여 몸소 절약을 실행함.
1537~157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의황제(毅皇帝)@장헌세자 - 장헌세자(莊獻世子)
조선 제21대 영조(英祖)의 둘째 아들이자 22대 정조(正祖)의 아버지. 이복형 효장세자(孝章世子)가 요절하자 세자에 책봉되어 1749년(영조 25) 영조의 명을 받고 15세에 대리기무(代理機務)를 봄. 김한구(金漢耉) 일파의 모함을 받아 뒤주에 갇혀 죽음.
1735~17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의황제(毅皇帝) - 무종(武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11대 황제. 재위 1505~1521. 홍치제(弘治帝)의 맏아들로, 학문을 좋아했지만 즉위한 후 유희에 빠져서 방탕한 생활로 국력을 낭비함.
1491~1521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