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의황후(懿皇后) - 헌경왕후(獻敬王后)
조선 제21대 영조(英祖)의 아들인 장헌세자(莊獻世子)의 비(妃)이자 정조(正祖)의 어머니. 본관은 풍산(豊山)으로 홍봉한(洪鳳漢)의 딸. 자서전적 사소설체인 《한중록(恨中錄)》을 지음.
1735~181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의효(宜孝) - 충숙왕(忠肅王)
고려 제27대 왕. 재위 1313~1330, 1332~1339. 충선왕(忠宣王)의 둘째 아들. 원(元) 나라의 세공(歲貢)을 삭감하고 공녀(貢女)ㆍ환자(宦者)의 선발을 중지시키는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나, 뒤에 사냥과 연회 등에 빠져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않음.
1294~133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의효(懿孝) - 충숙왕(忠肅王)
고려 제27대 왕. 재위 1313~1330, 1332~1339. 충선왕(忠宣王)의 둘째 아들. 원(元) 나라의 세공(歲貢)을 삭감하고 공녀(貢女)ㆍ환자(宦者)의 선발을 중지시키는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나, 뒤에 사냥과 연회 등에 빠져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않음.
1294~133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의휴(儀休) - 공의휴(公儀休)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재상. 관직에 있으면서 백성들과 이익을 다투지 않았으며 백성들의 생업을 침범하지 않았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의흠(義欽) - 심의흠(沈義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의흥부원군(義興府院君) - 김상기(金上琦)
고려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상서 좌복야(尙書左僕射) 김양(金陽)의 아들이며, 문성공(文成公) 김인존(金仁存)의 아버지. 1085년 송(宋) 나라에 다녀와서 국사를 편찬했으며, 태부(太傅) 등을 지냄.
1031~1112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 -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조선시대의 중앙군인 오위(五衛)를 지휘 감독한 최고 군령기관(軍令機關). 군정(軍政)의 문란과 임진왜란(壬辰倭亂)을 계기로 문제점이 드러나자 훈련도감(訓練都監)ㆍ어영청(御營廳) 등으로 대체하고 1882년(고종 19)에 폐지됨.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의흥장(義興丈) - 김립(金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김언상(金彦庠)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생원시에 입격하여, 의흥(義興)ㆍ초계(草溪)의 군수(郡守)를 역임했음.
1497~15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의흥홍씨(義興洪氏) - 부계홍씨(缶溪洪氏)
고려시대 직장동정(直長同正)을 지낸 홍좌(洪佐)를 시조로 하는 성씨. 시중(侍中)을 지낸 홍난(洪鸞)의 후손이라 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의흥 , 인명>집단>성씨
-
이(伊) - 윤이(尹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내섬시 판관(內贍寺判官) 윤문형(尹文亨)의 아들로, 우봉 현령(牛峯縣令)을 지냈으며, 아들인 칠계군(漆溪君) 윤탁연(尹卓然)의 공으로 인해 영의정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이(利) - 이리(李利)
조선 세종(世宗) 때의 종친. 삭녕 군수(朔寧郡守)를 지낸 양치(梁治)의 장인으로, 세종 때 곧바로 회시(會試)에 나아가기 위해 병을 빙자해 한성시(漢城試)에 나아가지 않았다가 추국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夷) - 백이(伯夷)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 고죽군(孤竹君)의 아들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叔齊)와 더불어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왕실>종친
-
이(夷)@영공 - 영공(靈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제후. 재위 B.C.606~B.C.605. 재위 1년 만에 공자(公子)인 귀생(歸生)에게 시해당함.
?~B.C.60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이(彝) - 윤이(尹彝)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역신(逆臣). 한때 중이 되었다가 장죄(贓罪)를 범하고 명(明) 나라로 도망하였으며, 명 나라에 공양왕(恭讓王)과 이성계(李成桂)를 무고(誣告)하였다가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이(怡)@김이 - 김이(金怡)
조선 후기의 유학.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의 사위로, 유광정(柳光霆)과는 동서(同壻) 사이임.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이(怡)@주이 - 주이(周怡)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주세귀(周世龜)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도사(都事) 등을 지냄. 타고난 성품과 거동이 훌륭하여 신선 같다는 평을 들음.
1515~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이(怡) - 이이(李怡)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여섯째 아들로, 종실과 나라를 위해 공을 세워 영신군(永新君)에 봉해짐.
1454~152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왕실>종친
-
이(怡)@남이 - 남이(南怡)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무신. 남휘(南暉)와 정선공주(貞善公主)의 소생이며, 권람(權攬)의 사위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고 건주위(建州衛) 여진(女眞)을 토벌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유자광(柳子光)의 무고에 의해 살해됨.
1441~14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이(洢) - 김이(金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낸 김공망(金公望)의 아들로, 음사(蔭仕)로 당진 현령(唐津縣令) 등을 역임함.
1515~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珥)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苡) - 박이(朴苡)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밀성군(密城君) 박광영(朴光榮)의 넷째 아들로, 내자부정(內資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이(頤)@권이 - 권이(權頤)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익평공(翼平公) 권람(權攬)의 현손. 중종(中宗) 때 영의정을 지낸 성희안(成希顔)의 외손자이며, 대사헌을 지낸 송인수(宋麟壽)의 사위. 송기수(宋麒壽)의 《추파집(秋坡集)》에 묘표(墓表)가 실려 있음.
1521~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이(頤)@주이 - 주이(周頤)
통일신라 원성왕(元聖王) 때의 문신ㆍ귀화인. 상주주씨(尙州周氏)의 시조(始祖).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 병부 시랑(兵部侍郞)을 지내고 부사(副使)가 되어 신라에 왔다가 귀화하였다고 하며, 상주 총관(尙州摠管) 등을 지냄.
중국>당ㅣ한국>통일신라 , 중국ㅣ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이(頤)@고려 - 이이(李頤)@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민사평(閔思平)의 문인(門人)으로, 경상도 안렴사(慶尙道按廉使)를 지낼 때 《급암시집(及菴詩集)》의 판각을 도움.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頤)@조선 - 이이(李頤)@조선
조선 성종(成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손자로 학림군(鶴林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頤) - 박이(朴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의병장인 박경전(朴慶傳)의 아버지로, 장사랑(將仕郞)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이(鯉) - 공리(孔鯉)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아들이며, 공급(孔伋)의 아버지. 송(宋) 나라 때 문묘(文廟)에 종사됨.
B.C.532~B.C.48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𢓡) - 이이(李𢓡)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定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곽(李^郭) - 곽^이(郭^李)
중국 당(唐) 나라의 명장 이광필(李光弼)과 곽자의(郭子儀)를 함께 부르는 말. 중흥(中興) 제일의 공신들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두(李^杜)@보^백 - 보^백(甫^白)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보(杜甫)와 이백(李白)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부(伊^傅) - 부^신(傅^莘)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재상인 부열(傅說)과, 탕(湯) 임금 때의 재상인 이윤(伊尹)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사람이 각각 은거하던 부암(傅巖)과 유신(有莘)에서 유래했으며, 뛰어난 현신(賢臣)을 가리킴.
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숙(夷^叔) - 이^제(夷^齊)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인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를 함께 부르는 말. 은 나라 주왕(紂王)을 치려는 주(周) 나라 무왕(武王)을 만류하다 실패하자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굶어 죽은 고사로 인해, 청렴하고 절개가 굳은 사람을 가리킴.
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여(伊^呂) - 위^신(渭^莘)
중국 은(殷) 나라 때 위수(渭水)에서 낚시하다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재상이 된 여상(呂尙)과, 신야(莘野)에서 농사짓다 탕(湯) 임금의 재상이 된 이윤(伊尹)을 함께 부르는 말. 초야에서 발탁되어 왕조의 기반을 다진 어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염(伊^濂) - 염^이(濂^伊)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이천(伊川) 정이(程頤)와 염계(濂溪) 주돈이(周敦頤)를 함께 부르는 말. 송학(宋學)의 주류를 이루었던 두 사제(師第)를 말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왕(李^王) - 왕^이(王^李)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반룡(李攀龍)과 왕세정(王世貞)을 함께 부르는 말.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한 후칠자(後七子)의 대표적인 인물을 가리킴.
중국>명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우(李^牛) - 우^이(牛^李)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인 우승유(牛僧孺)와 이종민(李宗閔)을 함께 부르는 말.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인 '우당(牛黨)'의 대표적인 인물들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주(耳^周) - 노^장(老^莊)
중국 춘추전국시대 도가(道家)의 대표적인 인물인 노자(老子)와 장주(莊周)를 함께 부르는 말. 유교적 관점에서는 이단(異端)을 뜻하며, 때로는 그들의 저서인 《도덕경(道德經)》과 《장자(莊子)》를 함께 지칭하는 말로도 쓰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혼(珥^渾) - 우^율(牛^栗)
조선 선조(宣祖) 때의 성리학자인 문간공(文簡公)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문성공(文成公) 율곡(栗谷) 이이(李珥)를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후기ㅣ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이가겸(李可謙) - 이증(李增)@이지숙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공을 세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는 데 헌신함.
1525~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가산(李嘉山) - 이주(李澍)@1534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명종 때 성균관(成均館)의 유생(儒生)으로서 보우(普雨)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림. 아들 이광정(李光庭)의 공으로 영의정에 추증됨.
1534~158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가연(李賀淵) - 이중량(李仲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효행(孝行)과 학행(學行)이 뛰어났으며,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며 선정(善政)을 베풂.
1504~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가정(李柯亭) - 이숙기(李叔琪)
고려 후기의 문신. 밀직 대언(密直代言) 등을 지냈으며,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과 교유함. 이제현의 《익재난고(益齋亂稿)》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시 등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간(夷簡)@여이간 - 여이간(呂夷簡)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오랜 기간 재상(宰相)으로서 국정을 좌우하였으나 범중엄(范仲淹)ㆍ왕증(王曾) 등과 대립하다가 인종의 개혁 의지로 파면됨.
979~104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간(夷簡) - 신영(申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상촌(象村) 신흠(申欽)의 조부.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明賢)의 한 사람임.
1499~155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이간(夷簡)@진남군 - 진남군(鎭南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여섯째 아들. 숙의이씨(淑儀李氏)의 소생으로, 종실 중에 가장 어질다고 하여 장원서 제조(掌苑署提調)에 임명됨.
1406~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이간(易簡) - 소이간(蘇易簡)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림학사(翰林學士)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냈으며, 재능이 뛰어나고 문장(文章)으로 이름을 떨침.
958~99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간재(李艮齋) - 이덕홍(李德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충량(李忠樑)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영춘 현감(永春縣監)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자를 따라 성천(成川)까지 호종함.
1541~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감(李憨) - 이중은(李重恩)
중국 북송(北宋) 때의 기사(棋士). 당대(當代)에 맞수가 없을 정도로 바둑 실력이 뛰어났다는 기록이 구양수(歐陽脩)의 《귀전록(歸田錄)》에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이강(李綱)@이강 - 이강(李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아들로, 죽은 후 관례를 깨고 특별히 시호를 받았으며, 이색(李穡)의 《목은집(牧隱集)》에 그의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333~136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강(而康) - 김연수(金延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종서(金宗瑞)의 외손이며, 청백리(淸白吏)로 이름이 남.
?~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강(而强) - 이중(李中)@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가 도망쳐 온 스승 김식을 숨겨준 일로 의금부에 하옥되고 부령(富寧)에 유배됨.
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문사>학자
-
이강이(李剛而) - 이정(李楨)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어려서는 규암(圭菴) 송인수(宋麟壽)로부터 배우고 성장한 뒤에는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홍문관 부제학에 제수되었으나 사천(泗川)에 구암정사(龜巖精舍)를 짓고 후진양성에 힘씀.
1512~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강중(李强仲) - 이중립(李中立)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ㆍ서해(徐嶰) 등과 교유하고, 서당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이건(以健) - 나덕원(羅德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금성(錦城).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義兵)을 모집하여 명(明) 나라 제독(提督) 마귀(麻貴)를 도와 왜적을 격퇴함. 벼슬은 함안 현감(咸安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이건(李虔) - 이밀(李密)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아버지가 일찍 죽고 어머니가 개가(改嫁)한 탓에 할머니 유씨(劉氏)의 손에서 자랐으며, 무제(武帝) 때 세자 사마(世子洗馬)에 제수되자 할머니의 봉양을 위해 〈진정표(陳情表)〉를 올리고 사양한 일로 유명함.
224~28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걸(李杰) - 소종(昭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9대 황제. 재위 888~904. 재임 중 번진(蕃鎭)의 세력다툼과 잦은 농민봉기로 인해 실권을 잃고 결국에는 시해됨.
867~904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검(而儉) - 박이검(朴而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형 박이온(朴而溫)과 함께 공을 세워 순성군(順城君)의 작위(爵位)를 받았으며, 벼슬은 공조 판서(工曹判書)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견(而見) - 오진영(吳震泳)
근대의 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전우(田愚)의 문인으로 간재학파(艮齋學派)의 대표적 인물. 의리론(義利論)을 앞세워 유교전통을 수호하고, 〈포고천하문(布告天下文)〉을 짓는 등 독립운동에도 참여함. 죽천집(竹川集) 간행에 관여함.
?~1944 한국>근대 , 충청도>진천 , 인명>문사>학자
-
이경(以敬) - 남이공(南以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남호(南琥)의 아들. 선조 때 이발(李潑)ㆍ정인홍(鄭仁弘) 등과 함께 북인(北人)의 우두머리로서 영의정(領議政) 유성룡(柳成龍)을 탄핵ㆍ파직시킴. 이조 판서(吏曹判書)ㆍ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를 지냄.
1565~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이경(以經) - 박이경(朴以經)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유학 박명응(朴明應)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이경(夷敬) - 심한(沈瀚)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심온(沈溫)의 손자. 성종(成宗)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박시형(朴始亨)과의 대립이 표면화되어 파직되었다가 이조 참의(吏曹參議)로 복직됨.
1436~14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경(李曔) - 정종(定宗)@조선
조선 제2대 왕. 재위 1398~1400. 태조(太祖)와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소생.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靖安君)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
1357~14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경(爾敬) - 유상조(柳相祚)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도사(都事)를 지낸 유종춘(柳宗春)의 아들로, 1794년(정조 18)에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ㆍ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1763~18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경(而敬) - 이정우(李庭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상의원 정(尙衣院正) 이세건(李世健)의 아들.
154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경(而經) - 박권(朴權)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정언(正言)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길성(吉城)으로 정배(定配)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해남(海南)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이경(離經) - 이소(離騷)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굴원(屈原)이 지은 서정적 장편 서사시(敍事詩).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이경로(李景魯) - 이희삼(李希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학자 이몽규(李夢奎)의 아들로, 송강(松江) 정철(鄭澈) 등과 교유함.
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경상도>경주 , 인명>문사>문인
-
이경연(李景淵) - 이길(李洁)@이중호의아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담양 부사(潭陽府使) 이중호(李仲虎)의 아들로, 응교(應敎) 등을 지냄.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형 이급(李汲)ㆍ이발(李潑)과 함께 장살(杖殺)당함.
1547~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이경은(李景誾) - 이제민(李齊閔)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신군(永新君) 이이(李怡)의 손자로,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며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름.
1528~16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경은(李耕隱) - 이맹전(李孟專)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계유정난(癸酉靖難)이 일어나자 고향인 선산(善山)으로 내려가 평생 두문불출하며 단종에 대한 절개를 지킴.
1392~14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이경자(李敬子) - 이번(李燔)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희가 죽은 후 백록서원(白鹿書院)의 당장(堂長)을 맡아 학문을 성대히 일으켰으며, 황간(黃榦)과 더불어 ‘황이(黃李)’로 일컬어짐.
1163~123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경질(李景質) - 이희검(李希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호조(戶曹)ㆍ형조(刑曹)ㆍ병조(兵曹)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지경연사(知經筵事)를 지냄.
1516~15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경함(李景涵) - 이발(李潑)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중호(李仲虎)의 아들. 동인(東人)의 거두로서 정철(鄭澈)의 처벌문제에 강경파를 이끌어 북인(北人)의 수령이 되었으며,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544~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경호(李景浩)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경호(李景浩)@이이현 - 이이현(李以顯)
조선 전기의 문인. 노수신(盧守愼)과 교유하였으며, 그의 부탁으로 이연경(李延慶)에 대하여 지은 시의 내용이 《소재집(穌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이계(伊溪)@김우홍 - 김우홍(金宇弘)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들로, 나주 목사(羅州牧使)ㆍ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냄.
1522~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계(伊溪) - 신공제(申公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씀.
1469~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이계(伊溪)@이계 - 이계(李溪)
고려 말~조선 초의 문인. 권근(權近)과 교유하였으며, 그와 관련하여 지은 시가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이계(履癸) - 걸(桀)
중국 하(夏) 나라의 마지막 왕. 은(殷) 왕조 최후의 왕인 주(紂)와 함께 포악한 임금의 상징으로 거론됨.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계선(李繼善) - 이효술(李孝述)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 주희(朱熹)의 제자 이번(李燔)의 조카로, 주자를 직접 만나지는 못하고 편지로 수학했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계소(李季紹) - 이종윤(李悰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창평 현령(昌平縣令) 이수(李洙)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계은(李溪隱) - 이정립(李廷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기축옥사(己丑獄死)를 다스린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이 되었고,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대사성(大司成) 등을 역임함.
1556~159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계장(李季章) - 이벽(李壁)@송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문장(文章)이 뛰어나고 전장(典章)과 제도(制度)에 정통하였으며, 권신 한탁주(韓侂冑)를 추종하여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159~122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계주인(伊溪主人) - 신공제(申公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씀.
1469~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이계진(李季眞) - 이후백(李後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와 양관 제학(兩館提學)을 지냈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덕망이 높아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음.
1520~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이계헌(李季獻) - 이우(李瑀)@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이(李珥)의 아우. 시(詩)ㆍ서(書)ㆍ화(畫)ㆍ금(琴)을 잘하여 ‘사절(四絶)’이라 불림.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의 화풍을 따르고, 특히 화훼(花卉)와 초충(草蟲)을 잘 그림.
1542~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고(李暠) - 양무소왕(涼武昭王)
중국 남북조시대 서량(西涼)의 초대 왕. 재위 400~417. 재위 중 우병우농(寓兵于農)과 문화교육 정책을 시행하여 부국강병을 꾀함. 문학에도 남다른 재능을 보임.
351~41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고부(李古阜) - 이우(李瑀)@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이(李珥)의 아우. 시(詩)ㆍ서(書)ㆍ화(畫)ㆍ금(琴)을 잘하여 ‘사절(四絶)’이라 불림.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의 화풍을 따르고, 특히 화훼(花卉)와 초충(草蟲)을 잘 그림.
1542~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곤령(李崑齡) - 순회세자(順懷世子)
조선 제13대 명종(明宗)의 외아들. 인순왕후(仁順王后)의 소생으로, 7살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13살의 나이로 요절함.
1551~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이공(以恭) - 남이공(南以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남호(南琥)의 아들. 선조 때 이발(李潑)ㆍ정인홍(鄭仁弘) 등과 함께 북인(北人)의 우두머리로서 영의정(領議政) 유성룡(柳成龍)을 탄핵ㆍ파직시킴. 이조 판서(吏曹判書)ㆍ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를 지냄.
1565~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이공(李玜) - 순조(純祖)
조선 제23대 국왕. 재위 1800~1834. 형인 문효세자(文孝世子)가 일찍 죽어 1800년(정조 24) 왕세자에 책봉되고 즉위했으나, 홍경래(洪景來)의 난과 외척세력의 견제로 아들 효명세자(孝明世子)에게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시킴.
1790~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공간(李公幹) - 이중량(李仲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효행(孝行)과 학행(學行)이 뛰어났으며,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며 선정(善政)을 베풂.
1504~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공동(李空同) - 이몽양(李夢陽)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문인. 진(秦)ㆍ한(漢) 시대의 고문과 이백(李白)ㆍ두보(杜甫)의 시를 이상으로 하고 시의 격조를 중시함. 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 등과 함께 ‘칠재자(七才子)’ 또는 ‘십재자(十才子)’로 불림.
1473~153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이공저(李公著) - 이성중(李誠中)@1539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현손이며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되고 완창부원군(完昌府院君)에 봉해짐.
1539~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공직(李公直) - 이경중(李敬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1581년(선조 14) 이조 좌랑(吏曹佐郞)으로 있을 때 정여립(鄭汝立)이 높이 등용되는 것을 배척하다가 논핵당하여 파직됨.
1542~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공택(李公擇) - 이상(李常)@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젊었을 때 여산(廬山)의 백석승사(白石僧舍)에서 공부하였으며, 과거에 급제한 뒤 장서(藏書) 9천여 권을 공부하던 집에 기증하고 ‘이씨산방(李氏山房)’이라 명명했는데, 이에 대해 소식(蘇軾)이 〈이군산방기(李君山房記)〉를 지음.
1027~109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과재(李果齋) - 이방자(李方子)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통판진주(通判辰州) 등을 역임하였으며, 탄핵을 당하자 낙향하여 학문을 강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관(以筦) - 탁진옥(卓振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중(卓中)의 맏아들로, 1468년(세조 14)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하였으며, 사인(舍人)ㆍ검상(檢詳)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이괄(李适)@덕종 - 덕종(德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9대 황제. 재위 779~805. 대종(代宗)의 장자로 조용조제(租庸調制)를 폐지하고 양세법(兩稅法)을 시행하여 재정충실을 꾀함.
742~8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괄란(李适亂) - 이괄지란(李适之亂)
조선 인조(仁祖) 2년에 평안 병사(平安兵使) 이괄(李适)이 인조반정(仁祖反正)의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반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의 명분을 제공함.
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영변 , 사건>역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