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로(頤老) - 이지식(頤知識)
고려 후기의 승려. 이규보(李奎報)와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이로행록(二老行錄) - 벽송집(碧松集)
조선 전기의 승려 지엄(智嚴)의 시문집. 1권 1책. 1569년(선조 2)에 휴정(休靜)이 산실된 지엄의 가송(歌頌) 20수를 모아서 간행함.
156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이류(李琉) - 이완(李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월성군(月城君) 이철견(李鐵堅)의 손자이며, 이성정(李成楨)의 첫째 아들로, 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률(而栗) - 윤관중(尹寬中)
조선 후기의 문신.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사위로, 선전관(宣傳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륭(李隆)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릉부리(爾陵夫里) - 능성(綾城)
전라남도 화순(和順) 능주면(綾州面) 일대 지역의 옛 이름. 1632년(인조 10)에 능주(綾州)로 개칭함.
940~16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이리가수미(伊梨柯須彌) - 연개소문(淵蓋蘇文)
고구려 말기의 재상ㆍ무신. 혼란한 고구려 말기에 정권을 잡아 자신을 제거하려는 대인(大人)들을 모두 제거하고 보장왕(寶藏王)을 옹립하여 대막리지(大莫離支)에 오름.
?~665 한국>고구려 , 인명>관인>무신
-
이림(李霖) - 이목(李霂)
조선 전기의 종친. 낙안군(樂安君) 이녕(李寧)의 아들로, 청원정(靑原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립(而立) - 이안유(李安柔)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냈으나, 태종의 잘못을 간하다가 경산(京山)에 유배됨, 세종 때 낙향하여 유방선(柳方善)ㆍ조상치(曺尙治) 등과 교유하며 후진 양성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립(而立)@이상신 - 이상신(李尙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우인(李友仁)의 아들이자 이상의(李尙毅)의 동생으로,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허엽(許曄)ㆍ윤근수(尹根壽) 등과 교유하고, 1593년(선조 26) 시폐(時弊)를 고칠 것을 상주(上奏)하였으며, 1605년(선조 38) 명(明) 나라에 가서 염초(焰硝)의 수입을 허락받음.
1564~161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립(而立)@전신 - 전신(全信)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김제안(金齊顔)ㆍ이제현(李齊賢) 등과 교유함. 음서(蔭敍)로 관직에 진출하여 동지밀직사사 상의회의도감사(同知密直司事商議會議都監事)를 지냄.
1276~133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관인>문신
-
이만주(李萬住) - 이만주(李滿住)
중국 명(明) 나라 선종(宣宗) 때 여진(女眞)의 추장(酋長). 명 나라에 조공(朝貢)을 바쳐 도지휘첨사(都指揮僉使)가 되었으나, 조선 세조(世祖) 때 강순(康純) 등이 명과 협공하여 여진족을 토벌할 때 피살됨.
?~1467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이망헌(李忘軒) - 이주(李胄)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김종직(金宗直)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진도(珍島)로 유배되었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굉필(金宏弼) 등과 함께 사사(賜死)됨.
146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매암(李梅巖) - 이숙량(李叔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성리학(性理學) 연구에 전념함.
1519~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이명(頤命) - 이이명(李頤命)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ㆍ학자.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6세손.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유배되었다가 갑술옥사(甲戌獄事) 때 재등용 된 후 좌의정 등을 지내고, 노론(老論) 정권의 핵심적 인물로 활약함.
1658~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명곡(李鳴谷) - 이산보(李山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대사간(大司諫)으로 재임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을 수습함.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명(明) 나라 군대의 조선 진군과 군량조달에 큰 공을 세움.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명보(李明甫)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모당(二慕堂) - 박경전(朴慶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하여 곽재우(郭再祐)와 권응수(權應銖)의 양쪽 진영을 내왕하면서 많은 전공을 세움.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이모촌(李茅村) - 이정(李瀞)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 조식(曹植)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 때 창의함.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으며, 사후에 대각사(大覺祠)에 배향됨.
1541~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이목은(李牧隱)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몽산(異蒙山) - 덕이(德異)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僧侶). 완산 정응(脘山正凝) 선사의 법을 이었으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고려의 고승들과 주고받은 서함이 많음.
1231~1308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이몽응(李夢應)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몽재(李蒙齋) - 이안도(李安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황(李滉)의 장손(長孫)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이황 문하의 명유(名儒)들과 교유하였으며, 음서(蔭敍)로 벼슬하여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 등을 지냄.
1541~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이묘(李猫) - 이의부(李義府)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간신. 허경종(許敬宗)과 함께 측천무후(則天武后)를 추종하여 고종(高宗)의 황후인 왕씨(王氏)를 폐하도록 함. 겉으로는 온유하지만 속으로는 음험하여 남들을 해쳤으므로, ‘소중도(笑中刀)’ 또는 ‘이묘(李猫)’라 일컬어짐.
614~66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무방(李茂方) - 이무방(李茂芳)
고려 충목왕(忠穆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양(光陽). 고려 때 주요 관직을 두루 지내고 찬화공신(贊化功臣) 등에 책록됨. 조선 개국 후 조준(趙浚)의 천거로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을 지냄.
131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묵재(李默齋) - 이문건(李文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성주(星州)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494~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문(以文) - 성이문(成以文)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황산도 찰방(黃山道察訪)을 지낸 성효관(成效寬)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묘서 부봉사(宗廟署副奉事)로서 왕실의 신주를 받들고 의주(義州)로 피난함.
1546~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문(尼文) - 이문(泥文)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 가야금 명인. 우륵(于勒)의 제자로, 스승을 따라 가야에서 신라로 망명함. 그가 지은 곡으로 〈오(烏)〉ㆍ〈서(鼠)〉ㆍ〈순(鶉)〉 3곡의 곡명만이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전함.
한국>신라 , 인명>예술인>음악인
-
이문(移文) - 북산이문(北山移文)
중국 남제(南齊)의 문인 공치규(孔稚珪)가 약속을 저버리고 벼슬길에 나선 벗 주옹(周顒)의 변절(變節)을 기롱하여 지은 글. 변려문(騈儷文)의 대표적 작품 중 하나.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이문(而聞) - 성용(成鏞)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둘째 아들로, 아버지의 학문을 계승함.
1576~162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이문간(李文幹) - 이경온(李景蘊)
조선 전기의 유학. 유헌(游軒) 정황(丁熿)과 교유하여, 《유헌집(游軒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문간(李文簡) - 이의현(李宜顯)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으로,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의 아들. 정미환국(丁未換局) 때 파직되었으나 이인좌(李麟佐)의 무신란(戊申亂) 때 다시 기용되어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지냄. 노론(老論)의 영수로 추대되고, 저서로 《도곡집(陶谷集)》이 있음.
1669~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문강(李文剛) - 이사균(李思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폐비(廢妃) 윤씨(尹氏) 복위의 부당성을 주장하다가 보은(報恩)으로 유배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후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몰려 좌천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71~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문경(李文敬) - 이항(李恒)@이자영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반궁성의(反躬誠意)ㆍ주경궁리(主敬窮理)를 학문 경향으로 삼음. 1566년(명종 21)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의영고 영(義盈庫令) 등을 지냄.
1499~15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문경(李文景) - 이직(李稷)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 추대에 참여하여 지신사(知申事)로서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짐.
1362~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문대신(里門大臣) - 김흥근(金興根)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김명순(金明淳)의 아들. 《헌종실록(憲宗實錄)》ㆍ《철종실록(哲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796~18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문성(李文成)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문순(李文純)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문열(李文烈) - 이조년(李兆年)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농서군공(隴西郡公) 이장경(李長庚)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심양왕 고(瀋陽王暠)가 충숙왕(忠肅王)의 왕위 찬탈을 도모할 때 원 나라의 중서성(中書省)에 그 부당함을 상소하여 음모를 저지시킴.
1269~134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문옹(李文翁) - 이제민(李齊閔)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신군(永新君) 이이(李怡)의 손자로,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며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름.
1528~16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문요(李文饒) - 이덕유(李德裕)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아버지 이길보(李吉甫)와 함께 당을 결성하여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의 당파와 40여 년간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임. 위구르 등 외족의 격퇴를 통해 중앙집권 강화를 도모하고, 폐불(廢佛)을 단행함.
787~84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문원(李文元)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문정(李文正) - 이재(李縡)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우봉(牛峯).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노론(老論)의 중심인물로 활약함. 정미환국(丁未換局) 이후 용인(龍仁)의 한천(寒泉)에 거주하며 학자를 양성하고 《사례편람(四禮便覽)》 등을 저술함.
1680~174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문정(李文貞) - 이공승(李公升)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김보당(金甫當)의 난(亂) 때 이의방(李義方)의 무리에게 붙잡혀 죽을 뻔하였으나 제자인 문극겸(文克謙)의 도움으로 화를 면함.
1099~118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이문정(李文靖)@이색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문정(李文靖) - 이동(李侗)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스승. 나종언(羅從彦)에게 수학하고, 정호(程顥)ㆍ정이(程頤) 사상의 정수를 주희에게 전수함.
1093~116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문정(李文靖)@이이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문중(李文仲) - 이기(李芑)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의무(李宜茂)의 아들로,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 등 소윤(小尹) 일파와 손잡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킴. 보익공신(輔翼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76~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문충(李文忠)@이항복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이문충(李文忠)@이제현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문충(李文忠) - 이원익(李元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함천군(咸川君) 이억재(李億載)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병제와 조세제도를 정비하고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는 데 공헌함.
1547~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미숙(李美叔) - 이수언(李秀彦)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 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며 이선(李選)ㆍ이이명(李頤命)ㆍ이여(李畬)와 함께 대표적인 노론(老論)으로 꼽힘. 청주의 국계사(菊溪祠)에 배향됨.
1636~169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민(李敏) - 소종(昭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9대 황제. 재위 888~904. 재임 중 번진(蕃鎭)의 세력다툼과 잦은 농민봉기로 인해 실권을 잃고 결국에는 시해됨.
867~904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민서(李敏叙) - 이민서(李敏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의정(領議政) 이경여(李敬輿)의 아들로, 이후여(李厚輿)에게 출계함.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서하집(西河集)》등이 있음.
1633~168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박(李珀) - 이호(李瑚)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연산군 때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지낸 이철견(李鐵堅)의 손자이며, 종친부 전부(宗親府典簿)를 지낸 이성정(李成楨)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이반(爾盼) - 김이반(金爾盼)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무진(茂珍). 김경선(金景先)의 아들이며, 김이첨(金爾瞻)ㆍ김이우(金爾盱)의 동생. 이색(李穡)이 지은 〈명자설(名字說)〉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이발(而發) - 유식(柳植)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집(河西集)》에, 그가 술그릇과 화분을 보내준 데 대해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방(李房) - 경방(京房)
중국 전한(前漢) 때의 사상가. 양(梁) 나라 사람 초연수(焦延壽)에게서 역학(易學)을 배웠고, 재이사상(災異思想)에 밝았으며, 음률(音律)을 연구하여 현(絃)에 의한 음률측정기인 준(準)을 발명함으로써 60률을 산정함.
B.C.77~B.C.3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방과(李芳果) - 정종(定宗)@조선
조선 제2대 왕. 재위 1398~1400. 태조(太祖)와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소생.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靖安君)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
1357~14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방연(李方衍) - 이진(李瑱)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아버지. 정당문학(政堂文學)ㆍ검교첨의정승(檢校僉議政丞) 등을 지내고, 제자백가(諸子百家)를 섭렵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남.
1244~132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이방원(李芳遠) - 태종(太宗)@조선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태조의 즉위에 크게 기여함.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정종(定宗)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후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함.
1367~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백(而百) - 탁사립(卓斯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전의감 정(典醫監正)을 지낸 탁념(卓恬)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영암 군수(靈巖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이백간(李伯諫) - 이종사(李宗思)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건안(建安) 사람으로 불학(佛學)에 심취했으나 개변하여 정주학(程朱學)에 매진하여 《예범(禮範)》 등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백경(李伯卿) - 이애(李薆)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이거이(李居易)의 아들로, 태조의 맏딸인 경신공주(慶愼公主)와 혼인함. 태종을 도와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한 공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과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3~14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이백기(李伯紀) - 이강(李綱)@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금(金) 나라와의 화친을 반대한 주전론자(主戰論者)로서 송 나라의 국력을 신장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 금 나라 군대를 공격하다가 화친 조약을 어겼다는 죄목으로 파직당함.
1083~114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백사(李白沙)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이백사집(李白沙集) - 백사집(白沙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항복(李恒福)의 시문집. 원집 6권, 별집 6권, 부록 도합 10책.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이현영(李顯英)이 강릉 부사(江陵府使) 이명준(李命俊)과 함께 강릉에서 간행함.
1629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문헌>서명
-
이백생(李伯生) - 이순인(李純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이이(李珥) 등과 교유하였으며, 특히 문장에 뛰어나 당시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림. 광해군(光海君)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백옥(李伯玉) - 이순인(李純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이이(李珥) 등과 교유하였으며, 특히 문장에 뛰어나 당시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림. 광해군(光海君)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백유(李伯愉) - 이인개(李仁愷)
조선 전기의 유학. 오건(吳健)의 문인(門人)으로, 그를 방문했을 때 수작한 시가 《덕계집(德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이백윤(李伯胤)@이진 - 이진(李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이세응(李世應)의 아들로,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참의(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백익(李伯益)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백재(夷白齋) - 도정(度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의 제자이며, 〈주자연보(周子年譜)〉를 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백첨(李伯瞻) - 이장림(李長林)
조선 전기의 유학. 임운(林芸)과 교유했는데, 임운이 그에게 정관(程冠)을 받고 지어준 시가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백춘(李伯春) - 이양원(李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원부령(利原副令) 이학정(李鶴汀)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明) 나라에 가서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우고, 영의정 등을 지냄.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백헌(李白軒) - 이경석(李景奭)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를 호종하고, 청(淸) 나라의 침략으로 인한 위기에서 국가를 구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 삼전도비(三田渡碑)의 비문을 씀.
1595~167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 , 인명>관인>문신
-
이백희(李伯喜) - 이수경(李首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영부(李英符)의 아들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등을 지냄.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온성(穩城)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후 고향에서 유유자적함.
1516~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벽(李壁) - 이벽(李璧)@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공신ㆍ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박여룡(朴汝龍) 등과 창의했으며 선조를 따라 의주(義州)까지 호종한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변(李昪) - 철종(哲宗)@조선
조선 제25대 국왕. 재위 1849~1863. 정조(正祖)의 동생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고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이광(李㼅)의 셋째 아들. 헌종(憲宗)의 뒤를 이어 즉위함.
1831~186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변(李昪)@열조 - 열조(烈祖)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남당(南唐)의 초대 황제. 재위 937~943. 오(吳)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실권자였던 서온(徐溫)의 양자로, 예제(睿帝)를 몰아내고 양위 받아 황제로 즉위함. 화북(華北)의 오대(五代) 왕조에 대해서도 대등함을 주장함.
888~943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보(夷甫) - 왕연(王衍)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혜제(惠帝) 때의 문신. 승상(丞相)을 지냈으며, 후조(後趙)의 고조(高祖)인 석륵(石勒)에게 살해당함.
256~31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보(尼父)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이보(尼甫)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이보경(李輔卿) - 이빙(李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송재(松齋) 이우(李堣)의 손자로, 직장(直長)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복고(李復古)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복해(李福海) - 이염(李恬)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수안(遂安). 이수산(李壽山)의 아들로, 고려 때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내고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었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鄭道傳) 일파로 몰려 충군(充軍)됨.
?~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봉(李芃) - 이미(李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의무(李宜茂)의 아들이며, 이행(李荇)의 아우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봉수(李峯叟) - 이민각(李民覺)@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약빙(李若氷)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전라도에 파견되어 군량미 조달에 공을 세웠으며, 호조 참의(戶曹參議) 등을 지냄.
15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봉원(李逢原) - 이안도(李安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황(李滉)의 장손(長孫)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이황 문하의 명유(名儒)들과 교유하였으며, 음서(蔭敍)로 벼슬하여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 등을 지냄.
1541~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이부(李琈) - 원종(元宗)@조선
조선 후기의 추존왕. 선조(宣祖)의 다섯째 아들이며, 인조(仁祖)의 아버지.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대원군(大院君)에 추존되었다가 논란 끝에 왕으로 추존됨.
1580~161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국왕
-
이부자(李夫子)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분(李芬) - 이혼(李混)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충선왕이 원(元) 나라에서 즉위하자 대사백(大詞伯)에 봉해지고 벽상삼한공신(壁上三韓功臣)에 녹훈됨. 뒤에 예안백(禮安伯)에 봉해져 예안이씨의 시조가 됨.
1252~131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ㅣ경상도>예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비언(李棐彦) - 이국필(李國弼)
조선 전기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물암(勿巖) 김륭(金隆)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비원(李庇遠) - 이국량(李國樑)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준(李賢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이자 조카사위로,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17~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이사겸(李士謙) - 이선강(李善綱)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1561년(명종 1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하였으며, 《송암집(松巖集)》에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있음.
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이사군(李使君) - 이수완(李秀莞)
조선 전기의 문신.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사균(李思勻) - 이사균(李思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폐비(廢妃) 윤씨(尹氏) 복위의 부당성을 주장하다가 보은(報恩)으로 유배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후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몰려 좌천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71~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사문(李士文) - 이중호(李仲虎)@이공인의아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이공인(李公仁)의 아들이며, 동암(東巖) 이발(李潑)의 아버지로, 담양 부사(潭陽府使) 등을 지냄.
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이사우(李士祐) - 이상길(李尙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1602년(선조 35) 정인홍(鄭仁弘)ㆍ최영경(崔永慶) 등을 정여립(鄭汝立)의 일당으로 몰아 추론한 죄로 유배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화도에 들어갔다가 1637년(인조15)에 자결함. 이항복(李恒福) 등과 교유함.
1556~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사원(李嗣源) - 명종(明宗)@오대십국(후당)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당(後唐)의 제2대 왕. 재위 926~933. 장종(莊宗)이 살해되자 낙양(洛陽)에서 즉위함. 내치(內治)에 주력하고, 망명해 온 거란 왕자 동단왕배(東丹王倍)를 보호함.
867~933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