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기효맹(奇孝孟)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로,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아들. 정유재란 때에 형 기효민(奇孝閔)과 함께 왜적을 만나 죽음.
157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유학
-
기효민(奇孝閔)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둘째 아들로, 참봉 양홍도(梁弘度)의 딸과 혼인함.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왜적을 만나 죽음을 당하였고, 아내 양씨도 굽히지 않고 맞서다가 자결함.
?~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유학
-
기효신서(紀效新書)
중국 명(明) 나라의 장군 척계광(戚繼光)이 지은 병서(兵書). 척계광이 절강현(浙江縣) 참장(參將)으로 있을 때 왜구(倭寇)를 소탕하기 위하여 편찬한 것으로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병영 편제에 영향을 끼침.
1560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기효증(奇孝曾)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병장ㆍ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이끌고 전라도 각지에서 왜군을 물리치고 의주(義州)의 행재소에 나아가 시위(侍衛)한 공으로 형조 정랑에 발탁됨.
1550~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길대연(吉大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야은(冶隱) 길재(吉再)의 증손으로, 참봉(參奉)을 지냄.
1483~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길면지(吉勉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참봉(參奉)을 지낸 길대연(吉大淵)의 아들.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길삼봉(吉三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도적. 정여립(鄭汝立)과 역모를 주도한 인물로 알려졌지만 실제 흔적을 찾을 수 없고, 최영경(崔永慶)이 길삼봉으로 오인 받아 죽임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기타인명>도적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길제(吉祭)
제사의 일종으로 초상 후 27개월째 지내는 제사. 담제(禫祭)를 지낸 다음 달에 지내며, 길제를 지내고 난 뒤 상주는 평상복을 입을 수 있음.
법제>의례>가례
-
길주(吉州)
함경도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명천현(明川縣), 서쪽으로 단천군(端川郡)과 접해 있으며, 세조(世祖) 때 이시애(李施愛)가 이곳에서 반란을 일으켜 길성현(吉城縣)으로 강등됨.
함경도>길성 , 지명>행정지명
-
길흉경조제규(吉凶慶弔諸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성일(金誠一)이 지은 길흉경조사에 대한 법규서. 같은 시기에 지은 〈봉선제규(奉先諸規)〉와 함께 의례에 대한 법식이 정리되어 있음.
158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김^장(金^張)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인 김일제(金日磾)와 장안세(長安世)의 두 집안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집안의 자손들이 7대 동안 대대로 높은 벼슬을 지낸 세도 귀족으로 부귀영화를 누린 데서 권문세가(權門勢家)를 가리키는 말로 쓰임.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김가기(金可幾)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군수 김천부(金天富)의 아들이며, 대곡(大谷) 성운(成運)의 문인(門人)이자 처조카. 성운(成運)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시를 수집하였고 아들 김덕민(金德民)이 간행함.
1537~159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김가회(金嘉會)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경기도 용인(龍仁)의 유곡(柳谷)에 정자를 지은 뒤 주세붕에게 청하여 '우사정(寓思亭)'이라는 정자명을 받은 일이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려 있음.
151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유학
-
김각(金覺)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동(永同)으로, 진사 김언건(金彦健)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상주(尙州)에서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웠고, 그 뒤 용궁 현감(龍宮縣監)ㆍ온성 판관(穩城判官)을 지냄.
1536~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간(金榦)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박세채(朴世采)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 학행으로 천거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저술활동에 전념함.
1646~173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김감(金瑊)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1504년(연산군 10)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냄.
1476~153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감(金勘)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원신(金元臣)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에 봉해짐.
1466~150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갑눌(金甲訥)
조선 전기의 유학. 홍귀달(洪貴達)과 교유하여 한때 홍귀달이 그의 집에 기거하기도 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강한(金江漢)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제산(霽山) 김성탁(金聖鐸)의 문인으로, 이상정(李象靖)ㆍ최흥원(崔興遠)ㆍ유도원(柳道源)ㆍ유장원(柳長源) 등과 교유함. 저서에 《계집고증(溪集考證)》과 《난곡집(蘭谷集)》이 있음.
1719~177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김개(金漑)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김이상(金履祥)의 아들로,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평(持平)을 지냄. 김정(金淨)의 《충암집(冲庵集)》에 화답시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김개(金鎧)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조광조(趙光祖) 등을 현자로 추대할 때 조광조 일파를 비방한 이유로 삭탈관직됨.
1504~15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김개(金闓)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김귀영(金貴榮)의 아들. 좌윤(左尹)을 지내고, 허균(許筠)의 심복으로서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비를 주장함. 허균이 역모 혐의로 처형당할 때 심문을 받다 장살(杖殺)됨.
1582~16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개국(金蓋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효성이 지극하고 절개가 곧아 칭송을 받음.
1548~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김개물(金開物)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훤(金咺)의 아들로, 성품이 강직하였으며,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능하였음.
1272~132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갱(金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의 후사로 입적한 김대장(金大壯)의 맏아들이며, 동몽교관(童蒙敎官) 김치구(金致九)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김거실(金居實)
고려 전기의 서예가. 이규보(李奎報)는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의 〈동국제현서결평론서(東國諸賢書訣評論序)〉에서 묘품(妙品)ㆍ절품(絶品)으로 평가했음.
한국>고려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김거위(金去僞)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와의 문답을 기록한 '을미문답(乙未問答)'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김건(金建)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 때의 무신. 김일제(金日磾)의 막내아들로, 형인 김상(金賞)과 함께 어려서부터 소제와 친하게 지냈으며, 부마도위(駙馬都尉)를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김건(金鍵)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김유(金愉)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최충성(崔忠成)과 함께 남효온(南孝溫)을 방문하여 《소학(小學)》ㆍ《근사록(近思錄)》을 강론(講論)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김건수(金健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 김안로(金安老)의 종제(從弟)로, 《희락당문고(希樂堂文稿)》에 그와 시를 읊은 기록이 보임.
148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김걸(金傑)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응교(應敎) 김유(金逌)의 아버지로,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김겸광(金謙光)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철산(金鐵山)의 아들. 예조 판서와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평안도 관찰사(觀察使)와 절도사(節度使)를 지내면서 세조(世祖)의 국방정책에 기여한 바가 컸음.
1419~14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겹(金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암(自庵) 김구(金絿)의 손자로, 별제(別提)를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적에게 목숨을 잃음.
?~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경(金鏡)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도승지 김질충(金質忠)의 아버지로, 충좌위 부호군(忠佐衛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김경근(金敬近)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나주(羅州). 한성부윤(漢城府尹) 김봉서(金鳳瑞)의 아버지로, 좌군 사용(左軍司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김경량(金鏡亮)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신호위중랑장(神虎衛中郞將) 김광세(金光世)의 아들로, 금오위 대장군(金吾衛大將軍)을 지냈으며,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추증됨.
?~1247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김경로(金敬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경상도ㆍ황해도ㆍ전라도 등지에서 활약하였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전주(全州) 방어를 맡음. 왜군에게 포위된 남원(南原)을 구하기 위해 싸우던 중 전사함.
?~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김경삼(金景參)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성혼(成渾)ㆍ이위빈(李渭濱)ㆍ이순(李純)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경생(金景生)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대우(金大愚)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 1573년(선조 6)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찰(監察)을 지냄.
1549~?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김경서(金景瑞)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김해(金海). 광해군(光海君) 때 명(明) 나라를 도와 후금(後金)을 치기 위해 부원수(副元帥)로 출정하였다가 패한 뒤 강홍립(姜弘立)과 함께 항복하였으며, 몰래 적정(敵情)을 기록하였다가 발각되어 처형됨.
1564~162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용강 , 인명>관인>무신
-
김경선(金景先)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무진(茂珍). 통헌대부(通憲大夫)를 지냈으며, 이색(李穡)에게 세 아들의 명자(名字)를 지어 줄 것을 청한 내용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경언(金慶言)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김상(金湘)의 아들로, 1548년(명종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김경연(金慶延)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김계복(金繼福)의 아버지로, 통덕랑(通德郞)으로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김경우(金景愚)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전한(典翰)을 지낸 김기(金紀)의 아들이며, 김식(金湜)의 문인(門人).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냈으며, 기대승(奇大升)ㆍ김인후(金麟厚)ㆍ양응정(梁應鼎) 등과 시회(詩會)를 만들어 교유함.
1517~155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문신
-
김경운(金慶雲)@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진사(進士) 김수(金粹)의 아들로, 주세붕(周世鵬)ㆍ정사룡(鄭士龍)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문사>유학
-
김경운(金慶雲)@조선후기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괄(李适)의 난 때 안현 전투(鞍峴戰鬪)에 참여하여 전사함.
?~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김경원(金慶元)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좌의정 김명원(金命元)의 형으로, 1553년(명종 8) 문과 별시(文科別試)에서 장원하여, 조부 김천령(金千齡), 아버지 김만균(金萬均)에 이어 3대가 장원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호서 절도사(湖西節度使) 등을 지냄.
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경원(金景元)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충무위 상호군(忠武衛上護軍)을 지낸 김찬(金巑)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면천 , 인명>문사>유학
-
김경제(金敬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진사(進士) 김준(金濬)의 아버지로, 승사랑(承仕郞)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김경직(金敬直)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이 배원(排元) 정책을 시행할 때 원수(元帥)로 임명되어 압록강 방면을 수비함. 화엄종사(華嚴宗師) 우운(友雲)의 형.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김경추(金景秋)
조선 후기의 유학ㆍ문인. 본관은 김해(金海)로, 교수(敎授) 김아(金雅)의 아들. 양응정(梁應鼎)의 문인으로, 백광훈(白光勳)ㆍ임제(林悌)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하였고, 문장가로 유명함.
1520~161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ㅣ인명>문사>유학
-
김경헌(金景憲)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倡義)한 김광운(金光運)의 아버지로, 담양 부사(潭陽府使) 등을 지냄.
151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김경희(金璟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대사헌(大司憲)을 지냈으며,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 청풍군(淸風君)에 봉해졌음. 양진재(養眞齋) 김우홍(金禹洪)의 고조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계문(金季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암(自庵) 김구(金絿)의 아버지로,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생원과(生員科)에 입격하여 현감(縣監)을 지냈으며,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계보(金季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취려(金就礪)의 8세손이며, 능성 현령(綾城縣令) 김약(金躍)의 아들. 1432년(세종 14) 무과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냈으나, 세조가 즉위하자 남원(南原)으로 내려가 은거했음.
?~14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김계복(金繼福)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김경연(金慶延)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김계정(金繼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삼척(三陟). 효력부위(效力副尉) 김중로(金中魯)의 아들로, 교수(敎授)를 지내고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계창(金季昌)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문재가 뛰어났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내고, 《세조실록(世祖實錄)》의 편찬에 편수관으로 참여함.
?~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김계휘(金繼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ㆍ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역임하였고, 동서 분당 때 당쟁 완화를 위하여 노력하였음.
152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계흥(金季興)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학성군(鶴城君) 김환(金環)의 아들로,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김곤(金坤)
고려 후기의 문인.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박동우(朴東雨) 등과 함께 시를 짓고 시축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보임.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김공량(金公亮)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연산군 때 스승인 묵재(默齋) 이심원(李深源)과 선비들이 화를 당하자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함.
1472~154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김공망(金公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부장(部將)을 지낸 김성(金城)의 아들이며, 주계군(朱溪君) 이심원(李深源)의 문인. 1506년(중종 1) 문과에 급제하여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냄.
1482~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공석(金公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부장(部將)을 지낸 김성(金城)의 아들이며, 화산군(花山君) 김주(金澍)의 숙부. 북도 병마절도사(北道兵馬節度使)ㆍ청홍도 수군절도사(淸洪道水軍節道使) 등을 지냄.
1477~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김공신(金公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훈도(訓導)를 지냈고, 고경명(高敬命)이 지은 만사(挽辭)가 《제봉집(霽峯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공영(金恭永)
신라의 귀족(貴族). 거문고의 명인 옥보고(玉寶高)의 아버지로, 사찬(沙飡)의 관등을 받음.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김공예(金公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문의 현령(文義縣令)을 지낸 차헌(次軒) 김지(金墀)의 아들로,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를 역임함.
14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공증(金公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10년(중종 5)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여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종유(從遊)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1538년(중종 33)에 풀려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김공휘(金公輝)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호(金鎬)의 아들이며, 김장생(金長生)의 숙부.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에게 수학하였고,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토평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지냄.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곽(金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와서 별제(瓦署別提) 김언홍(金彦弘)의 아들. 외사촌 동생인 정황(丁熿)이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거제(巨濟)에 유배되어 있을 때 김곽에게 쓴 시(詩)가 《유헌집(游軒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김관(金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강진(康津).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김장생(金長生)을 도와 의병활동에 가담했으며, 태인(泰仁)의 무성서원(武城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문사>유학
-
김관(金琯)
고려 우왕(禑王)~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조부로, 벼슬하지 않고 집안에서 평생 부모를 섬겼으며, 후에 공조 참판(工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김관(金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나주 목사(羅州牧使) 김숭조(金崇祖)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문사>유학
-
김광(金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군수(郡守) 김익복(金益福)의 아버지로, 창락도 찰방(昌樂道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광로(金光輅)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문정공(文正公) 김태현(金台鉉)의 아들로, 1317년(충숙왕 5)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가안부 녹사(嘉安府錄事)를 지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광범(金光範)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김익돈(金益敦)의 아버지로,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김광복(金匡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전라 도사(全羅都事)를 지내다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좌천되었고 경성 교수(鏡城敎授)가 되었다가 병사(病死)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광서(金光叙)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김구(金坵)의 현손으로, 지고부군사(知古阜郡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광수(金光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명종(明宗) 때의 유학인 김희우(金希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김광수(金光秀)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원(元) 나라에 들어가 순제(順帝)를 시종(侍從)하여 자정원사(資政院使)를 지냈고, 황제로부터 금화란(金畫蘭)을 받아왔는데, 이색(李穡)이 그 위에 찬(讚)을 지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김광영(金光榮)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한 내용이 《모재집(慕齋集)》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광우(金光佑)@김응귀의아버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성균관 박사(成均館博士)를 지낸 김응귀(金應龜)의 아버지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정랑(工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광우(金光佑)@조선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소개로 이이(李珥)의 밑에서 수학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김광운(金光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담양 부사(潭陽府使)를 지낸 김경헌(金景憲)의 아들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을 따라 강화도(江華島)에 이르러 전공(戰功)을 세우고 군중(軍中)에서 죽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김광원(金廣元)
고려 후기의 학자.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시에 특히 예(禮)와 사(史)에 밝아 이름을 떨쳤다는 내용이 보임.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학자
-
김광원(金光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가 사사(賜死)되자, 장흥(長興)에 돌아와 학문에만 전념함.
1478~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김광을(金光乙)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찬화공신(贊化功臣)에 책록되어 명원부원군(溟源府院君)으로 봉해졌으며, 벼슬은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음.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광재(金光載)
고려 충선왕(忠宣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효성이 지극해 공민왕(恭愍王)이 그가 사는 마을을 영창방 효자리(靈昌坊孝子里)로 정표(旌表)함.
1294~136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김광저(金光儲)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녕(金寧). 공양왕 때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으나, 고려가 망하자 무록산(武鹿山)에 들어가 절의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김광좌(金匡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제(金磾)의 아들이며, 구암(久庵) 김취문(金就文)의 아버지.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냈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1466~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광준(金光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소윤(小尹)의 한 사람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공신호(功臣號)를 받고 상락군(上洛君)에 책봉되었으며, 대사헌(大司憲)ㆍ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광진(金光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출사 후 주로 지방 관직에 재임하면서 치적을 쌓아 백성들의 칭송이 높았으며,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149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김광찬(金光燦)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좌의정 김상헌(金尙憲)의 아들이며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버지.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인조를 호종하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1597~16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광찬(金光纘)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월천(月川) 조목(趙穆)의 사위로,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
15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김광철(金光轍)@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심언광(沈彥光)ㆍ기준(奇遵) 등과 교유함.
1493~155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김광철(金光轍)@고려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1347년(충목왕 4) 밀직사 판사(密直司判事)로 있을 때 정치도감(整治都監)이 설치되자 그 판사를 겸하여 폐정개혁(弊政改革)을 주도함.
?~134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광택(金光澤)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로,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문인. 선조(先祖)인 동촌(桐村) 김린(金麟)이 은거했던 곳에 동백정(冬栢亭)을 세웠는데, 박광전이 쓴 〈동백정기(冬栢亭記)〉가 《죽천집(竹川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김광필(金匡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김제(金磾)의 맏아들이며, 병조 정랑(兵曹正郞) 김취정(金就精)의 아버지이자, 구암(久庵) 김취문(金就文)의 백부(伯父).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