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사원(李士元) - 이종도(李宗道)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종손(從孫)이며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장 김해(金垓)의 휘하(麾下)에서 의병부장(義兵副將)으로 활약함.
1535~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이사원(李士源) - 이집(李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통례(通禮)를 지냈으며, 윤근수(尹根壽)가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월정집(月汀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사윤(李思胤)@이득윤 - 이득윤(李得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ㆍ음악가. 본관은 경주(慶州). 괴산 군수(槐山郡守) 등을 지내고, 김장생(金長生) 등과 서신으로 역학과 음악을 토론함. 거문고 악보인 《현금동문유기(玄琴東文類記)》를 지음.
1553~163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사장군(貳師將軍) - 이광리(李廣利)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무신. 무제(武帝)의 총희(寵姬)인 이연(李妍)의 오빠로, 무제 때 이사장군(貳師將軍)이 되어 4년에 걸쳐 대완(大宛)을 격파하고 많은 양마(良馬)를 얻어 돌아왔으나, 그 후 흉노(匈奴)와의 전투에서 패하여 살해됨.
?~B.C.8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사중(李士重) - 이홍남(李洪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사복시 정(司僕寺正)을 지낸 이약빙(李若氷)의 아들.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동생 이홍윤(李洪胤)을 무고해 처형당하게 하고 자신은 풀려남.
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사파홀(泥沙波忽) - 마전(麻田)
경기도 연천(漣川)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이산(伊山)@이길상 - 이길상(李吉商)
고려 후기의 유학. 이색(李穡)과 교유하였으며, 이색의 《목은시고(牧隱詩稿)》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산(伊山) - 청도(淸道)
경상북도 남쪽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청도 , 지명>행정지명
-
이산(夷山)@백이산 - 백이산(伯夷山)
경상도 함안(咸安)에 있는 산 이름. 조선 전기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조려(趙旅)가 은거한 장소로, 숙종(肅宗) 때 이곳에 서산서원(西山書院)을 세움.
경상도>함안 , 지명>자연지명
-
이산(夷山) - 갑산(甲山)
함경도 북동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군사요충지로서 1356년(공민왕 5)에 고려 땅으로 수복됨. 산간벽지여서 유배지로 알려져 있음.
함경도>갑산 , 지명>행정지명
-
이산(尼山)@공자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이산(尼山)@이구산 - 이구산(尼丘山)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현(曲阜縣) 동남쪽에 있는 산 이름. 공자(孔子)의 어머니인 안징재(顔徵在)가 기도하여 공자를 낳은 곳으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이산(李祘) - 정조(正祖)
조선 제22대 왕. 재위 1776~1800. 숙종(肅宗)ㆍ영조(英祖)의 탕평론을 이어받아 재위 초부터 민산(民産)ㆍ인재(人才)ㆍ융정(戎政)ㆍ재용(財用) 등의 부문별로 왕정체제를 강화하여 위민정치를 실현하고자 매진함.
1751~18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산(移山) - 북산이문(北山移文)
중국 남제(南齊)의 문인 공치규(孔稚珪)가 약속을 저버리고 벼슬길에 나선 벗 주옹(周顒)의 변절(變節)을 기롱하여 지은 글. 변려문(騈儷文)의 대표적 작품 중 하나.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이산(離山) - 속리산(俗離山)
충청도 보은(報恩)ㆍ괴산(槐山), 경상도 상주(尙州)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충청도>보은ㅣ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이산보(李山甫)@이의 - 이의(李嶬)
조선 전기의 유학. 임운(林芸)과 교유했으며, 그와 수작한 시가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산원(伊山院) - 이산서원(伊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영주(榮州)에 건립한 서원. 이황(李滉)을 배향함.
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이상(履常) - 진사도(陳師道)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시로 인해서 증공(曾鞏)과 소식(蘇軾)을 알게 되었으며, 소식의 문인 가운데에서 황정견(黃庭堅)과 함께 황진(黃陳)이라 병칭됨.
1053~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이상(履祥)@김수련의아들 - 김이상(金履祥)@김수련의아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수련(金守蓮)의 아들. 중종 때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통례원 통례(通禮院通禮), 덕천 군수(德川郡守) 등을 지냄. 시를 잘 지어 현재까지 전해오는 것이 많고, 개성(開城) 남산사(南山祠)에 향사됨.
1498~157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이상(履祥)@김개의아버지 - 김이상(金履祥)@김개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영광(靈光). 연산군(燕山君) 때 지평(持平)을 지낸 김개(金漑)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이상(履祥)@송 - 김이상(金履祥)@송
중국 송(宋)~원(元) 나라의 학자. 정주학(程朱學)을 연구하여 왕노재(王魯齋)ㆍ하북산(何北山)에게 사사하고, 주자(朱子)ㆍ황면재(黃勉齋)의 학통(學統)을 이어받아, 절학(浙學)을 중흥함.
1232~1303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상(履祥) - 홍이상(洪履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는 한편 왜장(倭將) 사이의 이간 계획을 추진함. 광해군 때 이이첨(李爾瞻) 일파에게 몰려 개성유후사 유후(開城留後司留後)로 좌천되어 그곳에서 죽음.
1549~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상(李相)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상공(李相公)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상국(李相國)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상국집(李相國集) -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규보(李奎報)의 시문집. 목판본. 1241년(고종 28) 아들 이함(李涵)이 초고를 수집 편차하여 총 53권 14책으로 초간(初刊)함.
1241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이상보(李祥甫) - 이천경(李天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본관은 합천(陜川).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님의 봉양을 위해 관직을 사양했으며, 저서로 《일신당집(日新堂集)》이 있음.
1537~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문인
-
이상신(李相新) - 이상신(李尙新)
조선 후기의 유학. 조종도(趙宗道)의 아들인 조영한(趙英漢)의 사위. 《대소헌일고(大笑軒逸稿)》에 그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상인(李上人) - 각천(覺天)
고려 후기의 승려. 임춘(林椿)이 각천(覺天)의 시에 차운(次韻)한 시가 《서하집(西河集)》에 남아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이새암(耳塞巖) - 농암(聾巖)
경상도 예안(禮安) 분천(汾川)에 있는 바위 이름. 이현보(李賢輔)가 농암(聾巖) 위에 애일당(愛日堂)이라는 이름의 집을 짓고 살면서 호(號)를 삼았다고 함.
경상도>예안 , 지명>자연지명
-
이서(李墅) - 이훈(李塤)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사위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토평대장(討平大將)으로 난을 평정함.
1429~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서계(李西溪) - 이득윤(李得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ㆍ음악가. 본관은 경주(慶州). 괴산 군수(槐山郡守) 등을 지내고, 김장생(金長生) 등과 서신으로 역학과 음악을 토론함. 거문고 악보인 《현금동문유기(玄琴東文類記)》를 지음.
1553~163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서국(伊西國) - 청도(淸道)
경상북도 남쪽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청도 , 지명>행정지명
-
이서로(李瑞老) - 이귀수(李龜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자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서애(李西涯) - 이동양(李東陽)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 40여 년 동안 조정의 요직을 두루 지내고, 성당(盛唐)의 시풍(詩風)을 추구하여 당시(唐詩) 부흥 운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함.
1447~151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석이(李錫爾) - 이경억(李慶億)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판서(判書) 이시발(李時發)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이경휘(李慶徽)의 동생으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620~16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석탄(李石灘) - 이존오(李存吾)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우정언(右正言)이 되어 신돈(辛旽)의 횡포를 탄핵하다가 좌천되고, 공주(公州)의 석탄(石灘)에서 은거하던 중 울분으로 병이 나서 죽음. 정몽주(鄭夢周)ㆍ박상충(朴尙衷) 등과 교분이 두터웠음.
1341~137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이선(履善) - 문천상(文天祥)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시인. 지방관으로 있을 때 천도를 반대하는 글을 올려 면직됨. 송 나라 멸망 후 옥중(獄中)에서 지은 〈정기가(正氣歌)〉로 유명함.
1236~1282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선(李鮮) - 조선(朝鮮)
우리나라 근세의 통일 왕조. 이성계(李成桂)가 신진 사대부(士大夫)의 추대를 받아 세운 나라로, 태조(太祖)에서 순종(純宗)까지 27대 519년간 존속.
1392~1910 한국>조선시대 , 시간>국명
-
이선(而善)@성박 - 성박(成鑮)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첫째 아들로, 조임도(趙任道)ㆍ임진부(林眞怤) 등 남명학(南冥學) 계열의 학자들과 교류함. 진사(進士) 등을 지냄.
15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이선(而善) - 신극성(愼克成)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의 비(妃) 신씨(愼氏)의 일족. 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역임했으나 가렴주구를 일삼아, 의성 현령(義城縣令) 이장길(李長吉), 선산 부사(善山府使) 남경(南憬)과 함께 삼맹호(三猛虎)로 일컬어짐.
1458~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이선(而善)@경준 - 경준(慶俊)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1466년(세조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지냄. 관기 확립에 힘쓰고, 목민관(牧民官)으로서 선정도 많이 베풂.
?~14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이선래(李善來) - 도조(度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조부. 익조(翼祖) 이행리(李行里)의 아들로, 몽고 이름은 발안첩목아(孛顔帖木兒). 비는 원나라의 천호(千戶) 벼슬을 받은 박한보(朴閑甫)의 딸 경순왕후(敬順王后). 1394년(태조 3) 4대조를 추존할 때 도왕(渡王)이라 하였다가 2년 후 도조(度祖)로 격상됨.
?~1342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덕원 , 인명>왕실>국왕
-
이선생문집(李先生文集) - 퇴계집(退溪集)
조선 전기의 대유(大儒) 이황(李滉)의 문집(文集). 문인(門人) 조목(趙穆)의 주도로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간행하고,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
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이선위(李宣慰)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설암(李雪菴) - 이부광(李溥光)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ㆍ서예가. 조맹부(趙孟頫)가 주방(酒坊)에 쓴 그의 글씨를 보고 추천하여 세조(世祖) 때 소문관 태학사(昭文館太學士)에 봉해짐. 한때 궁성(宮城) 전각의 편액(扁額)에 그의 작품이 많았다고 함.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예술인>서화가
-
이섭(利涉) - 신제(申梯)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낸 신자교(申子橋)의 아버지로, 지평 현감(砥平縣監) 등을 지냄.
1393~14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이성(尼城) - 이산(尼山)
충청남도 논산(論山)의 노성(魯城)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중국 노(魯) 나라의 이구산(尼丘山)의 지형과 비슷하다 하여 노성(魯城)이라고도 부름.
충청도>이산 , 지명>자연지명
-
이성(尼聖)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이성(李城) - 이화(李華)@조선
조선 전기의 무신. 주세붕(周世鵬)의 시에 보이는데, 관직은 미조항 첨사(彌助項僉使)를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관인>무신
-
이성(而盛) - 이지번(李之蕃)@이산해의아버지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산해(李山海)의 아버지이며, 이지함(李之菡)의 형. 명종(明宗) 때 김안로(金安老)의 무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단양(丹陽)의 구담(龜潭)에 은거함.
?~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성(而聖) - 탁희립(卓希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을 지낸 탁신(卓愼)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남평 현감(南平縣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이성경(李星慶) - 이헌경(李獻慶)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이제화(李齊華)의 아들. 대사간(大司諫)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내고, 저서로 《간옹집(艮翁集)》이 있음.
1719~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성계(李成桂)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성군(伊城君) - 이수강(李壽剛)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서자인 완원군(完原君) 이수(李𢢝)의 아들이며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아버지로, 이성군(伊城君)에 봉해짐.
1503~154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성군(利城君)@서유 - 서유(徐愈)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방원(李芳遠)이 왕위에 오르는 데 기여한 공으로 태종 때에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록됨.
1356~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성령(伊城令) - 이지(李墀)@이계중의사위
조선 전기의 종친. 군사(郡事) 이계중(李繼重)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성보(李誠甫) - 이경진(李景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로, 남부 참봉(南部參奉) 이선(李璿)의 아들이자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조카.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참봉(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59~159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이성수(尼城守) - 이존광(李存光)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4남인 성녕대군(誠寧大君)의 증손으로, 중종(中宗) 때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최중홍(崔重洪)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성여(李聖與) - 이영도(李詠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과 싸웠고, 전재민(戰災民) 구호와 군량미를 조달하여 명관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현풍 현감(玄風縣監) 때 뛰어난 치적으로 표리(表裏)를 하사받음.
1559~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성오(李省吾) - 이개립(李介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해(李𥩲)의 아들. 박승임(朴承任)ㆍ김성일(金誠一)의 문인으로, 효행(孝行)과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군량을 조달함.
1546~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이성오당(李省吾堂) - 이개립(李介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해(李𥩲)의 아들. 박승임(朴承任)ㆍ김성일(金誠一)의 문인으로, 효행(孝行)과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군량을 조달함.
1546~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이성정(伊城正) - 이수강(李壽剛)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서자인 완원군(完原君) 이수(李𢢝)의 아들이며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아버지로, 이성군(伊城君)에 봉해짐.
1503~154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성지(李成之) - 이우인(李友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여주(驪州).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이사필(李士弼)의 아들이며 좌찬성(左贊成) 이상의(李尙毅)의 아버지로, 1568년(선조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세민(李世民) - 태종(太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626~649. 고조(高祖)의 아들이며, 당 나라의 실질적인 창건자로, 돌궐족(突厥族)을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하였으며, ‘정관(貞觀)의 치(治)’로 일컬어지는 성세(盛世)를 이루어 후세 제왕의 모범이 됨.
598~64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세적(李世勣) - 이적(李勣)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고종(高宗) 때의 명장. 요동도 행군대총관(遼東道行軍大總官)으로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 안시성(安市城)을 침공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했다가 재차 침공하여 고구려를 멸망시킴. 이정(李靖)과 함께 ‘영위(英衛)’로 병칭됨.
594~66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소(二疏) - 광^수(廣^受)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인 소광(疏廣)과 소수(疏受)를 함께 부르는 말. 관직과 명예에 초월한 사람을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소(履素) - 이중호(李仲虎)@이정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고안정(高安正) 이정(李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유우(柳藕)의 문인.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심하였으며, 문장(文章)에 뛰어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음.
1512~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이소경(離騷經) - 이소(離騷)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굴원(屈原)이 지은 서정적 장편 서사시(敍事詩).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이소선생(履素先生) - 이중호(李仲虎)@이정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고안정(高安正) 이정(李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유우(柳藕)의 문인.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심하였으며, 문장(文章)에 뛰어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음.
1512~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이소씨(二蕭氏) - 남제(南齊)
중국 남북조시대 남조(南朝)의 두 번째 왕조. 남조 송(南朝宋)의 장군 소도성(蕭道成)이 순제(順帝)로부터 양위(讓位)를 받아 세웠으며, 7대 24년간 존속.
479~50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이소재(履素齋) - 박세희(朴世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강계(江界)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
14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소재(履素齋)@이중호 - 이중호(李仲虎)@이정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고안정(高安正) 이정(李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유우(柳藕)의 문인.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심하였으며, 문장(文章)에 뛰어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음.
1512~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이손(李孫) - 윤이손(尹李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세자익위사 시직(世子翊衛司侍直)을 지낸 윤귀몽(尹龜蒙)의 아들이며, 명종(明宗) 때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윤개(尹漑)의 아버지.
1467~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이손(耳孫) - 유이손(柳耳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서화가. 도화서(圖畫署) 화원(畫員)으로 서예에도 능했으며, 사자청(寫字廳)의 설립을 최초로 건의하여 사자관(寫字官)을 지냄. 신정(申珽)ㆍ유항(柳沆)등이 번역한 유향(劉向)의 《열녀전(列女傳)》을 사자(寫字)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이송(李誦) - 순종(順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10대 황제. 재위 805~805. 병중에 즉위하여 8개월간 재위했지만, 간신과 환관들이 권세를 농간하여 왕실이 위태롭게 되자 아들 헌종(憲宗)에게 왕위를 물려주었음.
761~8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송(而宋) - 정이송(鄭而宋)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동래(東萊). 헌납(獻納)을 지낸 정주(鄭賙)의 아들이며, 교리(校理)를 지낸 정휘(鄭徽)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유학
-
이송애(李松厓) - 이여(李畬)@1503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인로(李仁老)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문학(文學) 등을 지내고 학문연구에 힘써 역학(易學)에 정통함. 형 이치(李菑)와 함께 진천(鎭川)에 거주하면서 풍속 교화에 힘씀.
1503~154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이송재(李松齋) - 이우(李堣)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숙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협력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안동 부사(安東府使) 등을 지냄. 시에 뛰어났고, 최숙생(崔淑生) 등의 사류와 교유함.
1469~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수(尼叟)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이수(履繻) - 기열수(紀裂繻)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은공(隱公)의 사위.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보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이수(履鏽) - 김이수(金履鏽)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군수(郡守) 김범행(金範行)의 아들이며, 대산(臺山) 김매순(金邁淳)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수(李鬚) - 이적(李勣)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고종(高宗) 때의 명장. 요동도 행군대총관(遼東道行軍大總官)으로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 안시성(安市城)을 침공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했다가 재차 침공하여 고구려를 멸망시킴. 이정(李靖)과 함께 ‘영위(英衛)’로 병칭됨.
594~66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수(而誰) - 요환(了幻)
고려 후기의 승려. 이규보(李奎報)와 도의(道義)로 교유하였고, 대나무를 좋아하여 송가도(松家島 : 경기도 강화) 보문정사(普門精舍) 곁에 죽재(竹齋)를 짓고 수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종교인>승려
-
이수(頤叟) - 김수령(金壽寧)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국조보감(國朝寶鑑)》ㆍ《동국통감(東國通鑑)》ㆍ《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경사(經史)에 밝고 문장이 뛰어났음.
1436~14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수(頤壽) - 이이수(李頤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경주부윤(慶州府尹) 이전(李㙉)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였으며, 진도 군수(珍島郡守)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수기(李壽猉) - 이수기(李壽祺)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아들로, 전성군(全城君) 이변(李忭)에게 출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기(李壽麒)@이수기 - 이수기(李壽祺)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아들로, 전성군(全城君) 이변(李忭)에게 출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수방(李守邦) - 이나해(李那海)
고려 충숙왕(忠肅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충숙왕이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시종한 공으로 일등공신(一等功臣)이 됨. 원 나라에서 직서사인(直書舍人)을 지내고, 귀국해서는 첨의평리(僉議評理) 등을 지냄.
?~13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수부(李守夫) - 이요(李瑤)
조선 전기의 종친ㆍ학자.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증손이며, 남언경(南彦經)의 문인으로, 조선 최초의 양명학자(陽明學者). 선조(宣祖) 때 유성룡(柳成龍) 등을 동인(東人)의 괴수로 지목하여 논란을 야기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이수약(李守約) - 이굉조(李閎祖)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임계 주부(臨桂主簿)ㆍ광서안무사(廣西安撫使)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수의(李守義) - 이나해(李那海)
고려 충숙왕(忠肅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충숙왕이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시종한 공으로 일등공신(一等功臣)이 됨. 원 나라에서 직서사인(直書舍人)을 지내고, 귀국해서는 첨의평리(僉議評理) 등을 지냄.
?~13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수지(李綏之) - 이수록(李綏祿)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극강(李克綱)의 아들이자 이경여(李敬輿)의 아버지. 이원익(李元翼)ㆍ정엽(鄭曄) 등과 교유하고,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지냄. 1617년(광해군 9)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모론이 대두하자 사직하고 슬퍼하다 죽음.
1564~16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수함(李秀㴠) - 이수함(李秀咸)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으로, 이달(李達)의 아버지. 1521년(중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교서관 교리(校書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이숙(李叔)@이재 - 이재(李宰)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셋째 형인 이의(李漪)의 아들.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유학
-
이숙(李叔)@이항 - 이항(李恒)@이자영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반궁성의(反躬誠意)ㆍ주경궁리(主敬窮理)를 학문 경향으로 삼음. 1566년(명종 21)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의영고 영(義盈庫令) 등을 지냄.
1499~15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숙(頤叔) - 김안로(金安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하다 사사(賜死)되었으며, 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과 함께 정유상흉(丁酉三凶)으로 일컬어짐.
1481~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ㅣ경기도>교하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숙경(李叔慶) - 이상길(李尙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1602년(선조 35) 정인홍(鄭仁弘)ㆍ최영경(崔永慶) 등을 정여립(鄭汝立)의 일당으로 몰아 추론한 죄로 유배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화도에 들어갔다가 1637년(인조15)에 자결함. 이항복(李恒福) 등과 교유함.
1556~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숙평(李叔平) - 이준(李埈)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흥양(興陽).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남인(南人) 세력을 결집하고 여론을 주도함.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의병을 모집하고 군량미를 조달함.
1560~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숙헌(李叔獻)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