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순(李焞) - 숙종(肅宗)@조선
조선 제19대 국왕. 재위 1674~1720. 절정에 달한 붕당정치(朋黨政治) 속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민생안정책의 시행에 주력함.
1661~17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순(李純) - 헌종(憲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1대 황제. 재위 805~820. 병든 아버지 순종(順宗)을 시해하고 환관 구문진(俱文珍) 등에 의해 옹립되어 즉위하였으며, 강력한 통치력으로 국내외의 안정을 구축하였으나, 후사(後嗣) 다툼으로 인해 환관 진홍지(陳弘志) 등에게 암살됨.
778~82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순(而順)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이술(而述) - 성윤조(成允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가의(成可義)의 아들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459~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이숭(李崇) - 덕종(德宗)@조선
조선 세조(世祖)의 아들. 1455년(세종 27) 도원군(桃源君)에 봉해지고 1455년(세조 1)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 1471년(성종 2) 덕종으로 추존(追尊)됨.
1438~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습(而習) - 안민학(安敏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경(經)ㆍ사(史)ㆍ백가(百家)를 섭렵함. 이이(李珥)ㆍ정철(鄭澈) 등과 교유하고, 임진왜란 때는 소모사(召募使)로 활동하였으며, 만년에는 학문에 전념함.
1542~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습지(李習之) - 이중열(李中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유희춘(柳希春)ㆍ노수신(盧守愼)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된 이휘(李輝)를 변호하다가 파직되어 이듬해 갑산(甲山)에 유배된 뒤 사사(賜死)됨.
1518~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승도(李承度) - 이승도(李承渡)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원(西原). 의곡(義谷) 이방직(李邦直)의 아들로, 삼사 좌윤(三司左尹)을 지냄. 공민왕(恭愍王)으로부터 이름에 대한 어찰(御札)을 받았으며, 권근(權近)이 지은 명찬(名讚)이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이승천(李昇天) - 이정(李楨)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어려서는 규암(圭菴) 송인수(宋麟壽)로부터 배우고 성장한 뒤에는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홍문관 부제학에 제수되었으나 사천(泗川)에 구암정사(龜巖精舍)를 짓고 후진양성에 힘씀.
1512~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시면(李時勉) - 이무(李懋)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경제(景帝) 때의 문신. 《영락대전(永樂大典)》 등의 편찬에 참가하고 국자 좨주(國子祭酒) 등을 지냄.
1374~145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시언(李時彦) - 이직언(李直彦)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5대손으로,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강화도에 호종하여 척화를 주장했으며, 찬성(贊成) 등을 지냄. 유영건(柳永健)ㆍ이원익(李元翼) 등과 교유함.
1545~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식(李栻) - 이식(李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승상(李承常)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동서분당(東西分黨)이 일어나자 정희적(鄭熙績) 등과 함께 서인(西人)의 등용을 막으려다 체직됨.
1510~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식(李植)@이직 - 이직(李稙)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아들이며, 선사군(仙槎君) 이승손(李承孫)의 아버지.
1438~151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식산(李息山) - 이만부(李萬敷)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연안(延安).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이옥(李沃)의 아들로, 북청(北靑)에 유배된 아버지를 모시면서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연구에 진력함.
1664~173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학자
-
이신(以信) - 남이신(南以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참판 남호(南琥)의 아들이자, 이조 판서 남이공(南以恭)의 형으로, 경기 감사(京畿監司) 시절에 주문사(奏聞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562~160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신(而信)@유용심 - 유용심(柳用諶)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로, 영암 군수(靈巖郡守)를 지낸 유희정(柳希汀)의 아들. 김안국(金安國)의 문하에서 유학하였으며, 문장(文章)에 능하였고 해서(楷書)를 잘 썼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이신(而信)@정성근 - 정성근(鄭誠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참수(斬首) 당함. 중종(中宗) 때 이조 참판(吏曹參判)으로 추증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신(而信)@장근 - 장근(張謹)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정통하고 경서와 역사에 통달함. 1573년(선조 6) 친구들과 함께 이황(李滉)의 위판(位版)을 이산서원(伊山書院)에 모신 후 3년 시묘살이를 함.
1544~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이신(而信) - 우성윤(禹成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우성전(禹性傳)의 조부.
1473~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이신암(李新庵) - 이준민(李俊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냈으나, 동서(東西)의 당론(黨論)이 심해지자 병을 칭탁하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으며, 당론을 조정하려던 이이(李珥)를 존경함.
1524~159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실(而實) - 김확(金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유학 김광찬(金光纘)의 아들로, 1603년(선조 36)에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벼슬하지는 않음.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
1583~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이십편(二十編) - 논어(論語)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공자(孔子)의 언행과 제자들과의 문답 내용을 기록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사서(四書)의 하나로, 중국 최초의 어록(語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이십편서(二十篇書) - 논어(論語)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공자(孔子)의 언행과 제자들과의 문답 내용을 기록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사서(四書)의 하나로, 중국 최초의 어록(語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이씨산방기(李氏山房記) - 이군산방기(李君山房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소식(蘇軾)이 지은 기(記). 이상(李常)이 여산(廬山)의 백석승사(白石僧舍)에 만 권의 장서를 쌓아 두고는 이씨산방(李氏山房)이라 하였는데, 이에 대해 소식이 기를 지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이씨산방장서기(李氏山房藏書記) - 이군산방기(李君山房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소식(蘇軾)이 지은 기(記). 이상(李常)이 여산(廬山)의 백석승사(白石僧舍)에 만 권의 장서를 쌓아 두고는 이씨산방(李氏山房)이라 하였는데, 이에 대해 소식이 기를 지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이아(二雅)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이아계(李鵝溪)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악(離岳) - 속리산(俗離山)
충청도 보은(報恩)ㆍ괴산(槐山), 경상도 상주(尙州)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충청도>보은ㅣ경상도>상주 , 지명>자연지명
-
이안(利安) - 안음(安陰)
경상도 함양(咸陽)과 거창(居昌)의 일부 지역을 관장했던 조선 전기의 행정구역명.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지명>행정지명
-
이안(夷安) - 이포(李𧦞)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둘째 아들.
1416~14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안(夷安)@이녕 - 이녕(李寧)@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넷째 아들이며, 군자감 주부(軍資監主簿) 김중행(金仲行)의 사위.
1418~14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안(夷安)@이친 - 이친(李𡩁)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차남으로,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이희(李暿)의 딸과 혼인함.
1413~14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안(履安) - 김이안(金履安)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1762년(영조 38) 학행(學行)으로 기용되어 경연관(經筵官)이 되고, 정조 때 충주 목사(忠州牧使)를 거쳐 지평(持平)ㆍ찬선(贊善)ㆍ좨주(祭酒)를 지냄. 북학파(北學派)로 실학(實學)을 연구함.
1722~179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안(怡安) - 신준(申浚)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내면서 언로(言路)의 개방 등 시무십조(時務十條)를 진언하였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안(易安) - 이청조(李淸照)
중국 송(宋) 나라의 여류 문인. 이격비(李格非)의 딸로, 시문(詩文)에 뛰어나 명성을 떨쳤으며, 저서에 《수옥집(漱玉集)》이 있음.
1084~115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이안(而安) - 정홍진(丁鴻進)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화가. 묵죽(墨竹)ㆍ초상화로 유명하며 이규보(李奎報)ㆍ최종준(崔宗峻) 등이 그에게 그림을 받고 지은 찬(贊)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여러 편 수록되어 있음. 비서감(祕書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이안거사(易安居士) - 이청조(李淸照)
중국 송(宋) 나라의 여류 문인. 이격비(李格非)의 딸로, 시문(詩文)에 뛰어나 명성을 떨쳤으며, 저서에 《수옥집(漱玉集)》이 있음.
1084~115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이안분(李安分)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안사(李安社) - 목조(穆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고조부. 전주(全州)의 토호였으나 가솔과 토착인 170여 호를 이끌고 삼척(三陟)ㆍ의주(宜州) 및 남경(南京) 알동(斡東)으로 이주하여 큰 세력을 형성함. 태조가 즉위하여 추존함.
?~1274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의주ㅣ전라도>전주ㅣ강원도>삼척 , 인명>왕실>국왕
-
이암(伊庵)@사근 - 사근(斯近)
조선 태조(太祖) 때의 승려. 혼수(混脩)ㆍ찬영(粲英)의 문도. 박흥생(朴興生)의 《국당선생유고菊堂先生遺稿)》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종교인>승려
-
이암(伊庵) - 권하(權賀)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심양왕 고(瀋陽王暠)와 같은 당(黨)이 되었다가, 1328년(충숙왕 15) 김온(金溫)ㆍ조식(趙湜)ㆍ전굉(田宏) 등과 순군옥(巡軍獄)에 하옥된 뒤 유배되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암(李嵓) - 이암(李嵒)
고려 충선왕(忠宣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철원군(鐵原君) 이우(李瑀)의 아들. 찬화공신(贊化功臣)ㆍ익조공신(翊祚功臣)에 책록되고, 좌정승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동국(東國)의 조자앙(趙子昻)으로 불리고, 묵죽화(墨竹畫)에도 능함.
1297~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이암(耳巖) - 임대유(任大有)
조선 후기의 유학.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에 대해 평가한 내용이 《죽천집(竹川集)》에 보임.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암(頤庵)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이암(頤菴)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이암(履庵) - 소현(蕭顯)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진녕동지(鎭寧同知)ㆍ복건안찰첨사(福建按察僉事) 등을 지냈으며, 만년에 산해관(山海關) 위춘산(圍春山)의 별장에서 시서(詩書)로 소일하며 여생을 보냄.
1431~1506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이암둔부(頤庵鈍夫)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이암수(頤庵叟)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이암집(頤庵集) - 이암유고(頤庵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송인(宋寅)의 시문집. 목판본. 손자 송기(宋圻)가 산일되고 남은 약간 권의 시문을 모아 선조 말에서 광해군(光海君) 초기에 순천(順天)에서 간행한 것으로 추측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문헌>서명
-
이앙(李昻) - 문종(文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14대 황제. 재위 826~840. 형인 경종(敬宗)을 죽인 환관(宦官)들에 의해 옹립된 후 환관들의 횡포에 군권(君權)을 농단(壟斷)당함.
809~84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애(夷哀) - 담양군(潭陽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일찍 죽었으므로 동모형(同母兄)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아들로 후사를 이음.
1439~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이야(狸爺) - 덕천가강(德川家康)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초대 장군(將軍). 풍신수길(豊臣秀吉) 아래에서 빼어난 전략가로 있었으나 풍신수길 사후 그의 일족을 멸하고 전국(戰國)을 제패하여 강호 막부(江戶幕府)를 세움.
1543~1616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이약빙(李若氷)@이약수 - 이약수(李若水)@송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흠종(欽宗) 때의 문신. 이부 시랑(吏部侍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강(靖康)의 변(變) 때 금군(金軍)에 포로로 끌려간 흠종을 보호하다가 피살됨.
1093~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약포(李藥圃) - 이해수(李海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건저 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종성(鐘城)으로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함.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내고, 시와 예서에 뛰어남.
1536~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양(夷襄) - 담양군(潭陽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일찍 죽었으므로 동모형(同母兄)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아들로 후사를 이음.
1439~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이양구(李養久) - 이시발(李時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임진왜란 때 접반관(接伴官) 등으로 활약하고. 광해군(光海君)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비론에 반대함. 인조반정 후 이괄(李适)의 난을 수습하는 데 공을 세우고 형조 판서 등을 지냄.
1569~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양백(伊陽伯)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양사(伊陽祠) - 이양서원(伊陽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세운 서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창건하여 장봉한(張鳳翰)ㆍ장이유(張以兪) 등을 배향하고, 1772년(영조 48) 김뉴(金紐)ㆍ유세훈(柳世勛)의 위패를 신천서원(新川書院)에서 옮겨 추가로 배향함.
16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이양사(尼陽祠) - 이양서원(尼陽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현풍(玄風)에 건립한 서원. 익산 군수(益山郡守) 곽안방(郭安邦)ㆍ호조 좌랑(戶曹佐郞) 곽지운(郭之雲)ㆍ승지(承旨) 곽규(郭赳)ㆍ예조 좌랑(禮曹佐郎) 곽황(郭瑤)을 배향함. 현재는 대구광역시에 속함.
17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유적>건물>서원,향교
-
이양사우(尼陽祠宇) - 이양서원(尼陽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현풍(玄風)에 건립한 서원. 익산 군수(益山郡守) 곽안방(郭安邦)ㆍ호조 좌랑(戶曹佐郞) 곽지운(郭之雲)ㆍ승지(承旨) 곽규(郭赳)ㆍ예조 좌랑(禮曹佐郎) 곽황(郭瑤)을 배향함. 현재는 대구광역시에 속함.
17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유적>건물>서원,향교
-
이양서(李瀼西) - 이광윤(李光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곤(李鯤)의 손자이며 이득윤(李得胤)의 형. 1594년(선조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성주 목사(星州牧使) 등을 지냄.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예천(醴泉)의 인산서원(仁山書院)에 배향됨.
1564~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이양원(李陽原) - 이숙감(李淑瑊)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말정(李末丁)의 아들. 세조(世祖)가 즉위하자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으로 책록되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양원(李養源) - 이함(李涵)@1554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조부로, 선조 때 문과에 올랐으나 답안지 가운데 《장자(莊子)》에서 인용한 말이 있다고 하여 취소당하였으며, 의령 현감(宜寧縣監) 등을 역임한 후 광해군 때 낙향함.
1554~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이양천(李陽川) - 이성춘(李成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홍주(洪州). 1555년(명종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정황(丁熿)ㆍ고경명(高敬命) 등과 교유함.
15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이언주(李彦胄) - 이장윤(李長胤)
조선 전기의 문신. 하양 현감(河陽縣監)을 지냄. 권문해(權文海)와 교유했으며, 권문해가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초간집(草澗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엄(李儼) - 희종(僖宗)
중국 당(唐) 나라의 제18대 황제. 재위 873~888.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고, 재위 중에 황소(黃巢)의 반란군이 장안(長安)을 침략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음.
862~888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여수(李汝受)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역(李懌)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연(李昖) - 선조(宣祖)@조선
조선 제14대 왕. 재위 1567~1608. 중종(中宗)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셋째 아들. 초기에는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黨爭)과 전란(戰亂) 속에서 보냄.
1552~16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연(李棩) - 현종(顯宗)@조선
조선 제18대 왕. 재위 1659~1674. 효종(孝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인선왕후(仁宣王后). 대동법(大同法) 시행ㆍ동철활자(銅鐵活字) 주조 등의 개혁이 있었으나, 예론(禮論)을 둘러싼 남인(南人)ㆍ서인(西人) 간의 당쟁으로 인해 국력이 피폐됨.
1641~1674 한국>조선후기 , 인명>왕실>국왕
-
이연(李淵) - 고조(高祖)@당
중국 당(唐)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618~626.
565~63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연동(李連同) - 이연동(李連仝)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신곡수(薪谷守) 이부정(李富丁)의 아들이며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이억상(李億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연평(李延平) - 이동(李侗)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스승. 나종언(羅從彦)에게 수학하고, 정호(程顥)ㆍ정이(程頤) 사상의 정수를 주희에게 전수함.
1093~116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열(而悅) - 이변(李抃)
조선 전기의 종친. 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의 아들로,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신원됨.
?~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염(李恬)@회산군 - 회산군(檜山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다섯째 아들. 숙의(淑儀) 남양홍씨(南陽洪氏) 소생으로, 김굉필(金宏弼)에게 가르침을 받음. 연산군(燕山君) 때 궁전(宮田)을 반납했다가 중중(中宗)이 즉위하자 노비(奴婢)와 전답(田畓)ㆍ사저(私邸)를 하사받음.
1481~151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이염(李炎) - 무종(武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15대 황제. 재위 840~846. 목종(穆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동생. 도교(道敎)를 신봉해 불교ㆍ경교(景敎)ㆍ마니교(摩尼敎) 등을 탄압함.
814~84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염(李焰) - 이염(李爓)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충건(李忠楗)의 아들. 1544년(중종 39)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림학사(翰林學士)ㆍ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효수당함. 저서로 《정서류편(征西類編)》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엽(李曄) - 소종(昭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9대 황제. 재위 888~904. 재임 중 번진(蕃鎭)의 세력다툼과 잦은 농민봉기로 인해 실권을 잃고 결국에는 시해됨.
867~904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엽춘(李葉春) - 안방걸(安邦傑)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광주안씨(廣州安氏)의 시조. 통일신라 말기에 귀화한 중국 당(唐) 나라 종실(宗室) 출신인 이원(李瑗)의 둘째 아들로, 태조 때 모반(謀叛)을 진압하여 대장군(大將軍)에 오르고, 광주군(廣州君)으로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이영(李旲) - 익종(翼宗)
조선 제23대 순조(純祖)의 세자. 1827년(순조 27) 순조의 명으로 대리청정을 시작하였으나 4년 만에 죽음. 아들 헌종(憲宗)이 즉위 후 익종으로 추존함.
1809~18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영구(李營丘) - 이성(李成)
중국 송(宋) 나라의 화가. 산수화(山水畫)에 매우 뛰어나 관동(關仝)ㆍ범관(范寬)과 더불어 ‘삼가산수(三家山水)’로 일컬어짐.
919~96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이영백(李令伯) - 이밀(李密)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아버지가 일찍 죽고 어머니가 개가(改嫁)한 탓에 할머니 유씨(劉氏)의 손에서 자랐으며, 무제(武帝) 때 세자 사마(世子洗馬)에 제수되자 할머니의 봉양을 위해 〈진정표(陳情表)〉를 올리고 사양한 일로 유명함.
224~28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영양(李永陽) - 이중량(李仲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효행(孝行)과 학행(學行)이 뛰어났으며,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며 선정(善政)을 베풂.
1504~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이예(李豫) - 대종(代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8대 황제. 재위 762~779. 안사(安史)의 난(亂) 때 공을 세웠으나, 당 나라는 대종 때부터 점차 쇠망의 길로 접어듦.
726~77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예당(二藝堂) - 박형문(朴衡文)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제함(朴悌諴)의 아들로,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만년에 낙향하여 후진을 양성함.
14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이오(以吾) - 정이오(鄭以吾)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신중(鄭臣重)의 아들로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 등과 교유하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냈으며, 《태조실록(太祖實錄)》편찬에 참여함.
1347~14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오(夷吾)@신생 - 신생(申生)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헌공(獻公)의 태자. 헌공이 여희(驪姬)를 총애하여 그의 아들 해제(奚齊)를 세우고자 신생을 곡옥(曲沃)에 나가 살게 하였는데, 여희의 참소로 자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이오(夷吾)@영공 - 영공(靈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제후. 재위 B.C.606~B.C.605. 재위 1년 만에 공자(公子)인 귀생(歸生)에게 시해당함.
?~B.C.60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이오(夷吾) - 혜공(惠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제후. 헌공(獻公)의 셋째 아들로, 여희(驪姬)에게 박해를 받아 양(梁) 나라로 달아났다가 우여곡절 끝에 돌아와 임금이 되었으나, 배신감에 정벌에 나선 진(秦) 나라 목공(穆公)과의 한원(韓原) 전투에서 참패를 당함.
?~B.C.63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이오(夷吾)@관중 - 관중(管仲)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 부국강병(富國强兵)의 정치를 이룩하여 제후를 규합하고 천하를 통일함으로써 환공(桓公)을 춘추오패(春秋五霸)의 으뜸이 되게 함.
?~B.C.6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이오(李吳) - 이호(李昊)
조선 단종(端宗) 때의 유학. 단종(端宗)의 복위 사건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하였고, 아내 개질지(介叱知)와 딸 이목금(李木今)은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유하(柳河)에게 영속(永屬)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오당(二吾堂) - 강흡(姜洽)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장생(金長生)ㆍ신흠(申欽)에게 사사(師事)하고, 현감(縣監) 등을 지냄.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太白山)에 은거하여 심장세(沈長世)ㆍ홍석(洪錫)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일컬어짐.
1602~16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오리(李梧里) - 이원익(李元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함천군(咸川君) 이억재(李億載)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병제와 조세제도를 정비하고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는 데 공헌함.
1547~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오봉(李五峯) - 이호민(李好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明) 나라의 군대를 불러오는 데 기여함. 적서(嫡庶)의 구별 없이 장자를 옹립하자는 입장론(立長論)을 주장함.
1553~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오성(李鰲城)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이옥(爾玉) - 김새(金璽)
조선 전기의 유학. 《성암집(省菴集)》에 김효원(金孝元)과 주고받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옥여(李玉汝) - 이귀(李貴)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정화(李廷華)의 아들로,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함. 임진왜란 때 난후 수습에 힘쓰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성공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1557~163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온(李溫) - 의종(懿宗)
중국 당(唐) 나라 제17대 황제. 재위 860~873. 선종(宣宗)의 맏아들로, 즉위 후 주색(酒色)에 빠져 정사를 게을리 하고 충간(忠諫)하는 신하를 멀리하며, 불사(佛事)에 재정을 탕진하는 등 방탕하고 무능하였음.
833~87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온(而溫)@조선 - 박이온(朴而溫)@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철원 부사(鐵原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온(而溫)@고려 - 박이온(朴而溫)@고려
고려시대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를 역임하였음.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