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온(而溫) - 신직(申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사예(司藝)를 지낸 신봉전(申奉全)의 아들로, 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 등을 역임함.
148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이온(而溫)@송겸 - 송겸(宋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1520년(중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장원(壯元)하여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ㆍ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옹(李滃)@이징 - 이징(李澄)@이황의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형으로, 제원도 찰방(濟原道察訪)을 지냄.
1498~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옹(頤翁) - 성팽년(成彭年)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갈천(葛川) 임훈(林薰)의 문인. 효행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천거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김면(金沔)이 창의(倡義)할 때 참모가 되어 의병활동을 했음.
1540~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와(頤窩) - 서기(徐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이천(利川).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1523~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이요(二樂) - 박흥거(朴興居)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흥생(朴興生)의 아우이고 김자수(金子粹)의 문인으로, 감찰어사(監察御史)를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이요(二樂)@박흥생 - 박흥생(朴興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자수(金子粹)의 문인으로 창평 현령(昌平縣令)을 지냈으나, 친상(親喪)을 당해 낙향한 뒤 학문에 전념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요(二樂)@신용개 - 신용개(申用漑)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명(明) 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3~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요당(二樂堂) - 박흥거(朴興居)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흥생(朴興生)의 아우이고 김자수(金子粹)의 문인으로, 감찰어사(監察御史)를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이요원(李饒元) - 이유인(李裕仁)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자(李磁)의 아들로, 1561년(명종 1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함경 감사(咸鏡監司) 등을 지냄. 구사맹(具思孟)의 《팔곡잡고(八谷雜稿)》에 그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음.
153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요정(二樂亭) - 의안대군(義安大君)
조선 태조(太祖)의 이복동생. 태조를 도와 조선 건국에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태종(太宗) 때 외척인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처벌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림.
1348~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이요정(二樂亭) - 신용개(申用漑)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명(明) 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3~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요헌(二樂軒) - 신용개(申用漑)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명(明) 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3~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용(利用) - 홍이용(洪利用)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평원대군(平原大君)의 장인으로, 부사(府使) 등을 지냈으며 좌의정(左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이용강(李龍岡) - 이대(李薱)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며 여양군(呂陽君) 이자겸(李子謙)의 아들로, 용강 현령(龍岡縣令)ㆍ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 등을 지냄.
1488~154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이용면(李龍眠) - 이공린(李公麟)@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화가. 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두고 용면산(龍眠山)에 은거함. 시에 뛰어나고 골동품 감정에 정통하였으며, 특히 그림에 능하여 명성을 떨쳤음.
1049~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이용재(李容齋) - 이행(李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폐비윤씨(廢妃尹氏)의 복위를 반대하여 유배되었고, 중종의 원비 신씨(愼氏)의 복위를 반대함.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찬진함.
1478~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우(二憂) - 이경(李瓊)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으로, 고려가 망하자 조선의 건국에 반대하며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끝까지 충성과 지조를 지킴.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이우(爾盱) - 김이우(金爾盱)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무진(茂珍). 김경선(金景先)의 아들. 김이첨(金爾瞻)의 동생이며, 김이반(金爾盼)의 형. 이색(李穡)이 지은 〈명자설(名字說)〉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이우(而虞) - 정이우(鄭而虞)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헌납(獻納)을 지낸 정주(鄭賙)의 아들. 판관(判官)ㆍ집의(執義) 등을 지내고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녹훈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우강집(李盱江集) - 우강집(盱江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구(李覯)의 문집. 37권. 저자가 일생 동안 지은 글을 모아 엮은 책으로 경학(經學)과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며, 원(元) 나라 때 판각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이우기(李佑基) - 이유기(李裕基)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맹진(李孟畛)의 아들로, 도진무(都鎭撫)를 역임하였으며, 세조(世祖) 때 단종복위운동에 가담하였다가 실패하여 죽임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이우당(二友堂) - 신희현(愼希賢)
조선 전기의 유학. 임억령(林億齡)의 《석천시집(石川詩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우당(二憂堂) - 이경(李瓊)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으로, 고려가 망하자 조선의 건국에 반대하며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끝까지 충성과 지조를 지킴.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이우옹(李愚翁) - 이희안(李希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조식(曺植)과 교우하며 학문을 연마함.
1504~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이우지당(李牛之黨) - 우^이(牛^李)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인 우승유(牛僧孺)와 이종민(李宗閔)을 함께 부르는 말.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인 '우당(牛黨)'의 대표적인 인물들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욱(李煜) - 후주(後主)@오대십국(남당)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의 제3대 국왕. 정치가로서의 역량보다 학문ㆍ문예ㆍ서화에 뛰어났으나, 주연(酒宴)에 빠져 국가의 멸망을 초래함. 반비(潘妃)로 인해 유명해진 전족(纏足)의 풍습이 후주 때부터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음.
937~978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운백(李芸白) - 이곡(李穀)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 들어가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받고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본국에서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1298~135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운장(李雲長) - 이원승(李元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손자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67년(선조 즉위년)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이원(履元) - 김이원(金履元)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대북(大北)에 속하여 임해군(臨海君)을 사사(賜死)하게 하고 소북(小北)을 제거하기 위한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잘 다스려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훈됨.
1553~161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원(而遠)@윤형 - 윤형(尹泂)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언청(尹彦淸)의 아들이며, 전치원(全致遠)의 문인. 정유재란 때 접반사(接伴使)로 활약하고, 임진왜란으로 불탄 실록(實錄)을 재간행할 때 참여하였으며,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1549~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원(而遠)@권징 - 권징(權徵)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사직(司直) 권굉(權硡)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 등과 함께 의병을 규합하여 왜병과 싸우고, 명(明) 나라 이여송(李如松)이 추진하는 화의(和議)를 반대함.
1538~159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원(而遠) - 윤명은(尹鳴殷)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파평(坡平). 인조의 사친추숭(私親追崇)을 반대하다가 유배되고, 병자호란 때 남양(南陽)에서 조익(趙翼)과 함께 의병을 모집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정문(旌門)이 세워짐.
1601~164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원(而遠)@유용공 - 유용공(柳用恭)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유희저(柳希渚)의 아들이며,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낸 유몽익(柳夢翼)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이원(而遠)@이상의 - 이상의(李尙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임진왜란 때 광해군(光海君)을 호위한 위성공신(衛聖功臣)으로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에 봉해짐. 인조반정으로 훈공이 삭탈되고 품계도 강등되어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로 좌천됨.
1560~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원(貽遠) - 고경조(高敬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해미 현감(海美縣監)ㆍ임천 군수(林川郡守) 등을 지냄.
152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이원(鯉原) - 비리곡(飛鯉谷)
경상도 안동(安東) 임하현(臨河縣)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정(金珽)의 선영(先塋)이 있는 곳으로 기록되어 있음.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
-
이원기(李遠期) - 이영성(李永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이홍간(李弘幹)의 아들로,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이원길(李原吉)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원령(李元齡) - 이집(李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사직하고 여주(驪州)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
1314~13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원령(李原齡) - 이집(李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사직하고 여주(驪州)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
1314~13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원범(李元範) - 철종(哲宗)@조선
조선 제25대 국왕. 재위 1849~1863. 정조(正祖)의 동생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고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이광(李㼅)의 셋째 아들. 헌종(憲宗)의 뒤를 이어 즉위함.
1831~186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원손(李元孫)@이윤손 - 이윤손(李允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가평(加平). 1455년(세조 1)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원종공신(元從功臣)에 녹훈되고,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를 지냄.
1414~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이원암(李遠庵) - 이교(李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황(李滉)의 조카로,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대흥 현감(大興縣監) 등을 지냄.
1534~15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이원호(李元昊) - 경종(景宗)@서하
중국 서하(西夏)의 제1대 왕. 재위 1032~1048. 서부 지역에서 일어나 송과의 항쟁을 주도하였음.
1003~1048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월간(李月磵) - 이전(李㙉)@1558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사섬시 주부(司贍寺主簿)를 지낸 이수인(李守仁)의 아들. 동생 이준(李埈)과 함께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에서 퇴도(退陶)의 학설을 배웠음.
1558~16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이월사(李月沙) - 이정귀(李廷龜)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 이계(李𡹘)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명(明) 나라에 원병을 청하고, 대제학(大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신흠(申欽)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4대 문장가로 불림.
1564~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위(李瑋) - 이우(李瑀)@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이(李珥)의 아우. 시(詩)ㆍ서(書)ㆍ화(畫)ㆍ금(琴)을 잘하여 ‘사절(四絶)’이라 불림.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의 화풍을 따르고, 특히 화훼(花卉)와 초충(草蟲)을 잘 그림.
1542~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위(理位) - 탁이위(卓理位)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시랑(侍郞)을 지낸 탁난(卓蘭)의 맏아들로, 지해양현사(知海陽縣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이위공(李衛公) - 이덕유(李德裕)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아버지 이길보(李吉甫)와 함께 당을 결성하여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의 당파와 40여 년간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임. 위구르 등 외족의 격퇴를 통해 중앙집권 강화를 도모하고, 폐불(廢佛)을 단행함.
787~84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유(李瑈) - 세조(世祖)@조선
조선 제7대 왕. 재위 1455~1468. 세종(世宗)의 둘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아우.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
1417~14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유(李宥) - 목종(穆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2대 황제. 재위 821~824. 헌종(憲宗)의 셋째 아들. 재임 중에 연회와 외유를 일삼아 우이당쟁(牛李黨爭)이 일어나고, 번진(藩鎭)의 반란과 토번(吐藩)과의 무리한 대결로 인해 국고가 탕진되자 결국 자살함.
795~824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유경(李有慶)@이현보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유추(李有秋) - 이여(李畬)@1503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인로(李仁老)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문학(文學) 등을 지내고 학문연구에 힘써 역학(易學)에 정통함. 형 이치(李菑)와 함께 진천(鎭川)에 거주하면서 풍속 교화에 힘씀.
1503~154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이윤(李昀) - 경종(景宗)@조선
조선 제20대 왕. 재위 1720~1724. 숙종(肅宗)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희빈장씨(禧嬪張氏). 재위 기간 중 당쟁(黨爭)이 절정을 이룬 가운데 신변상으로나 정치상으로 많은 곤란을 겪음.
1688~17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율(而栗) - 구치관(具致寬)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운 공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봉해지고, 사후(死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추록됨. 영의정(領議政)등을 지냄.
1406~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이율(而栗)@정여관 - 정여관(鄭汝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대제학(大提學) 정경세(鄭經世)의 아버지로, 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에 추증됨.
1531~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이율(而栗)@윤관중 - 윤관중(尹寬中)
조선 후기의 문신.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사위로, 선전관(宣傳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율곡(李栗谷)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융(李瀜) - 이숙(李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둘째 아들로, 세종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에게 출계함. 안악 군사(安岳郡事) 허준(許峻)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융기(李隆基) - 현종(玄宗)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712~756. 예종(睿宗)의 셋째 아들로,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양귀비(楊貴妃)와 향락에 빠져 안사(安史)의 난(亂)을 초래함.
685~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음(爾音) - 김이음(金爾音)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함창(咸昌). 권근(權近)의 《입학도설(入學圖說)》을 진양(晉陽)에서 처음 간행하고, 효행이 뛰어나 정문(旌門)을 하사받음.
?~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음애(李陰崖) - 이자(李耔)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사림파(士林派)의 한 사람으로 도학정치의 이상을 추구했으며, 온건하고 원만한 성품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의 참화를 면함. 파직된 후 음성(陰城) 등지에 은거하여 학문에 힘씀.
1480~15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충청도>음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읍(利邑) - 이천(利川)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기 중서부와 강원도ㆍ충청도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 논농사로 유명함.
경기도>이천 , 지명>행정지명
-
이응봉(李應鳳) - 이응복(李應福)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양성군(陽城君) 이륜(李倫)의 아들로, 신흠(申欽)의 누이와 혼인함.
1560~161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응요(李應堯)@이옹 - 이옹(李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승사랑(承仕郞) 이극인(李克仁)의 아들로,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응요(李應堯) - 이증(李增)@이지숙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공을 세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는 데 헌신함.
1525~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응인(李應仁) - 이영춘(李榮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5대손이며, 서부 주부(西部主簿) 이길(李洁)의 아들로, 음성 현감(陰城縣監) 등을 지냄.
153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의(而毅) - 임사홍(任士洪)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아들 보성군(寶城君)의 사위로, 두 아들이 각각 예종(睿宗)과 성종(成宗)의 부마가 되면서 권세를 누림. 무오사화(戊午士禍)와 갑자사화(甲子士禍)를 주도하여 많은 중신(重臣)과 선비를 죽임.
?~150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이의(而誼) - 박이의(朴而誼)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원(珍原). 의병장인 박광전(朴光前)의 아버지로, 1534년(중종 2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이의보(李儀甫) - 이기옥(李璣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의(全義).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의 문인으로, 공릉 참봉(恭陵參奉) 등을 지내고, 장현광(張顯光)ㆍ김부륜(金富倫) 등과 교유를 맺고 학문을 강마함.
1566~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의중(李宜仲) - 이의건(李義健)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1564년(명종 19)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고 이항복(李恒福)의 추천으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이 되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명현(名賢)들과 교유함. 저서로 《동은집(峒隱集)》이 있고, 광주(廣州) 수곡서원(秀谷書院)ㆍ영평(永平) 옥병서원(玉屛書院)에 배향됨.
1533~16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문인
-
이이경(李而敬) - 이정우(李庭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상의원 정(尙衣院正) 이세건(李世健)의 아들.
154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이덕(李二德) - 이달(李達)@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시인. 본관은 신평(新平). 최경창(崔慶昌)ㆍ백광훈(白光勳)과 어울리며 시사(詩社)를 결성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일컬어짐. 제자 허균(許筠)이 그의 전기(傳記)인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음.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문인
-
이이모(伊夷模) - 산상왕(山上王)
고구려 제10대 왕. 재위 197~227. 신대왕(新大王)의 아들이자 고국천왕(故國川王)의 동생으로, 고국천왕의 비(妃) 우씨(于氏)에 의해 왕위에 오름. 한(漢) 나라 하요(夏瑤)의 투항을 받아들이고, 환도성(丸都城)으로 수도를 옮김.
?~227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이이성(李而盛) - 이지번(李之蕃)@이산해의아버지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산해(李山海)의 아버지이며, 이지함(李之菡)의 형. 명종(明宗) 때 김안로(金安老)의 무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단양(丹陽)의 구담(龜潭)에 은거함.
?~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이소재(李履素齋) - 이중호(李仲虎)@이정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고안정(高安正) 이정(李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유우(柳藕)의 문인.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심하였으며, 문장(文章)에 뛰어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음.
1512~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이이안(李易安) - 이청조(李淸照)
중국 송(宋) 나라의 여류 문인. 이격비(李格非)의 딸로, 시문(詩文)에 뛰어나 명성을 떨쳤으며, 저서에 《수옥집(漱玉集)》이 있음.
1084~115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이이중(李彛仲) - 이승상(李承常)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장양부정(長陽副正) 이주(李儔)의 아들이자 이조 참판(吏曹參判) 이식(李拭)의 아버지로, 1528(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죽산 현감(竹山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익재(李益齋)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익지(李益之) - 이성익(李星益)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로, 통덕랑(通德郞) 이효민(李孝閔)의 아들. 1663년(현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권상하(權尙夏)와 두터운 정의(情誼)를 나눔.
1639~167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태인ㅣ경기도>광주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인(以仁) - 송제민(宋齊民)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의병장. 본관은 홍주(洪州). 교서관 정자(校書館正字) 송정황(宋庭篁)의 아들이고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고, 저서로 《와신기사(臥薪記事)》ㆍ《해광집(海狂集)》이 있음.
154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이인(里人) - 우홍(牛弘)
중국 수(隋) 나라의 문신. 검약함과 학문이 독실한 것으로 유명하며, 동생이 소를 죽였는데 표정하나 바꾸지 않고 포를 만들라고 하여 아내의 입을 막았다는 이야기가 《소학(小學)》에 전함.
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인기(李仁祺) - 이장용(李藏用)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인주(仁州). 원종이 몽고(蒙古)에 입조할 때 수행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냈으나, 원종의 손위(遜位)를 권한 일로 면직되어 서인(庶人)이 됨. 경사(經史)ㆍ음양(陰陽)ㆍ의약(醫藥)ㆍ율력(律曆)에 통달함.
1201~127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인성(李仁成) - 이존비(李尊庇)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진(李瑨)의 아들이자,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 이우(李瑀)와 승려 복구(復邱)의 아버지로, 유경(柳璥)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지냄.
1233~128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인인(李仁人) - 이인임(李仁任)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권신. 본관은 성주(星州).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크게 활약하고,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됨. 공민왕(恭愍王)이 피살되자 우왕을 즉위시킨 뒤 임견미(林堅味)ㆍ염흥방(廉興邦) 등과 함께 권력을 휘두름.
?~138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인저(李仁氐)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인중(李仁仲) - 이굉(李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조카이자 문인(門人)으로, 찰방(察訪)을 지내고, 시문(詩文)에 능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이일재(李一齋) - 이항(李恒)@이자영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반궁성의(反躬誠意)ㆍ주경궁리(主敬窮理)를 학문 경향으로 삼음. 1566년(명종 21)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의영고 영(義盈庫令) 등을 지냄.
1499~15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임회(李臨淮) - 이광필(李光弼)@당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대종(代宗) 때의 무신. 현종 때 곽자의(郭子儀)와 함께 안사(安史)의 난(亂)을 평정한 중흥 제일의 공신이며, 곽자의를 대신해 삭방(朔方)을 맡으면서 천하 병마도원수(天下兵馬都元帥)로 명성을 떨침.
708~76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자(李子)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자묘(二子廟) - 이제묘(夷齊廟)@중국
중국 영평부(永平府) 북쪽 17리 지점의 고죽성(孤竹城)에 있는 백이(伯夷)ㆍ숙제(叔齊)의 사당.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이자묘(二子廟)@이제묘 - 이제묘(夷齊廟)
황해도 해주(海州)의 수양산(首陽山)에 있는 백이(伯夷)ㆍ숙제(叔齊)의 사당. 조선 숙종(肅宗) 때 ‘청성묘(淸聖廟)’라는 어필(御筆)을 내림.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사당
-
이자미(李紫微) - 이량(李諒)
고려 후기의 문신.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최선(崔詵)의 장인으로, 중서 사인(中書舍人)을 지냄.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최선을 대신해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자민(李子敏) - 이안눌(李安訥)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덕수(德水).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이행(李荇)의 증손이며,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종숙(從叔). 당시(唐詩)에 능하여 이태백에 비유되었고 글씨도 잘 썼음.
1571~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자발(李子發) - 이문건(李文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성주(星州)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494~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자수(李子修) - 이준민(李俊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냈으나, 동서(東西)의 당론(黨論)이 심해지자 병을 칭탁하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으며, 당론을 조정하려던 이이(李珥)를 존경함.
1524~159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자수(李子脩)@이희 - 이희(李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학문으로 이름을 크게 떨쳤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사(戰死)함.
1532~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이자운(李子雲) - 이봉(李逢)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병장ㆍ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조헌(趙憲)ㆍ정경세(鄭經世) 등과 의병을 규합하여 많은 공적을 세움.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냈으나 난이 진압된 뒤에는 귀향하여 여생을 보냄.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자정(李子正) - 이감(李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남양도호부사(南陽都護府使) 이경충(李景忠)의 아들로,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군수(郡守)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