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자춘(李子春) - 환조(桓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 도조(度祖) 이춘(李椿)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공을 세워 삭방도 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됨. 태조가 등극하자 환왕(桓王)으로, 태종(太宗) 때 다시 환조(桓祖)로 추존됨.
1315~1360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이자화(李子和) - 이자화(李子華)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첨의정승(僉議政丞)을 지낸 이혼(李混)의 아우로, 선부 전서(選部典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잠와(李潛窩) - 이명준(李命俊)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청강(淸江) 이제신(李濟臣)의 아들. 광해군(光海君) 때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을 거쳐 복직되어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572~163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장(李暲) - 덕종(德宗)@조선
조선 세조(世祖)의 아들. 1455년(세종 27) 도원군(桃源君)에 봉해지고 1455년(세조 1)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 1471년(성종 2) 덕종으로 추존(追尊)됨.
1438~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장(而壯) - 이민환(李民寏)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광준(李光俊)의 아들. 1600년(선조 3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東萊府使)ㆍ경주 부윤(慶州府尹) 등을 지냄. 저서로 《자암집(紫巖集)》이 있음.
1573~16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이장(而章) - 박이장(朴而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승지(承旨)를 지낸 박양좌(朴良佐)의 아들로, 노수신(盧守愼)의 문인.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의 주청으로 종사관이 되어 활약하였고,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함.
1547~162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ㅣ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이장간(李章簡) - 이윤손(李允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가평(加平). 1455년(세조 1)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원종공신(元從功臣)에 녹훈되고,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를 지냄.
1414~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이장사(李長沙) - 이존오(李存吾)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우정언(右正言)이 되어 신돈(辛旽)의 횡포를 탄핵하다가 좌천되고, 공주(公州)의 석탄(石灘)에서 은거하던 중 울분으로 병이 나서 죽음. 정몽주(鄭夢周)ㆍ박상충(朴尙衷) 등과 교분이 두터웠음.
1341~137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이장작(李將作) - 이날(李㻋)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으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낸 이맹현(李孟賢)의 아들. 직장(直長) 등을 지내고, 사재(思齋) 김정국(金正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문신
-
이재(伊齋)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재(彛齋) - 백이정(白頤正)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ㆍ학자. 충선왕(忠宣王)을 따라 연경(燕京)에 머물면서 중국 성리학을 연구하고 정주(程朱)의 서적을 가져오는 등 고려 성리학 발전에 크게 공헌함.
1247~132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재(怡齋) - 공민왕(恭愍王)
고려 제31대 왕. 재위 1351~1374. 반원정책(反元政策)을 중심으로 한 개혁정치를 통하여 고려의 중흥을 모색함.
1330~13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이재(頤齋)@황윤석 - 황윤석(黃胤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종래의 이학(理學)과 서구 지식의 조화를 시도함. 《이재유고(頤齋遺藁)》에 실린 운학(韻學)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사의 연구대상이 됨.
1729~17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재(頤齋)@한경기 - 한경기(韓景琦)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시인. 한명회(韓明澮)의 손자로, 음보(蔭補)로 돈녕부 정(敦寧府正)을 지냈으나 조부의 행적을 부끄러워하여 요직을 피함. 남효온(南孝溫)ㆍ홍유손(洪裕孫) 등과 교유하고, 시명(詩名)이 높았음.
1472~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재(頤齋) - 차식(車軾)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차광운(車廣運)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거쳐 선조 때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냄.
1517~157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재(頤齋)@조우인 - 조우인(曺友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광해군(光海君)을 풍자하는 시를 지어 투옥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풀려나 우부승지(右副承旨) 등을 지냄. 시ㆍ글씨ㆍ그림에 능했음.
1561~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이재(易齋) - 정자견(丁自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지사(僉知事)를 지냈으며, 80세 이후 노직(老職)으로 당상(堂上)에 오름. 《모재집(慕齋集)》에 김안국(金安國)이 차운(次韻)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재고(頤齋藁) - 이재유고(頤齋遺藁)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황윤석(黃胤錫)의 문집. 26권 13책. 목판본. 저자가 남긴 57책의 《이재난고(頤齋亂稿)》를 장손 황수경(黃秀瓊)이 시문을 선별하여 산정(刪定)한 후 조인영(趙寅永)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
182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이재두(李齋斗) - 이정보(李廷俌)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경기좌도 관찰사(京畿左道觀察使)를 지냈음. 이색(李穡)이 지어준 자설(字說)이 《목은고(牧隱藁)》와 《동문선(東文選)》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재병부(伊齋病夫)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재집(伊齋集) - 소재집(穌齋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노수신(盧守愼)의 시문집(詩文集). 나흠순(羅欽順)이 쓴 발문(跋文)이 있음.
160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천안 , 문헌>서명
-
이저(李佇)@이애 - 이애(李薆)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이거이(李居易)의 아들로, 태조의 맏딸인 경신공주(慶愼公主)와 혼인함. 태종을 도와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한 공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과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3~14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이적(李迪)@이언적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적선(李謫仙) - 이달(李達)@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시인. 본관은 신평(新平). 최경창(崔慶昌)ㆍ백광훈(白光勳)과 어울리며 시사(詩社)를 결성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일컬어짐. 제자 허균(許筠)이 그의 전기(傳記)인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음.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문인
-
이적선(李謫仙)@이백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이전(二典)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이전(李瀍) - 무종(武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15대 황제. 재위 840~846. 목종(穆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동생. 도교(道敎)를 신봉해 불교ㆍ경교(景敎)ㆍ마니교(摩尼敎) 등을 탄압함.
814~84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전(李瑔) - 영풍군(永豊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덟 번째 서자. 금성대군(錦城大君)과 순흥 부사 이보흠(李甫欽) 등의 단종복위 기도에 연루되어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가 살해됨.
1434~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전(李詮) - 이전(李銓)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의 다섯째 아들 회산군(檜山君)의 손자이며 계산군(桂山君) 이수계(李壽誡)의 아들. 승정원 도승지(承政院道承旨) 황섬(黃暹)의 장인임.
1525~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절(以節) - 이형례(李亨禮)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예빈시 소윤(禮賓寺少尹)을 지낸 이말정(李末丁)의 손자.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합격하지 못하였음.
?~150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이절동(李浙東) - 이손(李遜)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이사도(李師道)의 난 토벌에 참여하였고, 절동도단련관찰사(浙東都團練觀察使)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760~82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정(以定) - 김우명(金佑明)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외척. 영의정 김육(金堉)의 아들이며, 현종(顯宗) 비(妃)인 명성왕후(明聖王后)의 아버지. 같은 서인(西人)이었던 송시열(宋時烈)과 대립하여 한당(漢黨)의 중진이 되어 남인인 허적(許積)에 동조하였으나, 남인과의 알력이 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은둔함.
1619~167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이정(利貞) - 김이정(金利貞)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냈고, 이륙(李陸)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정(夷靖) - 윤사분(尹士昐)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세조비(世祖妃)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오빠. 문음(門蔭)으로 벼슬하여 우의정 등을 지냈으며,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됨.
1401~147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이정(履正) - 양이정(楊履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복건성(福建省) 천주(泉州) 사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정(彛正) - 나륜(羅倫)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한림 수찬(翰林修撰)ㆍ남경 공직(南京供職)을 지내고 사퇴한 뒤, 금우산(金牛山)으로 들어가 학문 활동과 저술에 전념함. 의(義)를 중요시했고, 저서로《일봉집(一峯集)》이 있음.
1431~147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정(李正) - 이귀수(李龜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열한 번째 서자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정(而精) - 김취려(金就礪)@조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연성군(蓮城君) 김정경(金定卿)의 후손으로,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효자로 천거되어 사복시 정(司僕寺正)ㆍ수원부사(水原府使) 등을 지냄.
15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관인>문신
-
이정(而靜) - 김윤안(金允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현감 김박(金博)의 아들이며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김해(金澥) 휘하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560~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정(頤正)@백이정 - 백이정(白頤正)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ㆍ학자. 충선왕(忠宣王)을 따라 연경(燕京)에 머물면서 중국 성리학을 연구하고 정주(程朱)의 서적을 가져오는 등 고려 성리학 발전에 크게 공헌함.
1247~132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정(頤正) - 박민헌(朴民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을 공부하였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상호군(上護軍) 등을 지냄.
151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이정가(李靜可) - 이열도(李閱道)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굉(李宏)의 아들로, 종조부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1576년(선조 9)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1538~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이정문본(二程文本) - 이정전서(二程全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글을 총괄하여 편집한 책. 유서(遺書)ㆍ외서(外書)는 주희(朱熹)가 편집하고, 수언(粹言)ㆍ경설(經說)ㆍ문집(文集) 등은 양시(楊時)가 정정(訂定)하여, 1606년 서필달(徐必達)이 간행함.
160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이정분류(二程分類) - 정서분류(程書分類)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저서. 어지러이 뒤섞여 있는 《이정전서(二程全書)》의 편차(編次)를 각각 유형별로 구분하여 정리한 책으로, 1678년(숙종 4) 유배지인 장기(長鬐)에서 저술함.
167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장기 , 문헌>서명
-
이정서(二程書) - 이정전서(二程全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글을 총괄하여 편집한 책. 유서(遺書)ㆍ외서(外書)는 주희(朱熹)가 편집하고, 수언(粹言)ㆍ경설(經說)ㆍ문집(文集) 등은 양시(楊時)가 정정(訂定)하여, 1606년 서필달(徐必達)이 간행함.
160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이정서(李廷瑞) - 이원록(李元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행(李荇)의 아들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당시 권신이던 숙부 이기(李芑)를 비판하고 이황(李滉)ㆍ정황(丁熿) 등 많은 선비들을 구해 주었으며,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역임함.
1514~15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정서분류(二程書分類) - 정서분류(程書分類)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저서. 어지러이 뒤섞여 있는 《이정전서(二程全書)》의 편차(編次)를 각각 유형별로 구분하여 정리한 책으로, 1678년(숙종 4) 유배지인 장기(長鬐)에서 저술함.
167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장기 , 문헌>서명
-
이정수(李廷秀) - 이준(李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아들로, 봉화 현감(奉化縣監)ㆍ의흥 현감(義興縣監)ㆍ군자시 첨정(軍器寺僉正) 등을 지냄.
1523~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이정수어(二程粹語) - 이정전서(二程全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글을 총괄하여 편집한 책. 유서(遺書)ㆍ외서(外書)는 주희(朱熹)가 편집하고, 수언(粹言)ㆍ경설(經說)ㆍ문집(文集) 등은 양시(楊時)가 정정(訂定)하여, 1606년 서필달(徐必達)이 간행함.
160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이정수언(二程粹言) - 이정전서(二程全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글을 총괄하여 편집한 책. 유서(遺書)ㆍ외서(外書)는 주희(朱熹)가 편집하고, 수언(粹言)ㆍ경설(經說)ㆍ문집(文集) 등은 양시(楊時)가 정정(訂定)하여, 1606년 서필달(徐必達)이 간행함.
160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이정씨(二程氏) - 이정(二程)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정호(程顥)와 정이(程頤) 형제를 함께 부르는 말. 정주학(程朱學)을 창시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정유서(二程遺書) - 이정전서(二程全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글을 총괄하여 편집한 책. 유서(遺書)ㆍ외서(外書)는 주희(朱熹)가 편집하고, 수언(粹言)ㆍ경설(經說)ㆍ문집(文集) 등은 양시(楊時)가 정정(訂定)하여, 1606년 서필달(徐必達)이 간행함.
160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이정자(二程子) - 이정(二程)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정호(程顥)와 정이(程頤) 형제를 함께 부르는 말. 정주학(程朱學)을 창시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이정존(李靜存) - 이담(李湛)@151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용인(龍仁).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양산(梁山)에 부처(付處)되었다가 복직된 후 충청도 관찰사 등을 지냄. 성리학자로서 의약ㆍ천문ㆍ산수ㆍ궁술ㆍ서화에도 능함.
1510~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정준(李挺俊) - 이상준(李尙俊)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의(李艤)의 아들로, 어모장군(禦侮將軍) 이인량(李寅亮)에게 출계함. 1609년(광해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15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정중(李正仲) - 이지번(李之蕃)@이산해의아버지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산해(李山海)의 아버지이며, 이지함(李之菡)의 형. 명종(明宗) 때 김안로(金安老)의 무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단양(丹陽)의 구담(龜潭)에 은거함.
?~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제옹(李濟翁) - 이희민(李希閔)@이윤검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이조 정랑(吏曹正郞)으로 있을 때 기묘사화(己卯士禍)를 당해 파직되었음.
1498~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이조(二祖) - 혜가(慧可)
중국 남북조시대의 승려. 선종(禪宗)의 제2조(第二祖)로, 달마(達磨)의 제자가 되어 선법(禪法)을 계승한 뒤 각지로 포교하다가 처형됨. 눈 속에서 왼팔을 절단하면서까지 구도(求道)의 성심을 보이고 달마에게 인정을 받았다는 전설로 유명함.
487~53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이조(李朝)@조선 - 조선(朝鮮)
우리나라 근세의 통일 왕조. 이성계(李成桂)가 신진 사대부(士大夫)의 추대를 받아 세운 나라로, 태조(太祖)에서 순종(純宗)까지 27대 519년간 존속.
1392~1910 한국>조선시대 , 시간>국명
-
이조(李朝) - 예종(睿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5대 황제. 재위 684~690, 710~712. 고종(高宗)의 아들로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중종(中宗)을 폐위하고 등극시켰으나, 자신도 곧 폐위당하고 말자 아들인 현종(玄宗)이 측천무후와 중종의 세력을 소탕하고 복위시킴.
662~71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조(李祚) - 애제(哀帝)@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20대 황제. 재위 904~907. 주온(朱溫)에게 강제로 퇴위 당하고 1년 후에 시해당함.
892~908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조(李稠) - 이주(李椆)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손자인 은천군(銀川君) 이찬(李穳)의 아들로, 용재(容齋) 이행(李荇)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조보감(李朝寶鑑) - 국조보감(國朝寶鑑)
조선 역대 국왕의 치적 중에서 선정(善政)만을 모아 수록한 편년체(編年體)의 역사책. 조선 세종(世宗) 때 편찬을 시작하여 순종(純宗) 때 완성됨. 90권 28책. 활자본.
한국>조선후기ㅣ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이조실록(李朝實錄)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조선 태조(太祖)에서 철종(哲宗)까지 472년간의 역사적 사실을 각 왕별로 기록한 편년체 사서(編年體史書). 《태조실록(太祖實錄)》부터 《철종실록(哲宗實錄)》까지 총 2,077책의 활자본. 국보 제151호. 1997년 10월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됨.
1413~1865 한국>조선시대 , 문헌>서명
-
이조은(李朝隱) - 이규(李揆)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의 아들. 우대언(右代言)ㆍ첨의 참리(僉議參理) 등을 지내고, 충혜왕의 묘정(廟廷)에 배향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존장(李尊丈) - 이윤문(李允文)@홍인지의장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유학. 본관은 충주(忠州)이며, 홍인지(洪仁祉)의 장인. 중종때 별과시(別科試)로 천거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유학
-
이종(李倧) - 인조(仁祖)
조선 제16대 왕. 재위 1623~1649.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왕위에 올라 친명배금정책(親明排金政策)을 실시하고, 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을 겪음.
1595~16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종(李宗) - 조이종(趙李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조극공(趙克恭)의 아버지로, 계공랑(啓功郞)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이종(李綜) - 이종(李徖)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3남인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차남으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됨.
1432~14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종가(李從珂) - 말제(末帝)@오대십국(후당)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당(後唐)의 제4대 왕. 재위 934~936. 명종(明宗)의 양자로 노왕(潞王)에 봉해짐. 명종 아들 민제(閔帝)를 죽이고 즉위했으나 3년 뒤 분사(焚死)하면서 후당도 멸망함.
885~936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종성(李宗誠) - 이종성(李宗城)@명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1595년(선조 28) 풍신수길(豐臣秀吉)을 왜왕(倭王)으로 책봉하기 위한 흠차책봉일본정사(欽差冊封日本正使)로 조선에 나와, 동래(東萊)의 왜진(倭陣)에 들어갔다가 소문에 놀라 도망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종후(李從厚) - 민제(閔帝)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당(後唐)의 제3대 왕. 재위 933~934. 후당 명종(明宗)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지만 1년 만에 사망함.
?~934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주(李冑) - 이주(李胄)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김종직(金宗直)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진도(珍島)로 유배되었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굉필(金宏弼) 등과 함께 사사(賜死)됨.
146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주(驪珠) - 여의주(如意珠)
용왕(龍王)의 뇌 속에서 나온 구슬. 사람이 이 구슬을 가지면 독(毒)이 해칠 수 없고,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으며, 중생의 소원을 성취시켜 주는 부처의 공덕(功德)이 있다고 전함.
물품>기타물품
-
이죽각(李竹閣) - 이광우(李光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본관은 합천(陜川).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오건(吳健)ㆍ하항(河沆) 등과 교유함. 저서에 《죽각선생문집(竹閣先生文集)》이 있음.
1529~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이죽곡(李竹谷) - 이장영(李長榮)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성균관 유생 시절에 관노(館奴)와 소란을 피운 군졸을 구타하였다가 의금부에 하옥됨. 후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 등을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이중(以中) - 변이중(邊以中)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황주(黃州).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조도사(調度使)로서 전공을 세우고, 화차(火車)를 제조하여 행주대첩(幸州大捷)에 크게 기여함.
1546~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중(彛仲) - 이승상(李承常)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장양부정(長陽副正) 이주(李儔)의 아들이자 이조 참판(吏曹參判) 이식(李拭)의 아버지로, 1528(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죽산 현감(竹山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중(彛仲)@이민서 - 이민서(李敏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의정(領議政) 이경여(李敬輿)의 아들로, 이후여(李厚輿)에게 출계함.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서하집(西河集)》등이 있음.
1633~168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중(而中) - 김권(金權)@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주(全州)로 광해군을 호종한 공으로 청풍군(淸風君)에 봉해짐.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 강계(江界)ㆍ무안(務安)으로 유배되어 죽음.
1549~162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중(而中)@신강 - 신강(申剛)
조선 전기의 문인.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하여 서호(西湖)에서 수작한 일이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이중가(李仲嘉) - 이순형(李純亨)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난(李蘭)의 아들로, 명종(明宗) 때 진위사(陳慰使)로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까지 지냄.
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이중거(李仲擧) - 이산보(李山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대사간(大司諫)으로 재임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을 수습함.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명(明) 나라 군대의 조선 진군과 군량조달에 큰 공을 세움.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중구(李仲久) - 이담(李湛)@151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용인(龍仁).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양산(梁山)에 부처(付處)되었다가 복직된 후 충청도 관찰사 등을 지냄. 성리학자로서 의약ㆍ천문ㆍ산수ㆍ궁술ㆍ서화에도 능함.
1510~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중실(李仲實) - 이욱(李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선전관(宣傳官) 이의로(李義老)의 아들로, 1599년(선조 3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15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중오(李仲悟) - 이언경(李彦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계장(李繼長)의 아들로, 1544년(중종 39)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중원(李中元) - 이중윤(李中允)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성주 목사(星州牧使) 이지유(李之柔)의 아들로, 판결사(判決事)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중응(李仲應) - 이경희(李慶禧)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장령(掌令) 이경우(李慶祐)의 동생으로, 목사(牧使) 등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중익(李仲益) - 이우직(李友直)@1529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선조가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부묘제(祔廟祭)를 마치고 정기(呈技)를 관람하자 이를 비판하다 파직되었으며, 다시 등용되어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중인(李仲仁) - 이성춘(李成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홍주(洪州). 1555년(명종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정황(丁熿)ㆍ고경명(高敬命) 등과 교유함.
15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이중임(李仲任) - 이석간(李碩幹)
조선 전기의 유학ㆍ의원. 본관은 공주(公州). 권호문(權好文)ㆍ박승임(朴承任) 등과 교유하였으며, 의술(醫術)에 정통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유학
-
이지(伊之) - 윤신걸(尹莘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85년(충렬왕 11) 국자시(國子試)에서 시(詩)ㆍ부(賦)로 수석합격함. 충숙왕 때 순성보리공신(純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의평리(僉議評理) 등을 역임함.
1266~133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지(伊摯)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지(履之) - 신복의(辛服義)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지낸 신상은(辛尙殷)의 아들. 1508년(중종 3)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됨.
?~15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지(履之)@전탄부 - 전탄부(全坦夫)
고려 후기의 문신. 벼슬이 중군 녹사(中軍錄事)에 이름. 원수(元帥) 막부(幕府)의 보좌관이 되어 국경을 침범한 거란족을 토벌하던 중 전사함. 사(詞)에 뛰어났으며 이규보(李奎報)가 애사(哀詞)를 지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지(履之)@유지 - 유지(劉砥)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를 스승으로 섬기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지(理之) - 강륜(姜綸)
조선 중종(中宗) 때 남해(南海)의 유학. 대유(大柔) 김구(金絿)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남해에 유배되었을 때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문사>유학
-
이지(理之)@조원기 - 조원기(趙元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정랑(正郞) 조충손(趙衷孫)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숙부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냄.
1457~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지(履之) - 윤이지(尹履之)
조선 선조(宣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영의정(領議政) 윤방(尹昉)의 아들. 1616년(광해군 8)에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ㆍ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579~16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이지공(李之公)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