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지당(二之堂) - 강운상(姜雲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효성이 지극해 정려(旌閭)를 받았으며, 아들 강첨(姜籤)과 손자 강학년(姜鶴年)이 귀하게 되어 인조(仁祖) 때 영의정에 추증됨.
1526~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이지범(李志範) - 이수준(李壽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청강(淸江) 이제신(李齊臣)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왜적을 방어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정조사(正朝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병사(病死)함.
1559~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지봉(李芝峯) - 이수광(李睟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내고, 사신으로 여러 차례 명(明) 나라에 왕래하면서 천주교 지식과 서양 문물을 소개하여 실학(實學) 발전의 선구자가 됨.
1563~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지운(李之芸) - 이지함(李之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치(李穉)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아산 현감(牙山縣監) 등을 지내고, 《토정비결(土亭祕訣)》을 저술함.
1517~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지윤(李志尹) - 이민각(李民覺)@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약빙(李若氷)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전라도에 파견되어 군량미 조달에 공을 세웠으며, 호조 참의(戶曹參議) 등을 지냄.
15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지형(李智亨) - 이수형(李守亨)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큰형 이인형(李仁亨)이 화를 입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였다가,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자살함.
144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이지호(李智浩) - 이지활(李智活)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세조(世祖)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거창(居昌)의 박유산(朴儒山)에 은거하였으며, 단종의 승하 소식을 듣고 통곡하다 죽음.
14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이직(易直) - 왕규(汪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이 종학(從學)한 왕응신(汪應辰)의 아들.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직(而直) - 윤의정(尹義貞)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생원. 본관은 덕산(德山).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를 지낸 윤관(尹寬)의 아들로, 1573년(선조 6)의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유성룡(柳成龍)ㆍ정탁(鄭琢) 등과 교유함.
1525~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이직(而直)@황치경 - 황치경(黃致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병조 정랑(兵曹正郞) 황수(黃瀡)의 아버지로, 전라 감사(全羅監司) 등을 지냄.
1554~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이진(李珍) - 이시진(李時珍)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ㆍ의원. 《본초강목(本草綱目)》의 저자로, 의업(醫業)에 종사하는 한편, 약물의 기준서(基準書)를 집대성하는 일에 주력함.
1518~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
-
이진(而振) - 성순(成錞)
조선 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넷째 아들로, 학문을 연마하고 하홍도(河弘度)와 교류함.
1590~16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이진(而進) - 강면(姜愐)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남평 현감(南平縣監)을 지낸 강종윤(姜宗胤)의 아들로, 함경도 도사(咸鏡道都事)를 지냄.
156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대흥 , 인명>관인>문신
-
이진(頤眞) - 김덕수(金德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효우(孝友)가 출천(出天)했으며, 문장이 뛰어났음. 아버지 김식(金湜) 문하에서 신명인(申命仁)ㆍ오희안(吳希顔) 등과 함께 수학했으며, 문하에서 이언적(李彦迪)ㆍ윤근수(尹根壽) 등이 배출되었음.
1500~155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관인>문신
-
이진국(李鎭國) - 임해군(臨海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첫째 서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포로가 되었다가 석방됨. 동생 광해군(光海君)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4~160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이진매(伊珍買) - 이천(伊川)
강원도 서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구려 때 이진매현(伊珍買縣)이라 부르고 신라 때 이천(伊川)으로 고쳤으며, 벼를 비롯하여 보리ㆍ목화ㆍ대마 등이 경작됨. 별호는 화산(花山)임.
강원도>이천 , 지명>행정지명
-
이진자(頤眞子) - 김덕수(金德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효우(孝友)가 출천(出天)했으며, 문장이 뛰어났음. 아버지 김식(金湜) 문하에서 신명인(申命仁)ㆍ오희안(吳希顔) 등과 함께 수학했으며, 문하에서 이언적(李彦迪)ㆍ윤근수(尹根壽) 등이 배출되었음.
1500~155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관인>문신
-
이진충(李進忠) - 위충현(魏忠賢)
중국 명(明) 나라 희종(熹宗)~의종(毅宗) 때의 환관. 희종의 총애를 업고 전권을 휘두르며 공포정치를 행함으로써 명 나라 멸망을 촉진함. 의종 때 탄핵을 받아 유배 도중 자살함.
1568~162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이징(爾徵) - 여이징(呂爾徵)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함양(咸陽). 한백겸(韓百謙)의 문인으로, 병자호란 때 종묘(宗廟)의 위패를 모시고 강화(江華)로 피하였으며, 공조 참판 등을 역임함. 성리학에 밝고 시문에 능하였으며, 천문(天文)ㆍ역산(曆算)ㆍ서화(書畵)에도 뛰어났음.
1588~16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징군(李徵君) - 이연경(李延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홍문관 교리(弘門館校理)로 재직할 때 조광조(趙光祖)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징군(李徵君)@이희안 - 이희안(李希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조식(曺植)과 교우하며 학문을 연마함.
1504~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이찬(李欑) - 이찬(李穳)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아들.
?~14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이창(爾昌) - 송이창(宋爾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은율 군수(殷栗郡守) 송응서(宋應瑞)의 아들로,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의 문인. 광해군 때 신녕 현감(新寧縣監)으로 재임 중에 칠서지옥(七庶之獄) 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시주(詩酒)로 여생을 보냄.
1561~16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이창석(李蒼石) - 이준(李埈)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흥양(興陽).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남인(南人) 세력을 결집하고 여론을 주도함.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의병을 모집하고 군량미를 조달함.
1560~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천(伊川)@정이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천(梨川) - 이홍주(李弘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도원수(都元帥)가 되어 공을 크게 세웠으며,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죽자 애책문(哀冊文)을 지음.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ㆍ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562~163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천군(伊川君) - 이수례(李壽禮)
조선 전기의 종친. 예종(睿宗)의 둘째 아들 제안대군(齊安大君) 이현(李琄)이 후사가 없이 죽자, 중종(中宗)의 명으로 그의 상례(喪禮)를 주관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천백(伊川伯)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천선생문집(伊川先生文集) - 이천문집(伊川文集)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이(程頤)의 문집. 형인 정호(程顥)의 《명도문집(明道文集)》과 함께 《이정전서(二程全書)》에 들어 있으며, 8권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이천안(李天安) - 이난(李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극영(李克榮)의 아들로, 천안 군수(天安郡守)ㆍ통례원 봉례(通禮院奉禮)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천옹(伊川翁) - 소옹(邵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 이지재(李之才)에게 천문(天文)ㆍ역수(易數) 등을 배우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數理哲學)을 완성함.
1011~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이천정(伊川正) - 이수례(李壽禮)
조선 전기의 종친. 예종(睿宗)의 둘째 아들 제안대군(齊安大君) 이현(李琄)이 후사가 없이 죽자, 중종(中宗)의 명으로 그의 상례(喪禮)를 주관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천정씨(伊川程氏)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천집(伊川集) - 이천문집(伊川文集)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이(程頤)의 문집. 형인 정호(程顥)의 《명도문집(明道文集)》과 함께 《이정전서(二程全書)》에 들어 있으며, 8권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이철동(李哲仝) - 이철동(李哲同)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증손이고,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손자이며, 운림도정(雲林都正) 이핍(李愊)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첨(爾瞻) - 이이첨(李爾瞻)
조선 선조(宣曺)~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대북(大北)의 영수로서, 광해군(光海君) 즉위 후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살해하고 소북(小北)파를 숙청하는 등 생살치폐(生殺置廢)를 자행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나자 처형됨.
1560~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첨(爾瞻)@김이첨 - 김이첨(金爾瞻)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무진(茂珍). 김경선(金景先)의 아들이며, 김이우(金爾盱)ㆍ김이반(金爾盼)의 형. 이색(李穡)이 지은 〈명자설(名字說)〉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이청(以淸) - 정이청(鄭以淸)
조선 전기의 문신. 성균생원(成均生員) 정교(鄭僑)의 아들로 강계 교수(江界敎授)를 지냄.
1498~157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이청(李淸)@이모 - 이모(李瑁)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열여덟째 아들. 무혜비(武惠妃)의 소생으로, 검남절도사(劍南節度使) 등을 지냈으나, 자신의 비(妃)였던 양귀비(楊貴妃)를 현종에게 빼앗김.
?~77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이청강(李淸江)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청강소설(李淸江小說) - 후청쇄어(鯸鯖瑣語)
조선 전기 문신인 이제신(李濟臣)의 수필집(隨筆集). 우리나라의 풍속(風俗)ㆍ관습(慣習) 및 문물제도의 연혁(沿革)ㆍ고사(故事) 등이 실려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이청련(李靑蓮) - 이후백(李後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와 양관 제학(兩館提學)을 지냈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덕망이 높아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음.
1520~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이청벽(李靑壁) - 이수연(李守淵)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예학(禮學)과 이기설(理氣說)에 밝고 시문(詩文)에도 능하였으며, 이황(李滉)의 학문을 정리하여 《퇴계선생속집(退溪先生續集)》을 편찬함.
1693~17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청호(李靑湖) - 이일상(李一相)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정귀(李廷龜)의 손자이며 이명한(李明漢)의 아들.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고, 효종(孝宗)의 북벌계획 수립에 송시열(宋時烈) 등과 도움을 주었으며,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ㆍ《효종실록(孝宗實錄)》을 편찬함.
1612~166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촬(李繓) - 이목(李牧)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무신. 이좌거(李左車)의 할아버지로, 조 나라 사대명장(四大名將) 중의 한 사람. 오랜 기간 북부 변경지대에 주둔하면서 흉노(匈奴)를 방비함.
?~B.C.22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이최(李漼) - 의종(懿宗)
중국 당(唐) 나라 제17대 황제. 재위 860~873. 선종(宣宗)의 맏아들로, 즉위 후 주색(酒色)에 빠져 정사를 게을리 하고 충간(忠諫)하는 신하를 멀리하며, 불사(佛事)에 재정을 탕진하는 등 방탕하고 무능하였음.
833~87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축(李祝) - 애제(哀帝)@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20대 황제. 재위 904~907. 주온(朱溫)에게 강제로 퇴위 당하고 1년 후에 시해당함.
892~908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춘(李椿) - 도조(度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조부. 익조(翼祖) 이행리(李行里)의 아들로, 몽고 이름은 발안첩목아(孛顔帖木兒). 비는 원나라의 천호(千戶) 벼슬을 받은 박한보(朴閑甫)의 딸 경순왕후(敬順王后). 1394년(태조 3) 4대조를 추존할 때 도왕(渡王)이라 하였다가 2년 후 도조(度祖)로 격상됨.
?~1342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덕원 , 인명>왕실>국왕
-
이춘경(李春卿)@이순인 - 이순인(李純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이이(李珥) 등과 교유하였으며, 특히 문장에 뛰어나 당시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림. 광해군(光海君)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춘경(李春卿)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춘길(李春吉) - 이정(李挺)@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중대광(重大匡) 이계함(李季瑊)의 아들로, 성균관 좨주(成均館祭酒)ㆍ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냈고, 공민왕의 총애를 받아 내불당(內佛堂)을 감역함.
1297~136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이충(以忠) - 정이충(鄭以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호종공신(扈從功臣) 정탁(鄭琢)의 아버지로, 아들의 현달로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고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으로 봉해짐.
?~154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이충(李忡) - 이중(李中)@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가 도망쳐 온 스승 김식을 숨겨준 일로 의금부에 하옥되고 부령(富寧)에 유배됨.
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문사>학자
-
이충무(李忠武) - 이순신(李舜臣)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로서 임진왜란 때 여러 해전에서 연전연승을 거두었으나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전사함.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시문(詩文)에도 능하여 《난중일기(亂中日記)》등의 저서를 남김.
1545~159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이충숙(李忠肅) - 이상길(李尙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1602년(선조 35) 정인홍(鄭仁弘)ㆍ최영경(崔永慶) 등을 정여립(鄭汝立)의 일당으로 몰아 추론한 죄로 유배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화도에 들어갔다가 1637년(인조15)에 자결함. 이항복(李恒福) 등과 교유함.
1556~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충위(李忠衛) - 이선경(李善慶)
조선 후기의 문신. 권문해(權文海)ㆍ백광훈(白光勳) 등과 교유하고, 찰방(察訪)을 지냄. 그에 관한 기록이 《초간집(草澗集)》과 《옥봉집(玉峯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이충정공유고(李忠正公遺稿) - 동고유고(東皐遺稿)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준경(李浚慶)의 시문집(詩文集). 14권 7책. 활자본. 시(詩)ㆍ상소(上疏)ㆍ서간(書簡)이 주종을 이루며, 허목(許穆)의 발문(跋文)이 있음.
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충청도>청주 , 문헌>서명
-
이충희(李忠僖) - 이인손(李仁孫)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세종(世宗) 때 천추사(千秋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세조의 즉위와 함께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 등을 지냄.
1395~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취사(李炊沙) - 이여빈(李汝馪)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우계(羽溪). 참봉(參奉) 이효신(李孝信)의 아들이며 한우(韓佑)의 문인.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위를 주장하는 정인홍(鄭仁弘)과 이이첨(李爾瞻)을 비판하는 상소문을 올림.
1556~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이치(李治) - 고종(高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3대 황제. 재위 649~683. 전장(典章) 제도를 마무리하였으며, 병이 들자 황후인 측천무후(則天武后)에게 정사를 맡김.
628~68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침(李忱) - 선종(宣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6대 황제. 재위 846~859. 제11대 헌종(憲宗)의 열네 번째 아들로, 환관 마원지(馬元贄) 등에 의해 황태숙(皇太叔)으로 옹립된 후 즉위하였으며, 토번(吐藩)에 빼앗겼던 영토를 회복하는 등 ‘작은 태종(小太宗)’으로 일컬어짐.
810~85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탁(履鐸) - 김이탁(金履鐸)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승지(承旨)를 지낸 김문행(金文行)의 아들로, 밀양 부사(密陽府使)로 있을 때 《밀양읍지(密陽邑誌)》를 편찬함.
1735~17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탄수(李灘叟) - 이연경(李延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홍문관 교리(弘門館校理)로 재직할 때 조광조(趙光祖)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태백(李太白)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이태백선생전집(李泰伯先生全集) - 우강집(盱江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구(李覯)의 문집. 37권. 저자가 일생 동안 지은 글을 모아 엮은 책으로 경학(經學)과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며, 원(元) 나라 때 판각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이태조(李太祖)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태징(李台徵) - 이수준(李壽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청강(淸江) 이제신(李齊臣)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왜적을 방어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정조사(正朝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병사(病死)함.
1559~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택가(李擇可) - 이유근(李惟謹)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승의랑(承議郞) 이시(李偲)의 맏아들로, 1561년(명종 1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택지(李澤之) - 이택(李澤)@이교의아들
조선 성종(成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동지사(同知事)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해서(楷書)를 잘 썼으며, 사예(射藝)에도 뛰어남.
1509~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이토정(李土亭) - 이지함(李之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치(李穉)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아산 현감(牙山縣監) 등을 지내고, 《토정비결(土亭祕訣)》을 저술함.
1517~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퇴계(李退溪)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퇴도(李退陶)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파곡(李坡谷) - 이성중(李誠中)@1539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현손이며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되고 완창부원군(完昌府院君)에 봉해짐.
1539~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이평(以平) - 홍이평(洪以平)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홍덕연(洪德演)의 아버지.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대구 부사(大邱府使) 등을 지냄.
1463~152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이평(夷平) - 안빈세(安貧世)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외손.
1445~147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이평숙(李平叔) - 이함형(李咸亨)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황이 《심경(心經)》을 강의할 때 내린 자구 해석을 이덕홍(李德弘)과 함께 필사하여 《심경석의(心經釋疑)》를 기록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이포새(伊蒲塞) - 우바새(優婆塞)
출가(出家)하지 않고 세속인으로서 불법(佛法)을 믿고 따르는 남자 신도를 이르는 말. 불교의 사부대중(四部大衆)의 하나.
사상>술어>핵심어
-
이풍후(李風后) - 이중호(李仲虎)@이정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고안정(高安正) 이정(李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유우(柳藕)의 문인.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심하였으며, 문장(文章)에 뛰어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음.
1512~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이하(以河) - 양이하(梁以河)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제주(濟州). 양담(梁湛)의 아들이며,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버지. 능성(綾城)에 살 때 흥학육영(興學育英)에 힘쓰고, 문자수(文自修)ㆍ민회삼(閔懷參) 등과 함께 읍규(邑規) 등을 재정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이하경(李廈卿) - 이담(李橝)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해수(李海壽)의 증손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석곡(石谷)의 옥사에 연루되어 삼수(三水)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학(理學) - 성리학(性理學)
중국 송(宋) 나라 때 유학(儒學)의 한 계통으로, 인간 본연의 성(性)을 발현하기 위해 물(物)에 대한 이(理)를 참고해야 한다는 것을 요지로 하는 철학.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이학록(理學錄)@송계원명이학통록 -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
조선 전기의 학자 이황(李滉)이 여러 서책에서 남송(南宋) 이래 명대(明代)에 이르는 성리학자(性理學者)들의 언행(言行)과 사적(事跡)을 뽑아 정리한 책.
155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이학록(理學錄) - 황명이학명신언행록(皇明理學名臣言行錄)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양렴(楊廉)이 설선(薛瑄) 등 명 나라 유학자 15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 2권.
1523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이학명신록(理學名臣錄) - 황명이학명신언행록(皇明理學名臣言行錄)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양렴(楊廉)이 설선(薛瑄) 등 명 나라 유학자 15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 2권.
1523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이학통록(理學通錄) -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
조선 전기의 학자 이황(李滉)이 여러 서책에서 남송(南宋) 이래 명대(明代)에 이르는 성리학자(性理學者)들의 언행(言行)과 사적(事跡)을 뽑아 정리한 책.
1559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이한(以漢) - 최이한(崔以漢)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최응룡(崔應龍)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이한음(李漢陰)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할(李劼) - 이면(李勉)@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이해수(李海壽)의 종자(從子).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이항(李恒)@목종 - 목종(穆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12대 황제. 재위 821~824. 헌종(憲宗)의 셋째 아들. 재임 중에 연회와 외유를 일삼아 우이당쟁(牛李黨爭)이 일어나고, 번진(藩鎭)의 반란과 토번(吐藩)과의 무리한 대결로 인해 국고가 탕진되자 결국 자살함.
795~824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항지(李恒之) - 이항(李恒)@이자영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반궁성의(反躬誠意)ㆍ주경궁리(主敬窮理)를 학문 경향으로 삼음. 1566년(명종 21)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의영고 영(義盈庫令) 등을 지냄.
1499~15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해동(李海東) - 이광(李㼅)
조선 후기의 종친. 제25대 철종(哲宗)의 아버지로, 부모ㆍ형ㆍ형수 등의 죄에 연좌되어 강화부(江華府) 교동(喬桐)으로 쫓겨나 빈농으로 삶. 1849년 셋째 아들 덕완군(德完君) 이원범(李元範)이 철종에 등극하자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에 추봉됨.
?~184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교동 , 인명>왕실>종친
-
이행(利行) - 강이행(姜利行)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안복(姜安福)의 아들이며, 강징(姜澂)ㆍ강린(姜潾)의 아버지로, 충무위 부사맹(忠武衛副司猛)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이행리(李行里) - 익조(翼祖)@조선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증조부. 1394년(태조 3)에 익왕(翼王)으로 추존되고, 태종(太宗) 때 익조(翼祖)로 추존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ㅣ함경도>경흥 , 인명>왕실>국왕
-
이향(李享) - 이돈(李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참봉(參奉) 이원회(李元晦)의 아들이며 이공(李珙)의 문인으로,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68~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이향(李珦) - 문종(文宗)@조선
조선 제5대 왕. 재위 1450~1452. 20년 간 세자로 있으면서 세종(世宗)을 보필한 공이 컸으나, 몸이 약하여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사함.
1414~14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헌(怡軒) - 성여완(成汝完)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서밀직(簽書密直)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고려가 망하자 포천(抱川)에 은거함.
1309~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이헌(而軒) - 구치관(具致寬)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운 공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봉해지고, 사후(死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추록됨. 영의정(領議政)등을 지냄.
1406~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이헌(頤軒)@서기 - 서기(徐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이천(利川).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 이지함(李之菡)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의 문인.
1523~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
-
이헌(頤軒)@허침 - 허침(許琛)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재직할 때 덕행과 학문으로 세자이던 연산군의 총애를 받았고, 성종(成宗) 때 윤비(尹妃)의 폐위를 반대하여 갑자사화(甲子士禍)에 화를 면했으며, 좌의정 등을 역임함.
1444~150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이헌(頤軒) - 박석명(朴錫命)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정종(定宗)이 태종에게 선위(禪位)할 때 그 교서(敎書)를 전하였으며, 태종에게 황희(黃喜)를 천거함.
1370~140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