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이헌(李憲) - 영왕(寧王)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현종(玄宗)의 형. 처음에 황태자(皇太子)가 되었다가 뒤에 영(寧) 땅의 왕(王)으로 봉해짐. 아들은 ‘주중팔선인(酒中八仙人)’ 중의 한 사람으로 알려진 이진(李璡).
?~741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이헌장(李憲長) - 이자화(李自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호조 판서(戶曹判書) 이자견(李自堅)과 좌참찬(左參贊) 이자건(李自健)의 아우로,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현(以顯) - 이이현(李以顯)
조선 전기의 문인. 노수신(盧守愼)과 교유하였으며, 그의 부탁으로 이연경(李延慶)에 대하여 지은 시의 내용이 《소재집(穌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이현(李儇) - 희종(僖宗)
중국 당(唐) 나라의 제18대 황제. 재위 873~888.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고, 재위 중에 황소(黃巢)의 반란군이 장안(長安)을 침략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음.
862~888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현(李顯) - 중종(中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683~684, 705~710. 고종(高宗)의 제7자로 어머니는 측천무후(則天武后). 제위(帝位)에 있는 동안 어머니와 황후인 위후(韋后)에게 휘둘려 이름뿐인 황제였음.
656~71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현(而見) - 유성룡(柳成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권율(權慄)ㆍ이순신(李舜臣)을 천거하여 왜란에 대비하고 군대 양성과 군비 확충에 노력함. 도학(道學)ㆍ문장(文章)ㆍ덕행(德行)ㆍ글씨로 이름을 떨쳐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음.
1542~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현(而顯) - 성문덕(成聞德)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교리(校理)를 지낸 성담년(成聃年)의 증손으로, 형 성준덕(成駿德)과 함께 성혼(成渾)을 방문하여 교유한 일이 《우계집(牛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이현산(李玄山) - 이계기(李啓基)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영의정 성준(成俊)의 장인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세자 책봉을 축하하는 시를 지어 올림.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적성 , 인명>관인>문신
-
이현실(李玄實) - 이현보(李玄寶)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영천(永川). 지대구군사(知大丘郡事) 이보흠(李甫欽)의 아버지로, 부사직(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무신
-
이현학사(而見學士) - 유성룡(柳成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권율(權慄)ㆍ이순신(李舜臣)을 천거하여 왜란에 대비하고 군대 양성과 군비 확충에 노력함. 도학(道學)ㆍ문장(文章)ㆍ덕행(德行)ㆍ글씨로 이름을 떨쳐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음.
1542~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혈(李娎) - 성종(成宗)@조선
조선 제9대 왕. 재위 1469~1494. 세종(世宗)과 세조(世祖)가 이룩한 치적을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정책을 펼쳤으며,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는 등 국가통치체제를 완비함.
1457~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형(以衡) - 김이형(金以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이형(伊衡)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이형(李亨) - 숙종(肅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7대 국왕. 재위 756~762.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진압하는데 주력했지만 병으로 재위 7년 만에 사망함.
71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호(彛好) - 임상덕(林象德)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강목체(綱目體)의 역사서인 《동사회강(東史會綱)》 등이 있음.
1683~17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호(李峼)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우강전집(盱江全集) - 우강집(盱江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구(李覯)의 문집. 37권. 저자가 일생 동안 지은 글을 모아 엮은 책으로 경학(經學)과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며, 원(元) 나라 때 판각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우겸(友謙) - 장우겸(張友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구례(求禮). 의흥위 부사맹(義興衛副司猛)을 지낸 장한생(張漢生)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문사>유학
-
우경(友卿) - 권주(權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중국어에 능통해 대명 외교에 일익을 담당.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57~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우경(宇經) - 백우경(白宇經)
신라 선덕왕(善德王) 때의 귀화인. 당(唐) 나라 소주(蘇州) 사람으로 이부 상서(吏部尙書)을 지냈으나, 모함을 받고 신라로 망명함. 수원백씨(水原白氏)의 시조.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
-
우경(禹卿) - 목장흠(睦長欽)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목첨(睦詹)의 아들. 광해군(光海君) 때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향리로 돌아갔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다시 관직에 나옴.
1572~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
-
우경(芋莖) - 토란(土卵)
천남성과(天南星科)의 다년초(多年草).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 전통 민화(民畵)나 문양(紋樣)에서 무병장수(無病長壽)를 상징하며, 중국의 민산(岷山)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고 함.
자연물>식물
-
우경(虞卿)@송여해 - 송여해(宋汝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음직(蔭職)으로 참봉(參奉)이 되고 안동 부사(安東府使)로 나아가 선정을 베풂.
1452~15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우경(虞卿)@김순고 - 김순고(金舜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김승주(金承霔)의 후손으로, 수군의 전비(戰備)에 관심이 높아 최초로 전선(戰船)의 수미에 포(砲)를 비치하게 함.
1489~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우경(虞卿) - 권희익(權希益)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인.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우경선(禹景善) - 우성전(禹性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이었다가 이발(李潑)과의 갈등으로 인해 남인(南人)의 거두가 됨.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많은 전공을 세우고, 해염(海鹽)과 식량을 조달하여 난민을 구제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계(愚溪)@황한충 - 황한충(黃漢忠)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훈도(訓導)를 지낸 황석(黃錫)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뒤 순흥(順興)의 우수동(愚叟洞)에 은거함.
14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우계(愚溪)@하맹보 - 하맹보(河孟寶)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노진(盧禛)의 문인(門人)으로, 노진을 애도하며 지은 제문(祭文)이 《옥계집(玉溪集)》에 실려 있으며, 함양(咸陽)의 구천서원(龜川書院)에 배향됨.
1531~15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우계(愚溪)@유종원 - 유종원(柳宗元)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당송팔대가(唐宋八代家)의 한 사람. 고문(古文)의 대가로서 한유(韓愈)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 우언(寓言) 형식을 취한 풍자문(諷刺文)과 산수(山水)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
773~81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우계(牛溪)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계(牛溪)@이소생 - 이소생(李紹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포(李包)의 아들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세조(世祖)의 불의(不義)를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대흥(大興)으로 내려가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대흥 , 인명>관인>문신
-
우계(雨溪) - 김명석(金命錫)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이재(李栽)의 문인(門人). 문학으로 일가를 이루었고, 특히 시(詩)는 독보적 존재로 평가됨.
1675~176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학자
-
우계거사(愚溪居士) - 황한충(黃漢忠)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훈도(訓導)를 지낸 황석(黃錫)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뒤 순흥(順興)의 우수동(愚叟洞)에 은거함.
14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우계거사(牛溪居士)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계당(牛溪堂) - 이소생(李紹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포(李包)의 아들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세조(世祖)의 불의(不義)를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대흥(大興)으로 내려가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대흥 , 인명>관인>문신
-
우계문집(牛溪文集) - 우계집(牛溪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혼(成渾)의 시문집. 14권 8책. 목판본. 원집(原集)은 1621년(광해군 13)에 간행되고, 속집(續集)은 1682년(숙종 8)에 간행됨.
16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임실 , 문헌>서명
-
우계문집(雨溪文集) - 우계집(雨溪集)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인 김명석(金命錫)의 시문집. 4권 2책. 필사본. 김회운(金會運)이 쓴 행장으로 볼 때 1830년대에 증손 김엽운(金曄運)이 편집한 것으로 추정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우계선생집(牛溪先生集) - 우계집(牛溪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혼(成渾)의 시문집. 14권 8책. 목판본. 원집(原集)은 1621년(광해군 13)에 간행되고, 속집(續集)은 1682년(숙종 8)에 간행됨.
16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임실 , 문헌>서명
-
우계한민(牛溪閑民) - 성수침(成守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아버지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벼슬을 단념하고 경서 공부에 전념함. 그 문하에서 많은 석학들이 배출됨.
1493~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우곡(愚谷) - 정이오(鄭以吾)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신중(鄭臣重)의 아들로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 등과 교유하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냈으며, 《태조실록(太祖實錄)》편찬에 참여함.
1347~14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우곡(愚谷)@정양생 - 정양생(鄭良生)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사위로, 청주(淸州)에서 《관동와주(關東瓦注)》을 간행함.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39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우곡(羽曲) -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선악(仙樂) 이름. 현종이 꿈에 방사(方士)와 월궁(月宮)에서 놀다가 그 음악을 듣고 돌아와 지었다는 설과, 양경충(楊敬忠)이 지어 바쳤다는 설과, 양경술(楊敬述)이 지었다는 설 등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우곡(羽谷) - 우계(羽溪)
강원도 강릉(江陵) 남쪽 60리 지점에 있던 고을 이름. 통일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삼척(三陟)에 속하였다가 고려 현종(顯宗) 때 강릉의 속현이 되었으며, 현재 강릉시 옥계면(玉溪面) 일대에 속함.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우곤(于髡) - 순우곤(淳于髡)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변사(辯士). 학문이 깊고 넓어 섭렵하지 않은 것이 없었으며, 초(楚) 나라가 제 나라를 치려 할 때 조왕(趙王)을 설복(說服)해 정병(精兵) 십만을 얻어서 위기를 모면함.
B.C.386~B.C.31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우공(友恭) - 반우공(潘友恭)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반우단(潘友端)의 아우이며,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강회선무사사간관(江淮宣撫使司干官)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굉(宇宏) - 김우굉(金宇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대사성(大司成)ㆍ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1524~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우교(于喬) - 사천(謝遷)
중국 명(明) 효종(孝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병부 상서(兵部尙書) 겸 동각태학사(東閣太學士) 등을 역임하였으며, 도량 있는 정치를 펴서 어진 재상이라 칭송되었음.
1449~153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구암(禹懼庵) - 우복룡(禹伏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용궁 현감(龍宮縣監)으로서 고을을 사수한 뒤 안동 부사(安東府使)로 승진하였으며, 홍주 목사(洪州牧使) 시절에 선정을 베풀어 선조의 신임을 얻음.
1547~161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국재(友菊齋) - 홍경손(洪敬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 홍지(洪智)의 아들이며, 고려 왕족인 왕규(王珪)의 외손. 세조(世祖) 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등을 지냄.
1409~148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우국재선생문집(友菊齋先生文集) - 우국재집(友菊齋集)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홍경손(洪敬孫)의 시문집. 4권 1책. 목활자본. 1729년(영조 5) 12세손 홍병모(洪秉模)에 의해 편집ㆍ간행됨.
17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우군(右軍) - 왕희지(王羲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서예가ㆍ문신. 동진 왕조 건설에 공적이 컸던 왕도(王導)의 조카로, 중국 고금(古今)의 첫째가는 서성(書聖)으로 존경받고 있음.
307~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우근(友謹) - 김우근(金友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선공감 첨정(繕工監僉正)ㆍ제주 목사(濟州牧使) 등을 지내고, 정수강(丁壽崗)ㆍ박상(朴祥)과 교유하여 《월헌집(月軒集)》ㆍ《눌재집(訥齋集)》에 차운시ㆍ별시(別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우금성(禹金城) - 우금산성(禹金山城)
삼국시대 전라북도 부안(扶安)에 축조한 산성. 복신(福信) 등의 백제부흥군이 나당연합군(羅唐聯合軍)의 김유신(金庾信)ㆍ소정방(蘇定方)에 맞서 싸우다가 패배한 곳으로, 백제 최후의 항거 거점이 됨.
한국>백제 , 전라도>부안 , 유적>시설>성,진,책
-
우기(于器) - 안우기(安于器)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문성공(文成公) 안향(安珦)의 아들. 충렬왕 때 국학좨주(國學祭酒)로 최응(崔凝)과 함께 과거를 주관하였고, 우부승지(右部承旨)ㆍ밀직부사(密直副使) 등을 역임하였음.
1265~132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우기장(牛奇章) - 우승유(牛僧孺)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 때의 문신. 고공원외랑(考功員外郞) 등을 지내고, 목종의 신임을 받아 재상이 됨. 이종민(李宗閔)과 붕당(朋黨)을 만들어 이덕유(李德裕) 일파와 정쟁을 벌임.
779~84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우내(芌嬭) - 토란(土卵)
천남성과(天南星科)의 다년초(多年草).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 전통 민화(民畵)나 문양(紋樣)에서 무병장수(無病長壽)를 상징하며, 중국의 민산(岷山)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고 함.
자연물>식물
-
우단(友端) - 반우단(潘友端)
중국 송(宋) 나라 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효종(孝宗) 때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태학박사(太學博士)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달(佑達) - 최우달(崔佑達)
통일신라 말~고려 초의 문신. 고려 건국에 공을 세운 최응(崔凝)의 아버지. 개성최씨(開城崔氏)의 시조로, 신라의 대상(大相)을 지냄.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우당(憂堂) - 박융(朴融)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부 시랑(禮部侍郞) 박익(朴翊)의 아들이며, 전적(典籍) 박진(朴震)과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박건(朴乾)의 아버지로, 전한(典翰) 등을 지냄. 아우 박소(朴昭)ㆍ박조(朴調)ㆍ박총(朴聰) 등과 함께 사우당(四友堂)으로 불림.
?~14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우당(雨塘) - 마문룡(馬文龍)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사제사신(賜祭使臣)으로 조선에 왔을 때 송인(宋寅)과 시문을 주고받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우덕(友德)@부우덕 - 부우덕(傅友德)
중국 명(明) 나라의 장군. 원(元) 나라 말에 주원장(朱元璋)에게 투항한 후 많은 전공(戰功)을 세워 영국공(潁國公)에 봉해짐.
?~1394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우덕(友德) - 강우덕(姜友德)
조선 정종(定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강회백(姜淮伯)의 아들.
1385~14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우도(友道) - 이손(李遜)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이사도(李師道)의 난 토벌에 참여하였고, 절동도단련관찰사(浙東都團練觀察使)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760~82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우도(牛桃) - 앵도(櫻桃)
앵두. 열매는 꾀꼬리가 먹고, 생김새가 복숭아와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 단오(端午)를 전후하여 가장 먼저 익기 때문에 귀한 제물(祭物)로 여겼으며, 약재(藥材)로도 쓰였음.
자연물>식물
-
우동계(禹東溪) - 우복룡(禹伏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용궁 현감(龍宮縣監)으로서 고을을 사수한 뒤 안동 부사(安東府使)로 승진하였으며, 홍주 목사(洪州牧使) 시절에 선정을 베풀어 선조의 신임을 얻음.
1547~161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두(牛頭) - 법융(法融)@당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이며 우두선(牛頭禪)의 개조(開祖). 19세에 경사(經史)에 통달하고, 《대반야경(大般若經)》을 읽다가 진공(眞空)의 이치를 깨달음.
594~657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우두(牛頭)@강수 - 강수(强首)
통일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문무왕(文武王) 때의 학자ㆍ문인. 유교 관료적 소양을 지닌 당대 최고의 문장가로서 외교문서인 〈청방인문표(請放仁問表)〉ㆍ〈답설인귀서(答薛仁貴書)〉가 전함. 외교문서로써 삼국통일에 공을 세웠다 하여 사찬(沙飡)의 관등을 받음.
?~692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우두(芋頭) - 토란(土卵)
천남성과(天南星科)의 다년초(多年草).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 전통 민화(民畵)나 문양(紋樣)에서 무병장수(無病長壽)를 상징하며, 중국의 민산(岷山)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고 함.
자연물>식물
-
우두(芌頭) - 토란(土卵)
천남성과(天南星科)의 다년초(多年草).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 전통 민화(民畵)나 문양(紋樣)에서 무병장수(無病長壽)를 상징하며, 중국의 민산(岷山)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고 함.
자연물>식물
-
우두산(牛頭山) - 가야산(伽倻山)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 사이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우두성(牛頭城) - 한산(韓山)
충청도 남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이곡(李穀) 등을 배향한 문헌서원(文獻書院)이 있으며, 지금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함.
충청도>한산 , 지명>행정지명
-
우랑(牛郎) - 견우(牽牛)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남자 주인공. 견우성(牽牛星)을 의인화한 것으로, 매년 칠월 칠석(七夕)에 은하수를 건너 직녀와 만난다고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우랑성(牛郞星) - 견우성(牽牛星)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하나. 북방(北方) 현무칠수(玄武七宿)의 두 번째 별자리로, 은하(銀河)의 동쪽에 있으며, 은하 서쪽의 직녀성(織女星)과 마주 대함.
자연물>천체
-
우량(友良) - 노우량(盧友良)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이며, 예문관 교리(藝文館校理)를 지낸 노분(盧昐)의 아들. 함양(咸陽)에서 부모의 상(喪)을 지키다 병으로 사망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우량(友諒)@서우량 - 서우량(徐友諒)
조선 전기의 유학. 노수신(盧守愼)과 친분이 있어, 민성(閔誠)과 함께 자(字)를 지어줄 것을 청함. 노수신이 보낸 시들이 《소재집(穌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우량(友諒) - 이우량(李友諒)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손자. 본관은 전주(全州).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형 이우직(李友直)과 함께 연좌되어 죽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우련헌(友蓮軒) - 김근독(金謹獨)
조선 전기의 문신. 채수(蔡壽)와 교유하였고, 《나재집(懶齋集)》에 그의 당호(堂號)인 〈우련헌기(友蓮軒記)〉가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우령(牛嶺) - 우봉(牛峯)
황해도 남동쪽에 있던 옛 고을 이름. 1651년(효종 2)에 강음(江陰)과 병합하여 금천(金川)으로 개명함. 현재 황해북도 금천군(金川郡)에 속함.
황해도>우봉 , 지명>행정지명
-
우로(尤老) - 송시열(宋時烈)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남인(南人)과 대립하고, 후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賜死)됨.
1607~168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로(牛老) - 안방준(安邦俊)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죽산(竹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등 국난을 당할 때마다 의병을 일으켜 항쟁함. 관직을 여러 번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보성(寶城) 우산(牛山)에 들어가 후진 양성에 전념함.
1573~165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룡(友龍) - 양우룡(梁友龍)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 양우(梁祐)의 아들로, 선공시 승(繕工寺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우루항생(愚陋巷生) - 안회(顔回)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 공자(孔子)가 가장 신임했던 수제자로,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도를 즐기고 학문과 덕행으로 이름을 높임.
B.C.521~B.C.49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우륵대(于勒臺) - 탄금대(彈琴臺)
충청도 충주(忠州)의 견문산(犬門山)에 있는 절벽 바위.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 우륵(于勒)이 가야금을 탄주하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하며, 임진왜란 때 신립(申砬)이 소서행장(小西行長)과 맞서 싸우다 전사한 곳이기도 함.
충청도>충주 , 유적>기타유적ㅣ지명>자연지명
-
우릉(羽陵) - 울릉도(鬱陵島)
울진(蔚珍)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 지증왕(智證王)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 조선 숙종(肅宗) 때 안용복(安龍福)이 월경(越境)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伯耆島主)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
강원도>울진 , 지명>자연지명
-
우릉(芋陵) - 울릉도(鬱陵島)
울진(蔚珍)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 지증왕(智證王)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 조선 숙종(肅宗) 때 안용복(安龍福)이 월경(越境)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伯耆島主)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
강원도>울진 , 지명>자연지명
-
우릉도(羽陵島) - 울릉도(鬱陵島)
울진(蔚珍)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 지증왕(智證王)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 조선 숙종(肅宗) 때 안용복(安龍福)이 월경(越境)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伯耆島主)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
강원도>울진 , 지명>자연지명
-
우린(于鱗) - 이반룡(李攀龍)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고, 왕세정(王世貞) 등과 함께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함.
1514~157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우만(宇萬) - 기우만(奇宇萬)
근대의 학자ㆍ의병장. 본관은 행주(幸州). 기정진(奇正鎭)의 손자로 가학을 계승하여 성리학을 연구하였으며, 1895년 이후 의병을 일으켜 일제에 저항함.
1846~1927 한국>근대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
-
우만(寓灣) - 이장곤(李長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중종 때 창성(昌城)에 침입한 야인(野人)을 격파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처형을 반대하다가 삭탈관직됨.
147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우만(祐灣) - 이장곤(李長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중종 때 창성(昌城)에 침입한 야인(野人)을 격파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처형을 반대하다가 삭탈관직됨.
147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우만(雨灣) - 이장곤(李長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중종 때 창성(昌城)에 침입한 야인(野人)을 격파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처형을 반대하다가 삭탈관직됨.
147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우명(佑明) - 김우명(金佑明)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외척. 영의정 김육(金堉)의 아들이며, 현종(顯宗) 비(妃)인 명성왕후(明聖王后)의 아버지. 같은 서인(西人)이었던 송시열(宋時烈)과 대립하여 한당(漢黨)의 중진이 되어 남인인 허적(許積)에 동조하였으나, 남인과의 알력이 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은둔함.
1619~167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우명(友明)@하우명 - 하우명(河友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을 지낸 하연(河演)의 아들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역임하였으며, 효행으로 정려(旌閭)됨.
14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우명(友明) - 노우명(盧友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음운학(音韻學)에 조예가 깊고 해서(楷書)에 능함.
1471~152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모(禹謨)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우모(虞謨)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우문(友文) - 반우문(潘友文)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영종(寧宗) 때 곤산현(昆山縣)을 다스리면서 인자하고 백성들을 사랑하였으므로 ‘반불자(潘佛子)’라 일컬어졌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교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우문(宇文)@북주 - 북주(北周)
중국 남북조시대의 왕조. 서위(西魏)의 실권가인 우문태(宇文泰)의 조카 우문호(宇文護)가 서위의 공제(恭帝)를 밀어내고 세움. 폭군 선제(宣帝) 대에 이르러 수(隋) 나라의 양견(楊堅)에 의해 멸망함.
557~58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우문빈(宇文贇) - 선제(宣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의 제4대 황제. 재위 578~579. 무제(武帝)의 맏아들이며 정제(靜帝)의 아버지. 포악하고 황음무도(荒淫無道)하여 국력의 쇠퇴를 초래함.
559~58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우문옹(宇文邕) - 무제(武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의 제3대 황제. 재위 560~578. 우문태(宇文泰)의 넷째 아들로, 우문호(宇文護)가 명제(明帝)를 독살하고 옹립했는데, 후에 우문호를 제거하고 친정(親政)함. 재임 중에 북제(北齊)를 정벌하고 배불(排佛) 정책을 시행함.
?~57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