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우문주(宇文周) - 북주(北周)
중국 남북조시대의 왕조. 서위(西魏)의 실권가인 우문태(宇文泰)의 조카 우문호(宇文護)가 서위의 공제(恭帝)를 밀어내고 세움. 폭군 선제(宣帝) 대에 이르러 수(隋) 나라의 양견(楊堅)에 의해 멸망함.
557~58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우문태(宇文泰) - 문제(文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 무제(武帝)의 아버지. 서위(西魏)의 재상으로 정권을 잡아 이호(李虎)ㆍ양충(楊忠) 등과 함께 8주국(八柱國)으로 불렸으며, 부병(府兵) 제도 등 관제와 법률을 정비하여 북주의 기초를 닦음. 후에 태조 문황제(太祖文皇帝)로 추존됨.
505~5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국왕
-
우민(友閔) - 이우민(李友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오봉공(五峯公) 이호민(李好閔)의 큰형으로, 1546년(명종 1)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우바사가(優婆私訶) - 우바이(優婆夷)
출가(出家)하지 않고 세속인으로서 불법(佛法)을 믿고 따르는 여자 신도를 이르는 말. 불교의 사부대중(四部大衆)의 하나.
사상>술어>핵심어
-
우바사가(優波娑迦) - 우바새(優婆塞)
출가(出家)하지 않고 세속인으로서 불법(佛法)을 믿고 따르는 남자 신도를 이르는 말. 불교의 사부대중(四部大衆)의 하나.
사상>술어>핵심어
-
우바새(優婆色) - 우바새(優婆塞)
출가(出家)하지 않고 세속인으로서 불법(佛法)을 믿고 따르는 남자 신도를 이르는 말. 불교의 사부대중(四部大衆)의 하나.
사상>술어>핵심어
-
우범(禹範)@서경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우범(禹範) - 경구주(耿九疇)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문신. 진사(進士)에 급제하여 남경(南京) 형부 상서(刑部尙書)를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우보(祐甫) - 이우보(李祐甫)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효공(李孝恭)의 아들로, 1464년(세조 10)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직제학(直提學)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우복(于復) - 유자광(柳子光)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켜 사림파(士林派)를 제거하여 훈구파(勳舊派)의 기반을 굳힘. 중종반정 때 무령부원군(武靈府院君)으로 봉해졌다가 홍문관(弘文館)ㆍ예문관(藝文館)의 탄핵으로 유배되어 죽음.
?~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우복(愚伏)@유전 - 유전(柳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상서원 직장(尙瑞院直長) 유예선(柳禮善)의 아들. 정여립(鄭汝立)의 옥사를 다스린 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31~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우복(愚伏) - 정경세(鄭經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대제학(大提學)을 지냄.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음.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복문집(愚伏文集) - 우복집(愚伏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경세(鄭經世)의 시문집. 20권 10책. 목판본. 사위 송준길(宋浚吉)과 후손 정도응(鄭道應)의 주관 하에 정리 편차하여, 1657년(효종 8) 상주(尙州) 도남서원(道南書院)에서 간행함.
165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문헌>서명
-
우복선생문집(愚伏先生文集) - 우복집(愚伏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경세(鄭經世)의 시문집. 20권 10책. 목판본. 사위 송준길(宋浚吉)과 후손 정도응(鄭道應)의 주관 하에 정리 편차하여, 1657년(효종 8) 상주(尙州) 도남서원(道南書院)에서 간행함.
165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문헌>서명
-
우봉(牛峯)@김준 - 김준(金嶟)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우봉 현감(牛峯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우봉(牛峰) - 이극배(李克培)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세조(世祖)와 성종(成宗)의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 및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임명되자 노병으로 사양함.
1422~149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우부(愚夫) - 김혜(金譓)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김소석(金召奭)의 아들로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문사>유학
-
우부(迂夫) - 사마광(司馬光)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구법당(舊法黨)의 영수로, 왕안석(王安石) 일파의 신법(新法)을 폐지하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함.
1019~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부군(禹府君) - 우예손(禹禮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부령 부사(富寧府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외손인 이제신(李濟臣)이 지은 지문(誌文)이 《청강집(淸江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무신
-
우부정(禹副正) - 우세신(禹世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우엄(禹淹)의 아들로, 1552년(명종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종부시 정(宗簿寺正) 등을 지냄.
1518~159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빈(虞賓) - 단주(丹朱)
중국 고대 요(堯) 임금의 아들. 불초(不肖)하여 왕위를 잇지 못하고, 순(舜) 임금 때 당후(唐侯)로 봉해짐. 순 임금의 손님이란 뜻으로 우빈(虞賓)이라 불림.
고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우사(牛師) - 신우(信牛)
조선 전기의 승려. 황준량(黃俊良)의 《금계집(錦溪集)》에 〈차증신우사(次贈信牛師)〉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우사(雩沙) - 이세백(李世白)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송시열(宋時烈)의 유배에 반대하다가 파직당하였으나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복직됨. 노론(老論)의 중심 인물로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635~17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우산(于山) - 울릉도(鬱陵島)
울진(蔚珍)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 지증왕(智證王)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 조선 숙종(肅宗) 때 안용복(安龍福)이 월경(越境)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伯耆島主)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
강원도>울진 , 지명>자연지명
-
우산(牛山) - 계융(契融)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성석린(成石璘)ㆍ이직(李稷)과 교유하여 《독곡집(獨谷集)》ㆍ《형재시집(亨齋詩集)》에 차운(次韻)한 시들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우산(牛山)@안방준 - 안방준(安邦俊)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죽산(竹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등 국난을 당할 때마다 의병을 일으켜 항쟁함. 관직을 여러 번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보성(寶城) 우산(牛山)에 들어가 후진 양성에 전념함.
1573~165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산(芋山) - 울릉도(鬱陵島)
울진(蔚珍)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 지증왕(智證王)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 조선 숙종(肅宗) 때 안용복(安龍福)이 월경(越境)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伯耆島主)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
강원도>울진 , 지명>자연지명
-
우산(虞山) - 전겸익(錢謙益)
중국 명(明)~청(淸) 나라의 문신ㆍ문인. 명 나라가 망하자 청조(淸朝)의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이 되어 《명사(明史)》편찬에 참여함. 사후 건륭제(乾隆帝)로부터 불충지신(不忠之臣)으로 비난받아 저서의 판목(版木)이 모두 불태워짐.
1582~1664 중국>청ㅣ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우산국(于山國) - 울릉도(鬱陵島)
울진(蔚珍)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 지증왕(智證王)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 조선 숙종(肅宗) 때 안용복(安龍福)이 월경(越境)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伯耆島主)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
강원도>울진 , 지명>자연지명
-
우산군(牛山君)@이종 - 이종(李踵)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아들로, 태종의 세 번째 서자인 온녕군(溫寧君) 이정(李裎)에게 출계함.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1506년(연산군 12) 아들들과 함께 죽음을 당함.
?~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우산군(牛山君) - 이종학(李種學)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둘째 아들로, 진현관 제학(進賢館提學) 등을 지냄. 1392년 정몽주(鄭夢周)가 살해된 뒤 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살해됨.
1361~139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문인
-
우산도(于山島) - 울릉도(鬱陵島)
울진(蔚珍)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 지증왕(智證王)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 조선 숙종(肅宗) 때 안용복(安龍福)이 월경(越境)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伯耆島主)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
강원도>울진 , 지명>자연지명
-
우산문집(牛山文集) - 은봉전서(隱峯全書)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의 시문집. 40권 20책. 목활자본. 1773년(영조 49) 5대손 안창현(安昌賢)에 의해 《우산선생집(牛山先生集)》으로 간행되고, 1864년 원집을 증보시켜 중간함.
177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문헌>서명
-
우산선생집(牛山先生集) - 은봉전서(隱峯全書)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의 시문집. 40권 20책. 목활자본. 1773년(영조 49) 5대손 안창현(安昌賢)에 의해 《우산선생집(牛山先生集)》으로 간행되고, 1864년 원집을 증보시켜 중간함.
177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문헌>서명
-
우산잡록(牛山雜錄) - 은봉전서(隱峯全書)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의 시문집. 40권 20책. 목활자본. 1773년(영조 49) 5대손 안창현(安昌賢)에 의해 《우산선생집(牛山先生集)》으로 간행되고, 1864년 원집을 증보시켜 중간함.
177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문헌>서명
-
우산집(牛山集) - 은봉전서(隱峯全書)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의 시문집. 40권 20책. 목활자본. 1773년(영조 49) 5대손 안창현(安昌賢)에 의해 《우산선생집(牛山先生集)》으로 간행되고, 1864년 원집을 증보시켜 중간함.
177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문헌>서명
-
우삼(友參) - 유우삼(劉友參)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거창(居昌)으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낸 유관(劉瓘)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문사>유학
-
우상(宇翔) - 양산룡(梁山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幼學)ㆍ의병장.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송제민(宋濟民)ㆍ양산숙(梁山璹) 등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켜 김천일(金千鎰)의 막하에서 활약함.
155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우상인(雨上人) - 둔우(屯雨)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ㆍ시인. 혼수(混修)ㆍ각운(覺雲)의 고제(高弟).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선 세종(世宗) 때에 회암사(檜巖寺)와 흥천사(興天寺)의 주지를 지냈음.
135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ㅣ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우생(遇生) - 이우생(李遇生)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지낸 이수철(李守哲)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우서(禹瑞) - 김우서(金禹瑞)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북병사(北兵使) 등을 지내고, 전라병영(全羅兵營)을 중창했으며, 〈전라병영중창기(全羅兵營重創記)〉가 양응정(梁應鼎)의 《송천유집(松川遺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우석(禹碩) - 하우석(河禹碩)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사과(司果)를 지낸 하유(河鮪)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우석(禹錫) - 소우석(蘇禹錫)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인달(蘇仁達)의 아들이며, 소사식(蘇斯軾)의 아버지.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우석(禹錫)@유우석 - 유우석(劉禹錫)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왕숙문(王叔文)ㆍ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정치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낭주 사마(朗州司馬)로 좌천되고, 만년에는 백낙천(白樂天)과 교유함.
772~84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우선(于仙) - 우륵(于勒)
가야 가실왕(嘉實王)~신라 진흥왕(眞興王) 때의 악사(樂師). 하가야(下伽倻)ㆍ상가야(上伽倻) 등 십이곡(十二曲)을 지은 가야금의 명인. 우리나라 3대 악성(樂聖) 중의 한 사람으로 추앙됨.
한국>가야ㅣ한국>신라 , 충청도>충주 , 인명>예술인>음악인
-
우선(羽仙) - 이학(李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로,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를 지낸 이세원(李世元)의 아들. 성균관(成均館) 진사(進士)로 명성이 높았고,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절친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우성(牛城) - 우봉(牛峯)
황해도 남동쪽에 있던 옛 고을 이름. 1651년(효종 2)에 강음(江陰)과 병합하여 금천(金川)으로 개명함. 현재 황해북도 금천군(金川郡)에 속함.
황해도>우봉 , 지명>행정지명
-
우성(牛星) - 견우성(牽牛星)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하나. 북방(北方) 현무칠수(玄武七宿)의 두 번째 별자리로, 은하(銀河)의 동쪽에 있으며, 은하 서쪽의 직녀성(織女星)과 마주 대함.
자연물>천체
-
우성(禹成) - 홍윤성(洪允成)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회인(懷仁).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적극 가담하고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도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25~14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산ㅣ충청도>회인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우세(祐世) - 의천(義天)@고려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승려. 문종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출가함. 송(宋) 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해동 천태종(海東天台宗)을 개창함. 흥왕사(興王寺)의 주지가 되어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세웠으며, 《교장(敎藏)》 등을 간행함.
1055~110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왕실>왕자
-
우세군(祐世君) - 종림(宗林)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자은종(慈恩宗)의 도승통(都僧統)을 지냈고, 《목은고(牧隱藁)》와 《복재집(復齋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133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우소(虞韶) - 소소(簫韶)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음악 이름. 아홉 곡조를 연주하자 봉황새가 날아와 춤을 추었다 함.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우송(友松) - 김세규(金世奎)
조선 후기의 문인. 정개청(鄭介淸)의 문인(門人)으로, 정경세(鄭經世)ㆍ이수광(李睟光) 등과 교유하고, 저서에 《우송집(友松集)》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화순 , 인명>문사>문인
-
우송당(友松堂) - 심봉원(沈逢源)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영의정 심연원(沈連源)과 좌의정 심통원(沈通源)의 동생.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ㆍ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 등 청요직을 두루 지내고, 음률(音律)ㆍ의술(醫術)ㆍ서법(書法)에도 통달함.
1497~157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우송당(友松堂)@황윤길 - 황윤길(黃允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590년(선조 23) 통신정사(通信正使)로 일본에 다녀와 일본의 내침을 예견하고 대책을 강구하였으나, 김성일(金誠一)의 상반된 주장으로 뜻을 이루지 못함.
153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우수(尤叟) - 민응기(閔應祺)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광해군(光海君)의 사부(師傅)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수(愚叟)@황한충 - 황한충(黃漢忠)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훈도(訓導)를 지낸 황석(黃錫)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뒤 순흥(順興)의 우수동(愚叟洞)에 은거함.
14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우수(愚叟)@우공 - 우공(愚公)
중국 고대 전설상의 인물. 나이 90에 자기가 살던 북산(北山)을 가로막고 있는 태항산(太行山)과 왕옥산(王屋山)을 옮기기로 맹세하고 흙을 퍼 나르자 천제(天帝)가 감동하여 두 산을 옮겨 주었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우수(愚叟) - 김안로(金安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하다 사사(賜死)되었으며, 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과 함께 정유상흉(丁酉三凶)으로 일컬어짐.
1481~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ㅣ경기도>교하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우수(牛宿) - 견우성(牽牛星)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하나. 북방(北方) 현무칠수(玄武七宿)의 두 번째 별자리로, 은하(銀河)의 동쪽에 있으며, 은하 서쪽의 직녀성(織女星)과 마주 대함.
자연물>천체
-
우수(牛首) - 복희(伏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三皇五帝) 중 첫머리에 꼽히며, 팔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어획(漁獲)과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우수(迂叟)@최덕지 - 최덕지(崔德之)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시인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참의(參議) 최담(崔霮)의 아들.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내고 치사(致仕)하여 영암(靈岩)에 머물렀으며, 시를 잘 지음.
1384~14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우수(迂叟) - 나흥유(羅興儒)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고사(故事)에 밝아 왕의 총애를 받음. 우왕 때 통신사(通信使)로 일본으로 가 왜구 출몰을 금하도록 요구하다가 간첩 혐의로 구속되었으나, 승려 양유(良柔)의 주선으로 석방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우수(迂叟)@사마광 - 사마광(司馬光)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구법당(舊法黨)의 영수로, 왕안석(王安石) 일파의 신법(新法)을 폐지하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함.
1019~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수(遇洙) - 민우수(閔遇洙)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麗興)으로, 충문공(忠文公) 민진후(閔鎭厚)의 아들. 김창협(金昌協)ㆍ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신임사화(辛壬士禍) 이후 관직에서 물러나 학업에 전념함.
1694~175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수동주(愚叟洞主) - 황한충(黃漢忠)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훈도(訓導)를 지낸 황석(黃錫)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뒤 순흥(順興)의 우수동(愚叟洞)에 은거함.
14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우순(虞舜)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우시(于尸) - 영해(寧海)
경상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 서쪽으로 진보(眞寶), 북쪽으로 강원도 평해(平海)와 접해있으며 현재는 경상북도 영덕군(盈德郡)에 속함.
경상도>영해 , 지명>행정지명
-
우시(愚柴) - 고시(高柴)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위 나라 괴외(蒯聵)의 난 때, 길을 걷되 위험한 소로(小路)를 택하지 않는(道而不徑) 효자의 행동처럼 그 난리를 모면하여 빠져 나왔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우시수길(羽柴秀吉) - 풍신수길(豊臣秀吉)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武將). 16세기에 직전신장(織田信長)의 뒤를 이어 일본의 전국 통일을 이룩하고, 조선을 침략해 임진왜란을 일으킴.
1536~1598 일본>도산시대ㅣ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우시축전수(羽柴筑前守) - 풍신수길(豊臣秀吉)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武將). 16세기에 직전신장(織田信長)의 뒤를 이어 일본의 전국 통일을 이룩하고, 조선을 침략해 임진왜란을 일으킴.
1536~1598 일본>도산시대ㅣ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우신(又新) - 윤우신(尹又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징(尹澄)의 아들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우신(友臣) - 김우신(金友臣)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안락당(顔樂堂) 김흔(金訢)의 아버지. 성종의 잠저 시절 사부(師傅)로서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제수받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424~151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우암(寓庵)@홍언충 - 홍언충(洪彦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귀달(洪貴達)의 셋째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간언 상소를 올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73~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우암(寓庵) - 권장(權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명종(明宗)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동생.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1489~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우암(寓庵)@조인규 - 조인규(趙仁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세보(趙世輔)의 아들로,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우암(寓庵)@김주 - 김주(金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선계변무사(璿系辨誣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사명을 완수했으나 그곳에서 병들어 죽음. 문장이 뛰어나고 초서를 잘 씀.
1512~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우암(寓菴) - 홍언충(洪彦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귀달(洪貴達)의 셋째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간언 상소를 올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73~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우암(尤庵) - 송시열(宋時烈)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남인(南人)과 대립하고, 후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賜死)됨.
1607~168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암(尤菴) - 송시열(宋時烈)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남인(南人)과 대립하고, 후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賜死)됨.
1607~168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암(愚菴)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우암(牛巖) - 서예원(徐禮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이천(利川).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내고 진주 목사(晉州牧使)로 있다가 왜적(倭敵)이 침입(侵入)하여 성(城)이 함락되면서 순절(殉節)함.
?~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
-
우암(遇岩) - 이열도(李閱道)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굉(李宏)의 아들로, 종조부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1576년(선조 9)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1538~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우암거사(寓菴居士) - 홍언충(洪彦忠)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 홍귀달(洪貴達)의 셋째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 등을 지냄.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간언 상소를 올려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73~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우암계녀서(尤庵戒女書) - 계녀서(戒女書)
조선 후기의 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이 출가하는 딸에게 교훈으로 삼도록 지어준 글. 한글 필사본. 1책. 조선시대 사대부가(士大夫家) 부녀자들의 행동에 관한 사회적 규범을 보여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우암문집(尤庵文集) - 우암집(尤庵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시문집. 167권 63책. 활자본. 1717년(숙종 43) 왕명에 의해 처음으로 간행된 후 증보ㆍ간행되다가, 1787년(정조 11) 《송자대전(宋子大全)》으로 집대성됨.
17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우암선생문집(尤庵先生文集) - 우암집(尤庵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시문집. 167권 63책. 활자본. 1717년(숙종 43) 왕명에 의해 처음으로 간행된 후 증보ㆍ간행되다가, 1787년(정조 11) 《송자대전(宋子大全)》으로 집대성됨.
17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우암선생유고(寓庵先生遺稿) - 우암유집(寓庵遺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김주(金澍)의 시문집. 7권 1책. 목판본. 1789년(정조 13) 6대손 김래(金䅘)에 의해 간행되고, 이복원(李福源)의 서문과 김래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8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우암선생유집(寓庵先生遺集) - 우암유집(寓庵遺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김주(金澍)의 시문집. 7권 1책. 목판본. 1789년(정조 13) 6대손 김래(金䅘)에 의해 간행되고, 이복원(李福源)의 서문과 김래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8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우암유고(尤庵遺稿) - 우암집(尤庵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시문집. 167권 63책. 활자본. 1717년(숙종 43) 왕명에 의해 처음으로 간행된 후 증보ㆍ간행되다가, 1787년(정조 11) 《송자대전(宋子大全)》으로 집대성됨.
17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우언확(禹彦確) - 우상(禹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우인손(禹仁孫)의 아들. 춘추관 편수관(春秋館編修官)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07~156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영흥(虞永興) - 우세남(虞世南)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ㆍ서예가. 고야왕(顧野王)에게 수학하고, 왕희지(王羲之)의 서법을 익혀 구양순(歐陽詢) 등과 함께 당 나라 초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렸으며, 특히 해서(楷書)에 뛰어남. 태종의 신임을 받아 자주 담론을 나눔.
558~638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우옹(宇顒) - 김우옹(金宇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속자치통감강목(續自治通鑑綱目)》을 찬하고, 부제학(副提學)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540~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옹(尤翁) - 송시열(宋時烈)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남인(南人)과 대립하고, 후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賜死)됨.
1607~168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옹(愚翁) - 성희안(成希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원종(朴元宗) 등과 함께 중종반정(中宗反正)을 주도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주청사(奏請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반정의 당위성을 설명함.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461~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우옹(愚翁)@이희안 - 이희안(李希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조식(曺植)과 교우하며 학문을 연마함.
1504~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우옹(牛翁)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옹(祐翁) - 장수희(張壽禧)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인동(仁同).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산서원(伊山書院)에 배향되었음.
151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우왕(禹王)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우요(虞姚)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