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우용(宇容) - 김우용(金宇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들로, 감찰(監察)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김우옹(金宇顒)의 형.
1538~16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우우정(友于亭) - 이유온(李有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선전관(宣傳官)을 지낸 이승원(李承元)의 아들로, 이천 도호부사(利川都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우윤(于胤) - 안계송(安繼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음직(蔭職)으로 돈녕부 직장(敦寧府直長)을 지냄. 남효온(南孝溫)의 〈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에 행적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우윤(遇贇) - 선우윤(宣遇贇)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통례문 통찬(通禮門通贊) 선상진(宣尙進)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우의곡(羽衣曲) -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선악(仙樂) 이름. 현종이 꿈에 방사(方士)와 월궁(月宮)에서 놀다가 그 음악을 듣고 돌아와 지었다는 설과, 양경충(楊敬忠)이 지어 바쳤다는 설과, 양경술(楊敬述)이 지었다는 설 등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우의무(羽衣舞) - 예상우의무(霓裳羽衣舞)
중국 당(唐) 현종(玄宗)이 꿈에 본 달나라 선녀들의 모습을 본떠 만들었다는 춤 이름. 양귀비(楊貴妃)가 잘 추었다 함.
중국>당 , 중국 , 기타>가무
-
우이(愚移) - 우공이산(愚公移山)
꾸준히 노력하면 큰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한 말. 전설에, 북산(北山)의 우공(愚公)이 집 앞을 가로막은 태항산(太行山)과 왕옥산(王屋山)을 옮기기로 맹세하고 흙을 퍼 나르자, 천제(天帝)가 과아씨(夸蛾氏)의 두 아들을 시켜 산을 옮겨 주었다 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우이자(虞夷子) - 안정복(安鼎福)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익(李瀷)의 문인으로, 실학(實學)을 연구하여 역사지리학(歷史地理學)을 세밀히 고증한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저술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이지화(牛李之禍) - 우이당쟁(牛李黨爭)
중국 당(唐) 나라의 목종(穆宗)~무종(武宗) 연간에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이 당파를 결성하여 이길보(李吉甫)ㆍ이덕유(李德裕) 부자와 맞서 대립한 사건. 과거 출신 관료와 귀족 관료 사이의 당쟁으로, 820년경부터 40년간 격렬한 정쟁이 계속됨.
중국>당 , 중국 , 사건>사화
-
우익공(右翊公) - 유보(劉輔)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둘째 아들. 시호는 헌(獻). 《경씨역(京氏易)》ㆍ《효경(孝經)》ㆍ《논어(論語)》 및 《도참(圖讖)》을 해설하고, 《오경론(五經論)》을 지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우익지(禹益之) - 우언겸(禹彦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여 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낸 우성전(禹性傳)의 생부. 1537년(중종 3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ㆍ안동 판관(安東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인(友仁)@조우인 - 조우인(曺友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광해군(光海君)을 풍자하는 시를 지어 투옥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풀려나 우부승지(右副承旨) 등을 지냄. 시ㆍ글씨ㆍ그림에 능했음.
1561~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우인(友仁) - 강문회(姜文會)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성종 때에는 사표(師表)로 추앙되었으나, 연산군(燕山君)의 폭정으로 관직을 버리고 단성(丹城)으로 낙향하여 후진양성에 힘씀. 저서로 《소요당기(逍遙堂記)》가 있음.
1433~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우인(友仁)@변우인 - 변우인(卞友仁)
조선 중중(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창신교위(彰信校尉) 변찬(卞瓚)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유학
-
우인(友仁)@이우인 - 이우인(李友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여주(驪州).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이사필(李士弼)의 아들이며 좌찬성(左贊成) 이상의(李尙毅)의 아버지로, 1568년(선조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우인(友仁)@미우인 - 미우인(米友仁)
중국 남송(南宋)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아버지 미불(米芾)이 대미(大米)라고 불린 데 대해 소미(小米)라고 불림. 운산(雲山) 화법을 발전시켜 ‘미법산수(米法山水)’를 정착시키고, 초서와 예서에 뛰어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우자(芋子) - 토란(土卵)
천남성과(天南星科)의 다년초(多年草).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 전통 민화(民畵)나 문양(紋樣)에서 무병장수(無病長壽)를 상징하며, 중국의 민산(岷山)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고 함.
자연물>식물
-
우잠(牛岑) - 우봉(牛峯)
황해도 남동쪽에 있던 옛 고을 이름. 1651년(효종 2)에 강음(江陰)과 병합하여 금천(金川)으로 개명함. 현재 황해북도 금천군(金川郡)에 속함.
황해도>우봉 , 지명>행정지명
-
우장(愚庄) - 이희안(李希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조식(曺植)과 교우하며 학문을 연마함.
1504~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우장(牛庄) - 우가장(牛家庄)
중국 요동(遼東)에 있던 역참(驛站). 조선시대에 북경(北京)을 왕래할 때 경유하던 요동과 산해관(山海關) 사이의 16개 역참 중의 하나로, 해주위(海州衛)와 사령(沙嶺) 사이에 있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우장(牛莊) - 우가장(牛家庄)
중국 요동(遼東)에 있던 역참(驛站). 조선시대에 북경(北京)을 왕래할 때 경유하던 요동과 산해관(山海關) 사이의 16개 역참 중의 하나로, 해주위(海州衛)와 사령(沙嶺) 사이에 있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우장역(牛莊驛) - 우가장(牛家庄)
중국 요동(遼東)에 있던 역참(驛站). 조선시대에 북경(北京)을 왕래할 때 경유하던 요동과 산해관(山海關) 사이의 16개 역참 중의 하나로, 해주위(海州衛)와 사령(沙嶺) 사이에 있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우재(吁齋) - 조준(趙浚)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덕유(趙德裕)의 아들로,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과전법(科田法)을 실시하여 토지제도를 정비하였으며, 하륜(河崙) 등과 함께 《경제육전(經濟六典)》을 편찬함.
1346~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우재(尤齋) - 송시열(宋時烈)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남인(南人)과 대립하고, 후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賜死)됨.
1607~168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재(愚齋) - 손중돈(孫仲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계천군(鷄川君) 손소(孫昭).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청환직(淸宦職)을 두루 역임하였고, 중종(中宗) 때 청백리에 녹선됨.
1463~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우재(愚齋)@정미수 - 정미수(鄭眉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문종(文宗)의 외손자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으로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졌음.
1456~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우재(愚齋)@이이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재(迂齋)@누약 - 누약(樓鑰)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직언(直言)을 잘 하여 중서사인(中書舍人)에 등용되고 그 뒤 한림학사(翰林學士)ㆍ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냄. 경사(經史)의 고증에 능하고 시문(詩文)ㆍ서예에도 뛰어남.
1137~121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재(迂齋)@이후원 - 이후원(李厚源)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책록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사론(斥邪論)을 주장하였으며 효종(孝宗)의 북벌정책(北伐政策)을 보필함.
1598~166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우재(迂齋) - 노진(盧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지낸 노관(盧祼)의 형. 기대승(奇大升)ㆍ노수신(盧守愼)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1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우전(禹典)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우전(虞典)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우정(宇定) - 홍우정(洪宇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한성 서윤(漢城庶尹) 홍영(洪榮)의 아들로, 병자호란 때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홍석(洪錫)ㆍ정양(鄭瀁)ㆍ강흡(姜恰)ㆍ심장세(沈長世)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1593~165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학자
-
우정(愚亭) - 이승언(李承彦)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한성부 참군(漢城府參軍)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우정(憂亭)@김극성 - 김극성(金克成)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김맹권(金孟權)의 아들. 세 번이나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낼 만큼 학문에 뛰어났으며, 김안로(金安老)의 실각 이후 우의정(右議政)에 오름.
147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우정(禹鼎) - 신우정(辛禹鼎)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신균(辛均)의 아들로, 풍저창 수(豐儲倉守)를 지냄. 세종(世宗)의 아들 의창군(義昌君) 이강(李玒)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우정(虞庭) - 이직(李稷)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 추대에 참여하여 지신사(知申事)로서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짐.
1362~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우정(雨亭) - 조박(趙璞)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전의시 영(典儀寺令)을 지낸 조사겸(趙思謙)의 아들. 태종과 동서 사이로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오르지만, 생전에 불교를 믿었다는 탄핵을 받아 공신녹권(功臣錄券)이 소각당함.
1356~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우제(虞帝)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우조(禑朝) - 우왕(禑王)
고려 제32대 국왕. 재위 1374~1388. 수시중(守侍中) 이인임(李仁任)의 후원으로 즉위했다가 이인임이 실각한 후 정치적 기반을 잃고 이성계(李成桂)에게 쫓겨나 유배되었다가 죽음.
1365~138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우졸(迂拙) - 박한주(朴漢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처형당함. 정여창(鄭汝昌)ㆍ김굉필(金宏弼)과 함께 필문삼현(畢門三賢)으로 불림.
1459~150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벽동 , 인명>관인>문신
-
우졸자(迂拙子) - 박한주(朴漢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처형당함. 정여창(鄭汝昌)ㆍ김굉필(金宏弼)과 함께 필문삼현(畢門三賢)으로 불림.
1459~150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벽동 , 인명>관인>문신
-
우졸재(愚拙齋) - 안응창(安應昌)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순양군(順陽君) 안몽윤(安夢尹)의 아들로, 대군 사부(大君師傅) 등을 지냄.
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우졸재(迂拙齋) - 박한주(朴漢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처형당함. 정여창(鄭汝昌)ㆍ김굉필(金宏弼)과 함께 필문삼현(畢門三賢)으로 불림.
1459~150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벽동 , 인명>관인>문신
-
우주(佑周) - 정우주(鄭佑周)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광주 판관(光州判官) 정회아(鄭懷雅)의 둘째 아들이며, 정필주(鄭弼周)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유학
-
우주(禹疇)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우주두율(虞註杜律) - 두율우주(杜律虞註)
중국 원(元)나라 때 우집(虞集)이 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칠언율시(七言律詩)를 모아 주해를 붙여 만든 책.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우중(友仲) - 남궁제(南宮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남궁숙(南宮淑)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사돈으로, 연안 부사(延安府使) 등을 지냄. 성혼이 그에게 보낸 편지가 《우계집(牛溪集)》에 실려 있음.
154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우중(愚仲) - 이희안(李希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조식(曺植)과 교우하며 학문을 연마함.
1504~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우중(虞仲) - 중옹(仲雍)
중국 주(周) 나라 태왕(太王)의 둘째 아들. 어머니는 태강(太姜). 태왕이 셋째 아들인 왕계(王季)에게 전위(傳位)하려 하자 형 태백(太伯)과 함께 형만(荊蠻)으로 들어가 단발문신(斷髮文身)을 하고 오(吳) 나라를 건국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우증(友曾) - 민우증(閔友曾)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석(閔釋)의 아들로, 1453년(단종 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서부 영(西部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우증(友曾)@김우증 - 김우증(金友曾)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풍(淸風). 중종반정(中宗反正) 때의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우지(祐之) - 서복경(徐福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서거정(徐居正)의 서자(庶子)로 이현보(李賢輔)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유학
-
우지(祐之)@이영우 - 이영우(李永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별시위(別侍衛)를 지낸 이귀(李龜)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우직(友直)@1441 - 이우직(李友直)@1441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손자.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진도(珍島)로 귀양 가서 죽음.
1441~14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우직(友直)@1529 - 이우직(李友直)@1529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선조가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부묘제(祔廟祭)를 마치고 정기(呈技)를 관람하자 이를 비판하다 파직되었으며, 다시 등용되어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우진고성(禹陳古城) - 우금산성(禹金山城)
삼국시대 전라북도 부안(扶安)에 축조한 산성. 복신(福信) 등의 백제부흥군이 나당연합군(羅唐聯合軍)의 김유신(金庾信)ㆍ소정방(蘇定方)에 맞서 싸우다가 패배한 곳으로, 백제 최후의 항거 거점이 됨.
한국>백제 , 전라도>부안 , 유적>시설>성,진,책
-
우진야(于珍也) - 울진(蔚珍)
강원도 동쪽 해안에 연해 있는 고을 이름. 예로부터 동해 중부지역의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지금의 울진은 옛 울진과 평해(平海)가 합하여 이루어짐. 지금은 경상북도 울진군(蔚珍郡)에 속함.
강원도>울진 , 지명>행정지명
-
우차탄홀(于次呑忽) - 서흥(瑞興)
황해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교통상의 요지이며, 고려 원종(元宗) 때 임금의 태(胎)를 이곳에 묻음.
황해도>서흥 , 지명>행정지명
-
우천(牛川) - 민선(閔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좌승지(左承旨) 등을 지냈으며, 기축옥사(己丑獄事) 때 최영경(崔永慶)의 처벌을 주장하다 탄핵을 받아 좌천됨. 이이(李珥)와 교우가 깊었음.
1539~160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우천(牛泉) - 이약수(李若水)@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자(李滋)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가 유배되자 소두(疏頭)로서 항소하였다가 투옥됨. 평해(平海)로 유배되었다가 예산(禮山)으로 이배되어 죽음.
1486~153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학자
-
우추연(禹秋淵) - 우성전(禹性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동인(東人)이었다가 이발(李潑)과의 갈등으로 인해 남인(南人)의 거두가 됨.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많은 전공을 세우고, 해염(海鹽)과 식량을 조달하여 난민을 구제함.
1542~159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우칭(禹偁) - 왕우칭(王禹偁)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사문(詞文)에 능했음. 강직한 성품 때문에 여러 차례 좌천되었으나, 〈삼출부(三黜賦)〉를 지어 자신의 뜻을 나타냄.
954~10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우파사가(優波賜迦) - 우바이(優婆夷)
출가(出家)하지 않고 세속인으로서 불법(佛法)을 믿고 따르는 여자 신도를 이르는 말. 불교의 사부대중(四部大衆)의 하나.
사상>술어>핵심어
-
우평(雨坪) - 장수(長水)
전라북도 동부 소백산맥(小白山脈) 서쪽 산간지대에 있는 고을 이름.
전라도>장수 , 지명>행정지명
-
우필(友弼) - 민우필(閔友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미(閔敉)의 아들이며, 사인(舍人) 민덕봉(閔德鳳)의 아버지로,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우한(佑漢) - 황우한(黃佑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삼사(三司)의 요직을 두루 지내고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옴. 호조 참판(戶曹參判)ㆍ병조 참판(兵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41~160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우해(于海) - 홍만종(洪萬宗)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豐山). 정두경(鄭斗卿)의 문인으로, 김득신(金得臣)ㆍ홍석기(洪錫箕) 등과 교유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학문과 문장에 뜻을 두어 역사ㆍ지리ㆍ설화ㆍ가요ㆍ시 등의 저술에 전념함.
1643~172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우헌(寓軒) - 유세명(柳世鳴)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유원지(柳元之)의 문인으로, 교리(校理) 시절에 송시열(宋時烈)ㆍ김수항(金壽恒)ㆍ김석주(金錫胄)ㆍ민정중(閔鼎重)을 엄벌해야 한다는 차자(箚子)를 올렸으며,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역임함.
1636~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우헌(迂軒) - 허옹(許邕)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성품이 강직하여 과거에 부정 합격한 감찰대부(監察大夫) 최안도(崔安道)의 아들 최경(崔璟)을 탄핵하고, 그의 첩장(牒狀)에 서명하기를 거부함.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이색(李穡)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우헌선생문집(寓軒先生文集) - 우헌집(寓軒集)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유세명(柳世鳴)의 시문집. 8권 4책. 목판본. 유종춘(柳宗春)ㆍ유상춘(柳象春) 등이 간행을 준비하였으며, 1833년(순조 33) 유태좌(柳台佐)의 주관 하에 간행됨. 유의목(柳懿睦)의 발문이 실려 있음.
183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우현(遇賢) - 김우현(金遇賢)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창(咸昌).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지낸 김선(金瑄)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유학
-
우형(友衡) - 윤우형(尹友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칠원(漆原)으로, 1507년(중종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김안국(金安國)이 그의 쾌혜정(快兮亭)을 소재로 쓴 시가 《모재집(慕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우형(遇亨) - 임우형(林遇亨)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선산(善山). 박상(朴祥)의 문인인 임억령(林億齡)ㆍ정난위사공신(定難衛社功臣) 임백령(林百齡) 형제의 아버지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우호(友顥) - 신우호(申友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낸 신윤종(申允宗)의 아들로,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우홍(宇弘) - 김우홍(金宇弘)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들로, 나주 목사(羅州牧使)ㆍ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냄.
1522~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우홍(禹洪) - 김우홍(金禹洪)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그의 행장(行狀)이 실려 있음.
1459~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문사>학자
-
우후(于後) - 유자광(柳子光)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켜 사림파(士林派)를 제거하여 훈구파(勳舊派)의 기반을 굳힘. 중종반정 때 무령부원군(武靈府院君)으로 봉해졌다가 홍문관(弘文館)ㆍ예문관(藝文館)의 탄핵으로 유배되어 죽음.
?~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우희(虞喜) - 우미인(虞美人)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활약한 항우(項羽)의 총희(寵姬). 항우가 유방(劉邦)의 군사에 의해 사면초가(四面楚歌)에 놓이자 항우의 노래에 화답하면서 자결함.
?~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우희(虞姬) - 우미인(虞美人)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활약한 항우(項羽)의 총희(寵姬). 항우가 유방(劉邦)의 군사에 의해 사면초가(四面楚歌)에 놓이자 항우의 노래에 화답하면서 자결함.
?~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욱(旭)@윤욱 - 윤욱(尹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이이에게 《소학(小學)》을 배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욱(旭) - 권욱(權旭)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현감을 지낸 권심언(權審言)의 아들로 장흥고 봉사(長興庫奉事) 등을 지냈고, 정탁(鄭琢)과 함께 《심경(心經)》을 강론함.
1556~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욱(昱) - 강욱(姜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장사랑(將仕郞) 강공망(姜公望)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ㆍ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냄.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욱(昱)@조욱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욱(稶) - 이욱(李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선전관(宣傳官) 이의로(李義老)의 아들로, 1599년(선조 3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15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욱(郁) - 독고욱(獨孤郁)
중국 당(唐)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상주 자사(常州刺史)를 지낸 독고급(獨孤及)의 아들로, 지제고(知制誥)ㆍ비서감(秘書監) 등을 지냄.
775~81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욱(頊) - 탁욱(卓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직장(直長)을 지낸 탁본(卓本)의 아들로, 부정(副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욱매(郁梅) - 옥매(玉梅)
장미과(薔薇科)의 낙엽관목(落葉灌木). 설중사우(雪中四友)의 하나로, 흰 꽃이 피며 정원수(庭園樹)로 많이 심음.
자연물>식물
-
욱보(勗甫) - 탁사정(卓思正)
고려 의종(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낸 탁원광(卓元光)의 아들로, 판도 판서(版圖判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욱재(勖哉) - 이면(李勉)@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이진효(李震孝)의 아들로, 1513년(중종8년)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욱재(勗齋) - 민구령(閔九齡)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처사(處士). 본관은 여흥(驪興). 민구소(閔九韶)ㆍ민구연(閔九淵)ㆍ민구주(閔九疇)ㆍ민구서(閔九叙) 등 다섯 형제가 사화(士禍)로 벼슬길을 포기하고, 학행(學行)으로 이름을 떨침. 형제간의 우애가 깊어 기거를 같이 했으며, 점필재(佔畢齋)의 문하에서 배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문인
-
욱재(勗齋)@심통원 - 심통원(沈通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심순문(沈順門)의 아들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다가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나 이후 권력 남용과 뇌물을 받은 혐의로 관작이 삭탈됨.
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욱지(勖之) - 남치욱(南致勖)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의 5대조로, 1528년(중종 23)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한 뒤 철원 부사(鐵原府使) 등을 지냄.
1494~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운(澐)@최운 - 최운(崔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김정(金淨)과 함께 수학했으며,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횡간 현감(橫澗縣監)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1500~152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운(澐)@유운 - 유운(柳澐)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정조(正祖) 때 도사(都事) 등을 지낸 유종춘(柳宗春)의 아버지로, 황간 현감(黃澗縣監) 등을 지내고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랐으며, 풍창군(豊昌君)에 습봉(襲封)됨.
1701~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운(澐) - 오운(吳澐)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이황(李滉)ㆍ조식(曺植)의 문인. 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으로 활동함.
1540~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운(耘) - 이운(李耘)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음애(陰崖) 이자(李耔)의 형.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9~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운(芸) - 임운(林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경사(經史)를 비롯한 여러 학문에 뛰어나고, 형 임훈(林薰)과 함께 효행으로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517~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운(蕓) - 박운(朴蕓)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제자로,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여러 차례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35~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운(運) - 한운(韓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를 지낸 한세환(韓世桓)의 아버지로, 내섬시 첨정(內贍寺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