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운(運)@성운 - 성운(成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형인 성우(成遇)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화를 당하자 속리산(俗離山)에 은거함.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서경덕(徐敬德)ㆍ조식(曺植)ㆍ이지함(李之菡) 등과 교유하며 학문에 정진함.
1497~157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운(雲)@고려 - 최운(崔雲)@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봉익대부(奉翊大夫) 최문립(崔文立)의 아들로, 철원 부사(鐵原府使)ㆍ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냄.
1275~1325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무신
-
운(雲)@박운 - 박운(朴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효자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박영(朴英)의 문인(門人).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교유하였으며, 효행이 뛰어나 선조(宣祖) 때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493~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학자
-
운(雲)@심운 - 심운(沈雲)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역임한 심언광(沈彥光)의 아들로 선교랑(宣敎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운(雲)@유운 - 유운(柳雲)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유공좌(柳公佐)의 아들. 기묘사화 때 대사헌(大司憲)으로서 조광조(趙光祖)를 구원하려다가 파직당한 뒤 낙향하여 술로 울분을 달래다 죽음. 편저로 《진수해범(進修楷範)》이 있음.
1485~152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성 , 인명>관인>문신
-
운(雲)@조선 - 최운(崔雲)@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1521년(중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시정(寺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운(雲) - 고운(高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장흥(長興). 고맹영(高孟英)의 아버지이며,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할아버지. 형조 좌랑(刑曹佐郞)을 지낼 때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후에 예조 참판(禮曹參判)으로 추증됨. 호랑이 그림을 잘 그림.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운(雲)@권운 - 권운(權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낸 권수익(權受益)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운^연(雲^淵) - 연^운(淵^雲)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인 양웅(揚雄)과 왕포(王褒)를 함께 부르는 말. 왕포의 자는 자연(子淵)이고 양웅의 자는 자운(子雲)으로, 문장가로 명성을 떨친 두 사람을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운각(芸閣) - 교서관(校書館)
조선시대 삼관(三館)의 하나로, 태조(太祖) 때 설치되어 경적(經籍)의 인쇄ㆍ반포와 향축(香祝)ㆍ인전(印篆)을 담당하던 관청.
1392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운간(雲幹) - 탁운간(卓雲幹)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계현(卓繼賢)의 둘째 아들로, 후사(後嗣)가 없어 형 탁운한(卓雲翰)의 넷째 아들인 탁정오(卓挺五)를 입양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운강(雲岡)@공용경 - 공용경(龔用卿)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내고, 1537년(중종 32)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태자가 탄생하였다는 조서(詔書)를 반포함.
1500~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운강(雲岡)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운강(雲江)@김계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운강(雲江)@임국로 - 임국로(任國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임명필(任明弼)의 손자이며 임몽정(任蒙正)의 아버지. 이조 참판(吏曹參判) 재임시 기축옥사(己丑獄死)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재기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37~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운강(雲江) - 조원(趙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조응공(趙應恭)의 아들로, 조응관(趙應寬)에게 출계함.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삼척 부사(三陟府使)ㆍ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냄.
1544~15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운경(云敬) - 정운경(鄭云敬)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정도전(鄭道傳)의 아버지. 복주목(福州牧)의 판관(判官)일 때 송사(訟事)를 잘 처리함. 검교밀직제학(檢校密直提學)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사퇴하고 영주(榮州)에 돌아와 죽음.
1305~136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운경(雲卿)@권진 - 권진(權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인품이 강직하여 이이첨(李爾瞻)에게 아부하지 않아 여러 번 탄핵을 받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고관(高官)들이 모두 도주했지만 홀로 조정과 대궐을 호위해 많은 공을 세움.
157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운경(雲卿)@유양춘 - 유양춘(柳陽春)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유수창(柳壽昌)의 아들로 청송 부사(靑松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운경(雲卿)@정사룡 - 정사룡(鄭士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명종 때 이량(李樑)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削職)당함. 시문(詩文)ㆍ음률(音律)에 뛰어나고,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申光漢)과 쌍벽을 이룸.
149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운경(雲卿)@심전기 - 심전기(沈佺期)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당 나라 초에 제(齊)ㆍ양(梁) 나라의 궁체시(宮體詩)를 계승하여 율시(律詩)라는 새로운 형식의 운율(韻律)을 완성시킴.
656~71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운경(雲卿) - 남용익(南龍翼)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의령(宜寧).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지내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나 문명을 떨쳤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에 연루되어 명천(明川)에 유배되어 죽음.
1628~16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운계서원(雲谿書院) - 용문서원(龍門書院)@지평
조선 효종(孝宗) 때 경기도 지평(砥平)에 건립한 서원. 1714년(숙종 40)에 사액되었으며, 조욱(趙昱)ㆍ조성(趙晟)ㆍ신변(申抃)ㆍ조형생(趙亨生)ㆍ조문형(趙門衡) 등을 배향함. 현재 경기도 양평군(楊平郡)에 속함.
165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운계은사(雲溪隱士) - 김일손(金馹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스승인 김종직(金宗直)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실록(實錄)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勳舊派)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64~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운계취후(雲溪醉侯) - 충방(种放)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의 문신ㆍ은사. 종남산(終南山)에서 은거하다가 공부 시랑(工部侍郞) 등을 지냄. 진단(陳摶)에게 선천역학(先天易學)의 사상과 하도낙서(河圖洛書)의 비결을 전수받아 목수(穆修)ㆍ이개(李溉)ㆍ허견(許堅) 등에게 전했다 함.
955~1015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운곡(耘谷) - 원천석(元天錫)
고려 말~조선 초의 은사(隱士). 본관은 원주(原州)로,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태종(太宗)이 즉위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가도 산속으로 피하여 은둔함.
13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은자
-
운곡(雲谷)@송한필 - 송한필(宋翰弼)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판관(判官) 송사련(宋祀連)의 아들. 형 송익필(宋翼弼)ㆍ송부필(宋富弼)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성리학(性理學)에 정통하여 이이(李珥)ㆍ박인로(朴仁老)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문사>학자
-
운곡(雲谷)@박수 - 박수(朴受)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휴암(休菴)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이며,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교유하였음. 역학(易學)에 정통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운곡(雲谷)@박승제 - 박승제(朴承制)
고려 후기의 문인. 김구용(金九容)의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운곡(雲谷)@조호 - 조호(曺浩)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균 생원(成均生員) 조수문(曺秀文)의 아들로, 1489년(성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함양 군수(咸陽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운곡(雲谷)@정보 - 정보(鄭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의 손자로, 사육신(死六臣)의 무죄를 주장하다가 연일(延日)로 유배된 뒤 단성(丹城)으로 이배(移配)되어 죽임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운곡(雲谷)@박찬 - 박찬(朴璨)@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숙부인 박경신(朴慶新)ㆍ박경인(朴慶因)과 함께 창의(倡義)하여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운곡(雲谷) - 백운동(白雲洞)
경상북도 영주(榮州)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중종(中宗) 때 풍기 군수(豊基郡守) 주세붕(周世鵬)이 흰 구름이 골짜기에 서려 있다고 하여 백운동(白雲洞)이라 이름 지음.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지명>자연지명
-
운곡(雲谷)@주희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운곡(雲谷)@회암초당 - 회암초당(晦庵草堂)
중국 송(宋) 나라 때 건양(建陽) 서쪽 운곡(雲谷)에 건립된 초당(草堂). 1170년에 주희(朱熹)가 세우고 강학(講學)하던 곳으로, 현재 복건성(福建省)의 노봉(盧峯)에 속함.
1170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사제
-
운곡거사(雲谷居士) - 송한필(宋翰弼)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판관(判官) 송사련(宋祀連)의 아들. 형 송익필(宋翼弼)ㆍ송부필(宋富弼)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성리학(性理學)에 정통하여 이이(李珥)ㆍ박인로(朴仁老)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문사>학자
-
운곡노인(雲谷老人)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운곡산인(雲谷山人)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운곡서원(耘谷書院) - 칠봉서원(七峯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강원도 원주(原州)에 건립한 서원(書院). 원천석(元天錫)ㆍ원호(元昊)ㆍ정종영(鄭宗榮)ㆍ한백겸(韓百謙)을 배향함.
162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운곡선생문집(耘谷先生文集) - 운곡행록(耘谷行錄)
고려 말~조선 초의 은사(隱士)인 원천석(元天錫)의 시문집. 5권 3책. 활자본. 1858년(철종 9) 16대손 원은(元櫽)이 간행함. 행록(行錄)과 사적(事蹟)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박동량(朴東亮)과 정장(鄭莊)ㆍ정범조(丁範祖)의 서문과 원은의 발문이 실려 있음.
185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운곡시사(耘谷詩史) - 운곡행록(耘谷行錄)
고려 말~조선 초의 은사(隱士)인 원천석(元天錫)의 시문집. 5권 3책. 활자본. 1858년(철종 9) 16대손 원은(元櫽)이 간행함. 행록(行錄)과 사적(事蹟)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박동량(朴東亮)과 정장(鄭莊)ㆍ정범조(丁範祖)의 서문과 원은의 발문이 실려 있음.
185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운곡주(雲谷主)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운곡집(耘谷集) - 운곡행록(耘谷行錄)
고려 말~조선 초의 은사(隱士)인 원천석(元天錫)의 시문집. 5권 3책. 활자본. 1858년(철종 9) 16대손 원은(元櫽)이 간행함. 행록(行錄)과 사적(事蹟)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박동량(朴東亮)과 정장(鄭莊)ㆍ정범조(丁範祖)의 서문과 원은의 발문이 실려 있음.
185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운곡초당(雲谷草堂) - 회암초당(晦庵草堂)
중국 송(宋) 나라 때 건양(建陽) 서쪽 운곡(雲谷)에 건립된 초당(草堂). 1170년에 주희(朱熹)가 세우고 강학(講學)하던 곳으로, 현재 복건성(福建省)의 노봉(盧峯)에 속함.
1170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사제
-
운관(云瓘) - 정운관(鄭云瓘)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영일(迎日). 정몽주(鄭夢周)의 아버지.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일성부원군(日城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유학
-
운관(芸館) - 교서관(校書館)
조선시대 삼관(三館)의 하나로, 태조(太祖) 때 설치되어 경적(經籍)의 인쇄ㆍ반포와 향축(香祝)ㆍ인전(印篆)을 담당하던 관청.
1392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운구(雲毬) - 모란(牡丹)
작약과(芍藥科)에 속하는 낙엽관목(落葉灌木).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 부귀(富貴)를 상징함. 설총(薛聰)의 〈화왕계(花王戒)〉로 유명함.
자연물>식물
-
운기(韻記) - 제왕운기(帝王韻紀)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이승휴(李承休)가 쓴 역사 서사시(敍事詩). 역대사(歷代史)의 교훈을 시로 적은 것으로, 단군(檀君)을 민족의 공동 시조(始祖)로 삼았음.
1287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운납(雲衲) - 경운(景雲)
조선 전기의 승려. 김정(金淨)과 함께 산수를 유람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운달(云達) - 이운달(李云達)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덕산(德山). 중종(中宗) 때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지낸 이번(李蕃)의 아버지로, 오위도총부 경력(五衛都摠府經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무신
-
운대(雲臺)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운동(雲洞) - 백운동(白雲洞)
경상북도 영주(榮州)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중종(中宗) 때 풍기 군수(豊基郡守) 주세붕(周世鵬)이 흰 구름이 골짜기에 서려 있다고 하여 백운동(白雲洞)이라 이름 지음.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지명>자연지명
-
운로(云老) - 이운로(李云老)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고성(固城). 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인 이귀생(李貴生)의 아들이며, 조선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된 이교연(李皎然)의 조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유학
-
운로(耘老) - 원천석(元天錫)
고려 말~조선 초의 은사(隱士). 본관은 원주(原州)로,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태종(太宗)이 즉위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가도 산속으로 피하여 은둔함.
13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은자
-
운로(雲路) - 남구만(南九萬)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숙종 때 정치운영의 중심에 있으면서 소론(少論)의 영수로 지목됨. 문집으로 《약천집(藥泉集)》있음.
1629~17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운로(雲輅) - 차운로(車雲輅)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차식(車軾)의 아들. 1583년(선조 16)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전의 현감(全義縣監)ㆍ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등을 지냄. 시(詩)에 능하여 아버지 차식과 형 차천로(차天輅)와 함께 삼소(三蘇)에 비견됨.
155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운록(雲麓) - 유원강(留元剛)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국사원 편수관(國史院編修官)ㆍ실록원 검토관(實錄院檢討官)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운록집(雲麓集)》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운록자(雲麓子) - 유원강(留元剛)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국사원 편수관(國史院編修官)ㆍ실록원 검토관(實錄院檢討官)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운록집(雲麓集)》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운룡(雲龍)@유운룡 - 유운룡(柳雲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형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풍기 군수(豊基郡守)로 부임하여 백성들의 생업을 보호하는 데 힘썼으며, 효성이 지극함.
1539~160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운룡(雲龍)@장국침 - 장국침(張國琛)
중국 원(元) 나라의 문인. 천하를 거의 두루 유람하여 풍속이 다르고 같은 것을 모두 채집하여 기문을 만듦. 고려 수도 개경(開京)에 와서 수개월 동안 머무를 때 최해(崔瀣)와 교분을 나눔.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운룡(雲龍)@정희등 - 정희등(鄭希登)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종부시 첨정(宗簿寺僉正) 정구(鄭球)의 아들이며, 승지 정원(鄭源)의 조카. 사위로 삼으려는 김안로(金安老)의 청을 거절하여 사복시 첨정(司僕寺僉正) 등의 한직(閑職)에 있었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반대하다 유배 됨.
1506~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운룡(雲龍) - 양천룡(梁天龍)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 양우(梁祐)의 아들. 공양왕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랐으나,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남원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운루(雲樓) - 김원행(金元行)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재(李縡)의 문인으로,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종조(從祖) 김창집(金昌集)이 사사되고 일가가 모두 유배된 후 벼슬을 사양하고 성리학에 전념함.
1702~177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운림(雲林)@탁광수 - 탁광수(卓光守)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검상(檢詳)을 지낸 탁진옥(卓振玉)의 맏아들로, 역학(易學)에 뛰어났으며, 예빈시 정(禮賓寺正) 등을 역임함.
1463~149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운림(雲林) - 이핍(李愊)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운림군(雲林君) - 이종윤(李宗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운림군(雲林君)에 봉해짐.
1563~164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운림도정(雲林都正) - 이핍(李愊)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운림수(雲林守) - 이종윤(李宗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운림군(雲林君)에 봉해짐.
1563~164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운문(雲門)@문언 - 문언(文偃)
중국 당(唐) 말~오대(五代)의 선승(禪僧). 운문종(雲門宗)의 시조(始祖).
864~949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운문(雲門) - 운문악(雲門樂)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황제(黃帝)가 지었다는 음악 이름.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운문(雲門)@종고 - 종고(宗杲)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 속성은 해씨(奚氏). 임제종(臨濟宗) 승려로 동산(東山) 혜운사(慧雲寺)의 혜제(慧齊)에게서 득도(得道)하여 구족계를 받고, 원오선사(圓悟禪師)의 법을 전해 받음.
?~1163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운문(雲門)@김대유 - 김대유(金大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직제학(直提學) 김준손(金駿孫)의 아들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조카.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조식(曺植) 등과 친교를 맺음.
1479~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운문산광태선원광진대사행록(雲門山光泰禪院匡眞大師行錄) - 운문광록(雲門廣錄)
중국 당(唐) 말~오대(五代)의 선승(禪僧)인 운문선사(雲門禪士) 문언(文偃)의 어록. 3권. 문언의 언행 및 제자들과의 문답을 기록함.
958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운문선사(雲門禪士) - 문언(文偃)
중국 당(唐) 말~오대(五代)의 선승(禪僧). 운문종(雲門宗)의 시조(始祖).
864~949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운문장인(雲門丈人) - 김대유(金大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직제학(直提學) 김준손(金駿孫)의 아들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조카.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조식(曺植) 등과 친교를 맺음.
1479~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운문호(雲門皓) - 김대유(金大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직제학(直提學) 김준손(金駿孫)의 아들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조카.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조식(曺植) 등과 친교를 맺음.
1479~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운방선생(雲房先生) - 종리권(鐘離權)
중국 후한(後漢)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원래는 장군이었으나 토번(吐藩)을 정벌하다가 실패하고 도망쳐 도사가 되었다고 함. 일설에는 당(唐) 나라의 도사로, 여암(呂巖)과 동시대 인물이라고도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운보(雲甫)@김계 - 김계(金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으로, 생원 김석옥(金錫沃)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ㆍ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 등과 도학(道學)을 강론하였음.
1528~15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운보(雲甫) - 김덕룡(金德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관직은 봉상시 주부(奉常寺主簿) 등을 거쳐 대사헌(大司憲)에 이르렀음
15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운봉(雲峯)@호병문 - 호병문(胡炳文)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주역(周易)》에 정통하고, 주희(朱熹)의 학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저서에 《주역본의통석(周易本義通釋)》ㆍ《사서통(四書通)》ㆍ《운봉집(雲峰集)》이 있음.
1250~133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운봉(雲峯)@오유충 - 오유충(吳惟忠)
중국 명(明) 나라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조선에 원군으로 파견되어 참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운봉선생(雲峯先生) - 호병문(胡炳文)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주역(周易)》에 정통하고, 주희(朱熹)의 학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저서에 《주역본의통석(周易本義通釋)》ㆍ《사서통(四書通)》ㆍ《운봉집(雲峰集)》이 있음.
1250~133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운봉호씨(雲峯胡氏) - 호병문(胡炳文)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주역(周易)》에 정통하고, 주희(朱熹)의 학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저서에 《주역본의통석(周易本義通釋)》ㆍ《사서통(四書通)》ㆍ《운봉집(雲峰集)》이 있음.
1250~133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운부(雲夫)@홍간 - 홍간(洪侃)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풍산(豐山). 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나 언사(言事)로 인해 동래 현령(東萊縣令)으로 좌천됨. 시문에 능하고 시체(詩體)가 청려하여 이제현(李齊賢)ㆍ허균(許筠) 등으로부터 칭송을 받음.
?~130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운부(雲夫) - 김덕룡(金德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관직은 봉상시 주부(奉常寺主簿) 등을 거쳐 대사헌(大司憲)에 이르렀음
15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운부(韻府) - 운부군옥(韻府群玉)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인 음유우(陰幼遇)가 짓고 동생 음유달(陰幼達)이 주석한 사전. 운(韻)을 구분하여 배열하고 참고가 되는 고사성어의 원전까지 소개함. 2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운사(雲祠) - 소수서원(紹修書院)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순흥(順興)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1542년(중종 37) 주세붕(周世鵬)이 창건하고, 1550년(명종 5)에 사액됨. 안향(安珦)ㆍ안축(安軸)ㆍ주세붕(周世鵬)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운사(雲舍) - 농운정사(隴雲精舍)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예안(禮安)에 이황(李滉)이 건립한 정사(精舍). 1560년(명종 15)에 완공했는데, 시습재(時習齋)ㆍ지숙료(止宿寮)ㆍ관란헌(觀瀾軒)이라 각 건물에 이름을 붙이고 합하여 농운정사(隴雲精舍)라고 편액함.
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사제
-
운산(雲山)@운문산 - 운문산(雲門山)
경상도 청도(靑道)의 동쪽 96리 지점에 있는 산 이름. 기암괴석과 계곡이 절경을 이루며, 현재 경상남도 청도군 운문면(雲門面)과 경상북도 밀양시(密陽市) 산내면(山內面)의 경계에 속함.
경상도>청도 , 지명>자연지명
-
운산(雲山) - 이휘재(李彙載)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경산 현령(慶山 縣令)으로 있으면서 문회재(文會齋)를 창건하여 문풍(文風)을 진작시키고,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많은 공을 세움.
1795~187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운산군(雲山君) - 이계(李誡)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둘째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가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운산문집(雲山文集) - 운산집(雲山集)
조선 고종(高宗) 때의 문신인 이휘재(李彙載)의 문집. 13권.
1923 한국>근대 , 경상도>영천(榮川) , 문헌>서명
-
운산부군(雲山府君) - 이휘재(李彙載)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경산 현령(慶山 縣令)으로 있으면서 문회재(文會齋)를 창건하여 문풍(文風)을 진작시키고,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많은 공을 세움.
1795~187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운상(雲祥) - 강운상(姜雲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효성이 지극해 정려(旌閭)를 받았으며, 아들 강첨(姜籤)과 손자 강학년(姜鶴年)이 귀하게 되어 인조(仁祖) 때 영의정에 추증됨.
1526~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운상원(雲上院) - 칠불사(七佛寺)
금관가야(金官伽倻) 수로왕(首露王)의 일곱 왕자가 경상남도 하동(河東) 방면 지리산(智異山) 토끼봉에 세웠다고 전해지는 사찰. 쌍계사(雙磎寺)의 말사(末寺).
한국>가야 , 경상도>하동 , 유적>건물>사찰
-
운성(雲城) - 운두성(雲頭城)
함경도 회령(會寧) 서쪽 50리 지점에 있던 석성(石城). 둘레는 10여 리로, 산세가 험준하고 두만강(豆滿江)이 그 밑을 둘러싸면서 흘러 천연적인 요새를 이룸.
함경도>회령 , 유적>시설>성,진,책
-
운성(雲城)@운봉 - 운봉(雲峯)@지명
전라도 남원(南原)의 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지리산(智異山)의 서쪽에 위치하며, 호남(湖南)과 영남(嶺南)의 경계 지역을 이룸. 현재 전라북도 남원시(南原市)에 속함.
전라도>운봉 , 지명>행정지명
-
운성군(雲城君) - 박종우(朴從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운봉(雲峰). 태종(太宗)의 딸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혼인하고,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됨.
?~14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운성군(雲城君)@이수철 - 이수철(李壽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셋째 아들로, 계성군(桂城君) 이순(李恂)의 후사로 출계(出系)함.
1515~156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운성부원군(雲城府院君) - 박종우(朴從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운봉(雲峰). 태종(太宗)의 딸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혼인하고,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참여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됨.
?~14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