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운손(雲孫) - 박운손(朴雲孫)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어려서 최항(崔恒)과 같이 학문하였으며, 지평현(砥平縣)의 객사(客舍) 중건을 완수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운송(雲松)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운송거사(雲松居士) - 강희맹(姜希孟)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아들. 뛰어난 문장가로, 경사(經史)와 전고(典故)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 저서에 《금양잡록(衿陽雜錄)》ㆍ《사숙재집(私淑齋集)》 등이 있음.
1424~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운수(耘叟) - 이달충(李達衷)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천(李蒨)의 아들로, 유학(儒學)에 정통함.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낼 때 공석에서 신돈(辛旽)을 비판하여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복직함.
1309~138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운수(雲叟)@권인룡 - 권인룡(權仁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정탁(鄭琢)과 교유했고, 관직은 별장(別將)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운수(雲叟)@남서룡 - 남서룡(南瑞龍)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양(英陽). 1522년(중종 1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주세붕(周世鵬)이 차운(次韻)한 시가 실려 있음.
1496~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운수(雲水) - 임실(任實)
전라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남원(南原), 서쪽으로 순창(淳昌)과 접해 있음.
전라도>임실 , 지명>행정지명
-
운수거사(雲水居士) - 김광찬(金光燦)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좌의정 김상헌(金尙憲)의 아들이며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버지.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인조를 호종하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1597~16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운수군(雲水君) - 이효성(李孝誠)
조선 전기의 종친.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진성대군(晉城大君)의 집을 시위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활을 잘 쏘고 무예에 뛰어남.
1445~151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운아자(雲牙子) - 위백양(魏伯陽)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ㆍ도사. 진단(陳摶)에게 태극도(太極圖)를 전수하고, 《주역(周易)》에 나오는 효상(爻象)의 원리를 그대로 빌려와 신단(神丹)을 만드는 방법과 과정을 논함. 저서로 《참동계(參同契)》ㆍ《오상류(五相類)》가 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운악(雲嶽) - 이함(李涵)@1554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조부로, 선조 때 문과에 올랐으나 답안지 가운데 《장자(莊子)》에서 인용한 말이 있다고 하여 취소당하였으며, 의령 현감(宜寧縣監) 등을 역임한 후 광해군 때 낙향함.
1554~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운암(雲岩) - 김광택(金光澤)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로,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문인. 선조(先祖)인 동촌(桐村) 김린(金麟)이 은거했던 곳에 동백정(冬栢亭)을 세웠는데, 박광전이 쓴 〈동백정기(冬栢亭記)〉가 《죽천집(竹川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운암(雲巖)@징공 - 징공(澄公)
고려 후기의 승려. 백암사(白巖寺) 쌍계루(雙溪樓)를 중수(重修)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성 , 인명>종교인>승려
-
운암(雲巖)@박운 - 박운(朴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효자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박영(朴英)의 문인(門人).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교유하였으며, 효행이 뛰어나 선조(宣祖) 때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493~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학자
-
운암(雲巖)@김연 - 김연(金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안로(金安老)의 미움을 받아 좌천되었다가 복귀하여 사간(司諫)을 지냄.
1487~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운암(雲巖)@우암 - 우암(愚巖)
경상도 예안(禮安) 오천리(烏川里)에 있던 암벽 이름. 낙동강(洛東江)을 굽어보고 있으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만균(金萬鈞)이 이곳에 침류정(枕流亭)을 세움. 현재 경상북도 안동시(安東市) 풍산읍(豐山邑)에 속함.
경상도>예안 , 지명>자연지명
-
운암(雲巖)@차원부 - 차원부(車原頫)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연안(延安). 두문동(杜門洞) 72현 중 한 사람.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내고,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 등과 성리학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매화 그림을 특히 잘 그림.
132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운암(雲巖) - 김명일(金明一)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김진(金璡)의 아들로 5형제가 모두 학행으로 뛰어나 일가를 이룸.
1534~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운암(雲庵)@와운암 - 와운암(臥雲庵)
중국 사천성(四川省)의 아미산(峨眉山) 금정(金頂) 부근에 있는 사찰.
중국 , 유적>건물>사찰
-
운암(雲菴) - 탁종성(卓宗成)
고려 신종(神宗) 때의 문신.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탁사정(卓思正)의 맏아들로,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운암록(雲巖錄) - 운암잡록(雲巖雜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성룡(柳成龍)이 저술한 책. 필사본. 1책. 주로 동서분당(東西分黨)의 내용을 다루었으며, 주요 관련 인물인 심의겸(沈義謙)ㆍ이이(李珥)ㆍ성혼(成渾)ㆍ정철(鄭澈)ㆍ최영경(崔永慶) 등의 행적을 기록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운암사우(雲巖祠宇) - 운암사(雲巖祠)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광산(光山)에 건립한 사우(祠宇). 송제민(宋齊民)ㆍ권필(權韠) 등을 제향함.
17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당
-
운암선로(雲巖禪老) - 성민(省敏)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ㆍ문인. 찬영(粲英)의 제자로, 권근(權近) 등과 교유하였으며, 태종(太宗)의 척불(斥佛) 정책에 대하여 신문고(申聞鼓)를 울려 호소하였으나 무위로 돌아감.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운양씨(云陽氏) - 소호(少昊)
중국 고대의 전설적 황제. 삼황오제(三皇五帝)의 하나로, 황제(黃帝)와 누조(嫘祖)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태호(太昊)의 법을 닦았기 때문에 소호(少昊)라 일컬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운영(雲英) - 소자량(蕭子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ㆍ문인. 무제(武帝)의 둘째 아들로, 경릉군왕(竟陵郡王)에 봉해졌으며, 《사부요략(四部要略)》을 편찬함. 문인들을 모아놓고 시 짓기 놀이를 할 때 촛불 일촌(一寸)이 탈 동안 완성하기로 규정을 삼은 고사가 전해짐.
460~4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운옥(韻玉) - 운부군옥(韻府群玉)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인 음유우(陰幼遇)가 짓고 동생 음유달(陰幼達)이 주석한 사전. 운(韻)을 구분하여 배열하고 참고가 되는 고사성어의 원전까지 소개함. 2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운옥산인(雲玉山人) - 왕훈(王勳)
고려 후기의 문인. 전녹생(田祿生)의 문집 《야은일고(壄隱逸稿)》에 실려 있는〈화상찬(畫像讚)〉 중 한 편을 지었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
-
운옹(雲翁)@홍익한 - 홍익한(洪翼漢)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이정귀(李廷龜)의 문인이며,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병자호란 때 척화론(斥和論)을 폈으나 왕이 화의하자 오달제(吳達濟)ㆍ윤집(尹集)과 함께 심양(瀋陽)으로 잡혀가 죽음을 당함.
1586~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운옹(雲翁) - 박찬(朴璨)@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숙부인 박경신(朴慶新)ㆍ박경인(朴慶因)과 함께 창의(倡義)하여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운와(雲窩) - 이달존(李達尊)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이제현(李齊賢)의 아들로, 충혜왕이 원(元) 나라에 잡혀갈 때 아버지와 함께 배종하였다가, 충혜왕이 복위하자 전리 총랑(典理摠郞)이 되어 이듬해 귀국하던 도중 병사함. 문장이 뛰어남.
1313~134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운유자(雲游子) - 탁연(卓然)
고려 고종(高宗) 때의 승려. 순천(順天)의 조계산(曹溪山) 수선사(修禪寺)에 들어가 승려가 되었으며, 이제현(李齊賢) 등과 교유함. 필법(筆法)이 뛰어나 명성을 날렸으며, 최자(崔滋)가 중창한 백련사(白蓮社)의 현판(懸板)을 씀.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운유자(雲遊子) - 각굉(覺宏)
고려 말기의 승려. 나옹화상(懶翁和尙) 혜근(惠勤)의 제자로, 스승의 어록인 《나옹화상어록(懶翁和尙語錄)》을 문인들과 함께 찬집하여 간행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운은(雲隱) - 상주(尙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명종 때 과거에 입격하고 네 곳의 명산(名山)에서 주지(住持)를 지냈으며, 양사언(楊士彦)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회양 , 인명>종교인>승려
-
운익(雲翼)@이운익 - 이운익(李雲翼)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숙종(肅宗) 때 양양 현감(襄陽縣監)을 지낸 이동표(李東標)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유학
-
운익(雲翼) - 장운익(張雲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우의정(右議政) 장유(張維)의 아버지.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扈從)하고, 정유재란 때 접반사(接伴使)가 되어 명(明) 나라 제독 마귀(麻貴)를 영접한 공이 있어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증직됨.
1561~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운장(雲章) - 양응기(梁應箕)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장자(長子)로, 병절교위(秉節校尉)를 지냈음.
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운장(雲章)@주탁 - 주탁(周倬)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385년(우왕 11)에 우리나라에 사신 와서 공민왕(恭愍王)의 시호를 내리고 우왕(禑王)을 책봉하였으며, 권근(權近)ㆍ정도전(鄭道傳) 등이 사환시(使還詩)를 지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운장(雲莊)@진호 - 진호(陳澔)
중국 원(元) 나라 때의 학자. 남강군(南康郡) 도창(都昌) 사람으로, 진대유(陳大猷)의 아들. 송(宋) 나라가 망한 뒤 은거하여 벼슬을 하지 않고 고향에서 유생을 가르침.
1261~1341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운장(雲莊)@장양호 - 장양호(張養浩)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한림 직학사(翰林直學士)ㆍ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관잠서(官箴書)인 《삼사충고(三事忠告)》등의 저술을 남김. 중국 문학사에서 원대(元代) 산곡(散曲)의 대표 작가로 꼽힘.
1269~1329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운장(雲莊) - 유약(劉爚)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에게 학문을 전수 받고,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운장(雲長)@관우 - 관우(關羽)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무장. 후한(後漢) 말에 유비(劉備)ㆍ장비(張飛)와 함께 의형제를 맺고, 208년 적벽전(赤壁戰) 때 수군(水軍)을 통솔하여 큰 공을 세움.
?~21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운장(雲長)@이원승 - 이원승(李元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손자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67년(선조 즉위년)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운장(雲長) - 송익필(宋翼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판관(判官) 송사련(宋祀連)의 아들.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교제하며 성리학과 예학(禮學)에 통달하였고, 문장에 뛰어나 선조대(宣祖代)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렸으며, 김장생(金長生)ㆍ김집(金集) 등 많은 문하생을 배출함.
1534~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운장선생(雲莊先生) - 진호(陳澔)
중국 원(元) 나라 때의 학자. 남강군(南康郡) 도창(都昌) 사람으로, 진대유(陳大猷)의 아들. 송(宋) 나라가 망한 뒤 은거하여 벼슬을 하지 않고 고향에서 유생을 가르침.
1261~1341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운장예기집설(雲莊禮記集說) - 예기집설(禮記集說)
중국 원(元) 나라 때의 학자인 진호(陳澔)가 지은 《예기(禮記》의 주석서(註釋書). 체계적으로 편찬되어 명대(明代)에 과거(科擧)의 전용서(專用書)로 사용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운장유씨(雲莊劉氏) - 유약(劉爚)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에게 학문을 전수 받고,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운재(芸齋)@설장수 - 설장수(偰長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한 후 공양왕(恭讓王) 옹립에 공을 세움. 정몽주(鄭夢周)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조선 개국 후 복직되어 여러 차례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옴.
1341~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운재(芸齋)@이언충 - 이언충(李彦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충숙왕 때 하정사(賀正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오고,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충렬왕(忠烈王)에서 충혜왕(忠惠王)까지 네 왕을 섬기면서 총애를 받음.
1273~133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운재(芸齋) - 서원빙(徐元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어릴 적 친구로, 그와 이동기이(理同氣異)에 관해 논변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운정(芸亭) - 김언건(金彦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영동(永同). 온성 판관(穩城判官) 김각(金覺)의 아버지로, 감찰에 증직되고 연악서원(淵嶽書院)에 제향됨.
1511~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운정(雲汀)@임몽정 - 임몽정(任蒙正)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냈으며, 어려서부터 시를 잘 써서 명성을 떨침.
1559~160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운정(雲汀) - 정광필(鄭光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 정난종(鄭蘭宗)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영의정(領議政)으로 조광조(趙光祖) 등을 구하려다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로 좌천되었으며, 후에 다시 영의정에 오름.
1462~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운정(雲程) - 정붕(鄭鵬)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정철견(鄭鐵堅)의 아들이며, 박영(朴英)의 스승.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고, 성희안(成希顔)과 친교를 맺음. 청송 부사(靑松府使) 등을 지냄.
1467~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운제(雲堤) - 노형필(盧亨弼)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노척(盧脊)의 아들.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을 규합함. 학행(學行)으로 효릉 참봉(孝陵參奉)ㆍ사부(師傅)에 제수되었지만 사양하고, 운제(雲堤)에서 한적한 생활을 즐김.
1605~164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운제거사(雲堤居士) - 노형필(盧亨弼)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노척(盧脊)의 아들.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을 규합함. 학행(學行)으로 효릉 참봉(孝陵參奉)ㆍ사부(師傅)에 제수되었지만 사양하고, 운제(雲堤)에서 한적한 생활을 즐김.
1605~164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운종가(雲鍾街) - 종로(鍾路)
서울 광화문(光化門)에서 동대문(東大門) 사이의 거리 이름. 조선시대에 종루(鐘樓)가 세워져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예로부터 교통의 요지이자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함. 원래는 광화문에서 종루 사이를 지칭하였음.
서울 , 지명>자연지명
-
운주(運州) - 홍성(洪城)
충청남도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홍주목(洪州牧)과 결성현(結城縣)이 합해져 이루어진 고을로, 백제 멸망 후 부흥운동의 최후 항거지였던 주류성(周留城)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군사상 요지로서 충청도의 5개 진관(鎭管) 중 하나가 설치됨.
충청도>홍주 , 지명>행정지명
-
운중(雲中)@운주 - 운주(雲州)
중국 산서성(山西省) 대동시(大同市)의 옛 이름. 서한(西漢) 때 처음 설치되고 북위(北魏) 때의 도읍지이며, 오대(五代) 때에는 연운십육주(燕雲十六州)에 포함되어 요(遼) 나라에 할양됨. 예로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운지(澐之) - 최운(崔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김정(金淨)과 함께 수학했으며,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횡간 현감(橫澗縣監)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1500~152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운지(耘之) - 조지운(趙之耘)
조선 후기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선비화가 조속(趙涑)의 아들. 현감(縣監)을 지내고, 선비의 기풍과 심의(心意)가 가득한 묵매와 수묵화조를 잘 그려 〈숙조도(宿鳥圖)〉등의 작품을 남김.
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운지(運之) - 정광보(鄭光輔)
조선 전기의 유학. 김효원(金孝元)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운지(雲之) - 홍자번(洪子藩)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홍예(洪裔)의 아들로 좌복야 참지광정원사(左僕射參知光政院事) 등을 지냈으며, 충렬왕ㆍ충선왕(忠宣王) 부자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고 정의(情誼)를 회복시키는 데 진력함.
1237~130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운천(雲川) - 김용(金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싸웠으며, 《선조실록(宣祖實錄)》 수찬(修撰)에 참여함.
1557~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운천부령(雲川副令) - 이봉(李鋒)
조선 전기의 종친. 내섬시 정(內贍寺正)을 지낸 신거이(愼居易)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운택(雲澤) - 운몽택(雲夢澤)
중국 호남성(湖南省) 동정호(洞庭湖) 북쪽에 있던 못 이름. 고대에는 초(楚) 나라 지역에 속하였으며, 원래는 운택(雲澤)과 몽택(夢澤) 두 개의 못이었으나 후대에 합칭(合稱)한 것이라 함. 큰 못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용어로 쓰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운평(雲坪) - 송능상(宋能相)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송시열(宋時烈)의 현손이며, 한원진(韓元震)의 문인(門人)으로, 윤봉구(尹鳳九) 등 노론 학자들과 교유하였으며, 여러 관직을 지내다가 묘향산(妙香山)에 들어가 《대학(大學)》을 강론함.
1709~175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운평선생문집(雲坪先生文集) - 운평집(雲坪集)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능상(宋能相)의 문집. 순조(純祖) 초에 제자이자 족질인 송환기(宋煥箕)에 의해 10권 4책의 목판으로 간행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운포주인(雲浦主人) - 황윤석(黃胤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종래의 이학(理學)과 서구 지식의 조화를 시도함. 《이재유고(頤齋遺藁)》에 실린 운학(韻學)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사의 연구대상이 됨.
1729~17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운필(雲弼) - 허운필(許雲弼)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영천 군수(榮川郡守)를 지낸 허충길(許忠吉)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운학(雲壑) - 오거(吳琚)
중국 송(宋)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서법가. 변량(汴梁) 사람으로 관직은 지강릉부(知江陵府)ㆍ판건강부(判建康府)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운한(雲翰) - 탁운한(卓雲翰)
조선 순조(純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계현(卓繼賢)의 맏아들로, 1827년(순조 27)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1790~?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곽산 , 인명>문사>유학
-
운해(雲海) - 어운해(魚雲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좌참찬(左參贊) 어계선(魚季瑄)의 아들. 1564년(명종 1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과천 현감(果川縣監)ㆍ평창 군수(平昌郡守) 등을 지냄.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친분이 깊음.
1536~158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운호(雲湖) - 임몽정(任蒙正)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냈으며, 어려서부터 시를 잘 써서 명성을 떨침.
1559~160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운홍(雲鴻) - 진운홍(陳雲鴻)
중국 명(明) 나라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조선의 원군으로서 참전하고, 일본의 장수 소서행장(小西行長)과 직접 만나 회담을 가짐.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운회(韻會) - 고금운회(古今韻會)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황공소(黃公紹)가 송(宋) 나라 진팽년(陳彭年) 등이 편찬한 《대송중수광운(大宋重修廣韻)》의 206운(韻)을 107운으로 줄여 만든 운서(韻書).
120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운흘(云仡) - 조운흘(趙云仡)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인복(李仁復)의 문인으로,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2등공신이 되고, 조선 개국 후 강릉 부사(江陵府使)로 제수됨.
1332~140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운흥사(雲興寺)@백담사 - 백담사(百潭寺)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 때 자장(慈藏)이 강원도(江原道) 인제(麟蹄) 설악산에 창건한 사찰. 처음 이름은 한계사(寒溪寺)였으나, 소실(燒失)과 중건(重建)의 반복으로 이름과 위치가 여러 번 바뀜. 1455년(세조 1)에 승려 재익(載益) 등이 옛 한계사 터의 윗쪽 20리 지점에 중건하고 백담사라고 개칭함.
647 한국>신라 , 강원도>인제 , 유적>건물>사찰
-
울릉(蔚陵) - 울릉도(鬱陵島)
울진(蔚珍)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 지증왕(智證王)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 조선 숙종(肅宗) 때 안용복(安龍福)이 월경(越境)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伯耆島主)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
강원도>울진 , 지명>자연지명
-
울릉(鬱陵) - 울릉도(鬱陵島)
울진(蔚珍)에서 정 동쪽으로 3백 50리쯤 떨어진 섬. 지증왕(智證王) 때부터 신라에 예속됨. 조선 숙종(肅宗) 때 안용복(安龍福)이 월경(越境)한 일본 선박에게 항의하다 일본에 붙들려가 백기도주(伯耆島主)에게 우리 영토임을 확인함.
강원도>울진 , 지명>자연지명
-
울림(鬱林) - 육적(陸績)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오(吳) 나라 때의 문신. 당(唐) 나라 육구몽(陸龜蒙)의 원조(遠祖). 《주역(周易)》을 주석한 9인의 연구가인 구가(九家)의 한 사람으로, 울림 태수(鬱林太守) 등을 지내고, 효성이 매우 지극하였음.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울종(蔚宗)@범엽 - 범엽(范曄)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경사(經史)를 섭렵하고 글을 잘하여 문제(文帝) 초에 후한(後漢)의 사서(史書)를 정리하여 다시 새로운 《후한서(後漢書)》를 완성함. 상서 이부랑(尙書吏部郞)을 지냄.
398~44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울종(蔚宗) - 범염(范冉)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 당고지화(黨錮之禍)를 당해서도 권력에 아첨하지 않고 청렴함을 지킨 고사로 유명함.
112~18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울주(蔚州) - 울산(蔚山)
경상남도 북동부 해안에 있는 고을 이름. 신라시대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영(慶尙左道兵馬都節制使營)이 설치되어 경상좌도 육군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상도>울산 , 지명>행정지명
-
울주김씨(蔚州金氏) - 울산김씨(蔚山金氏)
통일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아들로 학성부원군(鶴城府院君)에 봉해진 김덕지(金德摯)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울산 , 인명>집단>성씨
-
울지(蔚之) - 이세회(李世薈)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윤구(尹遘)의 사위로, 사섬시 부정(司贍寺副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울지경덕(尉遲敬德) - 울지공(尉遲恭)
중국 수(隨) 말~당(唐) 초의 무신. 수 나라 말에 유무주(劉武周) 휘하의 장수로 있다가 당 나라에 귀부하여 이세민(李世民)을 따라 왕세충(王世充)ㆍ두건덕(竇建德) 등을 격퇴하고, 현무문(玄武門)의 변(變) 때 이세민의 제위 탈취를 돕는 등의 공을 세움.
585~658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울진군(蔚珍君) - 장말익(張末翼)
고려 정종(靖宗) 때의 문신. 호부 상서(戶部尙書)ㆍ삭방도 안렴사(朔方道按廉使) 등을 지내고, 문하시중 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증직됨. 울진부원군(蔚珍府院君)으로 봉해지고, 울진장씨(蔚珍張氏)의 시조(始祖)가 되어 월계서원(月溪書院)에 배향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울진 , 인명>관인>문신
-
울진부원군(蔚珍府院君) - 장말익(張末翼)
고려 정종(靖宗) 때의 문신. 호부 상서(戶部尙書)ㆍ삭방도 안렴사(朔方道按廉使) 등을 지내고, 문하시중 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증직됨. 울진부원군(蔚珍府院君)으로 봉해지고, 울진장씨(蔚珍張氏)의 시조(始祖)가 되어 월계서원(月溪書院)에 배향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울진 , 인명>관인>문신
-
웅거(熊居) - 평왕(平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528~B.C.516. 형인 영왕(靈王)을 죽이고 왕위에 오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웅괴(熊槐) - 회왕(懷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정사를 게을리 하고 직간(直諫)을 받아들이지 않자 굴원(屈原)이 《이소경(離騷經)》을 지어 깨우치려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웅구(熊口) - 웅천(熊川)
경상남도 남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에 제포(薺浦)와 왜관(倭館)을 통하여 대일(對日) 무역이 활발히 이루어짐. 현재는 경상남도 진해시(鎭海市)ㆍ창원시(昌原市) 등에 편입됨.
경상도>웅천 , 지명>행정지명
-
웅대행(熊大行) - 웅화(熊化)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1609년(광해군 1)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제가 보낸 선조(宣祖)에 대한 제(祭)와 시호(諡號) 및 부의(賻儀)를 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웅물헌(熊勿軒) - 웅화(熊禾)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무이산(武夷山)에 들어가 홍원서당(洪源書堂)을 건립하고 강학하였으며, 사서(四書)를 주소(註疏)함.
1135~119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웅물헌선생서원(熊勿軒先生書院) - 홍원서당(洪源書堂)
중국 원(元) 나라 초 무이산(武夷山)에 건립한 서당. 본래 이름은 홍원서실(洪源書室)이며 웅화(熊禾)가 은거하던 곳으로, 명(明) 나라 때 중수하여 웅물헌선생서원(熊勿軒先生書院)으로 개칭함. 주돈이(周敦頤)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ㆍ주희(朱熹) 등을 배향함.
중국>원 , 중국 , 유적>건물>서원,향교
-
웅비(熊羆)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웅비(雄飛) - 방간(方干)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추한 외모를 가졌으나 요합(姚合) 등에게 재능을 인정받았으며, 만나는 사람마다 삼배(三拜)를 하여 ‘방삼배(方三拜)’라 불림. 죽은 후 장문울(張文蔚)에 의해 추존되고 ‘현영선생(玄英先生)’이라 사시(私諡)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웅산(熊山) - 웅천(熊川)
경상남도 남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에 제포(薺浦)와 왜관(倭館)을 통하여 대일(對日) 무역이 활발히 이루어짐. 현재는 경상남도 진해시(鎭海市)ㆍ창원시(昌原市) 등에 편입됨.
경상도>웅천 , 지명>행정지명
-
웅섬산(熊閃山) - 연천(漣川)
경기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구석기ㆍ신석기 시대의 유물ㆍ유적이 대량 발굴됨.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웅신(熊神) - 웅천(熊川)
경상남도 남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에 제포(薺浦)와 왜관(倭館)을 통하여 대일(對日) 무역이 활발히 이루어짐. 현재는 경상남도 진해시(鎭海市)ㆍ창원시(昌原市) 등에 편입됨.
경상도>웅천 , 지명>행정지명
-
웅심(熊心) - 의제(義帝)
중국 초(楚) 나라 황제. 초 회왕(懷王) 웅괴(熊槐)의 손자. 항우(項羽)에 의해 황제로 세워졌으나, 항우의 밀명(密命)을 받은 영포(英布)에게 침강(郴江)에서 살해됨.
?~B.C.205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